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249A -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 - Google Patents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249A
KR20050119249A KR1020040044299A KR20040044299A KR20050119249A KR 20050119249 A KR20050119249 A KR 20050119249A KR 1020040044299 A KR1020040044299 A KR 1020040044299A KR 20040044299 A KR20040044299 A KR 20040044299A KR 20050119249 A KR20050119249 A KR 2005011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ir
discharge
inflow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Priority to KR102004004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9249A/ko
Publication of KR2005011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24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을 열고 닫는 것에 관계없이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항상 안정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여 건강증진에도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는 벽에 고정되는 창틀(10)과, 창틀(10)에 기능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리(21)를 구비하는 창문(20)으로 구성된 시스템창호(A)에 있어서, 창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31)(32)를 구비하는 연결부재(30); 연결부재(30)의 외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41)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42)를 구비하는 유입부재(40); 연결부재(3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구(51)를 구비하는 배출부재(50); 배출구(51)의 내측에 장착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60); 배출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6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70); 받침부재(7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The system windows and doors where the change of air function is given and the slide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에 설치되는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창문을 열고 닫는 것에 관계없이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항상 안정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여 건강증진에도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가구 주택과 아파트 등의 각종 건축물에는 자연채광기능과 실내에서 실외를 관망할 수 있는 기능 및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기능이 제공되는 시스템창호 또는 슬라이드창호가 설치된다.
상기 시스템창호 또는 슬라이드창호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일련의 개폐동작을 통해 창문을 일정량 정도 개방시켜 실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데, 통상 창문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가 장착되어 그러한 잠금장치의 해제를 통해 창문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환기기능을 행하기 위하여 창문을 개방할 때 그 창문을 여는 간격에 따라 통풍량을 조절할 수 있지만 창문 전체가 개방되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는 통풍량을 조절하기 어려웠다.
또한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두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무단으로 들어오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없었고, 외부에서 실내가 타인에 의해 완전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사생활 보호가 어려웠으며, 그리고 외부 소음이 열린 창문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실내의 냉방 및 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출입문뿐만 아니라 창문을 닫아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 경우 실내 공기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실내 공기의 배출을 위한 환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시스템창호 또는 슬라이드창호를 통한 환기 행위에서는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냉난방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창문을 일정 시간마다 개폐시키기 위한 동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야간 취침 시에는 도난 등의 안전을 위하여 창문을 완전히 닫기 때문에 실내의 환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호흡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량도 자연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숙면에 필요한 공기의 원활한 순환 배기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취침 중 산소의 부족으로 안정되고 쾌적한 숙면을 취할 수 없게됨은 물론 신체 바이오리듬의 저하 또는 수면부족 등으로 인해 건강에 상당한 불이익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아파트 같은 대규모 주거시설이 보편화되면서 시멘트를 비롯한 많은 화학재료들이 건축에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새집 증후군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빠른 시공과 편리한 공법을 추구하며 본드를 이용해 벽지와 장판을 바르고, 포름알데히드 투성인 목재로 가구를 만들다 보니 집안은 온갖 화학물질로 가득 차게 되었다. 실내 난방을 위해 이중창을 설치하여 실내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기 힘들게 된 것도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한 원인이다. 그러다 보니 집안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아이들이나 노인들에게 새집 증후군은 더욱 심각하다.
이와 같은 새집 증후군에 대처하기 위한 가장 간편하면서도 편리한 방법이 바로 실내 공기를 지속적으로 환기시키는 것이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로는 실내 공기를 자연스럽게 환기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창문이 밀폐된 상태에서도 실외에서 적절한 양의 공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어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각종 불순물을 제거함은 물론 실외에서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의 상부에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가 구비된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가 구비된 유입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의 내측에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부재의 하부에 필터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에 고정되는 창틀(10)과, 창틀(10)에 2가지 이상의 기능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리(21)를 구비하는 창문(20)으로 구성된 시스템창호(A)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31)(32)를 구비하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의 외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41)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42)를 구비하는 유입부재(40); 상기 연결부재(3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구(51)를 구비하는 배출부재(50); 상기 배출구(51)의 내측에 장착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60); 상기 배출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6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70); 상기 받침부재(7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창호(A)는 주지된 바와 같이 2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스템창호(A)는 크게 창틀(10)과 창문(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창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재(30)의 외벽과 내벽에는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31)(3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의 통로(31)(32)에 의해 건축물의 실외와 실내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유입부재(40)는 연결부재(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입부재(40)에는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41)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42)가 형성되고, 유입부재(40)의 중앙부에는 통로(43)가 형성되며, 유입부재(4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부재(9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입부재(40)의 안내판(41)은 유입구(42)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재(50)는 연결부재(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공기배출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부재(50)에는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구(51)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60)는 배출구(51)의 내측에 장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60)는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각종 불순물을 제거함은 물론 실외에서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상기 받침부재(70)는 배출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6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부재(70)는 필터(60)를 지지함과 동시에 배출조절부재(8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배출조절부재(80)는 받침부재(7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조절부재(80)는 외부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구(51)의 개방 간격을 조절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배출조절부재(80)로 배출구(51)를 닫을 수 있다.
