KR20050119348A -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348A
KR20050119348A KR1020040044412A KR20040044412A KR20050119348A KR 20050119348 A KR20050119348 A KR 20050119348A KR 1020040044412 A KR1020040044412 A KR 1020040044412A KR 20040044412 A KR20040044412 A KR 20040044412A KR 20050119348 A KR20050119348 A KR 20050119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irectory
broadcast
switch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294B1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29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방송 채널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디렉토리화하고, 각 디렉토리별로 선호하는 방송 채널을 등록하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방송 채널 절환시에 각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간에 채널 절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 채널로 등록된 모든 방송 채널들에 대해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한 채널씩의 절환을 통해 시청을 원하는 임의의 방송 채널을 찾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각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디렉토리화하고, 각 디렉토리별로 선호하는 방송 채널을 등록하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을 수행할 때 각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 사이에서만 한 채널씩 이동해 가면서 채널 절환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방송 채널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채널 선택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METHOD FOR CONVERTING BROADCASTING CHANNEL OF TELEVISION}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방송 채널들을 선호 채널별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절환하는데 적합한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각종 동작 제어를 실행하는 리모콘 등에는 방송 채널을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환하는 채널 업/다운키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채널 업/다운키를 조작하여 방송 채널을 상 방향으로 순차 절환하거나 혹은 하 방향으로 순차 절환한다.
한편, 근래 들어 방송 채널들은 수십에서 수백 개 혹은 수백에서 수천 개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다양한 방송 모드(즉, 지상파 방송 모드, 케이블 방송 모드, 위성 방송 모드 등)에 따라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채널 탐색 기능을 이용하여 유효 채널들만을 등록시켜 둔 상태에서, 리모콘 등에 구비된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유효 채널로 등록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방송 채널들을 업 또는 다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환해 가면서 자신이 시청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찾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한 채널씩의 절환을 통해 유효 채널로서 등록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방송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절환해 가면서 시청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찾는 종래 방법은 많은 횟수의 키 조작을 해야만 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그로 인해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사용자들의 이용 편리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상파 방송 모드, 케이블 방송 모드, 위성 방송 모드를 지원하는 복합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경우, 각 방송 모드별로 채널 분류가 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모드를 바꾸어 가면서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을 통해 각 방송 모드별로 원하는 방송 채널을 찾아야만 하는데, 이러한 경우 시청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찾기 위한 조작의 번거로움 및 시간 소요가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중에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라고 가정할 때, 먼저 지상파 방송 모드를 케이블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을 수행해야 하고, 이후에 채널 업/다운키를 조작하는 한 채널씩의 채널 절환을 통해 자신이 시청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찾아야만 하기 때문에 조작의 번거로움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소요 시간이 불필요하게 과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방송 채널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디렉토리화하고, 각 디렉토리별로 선호하는 방송 채널을 등록하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방송 채널 절환시에 각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간에 채널 절환을 수행할 수 있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방송 모드별의 각 방송 채널을 테마별로 구분하여 디렉토리화하고, 각 디렉토리별로 선호하는 방송 채널 및 그 방송 모드를 등록하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방송 채널 절환시에 각 디렉토리에 등록된 방송 채널간에 채널 절환을 수행할 수 있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방영하는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방송 채널을 테마별로 분류된 각 디렉토리별로 구분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 정보를 선호 채널로서 등록하는 제 1 과정과,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 현재의 전체 채널 절환 모드를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 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시청 채널이 속하는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 중 상기 현재 시청 채널에 순서적으로 이전 또는 이후인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절환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새로운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 모드의 수신을 지원 가능하며, 각 방송 모드별 다수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방영하는 복합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각 방송 모드의 다수의 방송 채널을 테마별로 분류된 각 디렉토리별로 구분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 정보 및 방송 모드 구분 정보를 선호 채널로서 등록하는 제 1 과정과,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 현재의 전체 채널 절환 모드를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 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시청 채널이 