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363A -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데이터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데이터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363A
KR20050117363A KR1020040042661A KR20040042661A KR20050117363A KR 20050117363 A KR20050117363 A KR 20050117363A KR 1020040042661 A KR1020040042661 A KR 1020040042661A KR 20040042661 A KR20040042661 A KR 20040042661A KR 20050117363 A KR20050117363 A KR 2005011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mo
signal
transmission
wl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희
권용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7363A/ko
Publication of KR2005011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3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송신하는 MIMO-WLAN(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Wireless 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이 개시된다. MIMO-W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은 복수의 프레임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패킷의 소정의 비트를 사용하여 송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포맷하는 단계, 포맷된 복수의 프레임 패킷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각각 삽입하고 프레임 패킷을 코딩하는 단계 및 코딩된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각각의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송신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 랜 기술 표준 모드와 호환 가능하며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Data transmitting method of MIMO-WLAN system using adaptive frame format}
본 발명은 MIMO(Multiple Inpur Multiple Output)를 적용한 무선 LAN(Wireless LAN)(이하, MIMO-W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WLAN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며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적응적인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는 MIMO-W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IEEE 802.11 무선 LAN은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IR(Infrared) 방식을 사용하여 2.4 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에서 2 Mbps 의 전송률을 지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규격으로는 증가해 가는 높은 전송속도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어, 1999년 IEEE802.11a 와 IEEE 802.11b의 새로운 물리계층 표준안이 확정되었다.
IEEE 802.11a 는 5 GHz 대의 U-NII (Unlicenc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비면허 대역에서 DSSS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높은 전송속도를 얻기 위하여 OFDM 변조방식을 채택하였다. 에러정정을 위하여는 부호율 1/2, 2/3, 3/4의 컨볼루션 부호기와 1/2 비터비 복호기를 사용하며, 부반송파 변조에는 BPSK, QPSK, 16-QAM, 64-QAM을 사용한다.
따라서, 채널의 상황에 따라 부호기와 변조기를 조합하여 6Mbps 에서 54 Mbps의 고속 가변전송률을 지원한다. 또한, 실내 환경에서의 이더넷 기반 서비스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52개 부반송파의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OFDM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짧은 훈련시간 및 간단한 등화가 가능하고, 다중경로 간섭에 강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OFDM 방식을 채택한 IEEE802.11a의 무선 LAN 데이터 송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EEE802.11a 무선 LAN의 PPDU(PHY protocol data units) 프레임은 동기를 위한 OFDM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프리앰블(이하, 프리앰블이라 칭한다.) 구간과 OFDM PLCP 헤더, PSDU(PLCP Service DATA Unit), 테일(Tail) 비트 및 패드(Pad) 비트를 포함한다.
동기를 위한 프리앰블 구간은 10 개의 짧은 훈련 심볼로 구성된 쇼트 프리앰블(short preamble)과 2 개의 긴 훈련 심볼로 구성된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로 구성되며, PLCP 헤더는 SIGNAL 필드와 SERVICE 필드로 구성된다. 또한, PLCP 헤더의 SERVICE 필드 이후, 즉 SERVICE 필드, PSDU, 테일 비트 및 패드 비트는 DATA구간으로 정의된다.
10개의 짧은 훈련 심볼로 구성된 쇼트 프리앰블은 자동이득제어(Auto Gain Control Convergence), 확산 선택(diversity selection), 타이밍 획득(timing acquisition) 및 초기 주파수 획득(coarse frequency acquisition)을 위해 사용된다. 2개의 긴 훈련 심볼로 구성된 롱 프리앰블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과 미세 주파수 획득(fine frequency acquisition)을 위해 사용되고, 인접 심볼 간섭을 피하기 위해 보호구간을 갖는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PSDU는 스크램블러 초기화를 위한 16 비트의 SERVICE 필드와 길쌈부호기를 제로 상태(zero state)로 만들기 위한 6비트의 테일 및 패드와 함께 다수의 심볼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SIGNAL 필드의 비트 할당을 나타낸다. 전송율과 DATA 구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SIGNAL은 1/2의 길쌈부호화를 거치고 BPSK로 변조된 한 개의 OFDM 심볼로서 총 24비트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GNAL은 RATE 4비트, 다섯 번째 비트인 예비 비트(Reserved bit), LENGTH 12비트 및 오류정정을 위한 패리티와테일(tail) 6 비트로 할당된다.
