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755A - 작업자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작업자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755A
KR20050114755A KR1020040039811A KR20040039811A KR20050114755A KR 20050114755 A KR20050114755 A KR 20050114755A KR 1020040039811 A KR1020040039811 A KR 1020040039811A KR 20040039811 A KR20040039811 A KR 20040039811A KR 20050114755 A KR20050114755 A KR 20050114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ttocks
worker
wais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범
Original Assignee
(주)발란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발란스테크 filed Critical (주)발란스테크
Priority to KR102004003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4755A/ko
Publication of KR2005011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7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공장의 작업장, 식당의 주방 등에서 장시간 동안 일어서서 작업을 하거나, 선 채로 모니터 또는 각종 대상물을 관찰, 감시하는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자용 지지대가 개시된다. 상기 작업자용 지지대는 작업자의 둔부를 위치시킬 수 있는 둔부 지지판; 상기 둔부 지지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둔부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닥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둔부 지지판은 일단이 서로 맞닿아 있고, 타단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 사이의 각도는 110 내지 1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작업자용 지지대 {Support for worker}
본 발명은 작업자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의 작업장, 식당의 주방 등에서 장시간 동안 일어서서 작업을 하거나, 선 채로 모니터 또는 각종 대상물을 관찰, 감시하는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자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작업 환경에 따라, 장시간 동안 일어서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작업자가 의자에 앉고 일어나는 동작을 빈번히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공장 자동화 라인의 높이가 높거나, 작업 반경이 작업자의 팔 길이보다 큰 경우, 식당의 주방 등에서 식기 세척을 하는 경우, 경계 근무를 서는 경우, 빈번히 일어서서 손님을 맞아야 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앉아 작업하기가 번거로우므로, 통상 선채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장시간, 예를 들면 30분 이상 일어선 상태로 작업하는 것은 통상 곤란하므로, 작업자는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되고, 이때 작업자가 수행하던 작업은 중단된다. 이와 같이 작업이 중단되거나, 중단된 작업을 다른 작업자가 대신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작업자가 장시간 동안 일어서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통상 한쪽 다리만을 구부린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거나, 작업장 주위의 벽, 책상 등에 비스듬히 기대는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신체 균형상 유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동안 일어서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자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어서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 균형을 유지하고,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작업자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의 둔부를 위치시킬 수 있는 둔부 지지판; 상기 둔부 지지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둔부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닥판을 포함하는 작업자용 지지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둔부 지지판은 일단이 서로 맞닿아 있고, 타단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 사이의 각도는 110 내지 1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지지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지지대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작업자의 둔부를 위치시킬 수 있는 둔부 지지판(10), 상기 둔부 지지판(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둔부 지지판(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축(20) 및 상기 지지축(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닥판(30)을 포함한다.
상기 둔부 지지판(10)은 일단이 서로 맞닿아 있고, 타단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허리받침대(12)와 둔부받침대(14)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허리받침대(12)와 둔부받침대(14) 사이의 각도(X)는 110 내지 170도,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도이다. 여기서, 상기 허리받침대(12)와 둔부받침대(14) 사이의 각도(A)가 110도 미만이면 작업자의 둔부를 둔부받침대(14)에 위치시키기 어려우며, 170도를 초과하면, 작업자가 둔부가 둔부받침대(14)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허리받침대(12) 및 둔부받침대(14)의 크기는, 작업자가 허리와 둔부를 상기 허리받침대(12) 및 둔부받침대(14)에 각각 위치시키고,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댄 상태(도 5 참조)에서 작업자의 허리와 둔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므로, 그 크기를 특히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통상 둔부받침대(14) 및 허리받침대(12)의 폭은 10 내지 20cm, 길이는 10 내지 30cm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둔부 지지판(10)에 비스듬하게 기대는 경우, 작업자의 무게는 주로 둔부받침대(14)에 인가되므로, 상기 허리받침대(12)는 상기 둔부받침대(1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제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대(12)와 둔부받침대(14) 사이의 각도(X)는 필요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허리받침대(12)와 둔부받침대(14) 사이의 각도(X)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허리받침대(12)와 둔부받침대(14)의 각도(X) 조절 수단은 둔부받침대 골격(42) 및 허리받침대 골격(44)을 포함하고,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은 회전축(46)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의 말단에는 외면에 복수의 치형(48a)을 가지는 조절판(48)이 상기 회전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받침대 골격(44)의 일단에는 상기 치형(48a)에 끼워지는 래치(50, latch)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래치(50)의 어느 한 회전 방향에는 스토퍼(5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래치(50)의 회전을 억제하며, 상기 래치(50)의 다른 회전 방향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4)의 일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50)는 상기 스토퍼(52)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고, 상기 탄성부재(54)의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으나,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52)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고 있다.
또한 상기 래치(50)가 회전하는 방향의 상기 치형(48a)의 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치(50)가 회전할 수 없는 방향의 상기 치형(48a)의 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을 상기 래치(50)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치형(48a)이 회전하여, 상기 래치(50)를 상기 탄성부재(54)의 방향으로 밀게 되며, 상기 래치(50)는 탄성부재(54)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음의 치형(48a)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50)는 상기 스토퍼(52)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을 반대로 회전시킬 수는 없다.
반대로,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 사이의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을 상기 허리받침대 골격(44)의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을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걸림판(54)이 조절판(48)에 형성된 제1 돌기(56)에 의해 밀려 상기 래치(50)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걸림판(54)은 상기 치형(48a)과 같거나 약간 큰 반경을 가지므로, 상기 래치(50)는 상기 치형(48a)으로부터 이탈하여 걸림판(54)의 외주면에 위치한다(도 4의 B 참조). 따라서,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 사이의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 사이의 각도를 계속 증가시키면, 상기 조절판(48)의 상부에, 상기 제1 돌기(56)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 돌기(58)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판(54)을 밀게 됨으로서, 상기 걸림판(54)이 상기 래치(50)로부터 이탈하며, 래치(50)는 다시 치형(48a) 사이에 끼워짐으로서,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 사이의 각도가 더 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 사이의 각도로 조금씩 감소시킴으로서,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과 허리받침대 골격(44) 사이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 및 허리받침대 골격(44)은 각각 적절한 쿠션부재로 감싸져, 둔부 받침대(14) 및 허리받침대(12)를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42) 및 허리받침대 골격(44)을 하나의 쿠션 부재로 감쌀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허리받침대(12)와 둔부받침대(14) 사이의 각도(X) 조절 수단은 쿠션의 내부에 모든 요소가 위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둔부 지지판(10)의 후면 일단에는 상기 둔부 지지판(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20)의 일단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축(10)의 다른 일단은 바닥판(3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축(20)의 길이는 작업자가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댄 상태(도 5 참조)에서 작업자의 허리와 둔부가 상기 둔부 지지판(10)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둔부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낮게 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지축(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의자의 높이조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쇼바식 높이 조절 장치를 사용하거나, 두 개의 축을 나사 결합시켜, 나사의 잠김과 풀림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6은 높이 조절장치로서 가스 쇼바식 높이 조절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높이 조절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 바닥판(30)은 작업자가 허리와 둔부를 상기 둔부 지지판(10)에 위치시키고,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댄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다리가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하며, 통상적으로 40 내지 70c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스틱 또는 철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10)과 바닥판(30)의 각도(Y)는 60 내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내지 90도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각도(Y)가 60도 미만이면,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축(10) 및 바닥판(30)을 불필요하게 길게 제작하여야 하며, 90도를 초과하면 작업자가 지지대에 기대었을 때, 균형을 잡기 곤란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작업자의 다리를 바닥판(3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허리와 둔부를 각각 허리받침대(12) 및 둔부받침대(14)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본 발명의 지지대에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댄 상태에서는, 단순히 서서 작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자의 다리에 작업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올바른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고, 의자에 앉아 작업하는 것에 비하여 신속하게 일어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지지대는 장시간 동안 일어서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작업자의 신체 균형을 유지하고,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지지대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지지대에 있어서,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도조절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

