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438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438A
KR20050115438A KR1020040069185A KR20040069185A KR20050115438A KR 20050115438 A KR20050115438 A KR 20050115438A KR 1020040069185 A KR1020040069185 A KR 1020040069185A KR 20040069185 A KR20040069185 A KR 20040069185A KR 20050115438 A KR20050115438 A KR 2005011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ix
subscriber number
input
service func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향
이문희
박전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179,80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60013381A1/en
Priority to EP05015215A priority patent/EP1617636A2/en
Publication of KR2005011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4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METHOD FOR EXECUTING ADDITIONAL SERVIC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리픽스(Prefix)입력시,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키 및/또는 번호테이블을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가입자번호를 폰북과 같은 번호테이블에 저장하고 필요시에 상기 번호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폰북과 같은 번호테이블은 이름 검색, 번호 검색, 단축번호 검색, 음성으로 검색, 그룹으로 검색, 및 최근 발신/수신/부재중으로 검색과 같은 메뉴가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필요로 하는 가입자번호를 검색하여 다이얼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주로 사용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단축번호에 설정하고 이를 입력하여 다이얼링 하는 단축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숫자 키를 단축번호 키로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가입자번호를 번호테이블의 특정 번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그 중 상기 특정 번지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키 입력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을 유지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특정 번지에 저장된 가입자번호로 다이얼링 함으로써 수행되어진다. 이러한 숫자키를 단축번호키로 이용한 다이얼링 기능의 실행은 상기 가입자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수동적 입력이나 검색 없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여 부가서비스를 하는 경우, 예를 들면 국제통화를 하기위해 '001, 002, 007, 및 00755' 등과 같은 국제통화 사업자번호 및 '82(대한민국), 81(일본) 및 01(미국)'과 같은 국가번호로 이루어진 국제통화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는 경우 또는 상대방과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 함께 통화서비스를 하기위한 '*79' 같은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거나, 상대방과 통화 중에 소정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효과음을 재생하는 효과음 서비스를 하기위한 '*99' 같은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거나,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설정한 다른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72' 같은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는 경우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상태에 상관없이 설정한 다른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71' 같은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가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Prefix)입력 후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리픽스(Prefix)입력 후 폰북과 같은 번호테이블을 이용하여 가입자번호를 선택 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이용하여 통화서비스를 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번호를 일일이 수동으로 다이얼링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리픽스(Prefix)입력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리픽스(Prefix)입력시 상기 가입자번호가 저장된 번호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리픽스(Prefix)는 특정서비스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코드로써 번호 및/또는 특수문자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픽스(Prefix)는 국제통화를 하기위한 '001, 002, 007, 및 00755' 등과 같은 국제통화 사업자번호 및 '82(대한민국), 81(일본) 및 01(미국)'과 같은 국가번호로 이루어진 국제통화 프리픽스(Prefix), 상대방과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 함께 통화서비스를 하기위한 '*79' 같은 배경음서비스 프리픽스(Prefix), 상대방과 통화중 소정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효과음을 재생하는 효과음 서비스를 하기위한 '*99' 같은 효과음서비스 프리픽스(Prefix),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설정한 다른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72' 같은 자동연결서비스 프리픽스(Prefix) 및 휴대단말기의 상태에 상관없이 설정한 다른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71' 같은 프리픽스(Prefix)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픽스(Prefix)는 단축번호로 입력될 수 있고 폰북과 같은 번호테이블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제통화를 하기위한 프리픽스(Prefix)에서 상기 국가번호는 휴대용단말기 사업자번호에 따라 변경되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0, 011, 019, 016과 같은 휴대용단말기 번호는 대한민국의 휴대용 단말기 사업자번호 임으로 국제전화시 대한민국의 국가번호 82가 자동으로 매칭된다.
상기 가입자번호는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가입자번호는 단축번호로 입력될 수 있고 폰북과 같은 번호테이블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축번호는 상기 사용자가 발신을 원하는 가입자번호를 주소록의 특정 번지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번지에 해당하는 숫자를 의미한다.
또한 구분모드키는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가입자번호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프리픽스(Prefix)입력 후 상기 구분모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가입자번호가 입력된 후 상기 구분모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프리픽스(Prefix)입력을 대기하는 모드로 진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각의 가입자번호에 해당되는 단축번호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가입자번호가 상기 번호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mobile telephone)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전화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축번호 및 상기 구분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소정키 들을 구비할 수 있고 국제통화모드 키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픽스(Prefix)테이블 메뉴키,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키 및 상기 메뉴를 선택 할 수 있는 선택키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픽스(Prefix)입력시, 해당 프리픽스(Prefix)따라 국제통화 서비스기능, 배경음 서비스기능, 효과음 서비스 기능, 자동연결 서비스 등록 기능 및 착신전환변경 서비스 등록 기능모드로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메뉴선택에 따라 이름, 번호, 단축번호, 음성, 그룹, 및 최근 발신/수신/부재중으로 프리픽스(Prefix) 또는 가입자번호를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단축번호 및/또는 상기 번호테이블에 상기 프리픽스(Prefix) 또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은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분모드 키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가입자번호를 구분하는 모드로 진입한다. 또한 상기 프리픽스(Prefix)입력 후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 후 상기 프리픽스(Prefix)입력을 대기하는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픽스(Prefix)입력하고 상기 가입자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가입자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한 후 상기 실행키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Prefix)의 기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한다. 또한 국제통화모드키 입력시, 국제전화모드로 진입하여 미리 설정된 국제통화프리픽스(Prefix)를 감지한다.
