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566A -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566A
KR20050113566A KR1020050104611A KR20050104611A KR20050113566A KR 20050113566 A KR20050113566 A KR 20050113566A KR 1020050104611 A KR1020050104611 A KR 1020050104611A KR 20050104611 A KR20050104611 A KR 20050104611A KR 20050113566 A KR20050113566 A KR 20050113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owel
input
hangul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찬
Original Assignee
조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찬 filed Critical 조영찬
Priority to KR102005010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3566A/ko
Publication of KR2005011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 정방형으로 배열된 4개의 키에 2개의 'ㅡ'(가로획)과 2개의 'l'(세로획)을 각각 대응하여 설정한다.
각 키에는 좌측 상단 키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ㅣ’(세로획), ‘ㅡ’(가로획), ‘ㅣ’(세로획), ‘ㅡ’(가로획)을 순차배열한다.
필요한 모든 모음은 4개의 각 키의 조합으로 입력되며, 사용자가 가장 익숙하게 사용하는 실제 필기순서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입력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ㅏ’, ‘ㅓ’, ‘ㅗ’, ‘ㅜ’, ‘ㅡ’, ‘ㅣ’의 기본모음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어 직관적 학습과 효율적인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용화되어 있는 이른바 EZ한글 등에서와 같이 기능키를 이용한 인위적인 모음 변환방식으로 불편과 혼동을 초래하는 단점과, 마찬가지로 상용화되어 있는 이른바 천지인 방식의 입력이 상당부분의 모음에서 자연적인 필기순서에 역행하거나 또는 관련성이 저하되어 사용자가 머릿속으로 임의의 이미지를 상정하며 입력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감안할 때, 초기학습의 용이, 직관적 입력에 의한 손가락 반응속도의 단축, 상하좌우 각각 2 클릭을 벗어나지 않는 운지 거리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 방법{Korean Vowel Input System for Keypad}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가전기기 리모트컨트롤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글 입력요소 중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효율적인 입력방법이 요구되는 한글 모음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식에 대한 표준화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고, 또한 유비쿼터스의 대두로 다양한 응용기기에서 쌍방향 의사소통을 위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볼 때, 보다 효율적이고 학습이 용이한 한글 입력방법의 발명이 시급하다.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고려할 때, 자음입력의 경우 대부분 각각의 키에 할당된 자음을 순차적으로 누르거나 변환기능키를 이용해 입력함에 있어 대동소이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으나, 한글 모음입력의 경우 대표적인 방식으로 이른바 천지인 방식의 모음 구성요소 조합방법과 이른바 EZ한글 방식의 모음변환 방식 모두 나름대로 단점이 있어, 본 발명을 통해 보다 용이한 한글 모음입력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기존의 대표적인 한글 입력방식인 천지인 방식이 채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할당된 한글 모음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천지인 방식의 한글 입력방법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지인 방식은, 키패드의 ‘1번’에 ‘ㅣ’, ‘2번’에 ‘.’, ‘3번’에 ‘ㅡ’를 각각 할당하여 ‘긴세로획’, ’짧은획’, ’긴가로획’을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고 있어, ‘ㅣ’, ‘ㅡ’, ‘ㅏ’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필기방향과 역행하거나 또는 무관한 방향으로 키를 눌러야 한다. 