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708A -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708A
KR20050115708A KR1020040041072A KR20040041072A KR20050115708A KR 20050115708 A KR20050115708 A KR 20050115708A KR 1020040041072 A KR1020040041072 A KR 1020040041072A KR 20040041072 A KR20040041072 A KR 20040041072A KR 20050115708 A KR20050115708 A KR 2005011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poc
client
move
t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훈
박성진
박준구
정기호
임은택
이종효
임한나
김준환
송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708A/ko
Publication of KR2005011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oC(Push-to talk over Cellular) 단말에 세션 이동 요청에 대한 기능을 탑재하고, 이 기능은 이미 단말에 구비된 키(토크 버튼 등)를 이용하도록 하며, 이러한 단말기와 해당 PoC 서버간에 세션 이동 요청 신호에 따른 세션 이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세션을 이동하기 위해 이미 설정된 세션 이동키를 누르면 해당 PoC 서버에서 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Po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그룹으로 세션을 이동시키기 위해, PoC 서버에서는 다중 세션으로부터 들어오는 미디어를 모니터링하여 선택되어진 세션 이동키에 부합하는 그룹으로부터 유입되는 미디어 패킷을 Po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션 이동키는, 단말기 메뉴 항목에서 토크 버튼(talk button), 숫자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써, 세션 이동 기능을 위해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범주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기의 복잡도 감소와 조작의 편이성을 추구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PoC Terminal, methed for moving multi-session thereof,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PoC 서비스에서 다중 세션간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준에 명시되어 있는 복수의 세션 간의 이동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단말의 키를 입력 장치로 하여 PoC 서비스 사용자로 하여금 즉각적인 세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푸쉬 투 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업무용 무선통신 또는 사설 무선통신(Professional Mobile Radio 또는 Private Mobile Radio: 이하, PMR이라 침함) 시스템들은, 주로 경찰, 군대, 유류 설비 등과 같은 직업적 사용자와 행정기관의 사용자를 위해 개발된 전용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PMR 서비스들은 전용 PMR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전용 PMR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되어 왔다.
이러한 시장은 여러 기술들 사이에서 분할되며, 이들 중 어떠한 기술도 지배적인 역할을 갖지 않는다.
상기 PMR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특별한 특징은 그룹통신인데, 그룹이라는 용어는, 동일한 그룹 통신 예를 들어, 호출에 참여하고자 하는 3인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들의 임의의 논리그룹을 칭한다. 상기 그룹들은 논리적으로 생성된다.
즉, 네트워크측에 보유된 고유의 그룹통신 정보는 특정 사용자를 특정한 그룹통신그룹과 관계시킨다. 이러한 관계는 쉽게 생성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는 1개 이상의 그룹통신 그룹의 멤버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그룹통신 그룹의 멤버들은 경찰, 소방대, 개인 회사 등과 같은 동일한 조직에 속한다. 또한 동일한 조직은 여러 개의 개별적인 그룹들 즉 한 세트의 그룹들을 갖는다.
그룹 호출은 통신이 매우 드물게 일어나는 긴 간격을 가지며, 각각의 상호동작이 짧다. 전체 활성 트래픽은 한 호출 동안에 15분 밖에 안된다. 각각의 토크 버스트 또는 음성 아이템은 기존의 PMR 시스템들에서 평균 7초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무선 채널들 또는 다른 고가의 시스템 자원들이 항상 할당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서비스 가격이 매우 비싸지게 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PTT(Push To Talk) 개념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서비스하는 PoC(Push-to-talk over cellular: 이하 PoC 라 칭함) 서비스의 표준 제정이 논의되고 있는데,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와 구별되는 PoC 서비스의 특징 중 하나는 사용자가 복수의 세션에 속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세션간을 이동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복수의 세션을 이동하면서 통화 가능해야 한다는 요구사항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정의하고 있는 단체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요구사항에 명시되어 있다.