카메라5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은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표시부80은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은 상기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프리픽스(Prefix)입력하면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구분모드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하기 입력될 가입자번호를 구분하는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실행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의 기능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되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 2를 상기 도 1, 도 3 및 도 4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2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휴대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통하여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203단계를 상기 도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1)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1)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1)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프리픽스(Prefix)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각각의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목록을 리드하여 [표 1]과 같이 표시한다.
[표 1]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Prefix)목록 중 원하는 부가서비스의 프리픽스(Prefix)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구분모드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7단계에서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가입자번호를 구분하는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209단계를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2)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2)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2)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가입자번호목록을 리드하고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은 폰북이 될 수 있고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선택에 따라 이름, 번호, 단축번호, 그룹, 및 최근 발신/수신/부재중 등으로 구분지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 중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실행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하고 상기 프리픽스(Prefix)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국제통화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진 국제통화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리픽스(Prefix)이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국제통화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배경음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이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 함께 통화서비스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효과음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이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효과음을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자동연결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면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착신전환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면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수신호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 5를 상기 도 1, 도 3 및 도 4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5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휴대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통하여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503단계를 상기 도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하기 입력될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2)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2)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2)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가입자번호목록을 리드하고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은 폰북이 될 수 있고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선택에 따라 이름, 번호, 단축번호, 그룹, 및 최근 발신/수신/부재중 등으로 구분지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 중 하기 입력될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하기 입력될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구분모드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7단계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와 프리픽스(Prefix)를 구분하는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프리픽스(Prefix)입력을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509단계를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1)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1)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1)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프리픽스(Prefix)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과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각각의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목록을 리드하고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Prefix)목록 중 원하는 부가서비스의 프리픽스(Prefix)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 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실행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하고 상기 프리픽스(Prefix)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 6을 상기 도 1, 도 3 및 도 4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6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휴대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통하여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6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603단계를 상기 도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1)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1)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1)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프리픽스(Prefix)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과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각각의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목록을 리드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픽스(Prefix)목록은 국제통화를 하기위한 '001, 002, 007, 및 00755' 등과 같은 국제통화 사업자번호 및 '82(대한민국), 81(일본) 및 01(미국)'과 같은 국가번호로 이루어진 국제통화 프리픽스(Prefix), 상대방과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 함께 통화서비스를 하기위한 '*79' 같은 프리픽스(Prefix), 상대방과 통화중 소정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효과음을 재생하는 효과음 서비스를 하기위한 '*99' 같은 프리픽스(Prefix),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설정한 다른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72' 같은 프리픽스(Prefix) 및 휴대단말기의 상태에 상관없이 설정한 다른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71' 같은 프리픽스(Prefix)를 포함하는 테이블메뉴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Prefix)목록 중 원하는 부가서비스의 프리픽스(Prefix)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 후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가입자번호를 구분하는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6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607단계를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2)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2)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2)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가입자번호목록을 리드하고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은 폰북이 될 수 있고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선택에 따라 이름, 번호, 단축번호, 그룹, 및 최근 발신/수신/부재중 등으로 구분지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 중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실행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하고 상기 프리픽스(Prefix)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국제통화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진 국제통화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리픽스(Prefix)이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국제통화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배경음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기위한 코드이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 함께 통화서비스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효과음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위한 코드이면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효과음을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자동연결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면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가 착신전환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위한 코드이면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수신호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 7을 상기 도 1, 도 3 및 도 4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7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휴대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통하여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7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703단계를 상기 도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하기 입력될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2)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2)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2)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가입자번호목록을 리드하고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은 폰북이 될 수 있고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선택에 따라 이름, 번호, 단축번호, 그룹, 및 최근 발신/수신/부재중 등으로 구분지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 중 하기 입력될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하기 입력될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입자번호와 프리픽스(Prefix)를 구분하는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프리픽스(Prefix) 입력을 대기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7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707단계를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1)를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의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1)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1)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프리픽스(Prefix)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과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각각의 부가서비스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목록을 리드하고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Prefix)목록 중 원하는 부가서비스의 프리픽스(Prefix)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 기능이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실행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7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하고 상기 프리픽스(Prefix)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국제통화 모드키를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상기 도 8을 상기 도 1 및 상기 도 4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8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국제전화통화 또는 국제 전화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국제통화모드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8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05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기 설정된 국제통화모드 프리픽스(Prefix)를 리드한다. 