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174A -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174A
KR20050115174A KR1020040040543A KR20040040543A KR20050115174A KR 20050115174 A KR20050115174 A KR 20050115174A KR 1020040040543 A KR1020040040543 A KR 1020040040543A KR 20040040543 A KR20040040543 A KR 20040040543A KR 20050115174 A KR20050115174 A KR 2005011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signal
voice
terminal devic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구
천경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174A/ko
Publication of KR2005011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e.g. re-encrypting a decrypted video stream for redistribution in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의 소재를 파악하여, 소스 신호가 되는 멀티미디어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에 출력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주제어장치는 각 멀티미디어별 신호를 수신하여 각 신호별 처리과정을 거쳐 인터페이스부로 공급하는 외부신호 수신부, IEEE 1394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음성 신호가 단말장치에 입력된 경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데이터 형식으로 처리하는 음성처리부 및 외부신호 수신부, 인터페이스부, 음성처리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각 모듈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여 해당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ulti-Media in Home}
본 발명은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댁내의 제한된 입력 멀티미디어(방송, VOD, 인터넷 등)를 집안 어느 곳에서나 원하는 멀티미디어 수신 및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댁내 보유 기기 및 콘텐츠를 댁내 공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파를 사용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외에, 정지 위성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나, 케이블을 통하여 텔레비전 방송 프로 등을 제공하는 케이블 방송, 지역 전화 회사나 유선 TV 방송사가 가입자들에게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보고 싶은 비디오를 볼 수 있게 서비스하는 VOD(Video On Demand : 주문형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 등 멀티미디어를 사용한 다양한 방송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정지 위성을 사용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 등의 데이터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압축한 복수의 텔레비전 방송 프로의 신호를 1개의 캐리어에 다중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의해, HTML(Hyper Text Makeup Language)로 작성된 소위 웹 페이지 등 내용 정보의 제공도 이루어지고 있다.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은, 방송국 측과 사용자 사이가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신호를 안정적으로 사용자 측에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방송국 측과 사용자가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이점을 활용하여 텔레비전 방송 프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케이블을 통하여 방송국 측에 이송하도록 하는 양방향 텔레비전 방송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사용자가 이러한 공중파 방송, 케이블 방송, VOD(Video On Demand : 주문형 비디오), 인터넷 등의 외부 멀티미디어를 댁내에서 수신하기 위해서는 방마다 해당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각각의 수신 장치와 접속 단자가 필요하다.
멀티미디어 기기의 단말장치로 대표적인 것이 셋톱박스이며, VOD 등의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가정용 단말기로서, TV를 접속하는 것 뿐 아니라 PC 등의 컴퓨터에도 접속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닌다. 신호는 아날로그(전통적 유선 TV) 혹은 디지털일 수 있고 유선으로 받을 수 있으며, 광섬유, 트위스트 페어, 위성, 심지어 다양한 셀 방식의 통신이 될 수 있다. 셋톱박스는 PC나 가정에 있는 다른 기기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댁내에 여러 멀티미디어 기기와 단말장치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는 있으나 여러 기기나 콘텐츠를 상호 공유하여 활용하는 방법이 없었던 것이 종래의 실정이었다. 또한 서로 다른 방에 위치한 기기들 간에는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혹 연결이 있더라고 일대 일 연결만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었기에 댁내에 위치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댁내로 입력되는 모든 멀티미디어 정보와 댁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및 콘텐츠를 댁내 어느 곳에서나 쉽게 제어하고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 가능토록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의 소재를 파악하여, 소스 신호가 되는 멀티미디어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에 출력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주제어장치는 각 멀티미디어별 신호를 수신하여 각 신호별 처리과정을 거쳐 인터페이스부로 공급하는 외부신호 수신부, IEEE 1394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음성 신호가 단말장치에 입력된 경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데이터 형식으로 처리하는 음성처리부,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 인터페이스부, 음성처리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각 모듈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여 해당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단말장치는 IEEE 1394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 처리부를 포함하며, 연동된 멀티미디어 기기에 따라 암호화 처리부,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 음성 처리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의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 및 소스 신호가 되는 멀티미디어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에 출력하는 주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분배장치를 중심으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댁내의 모든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본 발명의 핵심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주제어장치(10)를 중심으로 모두 연동되어 있다. 같은 방 안에 위치한 기기들 간은 주제어장치와는 별도로 상호 연동되어 보다 신속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각기 다른 방에 위치한 기기들은 주제어장치(10)를 매개로 하여 상호 통신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멀티미디어 기기 뿐 아니라 댁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현관문 등과도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의 기능을 주제어장치(10)에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장치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주제어장치(10)는 외부신호 수신부(21), 인터페이스부(22), 제어부(23), 및 음성처리부(24)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신호 수신부(21)는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등의 외부 신호를 입력 받아 각 신호별 특징에 맞는 신호 처리를 행하여 인터페이스부(22)로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 각 입력 신호가 디지털인지 아날로그인지에 따른 A/D 컨버터의 필요 여부, 무선이냐 유선이냐에 따른 처리 방식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 신호별 수신부의 구성은 조금씩 차이를 나타낸다.