이하, 일반적인 PoC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PoC 시스템의 구조는 IP 프로토콜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기능과 SIP/IP 핵심망을 매개 네트워크로 이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PoC(Push-to-talk over Cellular) 기본 구조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oC 클라이언트(10)는 이동단말에 내장되는 서비스 요청자이며, 대개 무선접속망을 통하여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IP (Internet Protocol) 멀티미디어 지원 핵심망인 SIP/IP 코어(core)망(20)으로 연결된다.
SIP/IP 기반의 코어망(20)은 PoC 서비스를 지원하기 PoC 서버(30)와 GLMS(40)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PoC 서버(30)는 PoC 세션을 유지, 관리하는 제어(controlling)PoC 기능을 수행하거나, 일대일 통화나 다자간 통화를 위해 개설되는 PoC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참여(participating) PoC 기능을 갖는다.
또한, 다자간 세션의 개설을 위해서는 참가하고자 하는 PoC 참여그룹과 목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러한 그룹 및 목록을 제공하는 GLMS(40)와 이의 관리를 수행하는 그리고 group management/administration(미도시)을 포함한다.
개인간 통화 또는 개인-그룹간 통화 시 타 사용자와의 연결을 위해 타 사용자의 SIP/IP 핵심망과 PoC 서버 등을 포함하는 원격 PoC 망(50)이 존재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PoC 시스템은 PoC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GLMS 에 그룹 및 그룹 멤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GLMS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혹은 그룹 목록을 통해 자신이 호출할 수 있는 PoC 사용자들의 정보를 알 수 있다. GLMS 에 그룹 및 그룹 멤버의 생성, 수정 및 관리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등 PoC 서비스 제공자가 신뢰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PoC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PoC 사용자는 SIP/IP에 자신의 PoC 주소를 등록한다. 이 때 SIP/IP 는 PoC 사용자의 요청을 바탕으로 PoC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PoC 호출을 하려고 할 때, PoC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GLMS 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SIP/IP 핵심 망과 PoC 서버를 통해 호출하기 위한 요청을 한다. 이 때 PoC 서버는 요청받은 정보를 가지고 호출을 받는 사람의 주소를 검색하여 호출 받은 사람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원격 PoC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 이 원격 PoC 서버는 상시 PoC 서버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가지고 호출을 받아야 하는 PoC 사용자를 검색하여 PoC 호출을 전달하게 된다.
PoC 사용자가 하나의 PoC 호출을 가지고 있어도, 또 다른 호출을 하거나 받을 수 있다. 이 때 이것을 관리해 주는 곳이 PoC 서버이다.
이하, PoC 서버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PoC 클라이언트의 일대일 및 그룹 연결에 관한 일예시도이다.
그룹 호출 및 개인 호출은 PoC 서버(13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PoC 서버(130)는 Controlling PoC 기능 모듈(131) 과 Participating PoC 기능 모듈(132)로 이루어진다. Controlling PoC 기능 모듈(131) 은 PoC 세션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Controlling PoC 기능 모듈(131)은 PoC 클라이언트들의 말할 권리 요청(이하 '발언권'이라 칭함)을 받아 들여, 순서를 정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한 클라이언트가 한 말을 그룹 호출에 참여한 모든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그룹 호출에 참석한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Participating PoC 기능 모듈(132)은 각 클라이언트와 연계된 세션들을 관리한다. 클라이언트가 발언권을 요구하거나, Controlling PoC 기능 모듈(131)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발언권을 부여할 때, Participating PoC 기능 모듈(132)이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Controlling PoC 기능 모듈(131)과 클라이언트 사이에 미디어(Media)를 중계하는 역할도 맡는다.