여기서 특정 국제통화 프리픽스(Prefix)를 지정하여 리드 할 수 있고 메뉴를 설정하여 저장된 여러 개의 국제전화 프리픽스(Prefix) 중 선택하여 리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제전화 프리픽스(Prefix)번호 중 국가번호는 휴대단말기 사업자번호에 따라 변경되어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국제통화 프리픽스(Prefix)가 리드되었음을 표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는 '#' 또는 '*'와 같은 특수 문자 , 라이트(light)표시 또는 아이콘이 표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가입자번호를 구분하는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국제통화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국제통화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8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809단계를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상기 국제통화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상기 국제통화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에 해당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는 과정이 상기 단축번호 입력시간(T2)을 카운팅하고 상기 입력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가입자번호가 설정된 단축번호로 감지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T2)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상기 입력된 단축번호를 단순 숫자키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시간(T2)은 상기 사용자가 해당 버튼키를 한번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번째, 상기 국제통화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7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와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가입자번호목록을 리드하고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은 폰북이 될 수 있고 상기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선택에 따라 이름, 번호, 단축번호, 그룹, 및 최근 발신/수신/부재중 등으로 구분지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제통화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 중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 및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세 번째, 상기 국제통화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결합하여 다이얼링할 상기 가입자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80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7을 이용하여 실행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하고 상기 프리픽스(Prefix)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부가서비스 실행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상기 프리픽스(Prefix) 및/ 상기 가입자번호가 수동, 단축번호 또는 테이블 메뉴를 통하여 입력되어도 상기 프리픽스(Prefix)와 상기 가입자번호를 구분하고 결합하여 부가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프리픽스(Prefix)를 이용한 부가서비스에서 상기 가입자번호를 일일이 수동으로 다이얼링 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입자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프리픽스와 가입자번호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국제통화 모드키를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81)

  1.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 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수신통화시,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7.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3.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9.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5.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1.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2.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3.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4.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를 표시한 후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0.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한 후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1.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프리픽스를 표시한 후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2.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를 표시한 후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3.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입력된 프리픽스를 표시한 후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9.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프리픽스를 표시한 후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5.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를 표시한 후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사업자번호 및 국가번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배경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실행과정에서 통화시 미리 설정된 배경음과함께 통화서비스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효과음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소정의 키 입력시, 상기 키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상기 효과음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9.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자동연결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0.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가 등록된 가입자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등록하기 위한 코드이며,
    상기 통신서비스 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상기 통화연결을 시도할 전화번호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1.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신호 입력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인식하고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신호 입력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3.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신호 입력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인식하고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신호 입력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5.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신호 입력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인식하고 가입자번호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가입자번호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신호 입력시, 상기 국제통화서비스 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7.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 입력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8.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 입력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9.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0.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1.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특정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2.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3.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4.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구분모드 신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5.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 입력시, 상기 입력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선택된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6.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7.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8.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9.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프리픽스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0.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프리픽스에 대응되는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1.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번호테이블 메뉴 입력시, 가입자번호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입자번호목록에서 상기 가입자번호 선택시, 상기 선택된 가입자번호를 표시한 후 상기 프리픽스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프리픽스테이블 메뉴 입력시, 프리픽스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프리픽스목록에서 상기 프리픽스 선택시, 상기 프리픽스에 상기 가입자번호를 결합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픽스에 따른 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69185A 2004-06-02 2004-08-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 KR20050115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79,806 US20060013381A1 (en) 2004-07-13 2005-07-13 Method for executing an additional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EP05015215A EP1617636A2 (en) 2004-07-13 2005-07-13 Method for executing an additional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004 2004-06-02
KR20040040004 2004-06-02
KR20040054433 2004-07-13
KR1020040054433 2004-07-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486A Division KR20070031988A (ko) 2004-06-02 2007-03-05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38A true KR20050115438A (ko) 2005-12-07

Family

ID=3728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185A KR20050115438A (ko) 2004-06-02 2004-08-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4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87B1 (ko) * 2006-08-21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87B1 (ko) * 2006-08-21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17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0793299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발신 장치 및 방법
KR100630165B1 (ko)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EP1617636A2 (en) Method for executing an additional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KR2005011543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
KR2007003198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 실행 방법
KR10059401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선불카드를 이용한 통화서비스 실행방법
US75644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olors of data and a background in a portable terminal
KR1006781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축키 설정 및 그의 이용 방법
KR100557152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단축기능 수행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06300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KR1006302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KR10056622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dtmf를 이용한 게임방법
KR10066342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1394262B1 (ko)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10073537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자동 재전송 방법
KR1005843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영상의 제목 입력방법
KR100452139B1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221

Effective date: 2007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