Claims (3)

  1. 작업자의 둔부를 위치시킬 수 있는 둔부 지지판;
    상기 둔부 지지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둔부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닥판을 포함하는 작업자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지지판은 일단이 서로 맞닿아 있고, 타단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 사이의 각도는 110 내지 170도인 것인 작업자용 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대와 둔부받침대 사이의 각도는 각도 조절 수단에 의하여 조절되며,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허리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허리받침대 골격; 상기 둔부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둔부받침대 골격;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과 허리받침대 골격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 상기 허리받침대 골격의 일단에,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치형에 끼워지는 래치; 상기 둔부받침대 골격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면에 복수의 치형을 가지되, 상기 래치가 회전하는 방향의 상기 치형의 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치가 회전할 수 없는 방향의 상기 치형의 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조절판;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를 상기 치형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걸림판; 및 상기 조절판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작업자용 지지대.
KR1020040039811A 2004-06-01 2004-06-01 작업자용 지지대 KR20050114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811A KR20050114755A (ko) 2004-06-01 2004-06-01 작업자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811A KR20050114755A (ko) 2004-06-01 2004-06-01 작업자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755A true KR20050114755A (ko) 2005-12-06

Family

ID=3728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811A KR20050114755A (ko) 2004-06-01 2004-06-01 작업자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47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3706A (zh) * 2015-02-02 2015-05-27 河南智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站立工作时的辅助装置
JP2021159732A (ja) * 2020-04-02 2021-10-11 通明 下山田 長時間良い姿勢で立つ為の補助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3706A (zh) * 2015-02-02 2015-05-27 河南智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站立工作时的辅助装置
JP2021159732A (ja) * 2020-04-02 2021-10-11 通明 下山田 長時間良い姿勢で立つ為の補助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8213B2 (en) Stools, chairs, and methods using the sam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5393124A (en) Armrest assembly
US20050127733A1 (en) Support for a seating device
US11129479B2 (en) Portable adjustable lumbar support and ergonomic chair
US20130200660A1 (en) Workstation
JP2006525085A (ja) 前かがみ支持具
KR20090091206A (ko) 전방 지지 장치
JP6248264B1 (ja) 立ち仕事兼用椅子
KR20050114755A (ko) 작업자용 지지대
EP3691497B1 (en) Posture adaptive work chair
JP2005527258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200380543Y1 (ko) 좌식의자
US20130125794A1 (en) Standing Support Apparatus
US11160377B2 (en) Synchronous chair mechanism and chair having same
KR20170008548A (ko) 받침수단을 구비한 싱크대
KR200454722Y1 (ko) 입식 허리 등받이
US20190110602A1 (en) Back support including armpit support parts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RU87333U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тул
JP3622080B2 (ja) 重機操作用シート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CN220631610U (zh) 一种双状态应用家具办公用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