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019A -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019A
KR20050119019A KR1020040044198A KR20040044198A KR20050119019A KR 20050119019 A KR20050119019 A KR 20050119019A KR 1020040044198 A KR1020040044198 A KR 1020040044198A KR 20040044198 A KR20040044198 A KR 20040044198A KR 20050119019 A KR20050119019 A KR 2005011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d
index file
content
metafile
content meta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강희
안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9019A/ko
Publication of KR2005011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0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82NAT traversal through control of the NAT server, e.g.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제약이 많은 시스템에서 컨텐츠 메타파일과 인덱스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 기존의 비효율성을 보완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UPn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가 부팅되면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 및 인덱스파일을 삭제하고 root 컨테이너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root 컨테이너 하위의 컨테이너(container) 및 아이템(item)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대한 objectID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objectID에 대한 컨텐츠 메타파일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objectID를 인덱스파일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MEDIA FILE BASED UPnP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킹에 관한 것으로 특히,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고 다양한 디바이스(device)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기술의 하나로 UPnPTM(이하, "UPnP"라 칭함)가 제안되었다.
UPnP란 PnP(Plug and Play) 기능을 TCP/IP, HTTP 및 XML과 같은 인터넷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전체 네트워크로까지 확장시켜 여러 가전 제품, 네트워크 프린터, 인터넷 게이트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킹 특히, 홈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재 UPnP AV 아키텍처에는 컨트롤포인트(CP : Control Point)와, 홈 네트워크에 유용한 콘텐트(content)를 저장하는 미디어 서버(MS ; Media Server)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트를 제공하는 미디어 렌더러(MR ; Media Render)를 구비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하는 기능은 물론 컨트롤포인트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 정보를 알려주거나 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미디어 렌더러는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로 미디어를 재생하게 된다.
상기에서 미디어 서버는 CDS(Content Directory Service)를 이용하여 실제 미디어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한 각각의 액션과 이벤트가 정의되어 있지만, 실제 어떠한 방식으로 미디어 파일을 관리하는지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전적으로 응용(application) 처리에 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CDS를 구현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는 메모리 상의 특정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파일의 정보를 메모리로 읽어 들여서 메모리 상에서 실제 미디어파일 관리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첫번째 방법은 메모리 상에 전체 미디어 파일의 자료구조를 올려서 사용함에 특징이 있는 것임으로, 미디어파일 매체 상의 어떤 정보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파일매체에 대한 I/O 작업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으로 처리 속도가 빠르고 또한, 메모리 상의 처리가 파일 처리보다 훨씬 유연하기 때문에 특정 메타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처리가 필요 없이 현재의 자료구조를 조금만 수정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로는 미디어 정보를 메모리에 따로 저장하지 않고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액션 요청이 있을 때마다 기록매체에서 해당 정보를 직접 취해서 응답(response)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두번째 방법은 메모리 상에 어떤 관리목적의 자료구조를 만들지 않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액션을 받았을 때 해당 자료가 있는 매체로 접근하여 실제 정보를 취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임으로, 메모리 상의 처리가 필요 없어 메모리 사용량이 적고 구현이 간단하며 또한, 실제 미디어 파일에서 직접 정보를 얻기 때문에 메모리 자료구조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추가의 refresh나 동기화 작업도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모리 상에 특정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첫번째 방법은 현재 저장된 미디어의 개수가 많거나 한 파일의 메타데이터의 정보가 많은 경우 그에 따라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나야 하는 단점이 내포하고 있고 이로 인해 메모리에 민감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미디어 파일을 저장 매체에서 직접 접근하는 두번째 방법은 순수 파일시스템 자체에는 UPnP CDS에 요구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아 기본적인 파일정보 외에도 추가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별도의 기록정보를 생성하여야 하고 CDS 처리의 기본이 되는 ObjectID의 형태도 일반적으로 파일이름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추가의 기록 정보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처리 시 부하가 많이 걸리는 I/O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처리 속도가 늦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메모리 제약이 많은 시스템에서 컨텐츠 메타파일과 인덱스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메모리 사용량이 적으면서 기존의 비효율성을 보완하도록 