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434A -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434A
KR20050114434A KR20040039651A KR20040039651A KR20050114434A KR 20050114434 A KR20050114434 A KR 20050114434A KR 20040039651 A KR20040039651 A KR 20040039651A KR 20040039651 A KR20040039651 A KR 20040039651A KR 20050114434 A KR20050114434 A KR 20050114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fitness management
exercis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3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4434A/ko
Publication of KR2005011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434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위치 기반 시스템(LBS: Location Base System)과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구비하고,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속도계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운동량 등을 무선 데이터로 서버로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휴대한 채 산책이나 도보시 정확한 이동 거리와 속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동거리(운동량)에 따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어 특별한 조깅이나 산책 코스를 선별하여 운동하지 않아도 가까운 주변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운동량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무리한 운동에 따른 신체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항상 최적의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Strength Using by Mobile Phone Capable of Speedometer Function}
본 발명은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위치 기반 시스템(LBS: Location Base System)과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구비하고,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속도계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운동량 등을 무선 데이터로 서버로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하고 있는 문명사회에서 현대인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 그리고 수명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건강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건강과 관련된 상품들은 건강식, 간강보조용품, 운동기구 등에 이르기까지 폭발적인 관심과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반면에 잘못된 정보의 전달로 인한 피해 사례도 늘어가고 있다.
특히 서구형의 신체에 대한 잘못된 환상과 운동 부족에 의한 비만 환자가 증가하여 잘못된 다이어트에 관한 정보의 폐해는 나날이 커지고 있어 적당한 유산소 운동에 의한 건강 관리에 대한 의식의 전환과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섭취한 음식의 양이, 일상적인 활동의 운동량에 의한 소비보다 많으면, 에너지 불균형의 결과로 소비되지 않고 남은 과잉의 에너지가 지방 조직의 체지방으로 축척 되어지며, 반면 섭취한 음식의 양이 부족하면 체력의 감쇠가 나타나며, 섭취한 음식의 양이 계속적으로 적으면 건강을 해치게 되며 심각한 영양 실조를 유발하기도 한다. 자신이 섭취한 음식의 양에 적합한 일상적 활동과 운동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을 파악하고 섭취한 영양에 비례한 활동을 하기에는, 측정 장치가 고가이거나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고, 대개는 운동과 활동의 양을 대략적으로 추측하여 섭취한 식사의 에너지가 적당한지에 관해 관리를 하거나, 개인의 감각과 생각에 의존한 관리를 하므로 정확하지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인들이 가장 손쉽게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으로는 가벼운 산책이나 조깅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신체에 무리를 주지않는 이러한 유산소 운동은 건강, 다이어트 및 각종 질병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산책이나 조깅에 사용되는 보조 수단은 운동 시간을 측정하는 시계와 걸음의 횟수를 측정하는 만보계가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만보계는 하루에 몇 보를 걸었는지 그 횟수를 측정하여 판단하도록 되어 있으나, 도보와 조깅의 그 효과는 큰 차이가 있으며, 도보의 경우에도 느린 걸음과 빠른 걸음 때의 칼로리 소모량은 거의 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실제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그 정확성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운동에 따른 칼로리의 소비는 체중과 성별 그리고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를 변수로 하는 식으로 계산되어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는 방법과 프로그램의 발달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정확한 거리를 알고 있는 구역을 운동하는 방법 이외에는 그 운동 거리와 속도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는 마땅한 수단이 없어 건강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위치 기반 시스템과 위성 항법 시스템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구비하고,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속도계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운동량 등을 무선 데이터로 서버로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시스템과 위성 항법 시스템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속도계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신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단위 시간별로 산출하여 이동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며,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속도를 근거로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운동량에 따른 체력을 관리하는 체력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체력 관리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체력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키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키입력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체력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키입력 상태와, 실행 현행 및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신체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체력 관리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단위 시간별로 연산되는 위치를 거리로 산출하여 기준점에서의 운동 거리를 산출하는 운동량 산출부; 저장된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운동 거리 및 상기 속도를 연산하여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는 소비량 산출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GPS 신호를 받아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체력 관리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체력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 후,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산출부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며, 단위 시간별로 파악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로 표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전화 통화 요청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변환하는 이동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에 의하면, 위치 기반 시스템과 위성 항법 시스템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이동거리 및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이동 단말기의 체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키입력에 의한 체력 관리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제2 단계; 키입력에 의한 상기 신체 정보의 입력을 저장하는 제3 단계;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제4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여 표시 출력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표시 