상기 배출조절부재(80)의 하부에는 회전축(81)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70)에는 회전축(8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71)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조절부재(80)의 회동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81)은 축지지부(71)에 뻑뻑하게 조립된다.
상기 유입조절부재(90)는 유입부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4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입조절부재(90)는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환기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창호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실외 공기는 유입부재(40)의 안내판(41)에 유도되어 유입구(42)를 통해 화살표와 같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부재(4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통로(31)를 통해 연결부재(30)의 내부로 유입되며, 연결부재(3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다시 통로(32)를 거쳐 배출부재(5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배출부재(5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필터(60)를 거쳐 배출구(51)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의해 자연스럽게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이나 파리나 모기 등의 각종 해충은 필터(60)에 의해 걸러지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환기작용 시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실내에서 배출조절부재(80)를 조절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외부의 공기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한편 환기작용 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은 도 4에서와 같이 작동하는 유입조절부재(90)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환기기능이 부여된 슬라이드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에 고정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리(210)를 구비하는 창문(200)으로 구성된 슬라이드창호(B)에 있어서, 상기 창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310)(320)를 구비하는 연결부재(300); 상기 연결부재(300)의 외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410)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420)를 구비하는 유입부재(400); 상기 연결부재(3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구(510)를 구비하는 배출부재(500); 상기 배출구(510)의 내측에 장착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600); 상기 배출부재(5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60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700); 상기 받침부재(7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창호(B)는 주지된 바와 같이 미닫이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슬라이드창호(B)는 크게 창틀(100)과 창문(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창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재(300)의 외벽과 내벽에는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310)(32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0)의 통로(310)(320)에 의해 건축물의 실외와 실내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유입부재(400)는 연결부재(3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입부재(400)에는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410)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420)가 형성되고, 유입부재(400)의 중앙부에는 통로(430)가 형성되며, 유입부재(40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부재(9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입부재(400)의 안내판(410)은 유입구(420)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재(500)는 연결부재(3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공기배출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부재(500)에는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구(510)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600)는 배출구(5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600)는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각종 불순물을 제거함은 물론 실외에서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상기 받침부재(700)는 배출부재(5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6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부재(700)는 필터(600)를 지지함과 동시에 배출조절부재(8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배출조절부재(800)는 받침부재(7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조절부재(800)는 외부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구(510)의 개방 간격을 조절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배출조절부재(800)로 배출구(510)를 닫을 수 있다.
상기 배출조절부재(800)의 하부에는 회전축(81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700)에는 회전축(81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710)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조절부재(800)의 회동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810)은 축지지부(710)에 뻑뻑하게 조립된다.