속한 디렉토리에 등록된 이전 또는 이후의 이웃하는 선호 채널이 상기 현재 시청 채널과 동일한 방송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동일한 방송 모드일 때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절환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동일한 방송 모드가 아닐 때,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의 방송 모드 구분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방송 모드를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이 속한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을 선택 채널로 튜닝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새로운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 내지 제 6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7 과정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유효 채널로 등록된 모든 방송 채널들에 대해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한 채널씩의 절환을 통해 시청을 원하는 임의의 방송 채널을 찾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각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디렉토리화하고, 각 디렉토리별로 선호하는 방송 채널(및 방송 모드)을 등록하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을 수행할 때 각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 사이에서만 한 채널씩 이동해 가면서 채널 절환을 수행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마라 함은, 예를 들면 뉴스, 영화, 음악, 연애,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스포츠 등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텔레비전 방송 채널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전형적인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제어 블록(102), 메모리 블록(104), 튜너/복조 블록(106), 디멀티플렉서(108), 비디오 신호 처리 블록(110) 및 오디오 신호 처리 블록(112)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블록(102)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튜너/복조 블록(106)에서의 방송 채널 튜닝을 제어하고, 튜닝한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한 방송신호에서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디멀티플렉싱을 제어하며,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 블록(102)은 다수의 방송 채널을 테마별(예를 들면, 뉴스, 영화, 음악, 연애,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스포츠 등)로 분류하여 각 디렉토리별(즉, 전체 디렉토리, 뉴스 디렉토리, 영화 디렉토리, 음악 디렉토리, 연애 디렉토리, 애니메이션 디렉토리, 스포츠 디렉토리 등)로 구분해 둔 조건(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호 채널로서 등록을 요청한 방송 채널의 정보(즉, 채널번호 및 채널명)를 선호 채널로서 메모리 블록(104) 내의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등록)한다. 물론, 제어 블록(102)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채널 지움키 조작)에 따라 각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을 삭제(등록 해제)하는 기능 또한 수행한다.
여기에서, 전체 디렉토리는 메인 디렉토리로서 다수의 각 서브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된 모든 선호 채널들을 등록하기 위한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뉴스 디렉토리, 영화 디렉토리, 음악 디렉토리, 연애 디렉토리, 애니메이션 디렉토리, 스포츠 디렉토리 등은 테마별로 분류된 방송 채널들의 선호 채널을 선택적으로 등록하기 위한 서브 디렉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메인 디렉토리 및 다수의 서브 디렉토리들은,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렉토리별로 구분되어 메모리 블록(104)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 A1은 선호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의 채널번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B1은 선호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의 채널명을 기재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더욱이, 제어 블록(102)은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임의의 디렉토리별로 채널 절환을 요구할 때 그에 응답하여 메모리 블록(104)에 할당된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디렉토리 내에서의 한 채널씩의 채널 절환(즉, 채널 절환 튜닝)을 제어한다.
다음에, 튜너/복조 블록(106)은, 제어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채널 튜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도시 생략된 방송신호 수신부(즉, 수신 안테나 또는 케이블)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예컨대, 지상파 방송 채널, 케이블 방송 채널 또는 위성 방송 채널)을 튜닝하고 이 튜닝된 방송신호를 전송전의 원 신호로 복조하여 다음 단의 디멀티플렉서(10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08)는, 제어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튜너/복조 블록(106)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조된 방송신호를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디멀티플렉싱(분리)하며, 여기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신호 처리 블록(110)으로 전달되고, 분리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 블록(112)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비디오 신호 처리 블록(110)은, 예를 들면 일련의 비디오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 부호화(DCT, 양자화, 가변길이 부호화 등)된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 전의 원 신호로 복호화(가변길이 복호화, 역양자화, 역DCT 등)하거나 혹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처리된 비디오 신호, 즉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도시 생략된 모니터 측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오디오 신호 처리 블록(112)은, 예를 들면 일련의 오디오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 전의 원 신호로 복호화하거나 혹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처리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외부로의 출력을 위해 도시 생략된 스피커 측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형적인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채널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을 위해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 선호 채널로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이 임의의 방송 채널을 튜닝하고 있는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기억(선호 채널 등록)을 위해 채널 기억키를 누르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2, 204).