PoC 호출은 개인 호출 (일대일 호출) 뿐만 아니라 그룹 호출을 지원한다. 그룹 호출에는 애드-혹(Ad-hoc) 그룹(200) 호출, Pre-arranged 그룹(220) 호출 및 chat 그룹(210) 호출이 있다. Ad-hoc 그룹(200) 호출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컨텍 리스트에서 임의로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를 여러 명 선택한 후에 그룹 호출을 하는 방식이다. Pre-arranged 그룹(220) 호출은 이미 한 명의 클라이언트가 그룹 이름에 각 각의 멤버의 이름을 등록하고, 그룹 이름으로 호출을 하였을 때, 그 그룹의 구성원에게만 호출을 하는 방식이다. chat 그룹(210) 호출은 클라이언트가 채팅방을 개설하였을 때, 그 채팅방에 관심이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가 참가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PoC 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세션에만 참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개의 개인 호출 및 그룹 호출 즉 복수의 세션에 참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고 있는 PoC 서비스 표준 규격에는 복수의 세션에 속해 있는 다자간의 세션간의 이동을 지원한다는 내용은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어떻게 세션을 이동할 수 있는지, 또 세션 이동 요청 신호는 어떻게 인식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PoC 단말에 세션 이동 요청에 대한 기능을 탑재하고, 이 기능은 이미 단말에 구비된 키(토크 버튼 등)를 이용하도록 하며, 이러한 단말기와 해당 PoC 서버간에 세션 이동 요청 신호에 따른 세션 이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은, PoC 클라이언트가 복수개의 PoC 세션에 참가하는 단계; 참여 중인 PoC 서버가 각 세션으로부터 미디어를 받는 단계; 상기 참여 중인 PoC 서버에서 상기 각 세션으로부터 받은 미디어를 모니터링하여 적합한 미디어를 상기 Po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세션을 이동하기 위해 세션 이동키를 누르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상기 참여 중인 PoC 서버로 상기 세션 이동키와 매칭되는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그룹으로 세션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참여 중인 PoC 서버에서는 상기 각 세션으로부터 들어오는 미디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세션 이동 요청 신호에 따라 선택된 세션으로부터 유입되는 미디어를 Po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션 이동키는, 토크 버튼(talk button), 숫자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은, 다중 세션 참가가 가능한 PoC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시 토크 버튼(talk button)을 이용하는 PoC 클라이언트가 세션간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에게 현재 발언권이 있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스트(talk burst)를 전송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세션 이동 요청 신호인지 판단하여 세션 이동 요청 신호이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진 경우, 토크 버튼이 단일 횟수로 짧게 눌러졌는지, 일정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눌러졌는지, 길게 일정시간 계속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크 버튼이 단일 횟수로 짧게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토크 버튼이 일정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다음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크 버튼이 길게 일정시간 계속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이전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세션 참가가 가능한 PoC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시 숫자키를 이용하는 PoC 클라이언트가 세션간을 이동하는 방법은,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있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스트(talk burst)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발언권을 요청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및 숫자키가 눌러지면, 세션 이동 요청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숫자키가 의미하는 번호에 해당하는 세션으로 이동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해당 세션 번호 정보와 함께 이 번호에 해당하는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세션 참가가 가능한 PoC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시 방향키를 이용하는 PoC 클라이언트가 세션간을 이동하는 방법은,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있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스트(talk burst)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발언권을 요청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및 방향키가 눌러지면, 세션 이동 요청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키 중 상향키가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이전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방향키 중 상향키가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다음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세션간에 이동을 위한 세션 이동키가 설정되는 PoC 단말기; 및 PoC 단말기로부터 세션 이동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PoC 단말기로 송신하는 소속 PoC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소속 PoC 서버는 PoC 단말기로부터 이동하기로 요청된 세션에 대한 미디어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PoC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PoC 서비스 시스템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PoC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PoC 구성 요소간의 기본적인 통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른 PoC 구성 요소간의 통화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세션을 원하는 PoC 클라이언트 B(150)는 자신이 속한 PoC 서버 B(130)의 세션 참가 관리부인 participating PoC 기능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PoC 세션에 참가한다.
한편, 복수의 세션에 대한 토크 버스트 제어 메시지는 각 세션 내의 흐름 상태에 대하여 idle 또는 taken의 정보를 전달한다. 이때 participating PoC 기능 모듈과 연결된 세션 제어부들인 controlling PoC 서버 X1(110), controlling PoC 서버 X2(120), controlling PoC 서버 X3(140)은 각각 개설된 그룹 또는 개인 PoC 세션을 제어하는 PoC 세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하며 각 세션내의 타 사용자와 participating PoC 기능 모듈을 이용하여 세션을 개설하게 된다.