상기 유입조절부재(900)는 유입부재(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42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입조절부재(900)는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환기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창호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실외 공기는 유입부재(400)의 안내판(410)에 유도되어 유입구(420)를 통해 화살표와 같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부재(40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통로(310)를 통해 연결부재(3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연결부재(30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다시 통로(320)를 거쳐 배출부재(5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배출부재(50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필터(600)를 거쳐 배출구(51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의해 자연스럽게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이나 파리나 모기 등의 각종 해충은 필터(600)에 의해 걸러지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환기작용 시 사용자는 도 7에서와 같이 실내에서 배출조절부재(800)를 조절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외부의 공기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한편 환기작용 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은 도 8에서와 같이 작동하는 유입조절부재(9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창문을 열고 닫는 것에 관계없이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면서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항상 안정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여 건강증진에도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이 밀폐된 상태에서도 실외에서 적절한 양의 공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어 실내 환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각종 불순물을 제거함은 물론 실외에서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를 지속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으므로 최근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크게 대두하고 있는 새집 증후군에 대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이 밀폐된 상태에서도 실외에서 적절한 양의 공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어 실내 환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각종 불순물을 제거함은 물론 실외에서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때문에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새집 증후군에 환경 친화적으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전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조절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조절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기능이 부여된 슬라이드창호를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창호의 전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조절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조절부재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 : 시스템창호 B : 슬라이드창호
10,100 : 창틀 20,200 : 창문
21,210 : 유리 30,300 : 연결부재
31,32,310,320 : 통로 40,400 : 유입부재
41,410 : 안내판 42,420 : 유입구
50,500 : 배출부재 51,510 : 배출구
60,600 : 필터 70,700 : 받침부재
80,800 : 배출조절부재 90,900 : 유입조절부재

Claims (6)

  1. 벽에 고정되는 창틀(10)과, 창틀(10)에 기능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리(21)를 구비하는 창문(20)으로 구성된 시스템창호(A)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31)(32)를 구비하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의 외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41)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42)를 구비하는 유입부재(40); 상기 연결부재(3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구(51)를 구비하는 배출부재(50); 상기 배출구(51)의 내측에 장착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60); 상기 배출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6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70); 상기 받침부재(7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재(80)를 포함하는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4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부재(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40)의 안내판(41)은 유입구(42)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4. 벽에 고정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리(210)를 구비하는 창문(200)으로 구성된 슬라이드창호(B)에 있어서, 상기 창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결시키는 통로(310)(320)를 구비하는 연결부재(300); 상기 연결부재(300)의 외측에 설치되어 공기유입을 유도하는 안내판(410)과 하부로 개방된 유입구(420)를 구비하는 유입부재(400); 상기 연결부재(3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출구(510)를 구비하는 배출부재(500); 상기 배출구(510)의 내측에 장착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600); 상기 배출부재(5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60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700); 상기 받침부재(7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부재(800)를 포함하는 환기기능이 부여된 슬라이드창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40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부재(9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이 부여된 슬라이드창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재(400)의 안내판(410)은 유입구(420)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이 부여된 슬라이드창호.
KR1020040044299A 2004-06-16 2004-06-16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 KR20050119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299A KR20050119249A (ko) 2004-06-16 2004-06-16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299A KR20050119249A (ko) 2004-06-16 2004-06-16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49A true KR20050119249A (ko) 2005-12-21

Family

ID=3729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299A KR20050119249A (ko) 2004-06-16 2004-06-16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9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113B1 (ko) 2022-10-12 2023-06-23 주식회사 티에스창호 절곡 조립식 창호 조립 구조체
KR102619880B1 (ko) 2022-10-11 2024-01-04 김철형 슬라이드 창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80B1 (ko) 2022-10-11 2024-01-04 김철형 슬라이드 창호
KR102547113B1 (ko) 2022-10-12 2023-06-23 주식회사 티에스창호 절곡 조립식 창호 조립 구조체
KR102590210B1 (ko) 2022-10-12 2023-10-17 주식회사 티에스창호 절곡형 창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456B1 (ko) 에너지 절약형 댐퍼 구조와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탈취 기능을 갖는 급기시스템
RU2340756C2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ая наружная стенка из двой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ATE107992T1 (de) Fenster mit mechanischer ventilation.
CN106801575A (zh) 一种多功能新风中梃
CN105545189A (zh) 滤气框式拒雾霾门窗
CN106014156B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智能通风窗
CN208040254U (zh) 具有新风功能的窗户
CN201439673U (zh) 建筑通用外门窗百叶遮阳一体化结构
KR20050119249A (ko) 환기기능이 부여된 시스템창호 및 슬라이드창호
CN108369023A (zh) 空气混合装置
KR200362408Y1 (ko) 환기 유니트
CN210395627U (zh) 一种静音且通风的建筑物
CN210483135U (zh) 一种通风采光的建筑物
CN211177287U (zh) 一种内窗式高效新风净化换气机
KR102148311B1 (ko) 공동주택의 환기 정화 시스템
CN206636455U (zh) 一种多功能新风中梃
KR100598130B1 (ko) 여과환기시스템
CN205895073U (zh) 滤气框式拒雾霾门窗
CN206801339U (zh) 窗体结构
CN200989140Y (zh) 调节型透气防窥门
CN110006131A (zh) 一种增加建筑物通风采光效果的方法
CN115199186B (zh) 一种带有净化甲醛多功能智能门窗
CN217735362U (zh) 一种具有驱蚊功能的门窗
CN201181061Y (zh) 窗型进气机
KR102534370B1 (ko)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