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686A -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686A
KR20050116686A KR1020040041830A KR20040041830A KR20050116686A KR 20050116686 A KR20050116686 A KR 20050116686A KR 1020040041830 A KR1020040041830 A KR 1020040041830A KR 20040041830 A KR20040041830 A KR 20040041830A KR 20050116686 A KR20050116686 A KR 2005011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ystem
block
file
system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6686A/ko
Publication of KR2005011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6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Management of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파일시스템에 별도의 파일시스템을 추가하여 대용량의 파일을 라이트할 때 GC 처리에 의한 지연 시간을 줄임으로써 대용량의 파일을 원활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2개의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면 제1 파일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헤더를 램(RAM)에 로딩하고 정상적으로 로딩되었는지 매직 넘버(magic number)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매직 넘버를 점검하여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으로 확인되면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을 확인하고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헤더에 포함된 맵(map) 테이블을 검색하여 액세스할 메모리 블록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블록의 헤더를 점검하여 원하는 블록의 사용 상태 및 파일 정보를 확인하고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에 따른 파일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의 수행이 완료되면 컨트롤 블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DATA FILE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파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CDMA(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은 퀄컴사에 의해 제안되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현재 퀄컴사는 cdma2000, EV-DO, WCDMA, GSM 네트워크간의 글로벌 무선 로밍을 지원하는 MSM6xxx CDMA 칩을 상용화하였다.
MSM6xxx CDMA 칩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한 3세대 베이스밴드 칩이다.
MSM6xxx CDMA 칩은 EFS2(Embedded File System2)을 제공한다. 즉, MSM6xxx CDMA 칩은 파일을 NAND 또는 NOR 타입 메모리의 데이터 리드/라이트/삭제를 위해서 EFS2를 이용한다.
종래의 MSM6xxx CDMA 칩에서의 메모리 관리(데이터 리드, 라이트, 삭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하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할 수 있는 빈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에 따라, 비어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블록(block)의 현 상태를 점검(check)하여 GC(Garbage Collector)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GC를 수행한 후 실제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리드(read)의 경우에도 등록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삭제할 영역의 정보를 확인한 후에 리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파일 시스템(EFS2)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액세스할 때 파일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를 512byte의 페이지(page) 단위로 하나하나 액세스하여야 함으로 비어있는 공간을 찾기 위한 탐색시간(searching time)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메모리 크기(size)가 크고 일정 공간 이상 데이터가 라이트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탐색 및 GC를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라이트할 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파일시스템에 별도의 파일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대용량의 파일을 원활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창안한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대용량의 파일을 라이트할 때 GC 처리로 인해 액세스 시간이 점차 지연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2개의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면 제1 파일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헤더를 RAM에 로딩하고 매직 넘버(magic number)가 정상적으로 로딩되었는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매직 넘버가 일치하면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을 확인하고 파일시스템 컨트롤블록 헤더에서 맵(map)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와,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이 라이트명령으로 판단되면 비어있는 영역이 충분한지 확인하고 데이터를 라이트할 영역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GC 처리한 후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단계와,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이 리드명령으로 판단되면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읽는 단계와,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이 삭제명령으로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삭제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의 수행이 완료되면 컨트롤 블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파일시스템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파일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제2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는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되며 각 블록의 첫번째 페이지에 해당 블록의 상태, 저장파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단말기는 '휴대폰'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은 기존과 동일한 제1 파일시스템과 용량이 큰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제2 파일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파일 시스템에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최소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제2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한 블록을 가장 마지막 블록에 할당한다. 상기 제2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한 블록의 첫번째 페이지 정보는 휴대폰이 부팅될 때 램(RAM)의 영역에 로딩(loading)된다.
메모리는 파일 저장을 위한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되며, 각 블록의 첫번째 페이지에 해당 블록의 상태 및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메모리의 각 블록의 첫번째 페이지는 블록 헤더 페이지로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block number, 사용중인 페이지, 비어있는 페이지, 저장된 파일, 저장된 파일 크기, 파일이 저장된 블록 정보, GC 상태를 포함한다.
제2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한 블록의 첫번째 페이지 정보는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file system control block)으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헤더(block header), 파일시스템 블록 맵(Map), 블록테일(block tail)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 헤더는 파일시스템의 컨트롤 블록임을 표시하는 매직 넘버(magic number), 파일시스템 블록 맵(Map)에 대한 포인터(Pointer), GC 수행을 위한 기준 요소(factor), 확장을 위한 여분 영역(reserved area)를 포함한다. 상기 매직 넘버는 일종의 플래그(flag)이다.
상기 파일시스템 블록 맵(file system block Map)은 파일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메모리의 각 블록의 사용상태에 관한 맵 정보이다. 맵 정보는 메모리 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2비트 정보로서 '00'은 empty, '01'은 full, '10'은 used(not full)을 나타낸다.
상기 블록 테일은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CRC,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종단 매직넘버(File System Control Block End Magic Number), reserved area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관리 과정을 도3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폰에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될 때 제1 파일시스템은 제2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해 할당된 가장 마지막 블록의 첫번째 페이지 정보를 램(RAM)의 일정 영역으로 로딩한다. 상기 로딩된 정보는 도2에 예시된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이다.
이후, 램(RAM)에 로딩된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임을 나타내는 매직 넘버(magic number)를 제1 파일시스템에 저장되어있는 매직 넘버와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램(RAM)에 로딩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때, 매직 넘버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아 에러 발생으로 판단되면 에러가 있음을 표시한다. 만일, 치명적인 에러로 판단되면 휴대폰을 리셋시키게 된다.
그리고, 치명적인 에러가 아닌 경우 또는 매직 넘버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제2 파일시스템으로 액세스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제2 파일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경우로 확인되면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file system control command)을 확인한다. 상기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은 리드(read), 라이트(write), 삭제(erase)로 구분된다.
이어서, 램(RAM)에 로딩된 포인터를 사용하여 맵 정보를 검색한 후 실제 액세스할 메모리 블록의 사용 상태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에서 결정된 명령에 따라 라이트 명령의 경우 비어있는 블록을, 리드 명령의 경우 Full 블록을, 삭제 명령의 경우 full/used 블록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결정하고 맵 테이블에서 찾은 메모리 블록으로 이동하여 해당 블록의 헤더를 확인하여 해당 블록의 상태 및 저장 파일 정보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리드 명령인 경우 full 블록을 우선적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파일을 찾아 읽고 리드 성공을 알리며, 라이트 명령의 경우 필요에 따라 GC 처리를 수행한 후 비어있는 공간에 파일을 라이트한다. 또한, 삭제 명령으로 확인되면 full/used 블록을 우선적으로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
이후, 상기의 과정으로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의 실행이 완료되면 컨트롤 블록을 갱신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SM6xxx CDMA 칩에서 제공하는 파일시스템(EFS2)을 이용하여 빈번한 GC 처리와 페이지 단위의 많은 로드(load)를 블록 단위로 확장시켜 사용함으로써 대용량의 파일을 액세스하는 경우에도 메모리 액세스 시간을 줄여 원활한 파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를 빈번하게 바꾸는 사용자에게 시간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 블록의 헤더 정보를 보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을 보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 파일 관리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Claims (7)

