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207A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207A
KR20050117207A KR1020040042452A KR20040042452A KR20050117207A KR 20050117207 A KR20050117207 A KR 20050117207A KR 1020040042452 A KR1020040042452 A KR 1020040042452A KR 20040042452 A KR20040042452 A KR 20040042452A KR 20050117207 A KR20050117207 A KR 20050117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module
pop
module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329B1 (ko
Inventor
조봉희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32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는 단말기에서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팝업 스타일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서 관통 결합되고, 그 한쪽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되고,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의 힌지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과,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타원형의 렌즈 홀더 서포트와,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힌지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타원형의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의 힌지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시키는 렌즈 팝업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단말기의 디자인의 미려하게 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카메라 렌즈의 회전감 및 사용상에서의 유희적인 즐거움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CAMERA LENS MODULE POP UP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에서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팝업 스타일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테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현재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장착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영상 통화, 피사체 촬영 등을 위하여 채용되는 렌즈 하우징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카메라 렌즈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항시 카메라 렌즈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짐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별도의 보호 장치 없이는 보호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말기에 내장되는 내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1)이 있다.
도 1과 같이, 단말기(2)에 형성된 렌즈 홀(3)에서 누름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인입/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렌즈 홀(3)과 카메라 렌즈 모듈(4)은 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단말기의 형상에 맞게 디자인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로 인해 단말기의 두께가 커져 소형화에 역행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원통형의 렌즈 모듈을 상, 하방향으로 단순히 회전만 시킬뿐 사용에 따른 별다른 즐거움을 주지 못하여 유희적 측면에서도 즐거움을 충족시키기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단말기에서 원터치로 인입/인출시키게 채용하여 사용상의 편리함 및 유희적 즐거운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렌즈 모듈을 채용함으로써, 단말기의 디자인을 미려하고,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하여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사용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회전감에서의 유희적 즐거움을 제공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서 관통 결합되고, 그 한쪽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되고,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의 힌지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렌즈 홀더 서포트;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힌지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의 힌지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시키는 렌즈 팝업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10)는 하우징(20)과, 카메라 렌즈 모듈(30)과,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렌즈 홀더(50)와, 렌즈 팝업 모듈(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과 렌즈 홀더 서포트(40) 및 렌즈 홀더(50)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과 렌즈 홀더 서포트(40) 및 렌즈 홀더(50)은 단말기의 하우징(20)의 외관에 따라서 직사각형 및 마름모양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을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타원형의 렌즈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30)은 상기 렌즈 모듈(30)의 한쪽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렌즈홀(21)에서 인입/인출되고,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30)의 힌지축(A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홀(21)에 관통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타원형의 렌즈 홀더서포트(40)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모듈(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모듈(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타원형의 렌즈 홀더(50)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의 힌지축(A1)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홀(21)에서 인출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렌즈 팝업 모듈(60)은 상기 렌즈 모듈(30)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렌즈홀(21)에서 인입/인출시키고, 인출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의 힌지축(A1)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렌즈홀(21)내에는 상기 렌즈 모듈(3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렌즈 하우징(20)과,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과,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렌즈 홀더(50) 및 상기 렌즈 팝업 모듈(6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홀더(50)의 일측면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에 구비된 에프피씨비(FPCB)(90)를 관통시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렌즈 홀더(50)가 결합시 형성되는 렌즈 회전홀(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렌즈 회전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 회전부(31)의 외곽 원주 둘레에는 후술하는 포그핀(80)의 일단(81)과 걸리거나 이탈되어 상기 렌즈 모듈(30)의 회전 클릭감을 주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회전부(31)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렌즈 홀더(50)에 형성된 스토퍼홈(52)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 모듈을 180도 범위내에서 정, 역 회전할 수 있게 회전을 제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내에는 상기 걸림돌기(31a)와 접촉되어 상기 렌즈 모듈의 회전을 멈추게 하도록 스톱퍼부(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렌즈 홀더(50)의 일측면에는 상기 렌즈 모듈(30)의 렌즈 회전부(31)와 결합되도록 렌즈 회전홀(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 회전홀(70)의 양측에는 상기 렌즈 회전부(31)를 상기 렌즈 회전홀(7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그 일단(81)이 상기 렌즈 회전부(31)의 외곽 원주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홈(33)에 걸리거나 이탈되어 상기 렌즈 모듈(30)의 회전클릭감을 주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근 핀(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포그 핀(80)의 일단은 상기 렌즈 회전부(31)에 형성된 체결홈(32)에 결합된다.