예컨대, 대표적인 단모음 ‘ㅓ’의 경우 통상적인 필기방향은 좌에서 우로 진행되지만, 천지인 방식에서는 우에서 좌의 방향으로 키를 눌러야 하고, 이에 따라 시각적인 인식은 전혀 불가능한 상태에서 머릿속으로 임의의 이미지를 상정하여 입력해야만 하게 된다. 또한 단모음 ‘ㅜ’의 경우에 있어서도, 통상의 필기방향은 상에서 하의 방향으로 진행되지만, 천지인 방식에서는 전혀 관련성이 없는 우에서 좌의 방향으로 키를 눌러야하고 마찬가지로 시각적인 이미지는 없이 머릿속에 별도로 ‘ㅜ’라는 이미지를 상정하며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입력방식은, 우선 초기학습에 있어 장애가 되며, 나아가 숙달된 사용자의 경우에도 일시적인 혼동 또는 교착을 불러올 수 있어 특히 빠른 속도로 입력을 하고자 하는 젊은 사용자에게는 두뇌이미지와 손가락 반응에 있어 이미지 단절을 가져오며, ‘ㅞ’나 ‘ㅙ’같은 복모음의 입력에 있어서는 그 구조적 결함이 몇 배로 가중된다. 아울러, 운지 거리 및 방향을 볼 때, 키패드의 특정 한 줄에 3개의 모음 입력용 키를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대부분 엄지 손가락만을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고려할 때 키 입력횟수가 많고 빈번한 좌우왕복으로 인해 엄지 관절의 피로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천지인 방식에 따른 입력의 예로 ‘여야회담’의 모음 부분만을 입력하고자 하면,
‘ㅕ’는 숫자키 ‘2번’, ‘2번’, ‘1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ㅑ’는 숫자키 ‘1번’, ‘2번’, ‘2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ㅚ’는 숫자키 ‘2번’, ‘3번’, ‘1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ㅏ’은 숫자키 ‘1번’, ‘2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된다.
도 2는 기존의 한글 입력방식인 EZ한글이 채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할당된 한글 모음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EZ한글 방식의 한글 입력방법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EZ한글 방식은, 키패드의 ‘3번’에 ‘ㅏ,ㅓ’, ‘6번’에 ‘ㅗ,ㅜ’, ‘9번’에 ‘ㅣ’, ‘0번’에 ‘ㅡ’를 배열하고 ‘*’에 ‘획추가’기능을 부여한 방식이다. 이러한 한글 모음 입력방법은, 키패드의 우측 한 줄에 3개의 모음 입력용 키를 할당하여, 맨 위 키에 ‘ㅏ’와 ‘ㅓ’를, 중간 키에 ‘ㅗ’와 ‘ㅜ’를 그리고 그 아래 키에 ‘ㅣ’를 배열하고 별도로 ‘ㅡ’입력 키와 ‘획추가’ 기능키를 추가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EZ한글 방식에 의하면, 단모음 중 ‘ㅏ’, ‘ㅗ’, ‘ㅣ’, ‘ㅡ’의 4개는 직관적인 인지와 함께 한 번의 키 누름으로 입력할 수 있지만, ‘ㅓ’, ‘ㅜ’의 경우 순차적으로 2번을 눌러야 입력되어 숙달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화면상의 모음변환을 시각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을 준다. 나아가, ‘ㅑ’, ‘ㅕ’, ㅛ’, ‘ㅠ’의 경우 전혀 별개의 입력규칙인 ‘획추가’ 기능키를 누르도록 되어 있어, 초기학습이 난해하고 숙달된 사용자라 하더라도 지속적인 입력과정 중 연관성 없는 복수의 입력규칙을 동시에 구현해야 하여 입력속도가 저하되고 일시적인 혼동 또는 교착을 불러올 수 있어 직관적 입력이 곤란한 방법이다. 아울러, 기본 단모음의 조합을 통해 복모음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키 누름 횟수를 다소 줄였다고는 하나, 모음입력을 위해 총 5개의 키를 사용하게 되어 긴 운지 거리와 함께 대각선 방향으로 키패드의 최원거리를 반복적으로 이동해야 함을 고려할 때, 두뇌에서의 모음구현 과정 자체가 복잡하고 또한 이를 실질적인 키패드 입력으로 반응하는 손가락 움직임에 있어서도 시간지연 및 가중되는 피로도를 감안하면 상당히 비효율적인 모음입력 방식으로 판단된다.