창안한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UPn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가 부팅되면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 및 인덱스파일을 삭제하고 root 컨테이너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root 컨테이너 하위의 컨테이너(container) 및 아이템(item)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대한 objectID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objectID에 대한 컨텐츠 메타파일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objectID를 인덱스파일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objectID를 결정하는 단계는 hash함수를 이용하여 objectID 문자열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열에 해당하는 인덱스파일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존재가 확인된 인덱스파일에 포함된 위치가 현재 objectID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objectID의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인덱스파일의 존재여부 확인 단계로 복귀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거나 인덱스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objectID를 최종 objectID로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UPn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이 있으면 요청 objectID에 해당하는 인덱스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인덱스파일이 존재하면 그 인덱스파일에 포함된 위치(path)가 실제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실제 시스템 상에 위치가 존재하면 컨텐츠 메타파일의 갱신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컨텐츠 메타파일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을 삭제하고 새로이 컨텐츠 메타파일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메타파일과 인덱스 파일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 정보 및 ObjectID를 관리하는데, 도2의 구조를 갖는 상기 컨텐츠 메타파일과 인덱스 파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텐츠 메타파일은 특정 미디어 컨테이너(Container, directory)에 하나씩 존재한다. 실제로는 upnp.met과 유사한 파일 이름으로 저장된다. 내부 포맷은 기본적으로 XML을 따르며 Browse 액션에 대한 응답(response)의 포맷과 유사한 형식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제 브라우즈(Browse) 액션 등의 요청이 있을 경우 미리 작성된 컨텐츠 메타파일을 참고해서 응답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요청 시마다 미디어 파일에서 정보를 직접 추출하는 방식보다 I/O작업량 및 연산량이 적어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덱스파일은 클라이언트에서의 CDS 액션 요청(request)에 대한 대상을 찾는 기준이며 실제로는 CDS의 액션에서 ObjectID가 인덱스파일명에 해당한다. 실제 컨테이너나 아이템의 위치는 인덱스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인덱스파일은 구현에 따라 audio/video/picure 등으로 나누어 각각의 디렉토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본적으로 미디어 파일(Item)에 대한 ObjectID와 디렉토리(Container)에 대한 ObjectID는 나누어서 저장된다. 아이템(Item)용 인덱스 파일은 실제 위치만 저장되어 있으나 Container용 인덱스 파일은 실제 위치와 서브Container ObjectID 및 포함하는 Item ObjectID가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미디어 파일 정보의 변경 시 인덱스 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참고가 된다.
대부분의 CDS 액션은 ObjectID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므로 인덱스 파일은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첫번째 처리 대상이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디어 파일 관리 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저장부(110)와, 인덱스파일 생성부(120)와, 컨텐츠 메타파일 생성부(130)와, 인덱스파일 처리부(140)와, 컨텐츠 메타파일 검출부(150)와, 컨텐츠 메타파일 갱신부(160)와, 인덱스파일 갱신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미디어 저장부(110)는 미디어 서버(MS) 내부에 구비되며 미디어 자료를 읽어 인덱스파일 생성부(120)와 컨텐츠 메타파일 생성부(130)에 전달한다.
상기 컨텐츠 메타파일 생성부(130)는 컨텐츠 메타파일을 생성하며 그와 동시에 상기 인덱스파일 생성부(120)는 인덱스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파일은 CDS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1에서 인덱스파일 처리부(140), 컨텐츠 메타파일 검출부(150), 컨텐츠 메타파일 업데이트부(160) 및 인덱스파일 업데이트부(170)는 UPnP 액션 처리부에 포함된다.
상기 인덱스파일 추출부(140)는 브라우즈 액션이 요청되면 미디어 저장부(110)에서 인덱스파일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의 존재를 판별함에 따라 컨텐츠 메타파일 검출부(150)와 컨텐츠 메타파일 갱신부(170)로 전달한다.
상기 컨텐츠 메타파일 검출부(150)와 컨텐츠 메타파일 갱신부(160)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컨텐츠 메타파일 갱신부(160)는 갱신된 컨텐츠 메타파일을 인덱스파일 갱신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인덱스파일 갱신부(170)는 새로이 인덱스파일을 생성하여 인덱스파일 처리부(140)를 통해 미디어 저장부(110)에 저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효과를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UPnP CDS의 브라우즈(Browse) 액션에 대한 응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objectID= "0015"에 대한 BrowseDirectChildren이 요청된 경우를 가정한다.
먼저, 브라우즈 액션이 요청되면 주어진 objectID에 해당하는 인덱스파일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objectID가 컨테이너(Container)일 경우와 아이템(Item)일 경우에 따라 처리 과정이 다르다.
주어진 objectID가 컨테이너인 경우 해당 0015 인덱스파일을 찾으면 해당 파일 내용을 읽어 실제 컨테이너의 정보를 얻는다. 만일, objectID가 아이템인 경우라면 실제 기록된 정보에서 파일명을 제외한 디렉토리 명만을 선택해서 해당 정보로 얻는다.
이후, 해당 컨테이너에서 컨텐츠 메타파일(upnp.met)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내부 파일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는 해당 upnp.met 파일을 새로 갱신한다.
따라서, 상기 과정으로 원하는 upnp.met 파일을 얻으면 그 내용을 응답(response)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I(input)/O(output)의 용량을 살펴보면 특정 컨테이너의 아이템과 서브 컨테이너의 개수의 합이 "N"이라 할 때 처리 도중에 미디어 업데이트가 없는 경우 O(2)가 된다.