상기한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채널 기억키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채널 기억키를 누른 이후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n1) 동안에 사용자가 다수의 디렉토리 키들 중 원하는 임의의 디렉토리 키(또는 서브 디렉토리 키)를 누르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6, 208). 여기에서, "디렉토리 키"는 것은 다수의 각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한 디렉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디렉토리로서는, 예를 들면 뉴스 디렉토리, 영화 디렉토리, 음악 디렉토리, 연애 디렉토리, 애니메이션 디렉토리, 스포츠 디렉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모콘 또는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조작 패널에는 다수의 디렉토리 키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단계(206)에서의 체크 결과,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임의의 디렉토리 키를 누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디렉토리를 지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시청 방송 채널의 정보(즉, 채널번호 및 채널명 정보)를 전체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한다. 단계(206)에 있어서, 참조부호 t1은 사용자가 채널 기억키를 누른 후에 경과한 시간의 카운트 값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전체 디렉토리라 함은 방송 테마별로 분류되어 기 설정된 각 서브 디렉토리(뉴스 디렉토리, 영화 디렉토리, 음악 디렉토리, 연애 디렉토리, 애니메이션 디렉토리, 스포츠 디렉토리 등)에 선택적으로 등록된 선호 채널들에 대한 모든 정보를 등록시키는 메인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채널 기억키를 누른 후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에 서브 디렉토리 키를 누르지 않을 경우 현재 시청중인 해당 채널을 메인 디렉토리를 의미하는 전체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한다.
또한, 상기한 단계(208)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이내에 임의의 디렉토리 키(서?? 디렉토리 키)를 누르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현재 시청 방송 채널의 정보(즉, 채널번호 및 채널명 정보)를 선택된 서브 디렉토리(예컨대, 뉴스 디렉토리, 영화 디렉토리, 음악 디렉토리, 연애 디렉토리, 애니메이션 디렉토리, 스포츠 디렉토리 등)와 전체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동시에 등록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시청중인 방송 채널을 메인 디렉토리 및/또는 서브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과정을 통해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테마별 방송 채널들이 등록된 각 서브 디렉토리별 선호 채널들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채널 절환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 선호 채널로 등록한 상태에서 각 서브 디렉토리별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이 임의의 방송 채널을 튜닝하고 있는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조작 패널 상에 구비된 다수의 디렉토리(즉, 메인 디렉토리 및 다수의 서브 디렉토리)키들 중 임의의 디렉토리 키를 누르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02, 304).
상기한 단계(304)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임의의 디렉토리 키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임의의 디렉토리 키를 누른 이후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n2) 동안에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키를 누르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06, 308). 여기에서, 참조부호 t2는 사용자가 디렉토리 키를 누른 후에 경과한 시간의 카운트 값을 의미한다.
다음에, 상기한 단계(306)에서의 체크 결과,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키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메모리 블록(104)을 탐색하여 현재 시청 채널이 속한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 정보를 탐색하고(단계 310), 그 탐색 결과에 의거하여 업 또는 다운을 통해 절환하고자 하는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방송 채널을 업 또는 다운 방식으로 절환한다(단계 312).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디렉토리 키와 채널 업/다운키를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누를 경우 현재 시청 채널이 선호 채널로서 등록되어 있는 해당 디렉토리의 선호 채널들에 대해 채널 순서적으로 이전 또는 이후인 선호 채널로 절환, 즉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들만을 중심으로 채널 절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한 단계(308)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디렉토리 키를 누르고 이후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채널 업/다운키를 누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사용자가 채널 절환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디렉토리 채널 절환 모드를 해제, 즉 현재 시청중인 방송 채널을 그대로 유지한다(단계 314).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라 서브 디렉토리별 방송 채널(등록된 선호 채널) 절환을 수행하게 되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은 디렉토리 채널 절환 모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 디렉토리인 전체 디렉토리 키를 한번 눌러주게 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디렉토리 채널 절환 모드를 통상의 채널 절환 모드로 절환시킨다. 