  1.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2개의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면 제1 파일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헤더를 램(RAM)에 로딩하고 정상적으로 로딩되었는지 매직 넘버(magic number)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매직 넘버가 정상적으로 로딩되었다고 판단되면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을 확인하고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헤더에 포함된 맵(map) 테이블을 검색하여 액세스할 메모리 블록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블록의 헤더를 점검하여 원하는 블록의 사용 상태 및 파일 정보를 확인하고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에 따른 파일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의 수행이 완료되면 컨트롤 블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치명적 에러에 의해 매직 넘버가 정상적으로 로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를 리셋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파일 액세스 단계는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이 라이트명령으로 판단되면 비어있는 영역이 충분한지 확인하고 데이터를 라이트할 영역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GC 처리한 후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과정과,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이 리드명령으로 판단되면 Full 블록을 우선적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 읽는 과정과,
    파일시스템 컨트롤 명령이 삭제명령으로 판단되면 full 블록과 Used 블록을 우선적으로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찾아 삭제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파일시스템은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블록의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제2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2 파일시스템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임을 나타내는 정보와 파일시스템 블록 맵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헤더(block header)와,
    각 메모리 블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맵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시스템 블록 맵(Map)과,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CRC, 파일시스템 컨트롤 블록 종단 매직넘버(File System Control Block End Magic Number), reserved area로 이루어지는 블록테일(block tail)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블록 헤더는
    파일시스템의 컨트롤 블록임을 표시하는 매직 넘버(magic number)와, 파일시스템 블록 맵(Map)에 대한 포인터(Pointer)와, GC 수행을 위한 기준 요소(factor)와, 확장을 위한 여분 영역(reserved area)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메모리 블록은
    블록 넘버(block number), 사용중인 페이지 정보, 비어있는 페이지 정보, 저장된 파일 정보, 저장된 파일 크기, 파일이 저장된 블록 정보, GC 상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KR1020040041830A 2004-06-08 2004-06-08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KR20050116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830A KR20050116686A (ko) 2004-06-08 2004-06-08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830A KR20050116686A (ko) 2004-06-08 2004-06-08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686A true KR20050116686A (ko) 2005-12-13

Family

ID=3729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830A KR20050116686A (ko) 2004-06-08 2004-06-08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66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18B1 (ko) * 2007-05-10 2008-03-24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저장매체의 동영상 파일 재생장치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18B1 (ko) * 2007-05-10 2008-03-24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저장매체의 동영상 파일 재생장치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062B2 (en) Method for changing data of a data block in a flash memory having a mapping area, a data area and an alternative area
US8375191B2 (en) Non-volatile memory, page dynamic allocation apparatus and page mapping apparatus therefor, and page dynamic allocation method and page mapping method therefor
US20110055464A1 (en) Device driver including a flash memory file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745467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persistent files in non-execute-in-place flash memory
JP4415356B2 (ja) 二重ジャーナリングの保存方法及びその記憶媒体
EP2665065A2 (e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flash memory
CN108733306B (zh) 一种文件合并方法及装置
CN101582084B (zh) 一种数据存储的方法及装置
US8296270B2 (en) Adaptive logg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0192710A1 (zh) 基于lsm数据库的垃圾处理的方法、固态硬盘以及存储装置
CN107678685B (zh) 基于闪存的存储路径优化的键值存储管理方法
CN105487824A (zh) 信息处理方法、存储装置及电子设备
CN108664482B (zh) Flash存储器及存储文件管理方法
CN113434470B (zh) 数据分布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456736B1 (ko)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의 부팅 시간 단축 방법
KR100954603B1 (ko) 파일 시스템의 로그 파일 및 상기 파일 시스템의 오류 복구방법
CN101131649A (zh) 设有闪存的装置的只读存储器升级速度改善方法
CN111338562B (zh) 数据存储装置与数据处理方法
CN101354660B (zh) 嵌入式软件程序的运行方法、装置及其系统
CN116301614A (zh) 存储器数据存取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05630406A (zh) 利用mram作为编辑缓存区的存储系统及编辑缓存方法
KR2005011668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관리 방법
CN105630697A (zh) 一种利用mram存储小文件的存储结构
JP201102296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65261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시간 단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