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의 양측단에는 상기 렌즈 홀더(50)에 형성된 결합홈(51)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렌즈 홀더(5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홀더측 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 팝업 모듈(60)은 샤프트(61)와, 팝업 실린더(62)와, 실린더 캠(63)과, 회전 캠(64)과, 팝업 모듈 커버(65)와, 코일 스프링(6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프트(61)는 상기 렌즈 모듈(30)의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61)는 상기 렌즈 홀더(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일단에는 상기 샤프트(61)를 상기 실린더내에서 인입/인출하도록 상기 샤프트(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캠(63)은 상기 렌즈 모듈(30)을 누름에 따라서 회전하여 상기 샤프트(61)를 상기 팝업 실린더(62)내에서 인입/인출할 수 있게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팝업 실린더(62)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 캠(64)은 상기 렌즈 모듈(30)을 누름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캠(6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팝업 모듈 커버(65)는 상기 회전 캠(64)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타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66)은 상기 샤프트(61)를 상기 팝업 실린더(62)에서 인입/인출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 캠(64)과 상기 팝업 모듈 커버(65)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61)의 일단은 상기 회전 캠(64)을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캠(64)의 둘레에는 상기 회전 캠(64)의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한쌍의 래치 돌기(6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래치 돌기(64a)의 둘레에는 상기 실린더 캠(63)에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측 가이드 면(63b)에서 가이드 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진 다각면(6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캠(63)은 개구(63a)와, 다수의 실린더측 가이드 면(63b)과, 한쌍의 슬라이딩 홈(63c)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구(63a)는 상기 샤프트(61)를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63)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실린더측 가이드 면(63b)은 상기 상기 실린더 캠(63)의 원둘레를 따라서 제공되고, 상기 렌즈 모듈(30)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회전 캠(64)에 형성된 각각의 래치 돌기(64a)와 결합 및 이탈할 수 있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실린더 캠(63)내의 타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홈(63c)은 상기 실린더 캠(63)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래치 돌기(64a)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캠(63)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팝업 모듈 커버(65)에는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일단과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66)을 지지하도록 커버 결합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65a)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 돌기(64a)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톱니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65a)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홀(62a)에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6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린더측 가이드 면(63b)은 상기 슬라이딩 홈(63c)을 따라서 상기 래치 돌기(64a)가 인입시 상기 돌기(64a)를 한쪽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경사면(6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603)의 하일단에는 상기 돌기(64a)와 결합되어 회전을 멈추게 하도록 걸림홈(6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일단에는 상기 렌즈 모듈(30)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렌즈 모듈(30)과 함께 상기 샤프트(61)가 인출시 상기 래치 돌기(64a)와 걸려 상기 렌즈 모듈(30)과 샤프트(61)의 인출을 멈추게 하도록 실린더측 걸림턱(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외주면 둘레에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20)내측에 나사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체결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10)는 타원형 렌즈홀(21)이 형성된 하우징(20)과,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30)과, 타원형의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타원형의 렌즈 홀더(50)와, 렌즈 팝업 모듈(60)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 모듈(30)을 인출할 경우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20) 측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타원형의 렌즈홀(21)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의 한쪽을 누르면, 눌린방향으로 인출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구비된 렌즈 팝업 모듈(60)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이 상기 렌즈홀(21)에서 인출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30)의 한쪽을 누르면, 상기 렌즈 모듈의 일측에 상기 렌즈 모듈(30)의 길이방향으로 타원형의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렌즈 홀더(50)가 상기 렌즈 모듈(30)의 눌린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상기 렌즈 홀더(50)를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의 양일단에는 서로 고정시키는 홀더측 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홀더측 결합부(42)에 의해 상기 렌즈 홀더(50)에 형성된 결합홈(51)에 삽입하여 서로 고정시킨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40)와 렌즈 홀더(50)의 일측면에는 상기 렌즈 모듈(30)의 렌즈 회전부(31)와 결합되는 렌즈 회전홀(7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회전홀(70)에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0)에 형성된 렌즈 회전부(31)를 결합한다.