즉, 종래의 두번째 방법에서는 해당 컨테이너의 모든 아이템, 서브 컨테이너에 대해 I/O 작업이 O(N)만큼 발생되나, 본 발명은 인덱스파일 읽기와 컨텐츠 메타파일 읽기의 두 번의 I/O작업만이 발생됨으로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서버는 초기 부팅 시 원하는 CDS의 Root Container 아래의 모든 정보에 대한 objectID 결정 및 컨텐츠 메타파일 작성, 인덱스파일 생성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과정을 도4의 동작 순서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미디어 서버가 부팅될 때 기존에 컨텐츠 메타파일 또는 인덱스파일이 있으면 이를 삭제한다(S400).
이후, Root Container(objectID= 0)부터 순환(recursive) 탐색하여 컨테이너를 하나씩 선택한다.(S401)
이에 따라, 해당 Container 내의 아이템(Item) 및 컨테이너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메타파일을 작성하는데, objectID는 Hash함수 등을 이용해서 결정하고 이에 따른 objectID는 따로 독립적인 저장장소에 인덱스파일 형태로 저장하게 된다(S402,S403)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서브 컨테이너를 모두 처리하면 일단 CDS 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마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objectID 결정 방법은 도5의 동작 순서도와 동일하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 아이템이나 컨테이너의 경로 명에 대응하는 objectID를 결정하기 위해 hash 함수를 사용하여 해당 숫자를 얻고 이를 다시 문자 포맷으로 바꾸어 일단 objectID로 결정한다(S500). 여기서, Hash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따로 파일이나 메모리에 objectID 정보를 유지,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Hash는 특성상 충돌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결정한 objectID가 실제 인덱스 파일로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501).
이때, 인덱스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인덱스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현재 ObjectID와 같은지 확인한다(S502).
이에 따라, 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objectID의 숫자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S503)
이후, 다시 인덱스 파일 존재 확인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정을 수행하면서 현재 결정된 objectID에 해당하는 인덱스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해당 인덱스파일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그 인덱스파일에 포함된 위치정보가 현재 결정된 objectID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결정된 objectID를 최종 objectID로 선택한다.
그런데, 직접 매체에서 미디어 파일 정보를 얻지 않고 나름대로 정보를 따로 저장했다가 클라이언트의 요청 시 참조하는 방법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은 실제 미디어 파일과 동기를 맞추는 문제이다. 이는 매체의 미디어 정보가 바뀌었을 때 바뀐 정보가 반영되어야 올바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저장 매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기록의 수정, 제거, 첨가에 대한 정보를 UPnP 미디어 서버로 통보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경우이지만 시스템 특성상 제약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컨텐츠 메타파일과 인덱스 파일을 갱신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도6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브라우즈 액션에 대한 동기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액션을 받은 경우 해당 ObjectID에 해당하는 인덱스 파일을 검색하여 존재하는지 검사한다(S600,S601).
이때, 인덱스파일이 존재할 경우 그 파일을 읽어 실제 Object의 위치(path)를 얻는다(S602). 만약, 상기 과정(S601)에서 인덱스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에러로 처리한다.
이후, 상기에서 얻은 object의 위치(path)가 실제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603).
만약, 상기 과정(S603)에서 object의 위치가 실제 시스템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해당 ObjectID와 관련된 인덱스 파일을 제거하고 에러로 처리한다.(S604) 이때, ObjectID가 아이템이 아닌 컨테이너에 해당한다면 인덱스파일은 도3의 컨테이너 인덱스파일의 구조를 갖게 되며 인덱스파일 제거 시에도 파일내부를 추적하여 하위 컨테이너와 아이템의 ObjectID 정보에 해당하는 인덱스파일을 전부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S603)에서 object의 위치가 실제 시스템 상에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컨텐츠 메타파일 업데이트 검사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605). 즉, 해당 컨테이너에 컨텐츠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컨테이너와 컨텐츠 메타파일의 modification time을 비교하여 존재하는 컨텐츠 메타파일 정보가 낡은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메타파일의 갱신이 진행된다.
이때,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이 존재한다면(S607) 그 내용을 읽어 기록된 ObjectID에 관련된 인덱스 파일을 제거한다.(S608)
따라서,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이 존재하여 그 내부의 인덱스파일을 제거한 후 컨테이너 내의 정보를 모아 다시 컨텐츠 메타파일을 생성한다.(S609) 이때, 내부적으로 해당하는 인덱스 파일도 함께 생성된다.