한편, PoC 클라이언트 B(150)는 각각 참여한 세션의 controlling PoC 서버(110,120,140)와 SIP/IP 코어를 통해 개설된 세션으로부터 음성 스트림 등의 미디어(media)를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S1, S2, S3) 참여 중인 Participating PoC 서버 B(130)에서는 다중 세션으로부터 들어오는 미디어를 모니터링하여 선별적으로 PoC 클라이언트 B(150)로 전송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B를 관리하는 Participating PoC 서버 B(130)의 모니터링은 PoC 클라이언트 B(150)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미디어 패킷(도 3에서는 미디어 X1이 적합한 세션)을 클라이언트 B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단말의 특정키(예:토크 버튼)를 이용하여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S5), 해당 PoC 서버 B(130)에서 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PoC 클라이언트 B(150)로 전송한다(S6).
이때, 사용자가 X3 그룹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했다면, 각각 참여한 세션의 controlling PoC 서버(110,120,140)와 SIP/IP 코어를 통해 개설된 세션으로부터 음성 스트림 등의 미디어(media)를 받은 상태(S7, S8, S9) 상태에서 Participating PoC 서버 B(130)에서는 다중 세션으로부터 들어오는 미디어를 모니터링하여 요구사항에 적합한 미디어 패킷(도 3에서는 미디어 X3이 적합)을 선별하여 PoC 클라이언트 B(150)로 전송한다.
이렇게, 사용자의 세션 이동 요청 신호가 들어오면 해당 Participating PoC 서버에서는 이를 수용하여, 이후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세션으로부터 유입되는 미디어 패킷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세션 이동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PoC 단말기 내부적으로 세션 이동 요청을 위한 키 조작 및 세션 이동을 위한 기본 메뉴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메뉴 항목을 이용하여 세션 이동 모드 설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먼저, PoC 단말을 초기화하면(S300), 세션 이동시 사용될 버튼값이 디폴트(default)값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디폴트값은 토크 버튼, 숫자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며 특히 제조사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세션 이동시 이용하고자 하는 키를 임의로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 동작이 취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S320), 어떤 키를 이용하여 세션 이동을 할 것인지에 관한 관련동작이 행해진다.
S330에서, 토크 버튼을 이용하여 세션 이동을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토크 버튼을 이용한 세션 이동 모드가 설정된다(S340).
S331에서, 숫자키를 이용하여 세션 이동을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숫자키를 이용한 세션 이동 모드가 설정된다(S350).
S332에서, 방향키를 이용하여 세션 이동을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방향키를 이용한 세션 이동 모드가 설정된다(S360).
일정시간 입력이 없다거나, 관련 동작 키 선택 동작이 행해지지 않으면 예외 처리하여(S370) 처음으로 리턴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세션 이동시 사용할 키가 선택되어지거나, 디폴트값에 따라 세션 이동시 사용할 키가 설정되면, 현재 설정된 모드(토크 버튼, 숫자키, 방향키, 등)에 맞는 세션 이동 요청키가 눌러지면(push) 해당 세션의 미디어를 중계한다.