이것은 각 서브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과 전체 디렉토리의 채널 절환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디렉토리 키와 채널 업/다운키를 조작함으로써,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로 구분 등록한 선호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들만을 중심으로 채널 절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을 튜닝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널 절환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다음에, 다수의 방송 모드(예컨대, 지상파 방송 모드, 케이블 방송 모드, 위성 방송 모드 등)를 지원하는 복합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채널 절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택적인 방송 채널 절환 기법은, 비록 도면으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지상파 방송 모드를 지원하는 지상파 방송 튜너, 케이블 방송 모드를 지원하는 케이블 방송 튜너, 위성 방송 모드를 지원하는 위성 방송 튜너 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복합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구성은 이 기술분야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절환 방법에서는, 선호 채널 정보로서 채널번호와 채널명을 등록하는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다리, 선호 채널 정보로서 채널번호와 채널명 및 방송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방송 모드 구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즉,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렉토리 및 각 서브 디렉토리에 등록되는 각 선호 채널들은 방송 모드 구분 정보(C2), 채널번호(A2) 및 채널명(B2)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채널 절환 방법은 선호 채널로 등록되는 정보만 다를 뿐 그 등록 과정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선호 채널 등록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불필요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선호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로 등록하는 과정의 설명은 생략하며, 각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로 선호 채널로서 등록시켜 둔 상태에서 서브 디렉토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채널 업/다운을 통한 채널 절환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방송 모드별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 선호 채널로 등록한 상태에서 각 서브 디렉토리별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이 임의의 방송 채널을 튜닝하고 있는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조작 패널 상에 구비된 다수의 디렉토리(즉, 메인 디렉토리 및 다수의 서브 디렉토리)키들 중 임의의 디렉토리 키를 누르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602, 604).
상기한 단계(604)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임의의 디렉토리 키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임의의 디렉토리 키를 누른 이후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소정시간(n3) 동안에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키를 누르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606, 608). 단계(608)에 있어서, 참조부호 t3은 사용자가 디렉토리 키를 누른 후에 경과한 시간의 카운트 값을 의미한다.
다음에, 상기한 단계(606)에서의 체크 결과,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에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키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메모리 블록(104)을 탐색하여 현재 시청 채널이 속한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 정보를 탐색하고(단계 610), 그 탐색 결과에 의거하여 업 또는 다운을 통해 절환하고자 하는 선호 채널을 선택한 후, 선호 채널 정보로서 등록된 방송 모드 구분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선호 채널의 방송 모드가 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방송 모드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612). 예를 들어, 현재 시청 채널이 지상파 방송 모드일 때 채널 절환을 위해 선택된 선호 채널이 지상파 방송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단계(612)에서의 체크 결과, 선택된 선호 채널이 현재 시청 채널과 동일한 방송 모드인 경우, 제어 블록(102)에서는 현재의 방송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 현재 방송 채널의 업 또는 다운을 제어하여 시청 채널을 선택된 선호 채널로 절환한다(단계 614).
한편, 상기한 단계(612)에서의 체크 결과, 선택된 선호 채널이 현재 시청 채널과 동일한 방송 모드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현재 시청 채널이 지상파 방송일 때 선택된 선호 채널이 케이블 방송인 경우, 제어 블록(102)에서는 현재의 방송 모드를 선호 채널의 방송 모드로 전환하고(단계 616), 이후에 현재 시청 채널을 선택된 선호 채널을 절환한다(단계 618).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디렉토리 키와 채널 업/다운키를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누를 경우 현재 시청 채널이 선호 채널로서 등록되어 있는 해당 디렉토리의 선호 채널들을 탐색하여 채널 순서적으로 이전 또는 이후인 선호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선호 채널의 방송 모드를 체크하여, 방송 모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채널을 절환하거나 혹은 방송 모드를 전환하여 채널을 절환, 즉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들만을 중심으로 채널 절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한 단계(608)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디렉토리 키를 누르고 이후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채널 업/다운키를 누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사용자가 채널 절환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디렉토리 채널 절환 모드를 해제, 즉 현재 시청중인 방송 채널을 그대로 유지한다(단계 620).