출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체력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위치 기반 시스템과 위성 항법 시스템을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시에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거나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도록 요구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체력 관리 서비스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거리와 속도 및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무선 체력관리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된 상기 이동거리와 상기 속도 및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위치 기반 시스템과 위성 항법 시스템을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시에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제2 단계; 상기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확인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제4 단계; 위치 등록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거리 및 상기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이동거리와 상기 속도 및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프로그램 메모리(102), 키입력부(104), LCD 표시부(106), 데이터 저장부(108), 모드 상태 저장부(110), 운동량 산출부(112), 소비량 산출부(114), 마이크로 프로세서(116), DSP(Digital Signal Processor)(118), 베이스밴드 변환부(120), 스피커(122), 마이크로폰(124), 안테나(126), RF 신호 처리부(128), GPS 수신부(130), 위치 산출부(132)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프로그램 메모리(102)는 사용자로부터 신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단위 시간별로 산출하여 이동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며, 신체 정보와 이동 거리 및 시간을 근거로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운동량에 따른 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력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키입력부(104)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키입력부(104)는 체력 관리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체력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의 몸무게나 키 등의 신체 정보를 키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LCD 표시부(106)는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고, 또한 체력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키입력 상태와, 실행 현행 및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 저장부(108)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키입력부(104)를 통해 입력한 신체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110)는 키입력부(104)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운동량 산출부(112)는 단위 시간별로 연산되는 위치를 거리로 산출하여 기준점에서의 운동 거리를 산출한다.
소비량 산출부(114)는 저장된 신체 정보와 운동 거리 및 시간을 연산하여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모드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키입력부(104)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라 체력 관리 기능을 실행하고, 체력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LCD 표시부(106)로 출력한 후, 키입력부(104)로부터 입력된 신체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08)에 저장하고, GPS 수신부(130)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산출부(132)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며, 단위 시간별로 파악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신체 정보를 근거로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여 LCD 표시부(106)로 표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키입력부(104)에 의해 무선 통화 접속 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 통화 접속 요구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로 전달한다(TX DATA).
DSP(1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120)와 주고 받는 오디오 데이터(SPEECH)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DSP(1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로부터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는 스피커(122), 마이크로폰(124) 및 RF 신호 처리부(130)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는 DSP(118)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22)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124)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해 DSP(118)로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해 RF 신호 처리부(128)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128)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DSP(118)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는 RF 신호 처리부(128)의 전력(POWER)에 대한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스피커(122)는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124)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RF 신호 처리부(128)는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126)로 출력하거나, 안테나(126)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120)로 출력한다. 안테나(126)는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128)로 전달한다.
GPS 수신부(13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며, 위치 산출부(132)는 GPS 신호를 받아서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 중 "체력 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체력 관리 모드를 명령한다(S202).
사용자의 키입력 조작에 의해 키입력부(104)로부터 체력 관리에 대한 키입력이 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모드상태 저장부(110)에 체력 관리 모드에 대한 상태 플래그를 저장해 두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체력 관리 모드로 전환하며, GPS 수신부(130)를 활성화하고 체력 관리 기능을 실행한다.
이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체력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LCD 표시부(106)로 출력한다(S204). 즉, 사용자의 몸무게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 예컨대, "몸무게를 입력하여 주세요(Kg)"나 사용자의 키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 "자신의 키를 입력하여 주세요(Cm)"라는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출력 표시한다.
사용자는 키입력부(204)를 조작하여 자신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숫자, 예컨대, "70"이나, 자신의 키에 해당하는 숫자, 예컨대, "172" 등의 신체 정보를 입력한다(S206).
키입력부(204)로부터 신체 정보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입력된 신체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08)에 저장하여 보관한다(S208).
이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활성화된 GPS 수신부(130)를 통해 GPS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10).
GPS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GPS 신호를 받아서 위치 산출부(132)를 통해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한다(S212).
GPS 수신부(130)는 각각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에서 위치 측정 시스템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상의 위치를 식별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운동량 산출부(112)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여 LCD 표시부(206)로 표시 출력한다(S214).