외부신호 수신부(21)를 통해 수신/처리된 신호는 인터페이스부(22)를 거쳐 각 방에 위치한 단말장치(20)에 이르게 된다.
인터페이스부(22)는 IEEE 1394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장치(20)에도 역시 1394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존재한다. 인터페이스부(22)와 단말장치(2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는 광케이블, UTP 케이블, IEEE 1394 케이블, 무선용 IEEE 1394 등 IEEE 1394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자원이라면 어떤 종류의 케이블이나 무선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IEEE 1394 기술은 현재는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VCR, 또는 컴퓨터의 주변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용 게임기, 디지털 TV 등에도 표준 인터페이스로 채택되고 있다. 또한 홈 오토메이션이나 제어기기의 인터페이스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IEEE 1394는 100Mbps, 200Mbps 및 4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이는 전송 속도가 서로 다른 노드들 사이에서도 중재를 통해 하나의 버스를 통하여 전송이 가능하며, 서로간의 효율적인 전송이 보장되도록 버스 초기화 과정에서 버스의 대역폭을 조절한다. IEEE 1394의 전송방식은 비동기 전송방식과 등시성 전송방식의 두 가지를 동시에 지원한다. 비동기 전송방식은 에러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 등시성 전송방식은 멀티미디어와 같은 실시간 전송에 적합하며 이를 위해 전송 전에 필요한 대역폭을 등시성 자원 관리자로부터 할당받는다. 등시성 전송 방식은 주어진 대역폭으로 정확한 시간에 스트림을 전송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한다. 본 발명과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등시성이 보장되는 프로토콜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또한 IEEE 1394는 핫플러깅(hot plugging)을 지원하여 새로운 전자장치를 연결하기 위하여 시리얼 버스에 연결된 전자장치 및 새로운 전자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아도 된다. 핫플러깅이란 버스에 연결된 기존 장치 및 새로운 전자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채로 해당 버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기술로서, 새로운 전자 장치는 시리얼 버스에 연결함과 동시에 물리 어드레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23)는 외부신호 수신부(21)와 인터페이스부(22)와 연동되어 단말장치(20), 인터페이스부(22)를 거쳐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외부신호 처리부(21)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신호 혹은 인터넷 신호 등을 추출하여 목적하는 단말장치(20)로 전송해 준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에 의한 명령을 내린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일단 음성처리부(24)로 전송하여 음성처리부(24)에서 음성 명령을 해석토록 한 다음 해석된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음성처리부(24)는 각 방의 단말장치(2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에 의한 명령이 내려진 경우, 해당 음성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해석하는 곳이다. 음성 인식에 의한 명령 수신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를 예로 들기로 한다.