더욱이, 본 실시 예에 따라 서브 디렉토리별 방송 채널(등록된 선호 채널) 절환을 수행하게 되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은 디렉토리 채널 절환 모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 디렉토리인 전체 디렉토리 키를 한번 눌러주게 되면 제어 블록(102)에서는 디렉토리 채널 절환 모드를 통상의 채널 절환 모드로 절환시킨다. 이것은 각 서브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과 전체 디렉토리의 채널 절환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해 가면서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들만을 중심으로 채널 절환을 수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 채널로 등록된 모든 방송 채널들에 대해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한 채널씩의 절환을 통해 시청을 원하는 임의의 방송 채널을 찾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각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디렉토리화하고, 각 디렉토리별로 선호하는 방송 채널(및 방송 모드)을 등록하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을 수행할 때 각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 등록된 방송 채널 사이에서만 한 채널씩 이동해 가면서 채널 절환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방송 채널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채널 선택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텔레비전 방송 채널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전형적인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을 위해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구분하여 디렉토리별 선호 채널로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 선호 채널로 등록한 상태에서 디렉토리별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한 각 서브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방송 모드별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한 각 서브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방송 모드별 방송 채널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각 서브 디렉토리별 선호 채널로 등록한 상태에서 각 서브 디렉토리별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제어 블록 104 : 메모리 블록
106 : 튜너/복조 블록 108 : 디멀티플렉서
110 : 비디오 신호 처리 블록 112 : 오디오 신호 처리 블록

Claims (8)

  1. 다수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방영하는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방송 채널을 테마별로 분류된 각 디렉토리별로 구분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 정보를 선호 채널로서 등록하는 제 1 과정과,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 현재의 전체 채널 절환 모드를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 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시청 채널이 속하는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 중 상기 현재 시청 채널에 순서적으로 이전 또는 이후인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절환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새로운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4 과정
    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선호 채널로의 등록을 위한 채널 기억을 요청하는 제 11 과정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임의의 디렉토리 선택키 신호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12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디렉토리 선택키 신호의 입력이 없을 때, 현재 시청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다수의 디렉토리 중 전체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하는 제 13 과정과,
    상기 디렉토리 선택키 신호가 입력될 때, 현재 시청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전체 디렉토리와 상기 선택키 신호에 상응하는 해당 디렉토리에 동시에 등록하는 제 14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채널 절환을 위한 디렉토리 키를 입력하는 제 31 과정과,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상기 채널 업/다운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는 제 32 과정과,
    상기 채널 업/다운키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현재 시청 채널이 속한 해당 디렉토리에 등록된 선호 채널 정보를 탐색하는 제 33 과정과,
    상기 탐색된 선호 채널 중 상기 현재 시청 채널에 순서적으로 이전 또는 이후인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절환하는 제 34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채널 업/다운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디렉토리 채널 절환 모드를 강제 해제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테마별로 분류하여 등록한 모든 선호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전체 디렉토리 키가 입력될 때, 상기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 모드를 상기 전체 채널 절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6. 다수의 방송 모드의 수신을 지원 가능하며, 각 방송 모드별 다수의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방영하는 복합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서 방송 채널을 절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각 방송 모드의 다수의 방송 채널을 테마별로 분류된 각 디렉토리별로 구분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 정보 및 방송 모드 구분 정보를 선호 채널로서 등록하는 제 1 과정과,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 현재의 전체 채널 절환 모드를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 모드로 전환한 후, 현재 시청 채널이 속한 디렉토리에 등록된 이전 또는 이후의 이웃하는 선호 채널이 상기 현재 시청 채널과 동일한 방송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동일한 방송 모드일 때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절환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동일한 방송 모드가 아닐 때,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의 방송 모드 구분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방송 모드를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이 속한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이웃하는 선호 채널을 선택 채널로 튜닝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한 새로운 채널 절환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 3 과정 내지 제 6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7 과정