이하, 설정된 세션 이동 키 별로 구분하여 세션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세션 이동키가 토크 버튼으로 설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세션 이동키가 토크 버튼으로 설정된 경우는, 한번 눌러지면 발언권 요청으로 간주하고, 연속적으로 눌러지면 다음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길게 오랫동안 눌러지면 이전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는 토크 버튼을 길게 누르는 동안 발언 요청을 하고 서버로부터 응답신호를 받고 말하는 경우에는 한번 짧게 누르는 경우 다음 세션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연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이전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버튼을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oC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세션의 발언권을 가진 사용자(이하 발언자라 칭하기로 한다)의 말을 청취하고 있게 되며(S400), Half-Duplex라는 서비스의 특성상 세션의 발언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는 발언을 할 수 없다.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한 상기 청취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S410),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고 있던 사용자가 토크버튼을 누르게 되면(S410) 그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느냐 아닌가에 따라 PoC 서비스 단말기는 작동을 달리하게 되는데(S411),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화의 주도권을 가지고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발언자가 되며, 단말기는 사용자의 말을 토크 버스트화 시켜서 PoC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S430). 이 때 세션에 속해 있는 다른 사용자는 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고 있어야 한다. 상기 상태는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하기 전까지 유지되는데,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하면(S420) 단말기는 발언권을 반납하며, 사용자가 속해 있는 세션에서 다른 사용자(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는 상태로 이동한다(S400). 상기 작동 절차들 중 발언권의 배부와 통화 연결은 PoC 서버에서 담당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S411) 상기 사용자가 발언권을 요청하는 경우 혹은 다른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발언권을 요청하는 절차의 경우는 토크 버튼을 한 번만 누르는 경우이며(S412), 단말기는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게 된다.(S440) 발언권을 요청한 후에는 상기 소속 세션의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는 단계(S400)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모든 과정은 기존의 PoC 서비스의 입력 방식과 동일한 과정이다.
만일 사용자가 다른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경우라면 연속된 push를 하게 되고(S413), 단말기는 사용자의 세션 리스트 중 다음 세션으로 이동 요청을 PoC 서버로 하게 된다(S450). PoC 서버가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들여 세션간의 이동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기는 변경된 세션 즉 사용자가 이동해 추후에 참가하게 될 세션에 따른 단말기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S470). 상기 설정 변화에는 참가자 리스트 갱신 및 세션의 추가 정보 표시등이 포함된다.
만일 사용자가 자신이 속해 있는 세션 이전의 세션으로 이동을 원하는 경우는 토크 버튼을 길게 push 하면 되고(S414), 단말기는 PoC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속해 있었던 이전의 세션으로 이동 요청을 하게 된다(S460). PoC 서버가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들여 세션간의 이동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기는 변경된 세션 즉 사용자가 이동해 추후에 참가하게 될 세션에 따른 단말기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S470). 만일 상기 거론한 토크 버튼의 운용을 벗어난 입력을 하게 될 경우는 예외 처리를 해준다(S480).
한편, 세션 이동키가 숫자키로 설정된 경우는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숫자키를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oC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세션의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고 있게 되며(S500), Half-Duplex라는 서비스의 특성상 세션의 발언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는 발언을 할 수 없다.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한 상기 청취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S510)(S512),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고 있던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누르게 되면(S510) 그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느냐 아닌가에 따라 PoC 서비스 단말기는 작동을 달리하게 되는데(S511),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화의 주도권을 가지고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발언자가 되며, 단말기는 사용자의 말을 토크 버스트화 시켜서 PoC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S530). 이 때 세션에 속해 있는 다른 사용자는 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고 있어야 한다. 상기 상태는 사용자가 토큰 버튼을 해제하기 전까지 유지되는데, 사용자가 토큰 버튼을 해제하면(S540) 단말기는 발언권을 반납하며, 사용자가 속해 있는 세션의 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는 상태로 이동한다(S500). 상기 작동 절차들 중 발언권의 배부와 통화 연결은 PoC 서버에서 담당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S511) 상기 사용자가 발언권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기는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게 된다(S520). 발언권을 신청한 후에는 상기 소속 세션의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는 단계(S500)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모든 과정은 기존의 PoC 서비스의 입력 방식과 동일한 과정이다.
만일 사용자가 다른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경우라면 숫자키를 push 하게 되고(S513), 단말기는 사용자의 세션 리스트 중 참가하고 있는 세션과 매칭되어 있는지 판단하여(S513) 설정되어있는 번호에 따라 PoC 서버로 세션 이동 요청을 하게 된다(S550).