첫 번째로, 사용자가 무전기와 같은 휴대 장치를 통해 음성 명령을 내리고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부를 주제어장치(10) 내에 두는 경우로서,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장치와 주제어장치(10) 간의 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고, 휴대장치와 주제어 장치(10) 간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질 수 있다는 면에서 통신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휴대장치 하나와 주제어장치(10)에 음성 수신부만 추가함으로써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각 방의 단말장치(20)에 음성 수신부를 각각 두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명령은 단말장치(20) 내에서 디지털 변환 과정을 거쳐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제어부(23)로 전송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각 단말장치(20)에 음성 수신부를 두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과 설치의 번거로움이 단점이나, 사용자가 위치하는 각 방의 단말장치(20)에 음성 수신부가 내재하므로, 비교적 짧은 통신 거리 및 벽과 같은 장애물이 없다는 점에서 통신 품질을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제시한 두 가지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음성 처리되는 어떠한 방식이나 장치이든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3은 외부신호 수신부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외부 신호로 입력되는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3에 보는 바와 같이, 각 방송별로 처리되는 과정은 그 신호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케이블 방송과 위성 방송의 경우에는 무선과 케이블을 통해 원거리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본래 신호가 가지고 있던 특성을 많이 잃어버린 채 아주 약한 신호가 들어오게 되므로, 이러한 입력 신호를 해석 가능한 세기로 회복하기 위해 LNA(Low Noise Amplifier)(310, 320)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케이블 신호의 경우, 다시 채널 동조부(311)를 통해 TV 채널을 동조시키고, A/D 암호화부(Scrambler)(312)로 보내지게 된다.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암호화를 풀어 송신하게 되고, 아날로그일 경우에는 이를 MPEG 부호화부(313)에서 MPEG으로 디지털 압축하여 송부하게 된다. 위성방송의 경우에는 케이블 신호의 처리 과정과 유사하며, 채널 동조부(311) 대신 RF 처리부(321)를 통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만 달라질 뿐이고, 나머지 암호화부(322)와 MPEG 부호화부(313) 등은 케이블 방송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인터넷 입력의 경우에는 입력 신호 자체가 디지털 신호이므로 케이블 신호나 위성방송에서와 같은 별도의 처리 과정이 필요 없게 된다.
도 4는 인터페이스부와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인터페이스부(22)는 크게 LLC(Link Layer Control)(40)와 PHY(물리적 계층)(41)로 이루어진다. 외부신호 수신부(21)로부터 입력된 개개의 신호들이 LLC(40)의 입력단으로 제공되고 LLC(40)의 출력은 PHY(41)로 입력된다.
LLC는 보통 3개의 입력 단자를 가지며, 출력 단자는 여러 개를 가진다. 댁내에 위치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따른 단말장치(20)의 수에 따라 LLC(40)도 하나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편의 상 하나의 LLC만 도시하였다. LLC(40)의 출력단은 PHY(41)로 입력되며, PHY(41)는 3 개의 출력단자를 가지며, 각각의 출력 단자 하나는 하나의 단말장치(20)로 연결된다. 도 3의 PHY(41)를 자세히 살펴보면, 인터페이스부(22) 내의 각각의 PHY(41)는 해당 단말장치(20)와 연동됨과 동시에 PHY(41) 간에도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이 주제어장치(10)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위해서이며, 하나의 방에 위치한 단말장치로부터 다른 방에 위치한 단말장치로 직접 연결되어 명령을 행한다.