여기서, 이동(운동) 거리의 산출은 먼저 GPS 신호를 수신하여 단위시간 n에서의 위치 tn을 산출하고, n+1에서의 위치 tn+1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데이터 저장부(108)에 저장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l0부터 ln까지의 거리를 저장하고, 에 따라 연산하여 Ln이 최초 입력한 목표거리에 도달하면 신호음을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6)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근거로 소비량 산출부(114)를 통해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LCD 표시부(206)로 표시 출력한다(S216).
일반적으로 운동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남녀가 약 80%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체중에 따른 운동 효과, 또 운동 강도에 따른 차별을 두어 계산하고 있다.
일예로 70Kg의 성인 남자가 보통의 속도로 달리기를 10분 정도 하였을 경우 약 151 Kcal의 칼로리가 소모되고, 같은 사람이 천천히 10분 정도 걸었을 경우에는 약 24 Kcal의 칼로리가 소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최초 이동(운동)거리 목표량을 입력하여 운동을 하면, 이동 단말기는 매 시간 이동거리와 시간을 표시하고, 중간의 별다른 확인 절차가 없이 목표량에 해당하는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신호음을 자동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하고자 하는 목표량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는 단위시간에 따른 위치를 연결한 직선으로 연산이 되므로 곡선 구간에서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적당한 보상값을 부여한다면 그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위치 측정 주기 즉 단위 시간을 작게 설정한다면 그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310), 무선 기지국(320), 이동 교환국(330), 게이트웨이(340), 무선 체력관리 서버(350),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36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이동 단말기(31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 전화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무선 체력관리 서버(35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거나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도록 요구하며, 또한 무선 체력관리 서버(350)로부터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3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320)은 기지국 전송기(BTS)(322), 기지국 제어기(BSC)(324)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32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 단말기(31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 교환국(33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31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처리한다. 기지국 전송기(322)는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기지국 전송기(322)가 위치한 위도와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322)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310)로 전달한다. 이동 단말기(31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32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31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31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322)를 통하여 이동 교환국(33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322)가 이동 단말기(310)로 착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 단말기(31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310)의 위치 등록은 이동 단말기(31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 단말기(310)가 이동 교환국(330) 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이동 단말기(310)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324)는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324)는 위치 등록된 이동 단말기(31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 교환국(330)으로 전송한다.
이동 교환국(330)은 이동 통신망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교환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동 교환국(330)은 무선 기지국(320)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31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이동 교환국(330) 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334)에 이동 단말기(31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332)로 이동 단말기(31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여기서, HLR(332)은 이동 단말기(310)의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의 전화 호를 비롯하여 이동 단말기(310)의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단말기 고유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HLR(332)은 이동 단말기(310)가 위치한 무선 기지국(320)과 이동 교환국(33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교환국(330)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310)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도 갖는다.
게이트웨이(340)는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IWF(Inter Working Function) 변환 기능을 가지며, 셀(Cell)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셀 단위로 스위칭한다. 게이트웨이(14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Broad ISDN), IN(Intelligent Network),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의 타 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게이트웨이(340)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도 포함되는데, WAP 브라우저가 설치된 이동 단말기(310)가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에 접속되기 위해서는 WAP 게이트웨이 및 인터넷(350)을 경유하게 된다. 여기서, WAP 게이트웨이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WAP 프로토콜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요청 받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로 전송한다. 역으로,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로부터의 TCP/I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31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에 접속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350)은 이동 단말기(310)가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이동 단말기(3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즉 키, 몸무게 등의 신체 정보를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370)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310)를 통해 체력 관리 서비스의 요청이 있으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3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어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여 이동 단말기(310)로 제공하고, 또한 이동거리와 속도 및 신체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이동 단말기(31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예컨대, SK 텔레콤 이동 통신망의 이동 교환국(330) 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독립된 운영 방식의 장치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자신에게 접속하는 이동 단말기(310)로부터 신체 정보를 등록받기 위하여 DHTML(Dynamic HyperText Markup Language)과 같은 웹 언어로 구현된 웹사이트나 WAP을 위한 WML(Wireless Makrup Language)과 같은 언어로 구현된 웹사이트를 운용한다.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370)는 이동 단말기(3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으며, 각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된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 등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다.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37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충분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31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메뉴 중에서 "무선 체력관리" 메뉴를 선택하여 통화를 요청함으로써,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무선 접속을 수행한다.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접속한 이동 단말기(310)로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메뉴를 제공한다. 이때,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메뉴에는 신체 정보 등록, 무선 체력관리 실행, 가입자 정보 수정 등의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메뉴 중 "무선 체력관리 실행"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의 체력관리를 요청하게 된다(S402).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이동 단말기(310)로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S404). 즉, 사용자의 몸무게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 예컨대, "몸무게를 입력하여 주세요(Kg)"나 사용자의 키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 "자신의 키를 입력하여 주세요(Cm)"라는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이동 단말기(310)로 제공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이동 단말기(3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미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에 가입하여 신체 정보를 등록한 상태라면, 이동 단말기(310)로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출하지 않고, 곧바로 이동 단말기(3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10)를 조작하여 자신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숫자, 예컨대, "70"이나, 자신의 키에 해당하는 숫자, 예컨대, "174" 등의 신체 정보를 입력한다(S406).