예를 들면, 사용자가 3개의 세션에 참가하고 있으면 3개의 서로 다른 세션에 1번부터 3번까지 번호를 할당해 줄 수 있다. 현재 사용자가 1번 세션에 속해 있으면서 PoC 통화 중에 3번 키를 누르게 되면 단말기는 사전에 매칭 시켜 놓은 세션, 즉 3번과 매칭되어 있는 특정 세션으로 이동 요청을 PoC서버로 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이동한 세션에 합류해 통화를 할 수 있다. 사전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가 이 전에 속에 있었던 세션으로 이동 혹은 특정 그룹으로의 호설정 과정 역시 가능하다. PoC 서버가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들여 세션간의 이동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기는 변경된 세션 즉 사용자가 이동해 추후에 참가하게 될 세션에 따른 단말기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S560). 상기 설정 변화에는 참가자 리스트 갱신 및 세션의 추가 정보 표시등이 포함된다.
만일 상기 거론한 숫자키의 운용을 벗어난 입력을 하게 될 경우는 예외 처리를 해준다(S570).
숫자키를 이용하여 세션 이동시는 세션의 번호만 알면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세션 이동키가 방향키로 설정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키를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PoC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세션의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고 있게 되며(S600), Half-Duplex라는 서비스의 특성상 세션의 발언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는 발언을 할 수 없다.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한 상기 청취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S610)(S612),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고 있던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누르게 되면(S610) 그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느냐 아닌가에 따라 PoC 서비스 단말기는 작동을 달리하게 되는데(S611),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화의 주도권을 가지고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발언자가 되며, 단말기는 사용자의 말을 talk bust화 시켜서 PoC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S630). 이 때 세션에 속해 있는 다른 사용자는 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고 있어야 한다.
상기 상태는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하기 전까지 유지되는데,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하면(S640) 단말기는 발언권을 반납하며, 사용자가 속해 있는 세션의 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는 상태로 이동한다(S600). 상기 작동 절차들 중 발언권의 배부와 통화 연결은 PoC 서버에서 담당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S611) 상기 사용자가 발언권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기는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게 된다(S620). 발언권을 신청한 후에는 상기 소속 세션의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는 단계(S600)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모든 과정은 기존의 PoC 서비스의 입력 방식과 동일한 과정이다.
만일 사용자가 다른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경우라면 방향키를 push를 하게 되고(S612), 입력된 키가 상향인 경우(S613) 단말기는 사용자의 세션 리스트 중 이전 세션으로 이동 요청을 PoC 서버로 하게 된다(S650). 입력된 키가 하향인 경우(S614) 단말기는 사용자의 세션 리스트 중 다음 세션으로 이동 요청을 PoC 서버로 하게 된다(S660). PoC 서버가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들여 세션간의 이동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기는 변경된 세션 즉 사용자가 이동해 추후에 참가하게 될 세션에 따른 단말기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S670). 상기 설정 변화에는 참가자 리스트 갱신 및 세션의 추가 정보 표시등이 포함된다. 만일 상기 거론한 방향키의 운용을 벗어난 입력을 하게 될 경우는 예외 처리를 해준다(S680).
한편, 세션 이동키가 토크 버튼으로 설정된 또 다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는, 토크 버튼을 길게 누르는 동안 발언 요청을 하고 서버로부터 응답신호를 받고 말하는 경우에는 한번 짧게 누르는 경우 다음 세션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연속적으로 누르는 경우 이전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버튼을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oC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세션의 발언권을 가진 사용자(이하 발언자라 칭하기로 한다)의 말을 청취하고 있게 되며(S700), Half-Duplex라는 서비스의 특성상 세션의 발언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는 발언을 할 수 없다.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한 상기 청취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S710),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고 있던 사용자가 토크버튼을 누르게 되면(S710) 그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느냐 아닌가에 따라 PoC 서비스 단말기는 작동을 달리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화의 주도권을 가지고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세션에 속해 있는 다른 사용자는 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고 있어야 한다. 상기 상태는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하기 전까지 유지되는데,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하면 단말기는 발언권을 반납하며, 사용자가 속해 있는 세션에서 다른 사용자(발언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는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 작동 절차들 중 발언권의 배부와 통화 연결은 PoC 서버에서 담당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 토크 버튼이 길게 눌러지는 지를 판단하여(S711), 길게 눌러진 경우, 상기 사용자가 발언권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게 된다(S720). 상기 상태는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하기 전까지 유지되는데,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해제(S740)하면 단말기는 발언권을 반납하며, 이전까지 사용자의 말을 토크버스트화 하여 PoC 서버로 전송한다(S730).