본 발명은 이 예비 비트에 MIMO 정보를 실어 802.11a와 호환성을 가지는 MIMO-WLAN (Multi Input Multi Output-Wireless LAN) frame format을 제안한다. 전송하려는 PSDU (PHY sublayer service data units)는 스크램블러 초기화를 위한 SERVICE 16 비트와 길쌈부호기를 zero state로 만들기 위한 tail 6 비트 및 pad 비트와 함께 여러 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IEEE 802.11a 규격에 따른 일반적인 무선 LAN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프레임 포맷을 가진 신호가 한 개의 안테나를 통해 최대 54Mbps의 전송속도로 송신된다.
현재 전송속도를 좀더 높이기 위해 IEEE 802.11a 규격에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MIMO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기술은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각각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주파수 효율 및 망 링크 용량의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기술로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시스템 환경을 위한 주요 기술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기존의 무선 LAN 규격으로 실현 가능한 최고 데이터 전송률은 54Mbps이나, 고화질 영상의 실시간 전송 등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의 구현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어,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MIMO 기술은 무선 LAN의 전송 용량을 높일 수 있는 유력한 기술로 고려되고 있다.
한편, MIMO-WLAN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증가한 송신 안테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프레임 포맷을 설계하여야 하며, 이 때, 기존의 WLAN 규격을 따르는 시스템과의 호환성 유지를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즉, IEEE 802.11a에 따른 무선 LAN에 MIMO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새로운 프레임 포맷에 따라 패킷 송수신이 이루어져야하며, 또한 새로운 프레임 포맷에 따른 MIMO-WLAN 시스템과 그 패킷 송수신 방식은 기존의 IEEE 802.11a 시스템 및 그 송수신 방식과 호환성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EEE 802.11a 시스템과 호환성을 갖도록 패킷 송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을 수정하고, 수정된 포맷에 따른 패킷을 송신하는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여 빠른 전송 속도를 구현하는 MIMO-W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송신하는 MIMO-WLAN(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Wireless 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패킷의 소정의 비트를 사용하여 송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포맷하는 단계, 포맷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프레임 패킷을 코딩하는 단계 및 코딩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각각의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상기 송신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IMO-W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WLAN 데이터 송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SIGNAL 구간의 비트 할당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는, 두 개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두 개의 데이터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안테나를 통해 두 개의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송신신호(TX1)는 IEEE 802.11a와 유사한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쇼트 프리앰블,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 1), SIGNAL 필드, SERVICE 필드, PSDU1, 테일 및 패드로 구성된다.
다만,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송신신호(TX1)의 SIGNAL 필드의 다섯 번째 예비 비트를 MIMO 모드 판별을 위한 비트로 할당하여 "0" 일 때는 IEEE 802.11a 모드로, "1" 일 때는 MIMO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송신신호(TX2)는 쇼트 프리앰블,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 2), SERVICE 필드, PSDU2, 테일 및 패드로 구성되며, 제1 송신신호와 달리 SIGNAL 필드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안테나로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정보를 알기 위해 두 신호는 각각 롱 프리앰블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롱 프리앰블 신호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송신신호(TX1)의 SIGNAL 필드와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1) 구간 동안은 제2 송신신호(TX2)는 "0"의 값을 갖도록 하고, 제2 송신신호(TX2)의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2) 구간에서는 제1 송신신호(TX1)가 "0"의 값을 갖도록 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송신신호(TX2)에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2)이 삽입되어 전체 송신 신호의 DATA 길이(length)가 길어지므로 SIGNAL 필드의 LENGTH는 IEEE 802.11a에 따른 송신 신호의 DATA 길이에 제2 송신신호(TX2)의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2)의 길이를 더한 "LENGTH_N"으로 변환한다.