이동 단말기(310)로부터 신체 정보가 전송되어 오면,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370)에 저장하여 보관한다(S408).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이동 교환국(330)과 연동하는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310)가 무선 기지국(320)을 통하여 홈위치 등록기(322)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10).
이동 단말기(310)가 위치 등록을 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홈위치 등록기(322)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31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S412).
이어,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매 일정 시간마다 이동 단말기(310)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여 이동 단말기(310)로 제공해 준다(S414).
그리고,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이동 단말기(310)의 이동거리와 속도 및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근거로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이동 단말기(310)로 제공해 준다(S416).
한편,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310)를 통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에 접속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를 요청한 후, 최초 이동(운동)거리 목표량을 입력하여 운동을 하면, 무선 체력관리 서버(360)는 매 시간마다 위치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310)의 이동거리와 시간을 제공하고, 또한 목표량에 해당하는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이동 단말기(310)로 신호음을 자동 송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하고자 하는 목표량을 달성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10)의 이동 거리는 단위시간에 따른 위치를 연결한 직선으로 연산이 되므로 곡선 구간에서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적당한 보상값을 부여하여 그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위치 측정 주기 즉 단위 시간을 작게 설정하여 그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위치 기반 시스템과 위성 항법 시스템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구비하고,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속도계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운동량 등을 무선 데이터로 서버로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를 휴대한 채 산책이나 도보시 정확한 이동 거리와 속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동거리(운동량)에 따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어 특별한 조깅이나 산책 코스를 선별하여 운동하지 않아도 가까운 주변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운동량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무리한 운동에 따른 신체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항상 최적의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기 102 : 프로그램 메모리
104 : 키입력부 106 : LCD 표시부
108 : 데이터 저장부 110 : 모드상태 저장부
112 : 운동량 산출부 114 : 소비량 산출부
116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8 : DSP
120 : 베이스밴드 변환부 122 : 스피커
124 : 마이크로폰 126 : 안테나
128 : RF 신호 처리부 130 : GPS 수신부
132 : 위치 산출부 300 : 체력관리 서비스 시스템
310 : 이동 단말기 320 : 무선 기지국
330 : 이동 교환국 332 : HLR
334 : VLR 340 : 게이트웨이
350 : 무선 체력관리 서버 360 :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위치 기반 시스템(LBS: Location Base System)과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속도계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신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단위 시간별로 산출하여 이동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며,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이동 거리 및 상기 속도를 근거로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운동량에 따른 체력을 관리하는 체력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체력 관리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체력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키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키입력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체력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키입력 상태와, 실행 현행 및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신체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체력 관리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단위 시간별로 연산되는 위치를 거리로 산출하여 기준점에서의 운동 거리를 산출하는 운동량 산출부;
    저장된 상기 신체 정보와 상기 운동 거리 및 상기 속도를 연산하여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는 소비량 산출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GPS 신호를 받아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체력 관리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체력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 후,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상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산출부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며, 단위 시간별로 파악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로 표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전화 통화 요청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변환하는 이동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이동 거리 목표량을 입력하여 운동을 하면, 매 시간 이동거리와 시간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 출력하고, 목표 설정한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신호음을 자동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는, 단위시간에 따른 위치를 연결한 직선으로 연산이 되므로 곡선 구간에서의 오차가 발생하면, 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보상값을 부여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거나, 위치 측정 주기에 해당하는 단위 시간을 작게 설정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 위치 기반 시스템(LBS: Location Base System)과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근거로 속도계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운동시에 속도와 이동거리 및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이동 단말기의 체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키입력에 의한 체력 관리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제2 단계;
    키입력에 의한 상기 신체 정보의 입력을 저장하는 제3 단계;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제4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여 표시 출력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표시 출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체력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을 통해 이동거리 목표량을 입력하여 운동을 하면, 매 시간 이동거리와 시간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 출력하고, 목표 설정한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신호음을 자동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체력 관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거리는, 단위시간에 따른 위치를 연결한 직선으로 연산이 되므로 곡선 구간에서의 오차가 발생하면, 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보상값을 부여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거나, 위치 측정 주기에 해당하는 단위 시간을 작게 설정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체력 관리 방법.