EZ한글에 따른 입력의 예로 ‘여야회담’의 모음 부분만을 입력하고자 하면,
‘ㅕ’는 숫자키 ‘3번’, ‘3번’,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ㅑ’는 숫자키 ‘3번’, ‘*’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ㅚ’는 숫자키 ‘6번’, ‘9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ㅏ’은 숫자키 ‘3번’ 키의 입력으로 완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 한글 모음입력 방법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가전기기 리모트컨트롤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을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한 한글 모음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남녀노소 구분없이 초기학습이 획기적으로 용이하며 또한 빠르고 쉽게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 상하좌우 인접한 4개의 키 중 좌측상단에 위치한 키에 ‘ㅣ’(세로획)을, 시계방향으로 진행하며 다음 키에 ‘ㅡ’(가로획)을, 다음 키에 다시 ‘ㅣ’(세로획)을, 마지막 키에 다시 ‘ㅡ’(가로획)을 배열하여, 4개의 모음입력 키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였다.
각각 ‘가로획’과 ‘세로획’으로 명명한 모음 입력요소는, 통상적으로 물리적 필기구로 종이에 필기할 경우에 착안하여, 모든 모음 필기 방법이 ‘가로획’과 ‘세로획’ 2가지 형태요소로 구성됨을 인식하고, 모든 모음을 이 2가지 형태요소로 분석하여 입력의 기초로 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에 따르면, ‘ㅏ’는 ‘세로획’ 1개와 ‘가로획’ 1개로 구성되고, ‘ㅑ’는 ‘세로획’ 1개와 ‘가로획’ 2개로 구성되며, ‘ㅓ’는 ‘ㅏ’와 마찬가지로 ‘세로획’ 1개와 ‘가로획’ 1개로 구성되고, ‘ㅕ’는 ‘ㅑ’와 마찬가지로 ‘세로획’ 1개와 ‘가로획’ 2개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모음의 실제 필기 진행방향을 살펴보면 ‘ㅏ’, ‘ㅑ’, ‘ㅓ’, ‘ㅕ’ 등은 좌에서 우로 필기가 진행되고 ‘ㅗ’ ‘ㅛ’ ‘ㅜ’ ‘ㅠ’ 등은 상에서 하로 필기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모음은 필기진행방향과 ‘가로획’, ‘세로획’의 형태요소를 조합하면 간결하면서도 실제 필기방법과 가장 유사한 분석방법이 도출된다.
이에 따라, 모든 단모음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ㅏ’는 좌측에 ‘세로획’을 긋고 우측에 ‘가로획’을 그으며,
‘ㅑ’는 좌측에 ‘세로획’을 긋고 우측에 ‘가로획’, ‘가로획’을 연속해서 그으며,
‘ㅓ’는 좌측에 ‘가로획’을 긋고 우측에 ‘세로획’을 그으며,
‘ㅕ’는 좌측에 ‘가로획’, ‘가로획’을 연속해서 긋고 우측에 ‘세로획’을 그으며,
‘ㅗ’는 상측에 ‘세로획’을 긋고 하측에 ‘가로획’을 그으며,
‘ㅛ’는 상측에 ‘세로획’, ‘세로획’을 연속해서 긋고 하측에 ‘가로획’을 그으며,
‘ㅜ’는 상측에 ‘가로획’을 긋고 하측에 ‘세로획’을 그으며,
‘ㅠ’는 상측에 ‘가로획’을 긋고 하측에 ‘세로획’, ‘세로획’을 연속해서 그으며,
‘ㅡ’는 ‘가로획’만을 긋고,
‘ㅣ’는 ‘세로획’만을 긋는다.