    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시청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선호 채널로의 등록을 위한 채널 기억을 요청하는 제 11 과정과,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임의의 디렉토리 선택키 신호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 12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디렉토리 선택키 신호의 입력이 없을 때, 현재 시청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 및 방송 모드 구분 정보를 상기 다수의 디렉토리 중 전체 디렉토리에 선호 채널로서 등록하는 제 13 과정과,
    상기 디렉토리 선택키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현재 시청 채널의 방송 채널 정보 및 방송 모드 구분 정보를 상기 전체 디렉토리와 상기 선택키 신호에 상응하는 해당 디렉토리에 동시에 등록하는 제 14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테마별로 분류하여 등록한 모든 선호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전체 디렉토리 키가 입력될 때, 상기 디렉토리별 채널 절환 모드를 상기 전체 채널 절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KR1020040044412A 2004-06-16 2004-06-16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KR100624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412A KR100624294B1 (ko) 2004-06-16 2004-06-16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412A KR100624294B1 (ko) 2004-06-16 2004-06-16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348A true KR20050119348A (ko) 2005-12-21
KR100624294B1 KR100624294B1 (ko) 2006-09-19

Family

ID=3729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412A KR100624294B1 (ko) 2004-06-16 2004-06-16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2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999B1 (ko) * 2007-03-06 2007-09-03 주식회사 셀런 텔레비젼에서 채널 마크 기능을 이용한 채널 이동 방법
WO2009002101A1 (en) * 2007-06-25 2008-12-31 Cj Cable Net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favorite channel in multi-channel broadcasting
US7739710B2 (en) 2004-10-11 2010-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gistering and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function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JP2018501024A (ja) * 2015-01-09 2018-01-18 アクソニクス モジュレ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遠隔装置および関連付けられた神経刺激システムとの使用の方法
US11848090B2 (en) 2019-05-24 2023-12-19 Axonics, Inc. Trainer for a neurostimulator programmer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with a neurostimu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574A (ja) * 1994-03-25 1995-10-13 Toshiba Corp 番組選択装置
KR19990080999A (ko) * 1998-04-24 1999-11-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제어 방법
KR20000044755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피디피 텔레비젼의 선호 채널 선택 방법
KR20030084240A (ko) * 2002-04-22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텔레비전의 선호 채널 선택 방법
KR20040009171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콘 장치 및 리모콘 장치의 사용방법
KR20050073008A (ko) *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채널 설정 및 전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9710B2 (en) 2004-10-11 2010-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gistering and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function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0753999B1 (ko) * 2007-03-06 2007-09-03 주식회사 셀런 텔레비젼에서 채널 마크 기능을 이용한 채널 이동 방법
WO2009002101A1 (en) * 2007-06-25 2008-12-31 Cj Cable Net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favorite channel in multi-channel broadcasting
JP2018501024A (ja) * 2015-01-09 2018-01-18 アクソニクス モジュレ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遠隔装置および関連付けられた神経刺激システムとの使用の方法
US11848090B2 (en) 2019-05-24 2023-12-19 Axonics, Inc. Trainer for a neurostimulator programmer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with a neurostimu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294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41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갱신방법 및 장치
US82843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KR100499039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설정방법
US2003008887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hannel map in a digital TV
KR19990005626A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젼 수상기의 채널 절환방법
JP2003274304A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
KR10146779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CN100418364C (zh) 具有屏幕切换时间显示功能的广播接收装置及其方法
KR100624294B1 (ko) 텔레비전 방송 채널의 선택적 절환 방법
EP1496692B1 (en)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setting method thereof
CN1956521B (zh) 用于改变/管理频道的方法和广播接收器
JP200417971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352752A (ja) 放送受像装置、放送受信装置、チャンネル追加制御方法、および、チャンネル削除制御方法
KR20050075549A (ko) 채널 전환을 위한 다중 채널맵을 생성하는 채널맵생성장치및 그 방법
US200501446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JP4067468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08298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6117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02394B1 (ko) 선호채널 저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JPH11122548A (ja) 放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100763380B1 (ko) 데이터 서비스 수신 알고리즘을 갖는 mheg 장치 및검색 방법
KR10072203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JP2004140442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100269141A1 (en)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 program finding service in a multi-channel broadcasting program receiver, and associated multi-channel broadcasting program receiver
KR20000046171A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선국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