한편, IEEE 802.11a에 따르면, 롱 프리앰블까지는 심볼 두 개 앞에 32의 보호구간을 가지나, SIGNAL에서부터는 심볼 한 개 당 보호구간을 16으로 하여 처리하므로, SIGNAL 이후 전송되는 제2 송신신호(TX2)의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2)에서는 각 훈련 심볼 당 16의 보호구간을 갖게 하여 IEEE 802.11a과의 호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송신신호 및 제2 송신신호에서 쇼트 프리앰블은 자동이득제어의 편의를 위해 IEEE 802.11a에 따른 송신 신호의 전력의 절반으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포맷을 갖는 제1 송신신호 및 제2 송신신호는 두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IEEE 802.11a에 따른 송신 전력의 절반의 전력으로 각각 송신된다.
따라서, 하나의 신호가 두 개의 안테나를 통해 나뉘어 전송되므로 최고 전송속도는 IEEE 802.11a의 최고 전송속도 54Mbps의 두 배인 108Mbps가 될 수 있다. 또한, SIGNAL 필드에 MIMO 정보를 할당하여 MIMO 모드나 IEEE 802.11a 모드로 전환이 용이하다.
즉, MIMO 비트가 "0" 인 경우 IEEE 802.11a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1" 인 경우 MIMO 모드로 동작한다. MIMO 모드에서 가장 먼저 송신되는 쇼트 프리앰블은 두 개의 송신신호(TX1 및 TX2)의 전력이 각각 절반이므로 수신 측에서 두 신호가 합쳐진 전력값은 IEEE 802.11a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MIMO 모드인 경우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서로 다른 경로를 거치게 되어 제1 송신신호(TX1)와 제2 송신신호(TX2)는 각각 다른 시점에서 롱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수신된 각각의 롱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각 경로의 채널추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경우, SIGNAL 필드 이후에 송신되는 제2 송신신호(TX2)의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2)은 두 심볼 앞에 32의 보호구간을 삽입하는 제1 송신신호(TX1)의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1)과 달리 한 심볼 당 보호구간을 16으로 삽입하여 IEEE 802.11a의 수신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MIMO 모드에서는 제2 송신신호(TX2)에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2)이 삽입되어 DATA 길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SIGNAL 필드의 "LENGTH" 는 "LENGTH_N"로 대체된다. 이경우, "LENGTH_N"의 값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NDBPS" 는 심볼당 데이터 수이며 전송속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따라서, 수신 측에서는 수신된 각각의 롱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획득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제1 송신신호(TX1)와 제2 송신신호(TX2)를 검출하여 수신할 수 있으므로 IEEE 802.11a보다 높은 전송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IMO-WLAN 데이터 송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SIGNAL 필드의 비트 할당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에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복수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제1 송신신호(TX1)는 기존 WLAN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포맷과 유사한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쇼트 프리앰블, 롱 프리앰블(Long preamble 1), SIGNAL 필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Payload1)로 구성되며, 기존 시스템과는 달리 MIMO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MIMO information) 필드가 SIGNAL 과 페이로드 사이에 삽입된다. 부가정보 필드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SIGNAL의 예비 비트를 활용하여 MIMO 확장을 지시할 수 있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송신신호(TX1)의 SIGNAL 필드의 다섯 번째 예비 비트를 MIMO 모드 판별을 위한 비트로 할당하여, "0" 일 때는 기존 WLAN 규격의 프레임 포맷을 가진 신호, "1" 일 때는 새로운 MIMO-WLAN 프레임 포맷의 신호가 전송됨을 지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MIMO 확장 지시 비트가 설정된 경우, SIGNAL과 DATA 사이에 확장된 MIMO-WLAN 시스템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을 둔다. 부가정보 구간에는 송신 안테나 수, 송신 방식, 데이터 전송률 등의 MIMO-WLAN 시스템 정보 및 MIMO 채널 추정을 위한 훈련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MIMO-WLAN 시스템의 수신측은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 구간 삽입과 MIMO 확장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의 증가에 따라 SIGNAL에 포함되는 LENGTH를 LENGTH_N으로 변경하여 기존 규격을 따르는 WLAN 시스템이 MIMO-WLAN 프레임의 지속 구간을 추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송신신호(TX1)의 쇼트 프리앰블, 롱 프리앰블 및 SIGNAL 구간 동안 제2 송신신호(TX2), 제3 송신신호(TX3) 내지 제N 송신신호(TXN)는 "0"의 값을 갖는다. 즉, 하나의 안테나에서 프리앰블 및 SIGNAL을 전송할 동안 나머지 안테나들은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즉 "0(zeros)" 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규격을 따르는 WLAN 시스템도 SIGNAL을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송신신호(TX2), 제3 송신신호(TX3) 내지 제N 송신신호(TXN)는 쇼트 프리앰블, 롱 프리앰블 및 SIGNAL 구간은 갖지 않으며, 부가정보 구간과 데이터가 실리는 페이로드 구간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WLAN 시스템이 기존 규격을 따르는 WLAN 시스템과 호환성을 갖기 위해서는 기존의 WLAN 시스템이 MIMO-WLAN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기존의 WLAN 시스템의 전송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MIMO-WLAN 시스템의 경우, 기존의 WLAN 시스템과 동일한 형식의 프리앰블 및 SIGNAL을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게 하고 나머지 안테나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즉 영(zeros) 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구현한다.