복모음은 위에 분석된 단모음의 결합으로 볼 수 있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가로획’과 ‘세로획’ 및 그 진행방향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음 분석을 기초로 하여, 총 4개의 키 버튼에 ‘ㅡ’(가로획)과 ‘ㅣ’(세로획)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키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모음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시각적 직관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2개의 연속된 키 자체로 기본 모음이 연상될 수 있도록 하여, 좌측상단키와 우측상단키로는 ‘ㅏ’를 연상케 하고, 우측상단키와 우측하단키로는 ‘ㅜ’를 연상케 하고, 좌측상단키와 좌측하단키로는 ‘ㅗ’를 연상케 하고, 좌측하단키와 우측하단키로는 ‘ㅓ’를 연상케 하여 직관적 모음입력이 용이하도록 배열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실제 적용한 경우를 상정한 도면으로, 실제 적용의 경우에는 4개의 모음 입력용 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또한 4개의 모음 입력용 키 그룹의 배열위치도 12개의 전체 키패드중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거하여 각각의 단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음 ‘ㅏ’는, 좌측상단 ‘7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누른 후 필기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우측으로 이동하여 ‘8번’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누른다.
모음 ‘ㅑ’는, 좌측상단 ‘7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누른 후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우측으로 이동하여 ‘8번’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2회 누른다.
모음 ‘ㅓ’는, 좌측하단 ‘*’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누른 후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우측으로 이동하여 ‘0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누른다.
모음 ‘ㅕ’는, 좌측하단 ‘*’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2회 누른 후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우측으로 이동하여 ‘0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누른다.
모음 ‘ㅗ’는, 좌측상단 ‘7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누른 후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아래로 이동하여 ‘*’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누른다.
모음 ‘ㅛ’는, 좌측상단 ‘7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2회 누른 후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아래로 이동하여 ‘*’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누른다.
모음 ‘ㅜ’는, 우측상단 ‘8번’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누른 후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아래로 이동하여 ‘0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누른다.
모음 ‘ㅠ’는, 우측상단 ‘8번’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누른 후 필기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아래로 이동하여 ‘0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2회 누른다.
모음 ‘ㅡ’는, 좌측하단 ‘*’에 할당된 ‘ㅡ’(가로획)을 누른다.
모음 ‘ㅣ’는, 좌측상단 ‘7번’에 할당된 ‘ㅣ’(세로획)을 누른다.
단모음 입력에 있어 ‘ㅣ’와 ‘ㅡ’는 입력방식상 각각 2개의 키 중 1개의 키에만 할당하였으며, 단모음 이외의 복모음은 필기방식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단모음을 연결해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입력한다. 복모음 입력의 예를 들어, ‘ㅞ’는 ‘ㅜ’와 ‘ㅓ’와 ‘ㅣ’를 차례로 입력하고 ‘ㅙ’는 ‘ㅗ’와 ‘ㅏ’와 ‘ㅣ’를 차례로 입력한다. 복모음 ‘ㅢ’는 ‘ㅡ’와 ‘ㅣ’를 차례로 입력한다. 한편, 복모음 ‘ㅢ’의 경우를 제외하고, 필기진행 방향에 역행하는 그 외의 모든 단모음 오류입력은 무효 값으로 처리한다. 이러한 무효 값의 예로는, ‘8번’을 누른 후 ‘7번’을 누르거나, ‘0번’을 누른 후 ‘8번’을 누르거나, ‘0번’을 누른 후 ‘*’을 누르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1]
한글 모음 키패드 입력
7번키, 8번키
7번키, 8번키, 8번키
*키, 0번키
*키, *키, 0번키
7번키, *키
7번키, 7번키, *키
8번키, 0번키
8번키,0번키,0번키
*키
7번키
7번키, 8번키, 7번키
7번키, 8번키, 8번키, 7번키
*키, 0번키, 7번키
*키, *키, 0번키, 7번키
7번키, *키, 7번키, 8번키
7번키, *키, 7번키, 8번키, 7번키
7번키, *키, 7번키
8번키, 0번키, *키, 0번키
8번키, 0번키, *키, 0번키, 7번키
8번키, 0번키, 7번키
*번키, 7번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입력에 있어, 상기 표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하게 되면 필요한 모든 모음을 충돌없이 빠르게 입력가능하며, 특히 초기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숙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글 모음입력 방식에 따라, 앞에 예를 들었던 ‘여야회담’의 모음 부분을 입력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ㅕ’는 키패드 ‘*’, ‘*’, ‘0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ㅑ’는 키패드 ‘7번’, ‘8번’, ‘8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ㅚ’는 키패드 ‘7번’, ‘*’, ‘7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되며,