이때,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렌즈 회전홀(70)의 양측에는 상기 렌즈 회전부(31)를 상기 렌즈 회전홀(7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렌즈 회전홀(70)의 양측에는 상기 렌즈 회전부(31)를 상기 렌즈 회전홀(7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그 일단(81)이 상기 렌즈 회전부(31)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홈(33)에 걸리거나 이탈되어 상기 렌즈 모듈(30)의 회전클릭감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근 핀(8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포그 핀(80)의 일단을 상기 렌즈 회전부(31)에 형성된 체결홈(32)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상태에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팝업 모듈 커버(65)에 형성된 커버 결합부(65a)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 돌기(64a)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톱니부(65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래치 돌기(64a)가 상기 가이드 톱니부(65b)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가이드 톱니부(65b)에 형성된 가이드 면(605)과 상기 래치 돌기(64a)의 경사진 다각면(64b)이 서로 접촉됨과 동시에 가이드 되어 한쪽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래치 돌기(64a)는 상기 가이드 면(63b)의 하일단에 형성된 걸이부(606)에 걸리게 된다.
이때,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실린더 캠(63)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캠(63)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래치 돌기(64a)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한쌍의 슬라이딩 홈(63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래치 돌기(64a)가 상기 슬라이딩 홈(63c)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캠(64)과 상기 팝업 모듈 커버(65)의 사이에 제공된 코일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홈(63c)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렌즈홀(21)에서 상기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30)이 인출된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65a)는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66)을 지지한다.
이때, 도 10과 같이, 상기 팝업 실린더(62)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 돌기(64a)가 상기 슬라이딩 홈(63c)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하는 걸림턱(6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 캠(64)의 래치 돌기(64a)가 상기 걸림턱(62a)에 접촉되어 상기 타원형 카메라 렌즈 모듈(30)의 적정길이로 인출한 후 멈추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상기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30)을 회전한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렌즈 모듈(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렌즈 회전부(31)의 조절홈(33)에 상기 포그 핀(80)의 일단(81)이 걸리거나 이탈되어 상기 렌즈 모듈(30)의 회전클릭감을 줄 수 있어 상기 렌즈 모듈(30)의 회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렌즈 모듈(30)을 다시 상기 렌즈홀(21)내로 인입할 경우 상기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30)을 다시 누르면, 상기 렌즈 홀더(50)의 샤프트(61)가 상기 팝업 실린더(62) 내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61)의 일단에 구비된 회전 캠(64)의 래치 돌기(64a)도 함께 이동한다.
이때,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기 래치 돌기(64a)는 상기 실린더 캠(63)의 슬라이딩 홈(63c)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팝업 실린더(62)내로 삽입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홈(63c)을 따라서 상기 래치 돌기(64a)가 인입시 상기 실린더 캠(63)에는 상기 돌기(64a)를 한쪽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경사면(60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래치 돌기(64a)가 상기 가이드 경사면(603)을 따라서 가이드 되어 회전한다.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가이드 경사면(603)의 하일단에는 상기 돌기(64a)와 결합되어 회전을 멈추게 하는 걸림홈(60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홈(604)에 상기 래치 돌기(64a)가 결합되면, 상기 타원형 카메라 렌즈 모듈(30)이 상기 하우징(20)에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에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원터치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모듈의 사용을 향상시키고, 사용상에서의 유희전 즐거움을 증진시킬뿐아니라, 단말기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팝업 장치에 의하면,
단말기에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단말기의 디자인의 미려하게 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하여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렌즈의 회전감 및 사용상에서의 유희적인 즐거움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의 구성 중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과 렌즈 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의 인출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의 인출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의 구성 중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인출 전 상태에서 팝업 실린더의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의 구성 중 타원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Claims (16)

  1.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서 관통 결합되고, 그 한쪽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되고, 인출시 상기 렌즈 모듈의 힌지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렌즈 홀더 서포트;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와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힌지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홀더의 힌지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시키는 렌즈 팝업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과, 렌즈 홀더 서포트 및 렌즈 홀더는 모두 다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구성부품들은 단말기의 하우징의 외관에 따라서 직사각형 및 마름모의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는 타원형의 렌즈홀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홀내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 렌즈 홀더 서포트, 렌즈 홀더 및 상기 렌즈 팝업 모듈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와 렌즈 홀더가 결합시 형성되는 렌즈 회전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회전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렌즈 회전부의 외곽 원주 둘레에는 상기 렌즈 모듈의 회전 클릭감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회전부의 원주 둘레은 상기 렌즈 홀더에 형성된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 모듈을 180도 범위내에서 정, 역 회전할 수 있게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 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렌즈 모듈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와 렌즈 홀더의 일측면에는 상기 렌즈 모듈의 렌즈 회전부와 결합되는 렌즈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회전홀의 양측에는 상기 렌즈 회전부를 상기 렌즈 회전홀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그 일단이 상기 렌즈 회전부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홈에 걸리거나 이탈되어 상기 렌즈 모듈의 회전클릭감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근 핀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의 양측단에는 상기 렌즈 홀더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 홀더 서포트와 렌즈 홀더를 서로 고정시키는 홀더측 결합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팝업 모듈은, 상기 렌즈 홀더의 일측에 상기 렌즈 모듈의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샤프트와,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그 일단에 상기 샤프트를 관통 결합하는 팝업 실린더와,