  8. 위치 기반 시스템(LBS: Location Base System)과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시에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거나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도록 요구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체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체력 관리 서비스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거리와 속도 및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무선 체력관리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된 상기 이동거리와 상기 속도 및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를 포함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를 포함하는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를 포함하는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 체력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를 요청한 후 최초 이동(운동)거리 목표량을 입력하여 운동을 하면, 상기 무선 체력관리 서버는 매 시간마다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거리와 시간을 제공하고, 또한 목표량에 해당하는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신호음을 자동 송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량을 달성하였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
  11.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거리는 단위시간에 따른 위치를 연결한 직선으로 연산이 되므로 곡선 구간에서의 오차가 발생면, 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적당한 보상값을 부여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며, 위치 측정 주기에 해당하는 단위 시간을 작게 설정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
  12. 위치 기반 시스템(LBS: Location Base System)과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근거로 사용자의 운동시에 이동거리와 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는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제2 단계;
    상기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체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확인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제4 단계;
    위치 등록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거리 및 상기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이동거리와 상기 속도 및 상기 신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나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 체력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체력관리 서비스를 요청한 후 최초 이동(운동)거리 목표량을 입력하여 운동을 하면, 상기 무선 체력관리 서버는 매 시간마다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거리와 시간을 제공하고, 또한 목표량에 해당하는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신호음을 자동 송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량을 달성하였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거리는 단위시간에 따른 위치를 연결한 직선으로 연산이 되므로 곡선 구간에서의 오차가 발생면, 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적당한 보상값을 부여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며, 위치 측정 주기에 해당하는 단위 시간을 작게 설정하여 상기 오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 서비스 방법.
KR20040039651A 2004-06-01 2004-06-01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4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9651A KR20050114434A (ko) 2004-06-01 2004-06-01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9651A KR20050114434A (ko) 2004-06-01 2004-06-01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34A true KR20050114434A (ko) 2005-12-06

Family

ID=3728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9651A KR20050114434A (ko) 2004-06-01 2004-06-01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44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53B1 (ko) * 2009-10-19 2013-10-30 비씨카드(주)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101495501B1 (ko) * 2013-06-04 2015-03-04 홍윤경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하는 단말기, 그것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53B1 (ko) * 2009-10-19 2013-10-30 비씨카드(주)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101495501B1 (ko) * 2013-06-04 2015-03-04 홍윤경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하는 단말기, 그것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2938B2 (en) Send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within a communication application
US893826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f-learning location method selection logic
JP6125566B2 (ja) 統合ワイヤレスデバイスロケーション決定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20090219200A1 (en) Transfer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assistance data
EP1720030A1 (en) Transfer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assistance data
WO2001086379A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d tracking mobile telephone devices via the internet
KR1007236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신호 검색 주기를 동적으로변경하는 시스템
CA2641300C (en) Send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within a communication application
KR2006012262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제공하는 단말 기반 지피에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14434A (ko) 속도계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체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58573B1 (ko) 이동통신 단말 기반 위치측위 및 위치정보 획득 방법
KR101115426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점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gps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3684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식당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N111757245B (zh) 一种可穿戴设备的定位方法及服务设备
KR20070057554A (ko) Gp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장 홀 거리 측정 장치 및방법
KR1005906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말 기반지피에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82281B1 (ko) 이동 속도에 따른 서비스 품질 레벨 제어를 통해 위치 측위정확성을 확보하는 모바일 스테이션 기반의 지피에스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27389A (ko) 이동 단말기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CN116847456A (zh) 定位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KR2006005660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특정시설 위치 정보 검색 제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