‘ㅏ’은 키패드 ‘7번’, ‘8번’ 키의 연속입력으로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모음입력 방법은, 이미 일반화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직관적이고 사실적인 이미지 연상이 가능한 입력방식을 택하고 있음에 따라 한글 모음을 빠르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특히 가전기기 리모트컨트롤 등에서 다양한 쌍방향 의사소통을 위해 점차 한글 입력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한글 입력 수요자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범위를 넘어서 유아동 및 노년에 이르기까지 확대될 것인바, 초기 학습이 효과적으로 빠르고 쉬우며 별도의 방식암기가 필요없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른바 천지인 방식의 한글 모음입력 방식이 채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할당된 모음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이른바 EZ한글 방식의 한글 모음입력 방식이 채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할당된 모음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모음입력 방식이 채택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에 할당된 모음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
    2개의 ‘가로획’과 2개의 ‘세로획’으로 구성되어 총 4개의 키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한글 모음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4개의 키를 정방형으로 배열하고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ㅣ’(세로획), ‘ㅡ’(가로획), ‘ㅣ’(세로획), ‘ㅡ’(가로획)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한글 모음입력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 해당 키가 눌러지는 횟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한글 모음입력 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단모음 입력방법을 연결하여 입력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복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한글 모음입력 방법.
KR1020050104611A 2005-11-02 2005-11-02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방법 KR20050113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611A KR20050113566A (ko) 2005-11-02 2005-11-02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611A KR20050113566A (ko) 2005-11-02 2005-11-02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566A true KR20050113566A (ko) 2005-12-02

Family

ID=3728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611A KR20050113566A (ko) 2005-11-02 2005-11-02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35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872B1 (ko) * 2007-08-13 2009-11-02 임원 통신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WO2011078423A1 (ko) * 2009-12-23 2011-06-30 Park Dae Youl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872B1 (ko) * 2007-08-13 2009-11-02 임원 통신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WO2011078423A1 (ko) * 2009-12-23 2011-06-30 Park Dae Youl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0480B (zh) 触摸屏上实现手写笔画输入的方法
CN108227947B (zh) 正方形键盘及基于该正方形键盘的输入法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WO2006115345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US20130057478A1 (en) Ethiopic computer keyboard
CN104598045B (zh) 五宫格输入法
KR20050113566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입력방법
KR100749137B1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20010059872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10020747A (ja) 象形的組み合わせ及び使用頻度数を使用した小型キーパッドでのアルファベット入力装置及びアルファベット認識システム
CN101226427A (zh) 适合移动通讯设备和掌上电脑的键盘和相应输入方法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1271352B1 (ko) 5버튼 키보드
CN101261564A (zh) 一种用于输入汉字的虚拟键盘及操作方法
KR100432531B1 (ko) 초성자음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범용 전화기형 자판 및이를 이용한 한글문자 구현방법
KR100669227B1 (ko) 3×4 키패드를 갖는 제품을 위한 한글문자 입력장치
KR102307004B1 (ko) 공용모음버튼이 포함된 모바일장치용 한글 문자판과 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KR20060100655A (ko) 스피드 한글 입력 시스템
JP4288479B2 (ja) 多ストローク式仮名文字キー入力方法とその装置。
KR20230082975A (ko)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50053916A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50035681A (ko) 한글 문자의 모양 및 필기시의 획순을 이용한 쉬운 한글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