한편, 다중 접속 방식으로 CSMA/CA를 사용하는 WLAN 시스템에서는 주위의 WLAN 시스템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구간을 추정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MIMO-WLAN 시스템이 기존의 WLAN 시스템과 호환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 전송 신호를 통해 기존의 WLAN 시스템의 신호 지속 구간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MIMO-WLAN 시스템 프레임 포맷의 SIGNAL에 포함된 LENGTH 정보는 실제 전송률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하여 전송해야 한다. 예를 들어 MIMO-WLAN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률이 RATE에 표시된 기존 WLAN 시스템의 전송률의 "T" 배일 경우, 실제 데이터 전송 시간은 "1/T" 배가 될 것이다. 또한 MIMO-WLAN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부가정보가 더 삽입되므로, 부가정보 구간에 대한 시간 정보도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변경된 LENGTH_N은 아래의 수학식 2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은 부가정보 구간을 OFDM 심볼의 수로 나타낸 것이며, NDBPS는 기존 WLAN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RATE에 해당하는 OFDM 심볼당 비트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EEE 802.11a와 호환성을 갖는 MIMO-WLAN의 프레임 포맷에서 SIGNAL의 예비 비트에 MIMO 정보를 실어 IEEE 802.11a 모드와 MIMO 모드의 호환이 용이하다. 또한, MIMO 정보가 SIGNAL을 통해 전송되므로 수신측에서 IEEE 802.11a 모드와 MIMO 모드로의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다른 경로를 가지게 되므로 롱 프리앰블을 각각 다른 시점에 삽입하여 채널 추정이 가능하고, SIGNAL 이후에 전송되는 롱 프리앰블은 보호구간을 SIGNAL과 같은 방법으로 삽입함으로써 모드 변화에 따른 수신측의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OFDM에 기반한 무선 랜 기술 표준과 호환성을 갖는 MIMO-OFDM 무선 랜의 프레임 포맷에서 SIGNAL의 예비 비트에 MIMO 정보를 실어 무선 랜 기술 표준 모드와 MIMO 모드의 호환이 용이하며, MIMO 정보가 SIGNAL을 통해 전송되므로 수신측에서 송신 신호 모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SIGNAL 뒤에 MIMO 부가정보를 삽입함으로써 MIMO-WLAN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SIGNAL에 포함된 LENGTH를 전송률과 부가 정보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기존 WLAN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OFDM에 기반한 무선 랜 기술 표준과 호환성을 갖는 MIMO-OFDM 무선 랜의 프레임 포맷에서 SIGNAL의 예비 비트에 MIMO 정보를 실어 무선 랜 기술 표준 모드와 MIMO 모드의 호환이 용이하며, MIMO 정보가 SIGNAL을 통해 전송되므로 수신측에서 송신 신호 모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SIGNAL 뒤에 MIMO 부가정보를 삽입함으로써 MIMO-WLAN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 랜 기술 표준 모드와 호환 가능하며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구현할 수 있어 고화질 영상의 실시간 전송과 같은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WLAN 데이터 송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SIGNAL 필드의 비트 할당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WLAN 데이터 송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SIGNAL 구간의 비트 할당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MIMO-WLAN 데이터 송신을 위한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의 SIGNAL 필드의 비트 할당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Claims (1)

  1.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송신하는 MIMO-WLAN(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Wireless 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패킷의 소정의 비트를 사용하여 송신 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포맷하는 단계;
    포맷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프레임 패킷을 코딩하는 단계; 및
    코딩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킷을 각각의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상기 송신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WLAN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 방법.