발언권을 요청한 후에는 상기 소속 세션의 발언자의 말을 청취하는 단계(S700)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모든 과정은 기존의 PoC 서비스의 입력 방식과 동일한 과정이다.
만일 사용자가 토크 버튼을 짧게 한번 누르면(S712), 사용자가 자신이 속해 있는 다음 세션으로 이동 요청을 하는 것이므로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의 다음 세션으로 이동을 요청한다(S750). PoC 서버가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들여 세션간의 이동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기는 변경된 세션 즉 사용자가 이동해 추후에 참가하게 될 세션에 따른 단말기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S770). 상기 설정 변화에는 참가자 리스트 갱신 및 세션의 추가 정보 표시등이 포함된다.
만일 사용자가 자신이 속해 있는 세션 이전의 세션으로 이동을 원하는 경우는 토크 버튼을 짧게 연속해서 push 하면 되고(S713), 단말기는 PoC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속해 있었던 이전의 세션으로 이동 요청을 하게 된다(S760). PoC 서버가 단말기의 요청을 받아 들여 세션간의 이동을 수행하는 동안 단말기는 변경된 세션 즉 사용자가 이동해 추후에 참가하게 될 세션에 따른 단말기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S770). 만일 상기 거론한 토크 버튼의 운용을 벗어난 입력을 하게 될 경우는 예외 처리를 해준다(S780).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토크버튼(talk button) 및 기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세션 이동이 가능하며, 세션 이동 기능을 위해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범주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기의 복잡도 감소와 조작의 편이성을 추구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좀더 상술하면, 첫째, 표준회의에서 요구하는 기능인 PoC 서비스의 세션간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 장치가 필요한 상황에서 별도의 입력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둘째, 이미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에 연관 있는 추가 기능을 부여함으로 조작의 편이성과 기기의 복잡도를 줄여 사용자에게 입력의 편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oC(Push-to-talk over Cellular) 기본 구조에 관한 개념도,
도 2는 PoC 클라이언트의 일대일 및 그룹 연결에 관한 일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른 PoC 구성 요소간의 통화 절차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메뉴 항목을 이용하여 세션 이동 모드 설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버튼을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숫자키를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키를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버튼을 이용한 세션 이동 방법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PoC 클라이언트 20 : SIP/IP 코어 망
30 : PoC 서버 40 : GLMS
50 : 원격 PoC 망

Claims (10)

  1. 다중 세션 참가가 가능한 PoC 시스템에서 PoC 클라이언트가 세션간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PoC 클라이언트가 복수개의 PoC 세션에 참가하는 단계;
    참여 중인 PoC 서버가 각 세션으로부터 미디어를 받는 단계;
    상기 참여 중인 PoC 서버에서 상기 각 세션으로부터 받은 미디어를 모니터링하여 적합한 미디어를 상기 Po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세션을 이동하기 위해 세션 이동키를 누르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상기 참여 중인 PoC 서버로 상기 세션 이동키와 매칭되는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그룹으로 세션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참여 중인 PoC 서버에서는 상기 각 세션으로부터 들어오는 미디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세션 이동 요청 신호에 따라 선택된 세션으로부터 유입되는 미디어를 PoC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이동키는,
    토크 버튼(talk button), 숫자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3. 다중 세션 참가가 가능한 PoC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시 토크 버튼(talk button)을 이용하는 PoC 클라이언트가 세션간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에게 현재 발언권이 있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스트(talk burst)를 전송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세션 이동 요청 신호인지 판단하여 세션 이동 요청 신호이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진 경우,
    토크 버튼이 단일 횟수로 짧게 눌러졌는지, 일정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눌러졌는지, 길게 일정시간 계속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버튼이 단일 횟수로 짧게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토크 버튼이 일정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다음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크 버튼이 길게 일정시간 계속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이전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6. 다중 세션 참가가 가능한 PoC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시 숫자키를 이용하는 PoC 클라이언트가 세션간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있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스트(talk burst)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발언권을 요청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및
    숫자키가 눌러지면, 세션 이동 요청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숫자키가 의미하는 번호에 해당하는 세션으로 이동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해당 세션 번호 정보와 함께 이 번호에 해당하는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8. 다중 세션 참가가 가능한 PoC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시 방향키를 이용하는 PoC 클라이언트가 세션간을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있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의 토크 버스트(talk burst)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현재 발언권이 없는 상태에서 토크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PoC 클라이언트가 발언권을 요청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및
    방향키가 눌러지면, 세션 이동 요청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PoC 클라이언트 소속 PoC 서버로 세션 이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방향키 중 상향키가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이전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및
    방향키 중 상향키가 눌러진 경우, 클라이언트 해당 소속 PoC 서버로 세션 리스트 상에서 현재 접속된 세션의 다음 세션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 방법.