도 5는 IEEE 1394 프로토콜의 각 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IEEE 1394는 다수의 층들로 구성되는데, 트랜젝션 층(51), 링크 층(52), 물리적 층(PHY)(53) 등이 그것이다. 트랜젝션 층(51)은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 방식 및 오류 처리 방식과 같은 높은 수준의 기능을 정의한다. 링크 층(52)은 트랜젝션 층과 통신하고, 어드레싱, 데이터 체킹 및 데이터 프레임 정보를 제공한다. 물리적 층(53)은 노드와 그 버스 간에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1394 버스를 위해 링크 층으로부터의 신호를 적절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분배 방법에 의한 동작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댁내에 있는 사용자가 특정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을 명령한 경우, 사용자의 명령이 리모콘 등의 휴대장치에 의한 것인지 음성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동작 흐름이 달라지게 된다. 음성에 의한 명령인 경우에는 음성처리 과정을 거쳐야 시스템이 신호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내려진 명령이 리모콘에 의한 것인지 음성에 의한 것인지 먼저 파악하는 단계가 첫 번째로 행해진다(S61). 음성에 의한 경우에는, 목적하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댁내의 어느 방안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주제어장치(10)로 명령을 전송한다(S63). 원격 무선 신호에 의한 명령의 경우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방 내에 목적하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있는지 다른 방에 있는지에 따라 동작이 달라지게 되는데(S63), 같은 방 안에 멀티미디어 기기가 있는 경우는 주제어장치(10)까지 명령을 전송하지 않고 단말장치(20)에서 곧바로 해당 기기에 신호를 전달해 구동시키면 된다(S67).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방 내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구동시키려면 주제어장치(10)로 신호를 전달하여(S64) 해당 방과 멀티미디어 기기에 대한 소재 파악을 한 이후에야 기기의 구동이 가능하다.
입력된 명령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에는 음성 인식 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주제어장치(10) 내의 음성처리부(24)로 신호를 전달하여 음성 인식 엔진을 구동시키게 된다(S63). 리모콘에 의해 입력된 신호 또는 음성처리부(24)에서 처리된 신호는 제어부(23)에 의해 해당 명령이 어느 방에 위치하는 어느 멀티미디어 기기에 대한 것인지 검색하여 출력을 원하는 방과 멀티미디어 기기를 파악하게 된다.(S65) 목적하는 방과 기기가 파악되면 기기의 동작 내용을 IEEE 1394 프로토콜을 통해 명령하게 되고(S66) 최종적으로 해당 기기가 구동된다(S67).
상기에서 살펴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하자.
사용자가 거실에서 케이블 TV로 KBS를 보고 싶다고 가정하자. 거실에 있는 단말장치(20)에 음성이나 리모콘으로 이러한 내용의 명령을 내릴 경우, 단말장치는 이 명령을 인터페이스부(22)를 거쳐 주제어장치(10) 내에 있는 제어부(23)로 전달하게 되고, 이를 수령한 제어부(23)는 케이블 TV 동조회로를 KBS에 동조시켜 A/D 스크램블러(312)로 보낸다. 암호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풀어 송신하게 되고, 아날로그일 경우에는 이를 MPEG으로 디지털 압축을 하여 송부하게 된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가공된 신호는 1394 PHY(41)에 이르게 되고, 여기서는 댁내의 모든 기기에 대한 채널 할당 내용 중 거실 TV 채널에 이를 실어 송부한다. 거실의 단말장치(20) 내로 송부된 신호는 복호 과정을 거쳐 TV 화면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이번에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방 1, 방 2, 방 3에 흩어져 있고, 사용자 모두가 방 4에 있는 DVD를 통해 같은 영화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의 예를 들어 보자. 사용자는 방 4에 있는 DVD 입력장치를 통해 영화 소스를 입력시킨 후, 시청을원한다는 명령은 어느 방에서도 내릴 수 없다. 이때의 시청 명령은 사용자 1인에 의한 조작으로 충분하며 시청을 원하는 영화의 소스가 방 4에 있는 DVD 기기 내에 있다는 것과 시청을 원하는 방, 그리고 시청을 원하는 멀티미디어 기기(예를 들어, TV)를 입력해 주면 될 것이다. 방 1의 사용자가 명령을 내린 경우, 방 1의 단말장치(20)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주제어 장치(10) 내의 PHY(41), LLC(40)를 순서대로 거쳐 제어부(23)로 입력된다. 제어부(23)는 입력된 명령을 해석하여 방 4의 영화 DVD를 입력 소스로 선택하여 방 4의 단말장치 및 인터페이스부(22)를 거쳐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신호를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시청을 원하는 목적 방인 방 1, 2 ,3 내의 TV로 동시에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DVD 기기는 방 4에 있지만, 방 1, 2, 3에 있는 사용자 모두가 같은 영화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댁내에 위치하는 모든 멀티미디어 기기를 연동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에 연동될 수 있는 홈 네트워크의 구성 단순화, 주제어 장치와 단말장치만으로 구성되어 관리가 쉽고 새로운 기능 추가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를 중심으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외부신호 수신부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인터페이스부와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IEEE 1394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분배 방법에 의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제어 장치 20 : 단말장치
21 : 외부신호 수신부 22 : 인터페이스부
23 : 제어부 24 : 음성처리부
40 : LLC 41, 42 : PHY
51 : 트랜젝션 층 52 : 링크 층
53 : 물리적 층

Claims (10)

  1. 다수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갖춘 댁내의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의 소재를 파악하여,
    소스 신호가 되는 멀티미디어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에 출력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멀티미디어의 종류 및 채널 또는 내부 입력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소스 신호; 와