KR1020040042661A 2004-06-10 2004-06-10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데이터 송신 방법 KR20050117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61A KR20050117363A (ko) 2004-06-10 2004-06-10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데이터 송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61A KR20050117363A (ko) 2004-06-10 2004-06-10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데이터 송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363A true KR20050117363A (ko) 2005-12-14

Family

ID=3729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661A KR20050117363A (ko) 2004-06-10 2004-06-10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데이터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73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94B1 (ko) * 2005-12-09 2007-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대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의 무선 랜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39760B2 (en) 2005-12-09 2010-11-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s for increasing service coverag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WO2012165733A1 (en) * 2011-05-31 2012-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power save mode oper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16182415A1 (ko) * 2015-05-1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전력 저감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94B1 (ko) * 2005-12-09 2007-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대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의 무선 랜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39760B2 (en) 2005-12-09 2010-11-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s for increasing service coverag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RE47522E1 (en) 2005-12-09 2019-07-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s for increasing service coverag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WO2012165733A1 (en) * 2011-05-31 2012-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power save mode oper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237521B2 (en) 2011-05-31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power save mode oper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674783B2 (en) 2011-05-31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power save mode oper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16182415A1 (ko) * 2015-05-1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전력 저감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524201B2 (en) 2015-05-14 2019-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in power saving mod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346B2 (en) Master station and method for high-efficiency wi-fi (hew) communication using traveling pilots
KR101317570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AU20112412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AN system
US7400609B2 (en) Partitioning scheme for an OFDM transceiver
CN1902874B (zh) 用于在包括单天线通信装置的无线局域网中通信的多天线通信系统和方法
US9078169B2 (en) Signal field design for WLAN
US20050288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mode based upon packet size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20120230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very high throughp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2006000789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data packet
US20070280173A1 (en) Method for Configuring Signals Corresponding to Adaptive Packet Format of Mimo-Wlan System
KR100662613B1 (ko) Mimo-wlan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패킷 포맷에 따른신호 구성 방법
US20040151146A1 (en) Multi-branch OFDM transceiver
US8094749B2 (en) Signaling forma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oufexi et al. A Comparison of HIPERLAN/2 and IEEE 802.11 a Physical and MAC Layers
US20180198654A1 (en) Signaling of Training Field Length and Guard Interval Duration
WO2016088956A1 (ko) 데이터 단위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50117363A (ko) 적응적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mimo-wlan 시스템의데이터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