  10. 다중 세션간에 이동을 위한 세션 이동키가 설정되는 PoC 단말기; 및
    PoC 단말기로부터 세션 이동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PoC 단말기로 송신하는 소속 PoC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소속 PoC 서버는 PoC 단말기로부터 이동하기로 요청된 세션에 대한 미디어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PoC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의 다중 세션 이동을 지원하는 시스템.
KR1020040041072A 2004-06-04 2004-06-04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115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072A KR20050115708A (ko) 2004-06-04 2004-06-04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072A KR20050115708A (ko) 2004-06-04 2004-06-04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08A true KR20050115708A (ko) 2005-12-08

Family

ID=3728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072A KR20050115708A (ko) 2004-06-04 2004-06-04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70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128A1 (en) * 2005-01-21 2006-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leting floor in poc system
WO2008039001A1 (en) * 2006-09-27 200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according to importance of media burst
WO2009142882A2 (en) * 2008-05-22 2009-11-26 Motorola, Inc. Multiple ptt functionality
KR101025940B1 (ko) * 2006-04-13 2011-03-3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그룹 통신 방법 및 통신 단말
KR101299017B1 (ko) * 2007-02-28 201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128A1 (en) * 2005-01-21 2006-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leting floor in poc system
KR101025940B1 (ko) * 2006-04-13 2011-03-3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그룹 통신 방법 및 통신 단말
WO2008039001A1 (en) * 2006-09-27 200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according to importance of media burst
US8351969B2 (en) 2006-09-27 2013-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according to importance of media burst
KR101299017B1 (ko) * 2007-02-28 201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09142882A2 (en) * 2008-05-22 2009-11-26 Motorola, Inc. Multiple ptt functionality
WO2009142882A3 (en) * 2008-05-22 2010-03-04 Motorola, Inc. Multiple ptt functionality
US8103298B2 (en) 2008-05-22 2012-01-24 Motorola Solutions, Inc. Multiple PTT function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77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alk time for PoC user
US7200396B2 (en) Managing group voice communication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355743B2 (en) Push-to-talk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601727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network-initiated PoC group session
US20060040695A1 (en) Method of group call service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2491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ulti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57417A (ko) 그룹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장치
KR20050101506A (ko) 셀룰러 푸쉬 투 토크 다중 세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7650159B2 (en) Communication system
KR20070108311A (ko)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US7599704B2 (en) Voice call connection method during a push to talk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892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clients in push-to-talk over cellular network
JP2009513081A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型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13684A (ko) Pt 서비스의 자동 응답 모드에서의 프라이버시 확보 방법
US7787868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in a PoC system and PoC system for the same
US79660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single PoC group session
JP2008502252A (ja) 通信システム
JP5248675B2 (ja) セルラー網を用いたプッシュ・ツー・トークにおけるプライベート通信
US20080005232A1 (en) Enhanced group advertisement to allow rejection and receive group member details
KR20050115708A (ko)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서비스 단말기, 그 단말기의 다중세션 이동 방법, 및 그 시스템
US870070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s and communication session information server
KR101104704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
EP1766858B1 (en) Token based privacy in a push-to-talk ove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0630115B1 (ko) 푸시투토크 방식을 채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EP1619852A1 (en) Method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