상기 과정이 진행되면 컨텐츠 메타파일은 실제 매체에 저장된 정보와 동기가 맞은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 메타파일을 읽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뒤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전송한다(S606).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텐츠 메타파일과 인덱스파일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미디어 서버의 CDS를 구현함에 있어서 미디어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만 갱신을 실행하여 주기적으로 갱신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갱신 과정에서도 컨테이너 개수만큼만 갱신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부하를 감소시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저장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미디어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만 갱신 과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계속 갱신 여부를 조사하는 방법보다 부하를 줄이며, 주기적으로 갱신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경우에도 모든 파일을 조사할 필요 없이 컨테이너 개수만큼만 컨테이너와 컨텐츠 메타파일의 modification time을 비교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만들어진 컨텐츠 메타파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직접 XML을 작성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함은 물론 파일 시스템과 무관한 순수 메타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파일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2는 인덱스파일과 컨텐츠 메타파일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3은 인덱스파일과 컨텐츠 메타파일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디어파일 정보 생성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5는 도4에서 objectID 결정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디어파일 정보 갱신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미디어 저장부 120 : 인덱스파일 생성부
130 : 컨텐츠 메타파일 생성부 140 : 인덱스파일 처리부
150 : 컨텐츠 메타파일 검출부 160 : 컨텐츠 메타파일 갱신부
160 : 인덱스파일 갱신부

Claims (5)

  1. UPn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가 부팅되면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 및 인덱스파일을 삭제하고 root 컨테이너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root 컨테이너 하위의 컨테이너(container) 및 아이템(item)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대한 objectID를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objectID에 대한 컨텐츠 메타파일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objectID를 인덱스파일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objectID를 결정하는 단계는
    hash 함수를 이용하여 objectID 문자열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열에 해당하는 인덱스파일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존재가 확인된 인덱스파일에 포함된 위치(path)가 현재 objectID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거나 인덱스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objectID를 최종 objectID로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인덱스파일에 포함된 위치가 현재 objectID와 일치하지 않으면 objectID의 값을 증가시키고 인덱스파일의 존재여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4. UPn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정보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이 있으면 요청 objectID에 해당하는 인덱스파일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인덱스파일이 존재하면 그 인덱스파일에 포함된 위치(path)가 실제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실제 시스템 상에 위치가 존재하면 컨텐츠 메타파일의 갱신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컨텐츠 메타파일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기존의 컨텐츠 메타파일을 삭제하고 새로이 컨텐츠 메타파일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컨테이너에 컨텐츠 메타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일정시간이 경과된 컨텐츠 메타파일로 확인되면 컨텐츠 메타파일 갱신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KR1020040044198A 2004-06-15 2004-06-15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KR20050119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198A KR20050119019A (ko) 2004-06-15 2004-06-15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198A KR20050119019A (ko) 2004-06-15 2004-06-15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019A true KR20050119019A (ko) 2005-12-20

Family

ID=3729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198A KR20050119019A (ko) 2004-06-15 2004-06-15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9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142A (ko) * 2010-10-27 2013-12-27 오렌지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인덱싱 및 실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142A (ko) * 2010-10-27 2013-12-27 오렌지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인덱싱 및 실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061B2 (en) Tracking digital assets on a distributed network
CN101093497B (zh) 文档管理服务器、文档管理方法及管理文档使用的系统
CN101681256B (zh) It自动化装置成像系统和方法
JP2019517042A (ja) オフラインでのハイブリッドアプリケーションへのアクセスの提供
JP6062863B2 (ja) 効率的な検索を可能にするためのサーバに基づくメディアコンテンツ及びlanに基づく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集約する方法及び装置
EP2410458A1 (en) Access control lis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CN10128152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GB2439578A (en) Virtual file system with links between data streams
KR101689782B1 (ko) 메타 데이터에 따라 파일 시스템의 파일들을 액세스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디바이스
US9128944B2 (en) File system enabling fast purges and file access
CN109684282A (zh) 一种构建元数据缓存的方法及装置
AU2013210018A1 (en) Location independent files
CN101730099A (zh) 基于权限控制的终端管理方法及装置
CN110888837B (zh) 对象存储小文件归并方法及装置
US200900438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Globally Unique Identifiers
JPH0934765A (ja) ファイル管理装置
US763095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a resource to a business process
JP4965420B2 (ja) コンテンツサーバシステム
KR20060053169A (ko) 정적 및 동적 데이타 세트들의 인터랙션
WO2007011164A1 (en) Virtual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virtual storage based on ad-hoc network
US20060080288A1 (en) Interaction of static and dynamic data sets
KR20110096035A (ko) 영구 문서 모음 관리 기법
KR100717059B1 (ko) 홈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에분할하여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119019A (ko) UPnP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KR100658299B1 (ko) 데이터베이스 구조변화에 대응하는 웹기반 통신망성능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