    상기 팝업 실린더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모듈을 누름에 따라서 회전하여 상기 샤프트를 상기 팝업 실린더내에서 인입/인출할 수 있도록 구속시키거나 해제시실린더 캠과,
    상기 실린더 캠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모듈을 누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 캠과,
    상기 팝업 실린더의 타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을 가이드 하는 팝업 모듈 커버와,
    상기 회전 캠과 상기 팝업 모듈 커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팝업 실린더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상기 회전캠을 회전가능하도록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캠의 둘레에는 상기 회전 캠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한쌍의 래치 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돌기의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진 다각면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캠은, 상기 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입/인출시키는 개구와,
    상기 실린더 캠내의 타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캠의 원둘레를 따라서 제공되고, 상기 렌즈 모듈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회전 캠에 형성된 각각의 래치 돌기와 결합 및 이탈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다수의 실린더측 가이드 면과,
    상기 실린더 캠의 내측 둘레에 상기 캠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각각의 래치 돌기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한쌍의 슬라이딩 홈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모듈 커버에는 상기 팝업 실린더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커버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래치 돌기를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 톱니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팝업 실린더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실린더측 가이드 면은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홈을 따라서 상기 각각의 래치 돌기가 인입시 상기 돌기를 한쪽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경사면의 하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돌기와 결합되어 회전을 멈추게 하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실린더의 일단에는 상기 렌즈 모듈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렌즈 모듈과 함께 샤프트가 인출시 상기 각각의 래치 돌기와 걸려 상기 샤프트의 인출을 멈추게 하는 실린더측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20040042452A 2004-06-10 2004-06-1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0810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452A KR100810329B1 (ko) 2004-06-10 2004-06-1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452A KR100810329B1 (ko) 2004-06-10 2004-06-1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207A true KR20050117207A (ko) 2005-12-14
KR100810329B1 KR100810329B1 (ko) 2008-03-04

Family

ID=3729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452A KR100810329B1 (ko) 2004-06-10 2004-06-10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3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44B1 (ko) * 2007-08-17 2008-11-0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WO2021162139A1 (ko) * 2020-02-11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660873A (zh) * 2020-12-04 2022-06-24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5761A (ja) 1998-01-14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機能付携帯電話装置
JP2003188968A (ja) * 2001-12-14 2003-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3867584B2 (ja) * 2002-01-24 2007-01-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2003189141A (ja) * 2001-12-14 2003-07-04 Ito Denshi Kogyo Kk 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44B1 (ko) * 2007-08-17 2008-11-0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WO2021162139A1 (ko) * 2020-02-11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671525B2 (en) 2020-02-11 2023-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4660873A (zh) * 2020-12-04 2022-06-24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及电子设备
US11546496B2 (en) 2020-12-04 2023-01-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driv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329B1 (ko) 200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088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630139B1 (ko)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7821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068938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0575947B1 (ko)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532334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EP1583353A1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 / 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60081259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반 자동 슬라이딩 장치
US20060135227A1 (en)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unit thereof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KR100842626B1 (ko)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KR10163520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KR100971761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20050054367A (ko) 귓 착용 타입 무선 단말기
KR100824358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0810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100703510B1 (ko) 광학 줌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790089B1 (ko)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20050080336A (ko) 그립감이 향상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895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40105531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KR100689535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101110448B1 (ko)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