    상기 멀티미디어 소스 신호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댁내의 각 방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와 상기 단말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프로토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와 상기 단말장치 사이는 광케이블, UTP 케이블, IEEE 1394 케이블, 무선용 IEEE 139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는,
    각 멀티미디어별 신호를 수신하여 각 신호별 처리과정을 거쳐 인터페이스부로 공급하는 외부신호 수신부;
    IEEE 1394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음성 신호가 단말장치에 입력된 경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데이터 형식으로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 처리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각 모듈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여 해당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IEEE 1394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연동된 멀티미디어에 따라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암호화 처리부;
    음성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음성 수신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장치로 수신되는 명령 신호는,
    원격 무선 신호 또는 음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10. 다수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갖춘 댁내의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의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 및
    소스 신호가 되는 멀티미디어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 멀티미디어 기기에 출력하는 주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방법.
KR1020040040543A 2004-06-03 2004-06-03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5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543A KR20050115174A (ko) 2004-06-03 2004-06-03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543A KR20050115174A (ko) 2004-06-03 2004-06-03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174A true KR20050115174A (ko) 2005-12-07

Family

ID=3728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543A KR20050115174A (ko) 2004-06-03 2004-06-03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1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9219C (zh) 信号主控制器使用红外传输命令和总线传输命令对多个av装置的控制
CN100542279C (zh) 分布式数字录像机的方法与系统
CA2428946C (en) Networked subscriber television distribution
US20050015805A1 (en) Power line home network
US8151306B2 (en)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including home gateway and headend, either or both of which have digital video recording functionality
US6970127B2 (en)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and displaying of compressed video on a display on the remote
US8286210B2 (en) HDMI switching technology for the coupling of consumer electronic control and/or non-consumer electronic control devices in an audio/visual environment
US7590412B2 (en) Terminal device, center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dio and video distribution
US20020059637A1 (en) Home gateway for video and data distribution from various types of headend facilities and including digital video recording functions
US20020019984A1 (en) Headend cherrypicker with digital video recording capability
US7116644B2 (en) Data sharing and linkage for IP telephony set-top boxes
US20060053452A1 (en) Wired/wireless broadcasting distribution apparatus having a home broadcasting distribution function and broadcasting channel formation/ter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70150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EP1331761B1 (en) Wireless data-transferring apparatus
CN101159830A (zh) 用于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设备及其方法
KR19990071644A (ko) Mpeg신호의 클럭을 회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577416B (zh) 用于选择性输出多媒体内容的方法、装置和系统
US20020088002A1 (en) Transmission of camera image to remote display device
US20030093804A1 (en) Seamless integration of multiple data/internet connections
CN102098563A (zh) 互动数字电视系统、方法、数字电视接收终端及客户端
US88916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graphical data
KR20050115174A (ko) 댁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17945A1 (ko) 방송 프로그램 다중표시를 위한 셋톱박스
JP4758615B2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20066100A (ko) 인터넷 텔레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