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389A - 4륜원통 포인펌프 - Google Patents

4륜원통 포인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389A
KR20050113389A KR1020040038017A KR20040038017A KR20050113389A KR 20050113389 A KR20050113389 A KR 20050113389A KR 1020040038017 A KR1020040038017 A KR 1020040038017A KR 20040038017 A KR20040038017 A KR 20040038017A KR 20050113389 A KR20050113389 A KR 20050113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n gear
eccentric
gea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돌핀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돌핀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돌핀펌프
Priority to KR102004003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3389A/ko
Publication of KR2005011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082Details specially related to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 F04C11/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Pumping installation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16H1/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the members having helical, herringbone, or like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4개의 용적실에 각각 배치된 임펠러의 진공작용에 의해 펌핑물이 각각의 용적실을 통해 펌핑되는 4륜원통 포인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는 기어박스(GB)에 직립 구동 샤프트(VS)가 배치되고, 상기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제 1 및 제 2 구동기어(111, 113)가 장착되고, 상기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종동기어(115, 117)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기어(111, 113)에 각각 결합되고, 제 1 구동기어(111)에 맞물린 제 1 종동기어(1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2 구동기어(113)에 맞물린 제 2 종동기어(11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제 1 편심 샤프트(ES1)와 제 2 편심 샤프트(ES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제 3 편심 샤프트(ES3)와 제 4 편심 샤프트(ES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의 편심부(121, 123, 125, 127)에 장착되는 4개의 피스톤(P1, P2, P3, P4)이 상기 제 1 실린더 블록(CB1)과 제 2 실린더 블록(CB2)의 용적실에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P1, P2, P3, P4)들이 상기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의 회전에 의해 편심내접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4륜원통 포인펌프{Four in pump with four wheel cylinder}
본 발명은 4개의 용적실에 각각 배치된 임펠러의 진공작용에 의해 펌핑물이 각각의 용적실을 통해 펌핑되는 4륜원통 포인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기어에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작동 샤프트의 종동기어로 동력전달을 하는 동력전달방식이 개선되어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고, 부품의 마모가 줄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4륜원통 포인펌프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048485호(2003년 11월 24일 등록)에 "포인펌프"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포인펌프는 제 1 편심 샤프트에 장착된 제 1 종동기어와 제 2 편심 샤프트에 장착된 제 2 종동기어 사이에 구동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편심 샤프트의 양단부에 피스톤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포인펌프는 1개의 구동기어에 2개의 종동기어가 동시에 맞물리기 때문에 구동기어의 마모가 빨리 진행되며, 제 1 종동기어와 제 2 종동기어 사이에 구동기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종동기어와 제 2 종동기어 사이의 간격이 클 수 밖에 없어, 펌프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기어에서 피스톤(또는 임펠러)을 회전시키는 작동 샤프트의 종동기어로 동력전달을 하는 동력전달방식을 개선함으로서,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고, 부품의 마모가 줄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4륜원통 포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100)는 제 1 실린더 블록(CB1)과 제 2 실린더 블록(CB2)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GB)에 직립 구동 샤프트(VS)가 배치되고, 상기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제 1 및 제 2 구동기어(111, 113)가 장착되고, 4개의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 ; 종동 샤프트)가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종동기어(115, 117)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기어(111, 113)에 각각 결합되고, 제 1 구동기어(111)와 제 2 구동기어(113)는 톱니줄기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제 1 구동기어(111)에 맞물린 제 1 종동기어(1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2 구동기어(113)에 맞물린 제 2 종동기어(11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제 1 편심 샤프트(ES1)와 제 2 편심 샤프트(ES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제 3 편심 샤프트(ES3)와 제 4 편심 샤프트(ES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의 편심부(121, 123, 125, 127)에 장착되는 4개의 피스톤(P1, P2, P3, P4)이 상기 제 1 실린더 블록(CB1)과 제 2 실린더 블록(CB2)의 용적실에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P1, P2, P3, P4)들이 상기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의 회전에 의해 편심내접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구동 직립 샤프트(VS)는 버티컬 모터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되거나 또는 벨트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111, 113)와 종동기어(115, 117)의 결합관계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를들어 상기 제 1 구동기어(111)가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우비틀림 헬리컬 기어일 경우, 상기 제 1 구동기어(1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종동기어(115)는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좌비틀림 헬리컬 기어가 되고, 상기 제 2 구동기어(113)는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좌비틀림 헬리컬 기어가 되고, 상기 제 2 구동기어(113)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 2 종동기어(117)는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우비틀림 헬리컬 기어가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구동 직립 샤프트(VS)와 4개의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는 수직으로 교차되고, 구동 직립 샤프트(VS)가 회전하면, 제 1 구동기어(111)와 제 1 종동기어(115)가 연동되어, 상기 제 1 종동기어(115)에 끼워진 제 1 편심 샤프트(ES1)와 제 2 편심 샤프트(ES2)가 시계방향(도 2에서 보았을 때)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제 2 구동기어(113)와 제 2 종동기어(117)가 연동되어, 제 2 종동기어(117)에 끼워진 제 3 편심 샤프트(ES3)와 제 4 편심 샤프트(ES4)가 반시계방향(도 2에서 보았을 때)으로 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는 대한민국 특허 제408485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0043777호의 "포인펌프"에 제기된 문제(제 1 피스톤(P1)과 제 3 피스톤(P3)이 제 1 실린더 블록(CB1)의 용적실(131, 133)에서 편심내접운동하는 도중에 제 1 피스톤(P1)과 제 3 피스톤(P3)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CF1)이 대각선으로 배치되었을 때, 제 1 피스톤(P1)과 제 3 피스톤(P3)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동기어(111, 113)와 종동기어(115, 117)의 편심관계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종동기어(115)에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편심 샤프트(ES1, ES2)의 회전중심(O2)이 제 1 종동기어(115)의 중심(O1)에서 소정의 간격(t)만큼 편심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편심 샤프트(ES1, ES2)가 제 1 종동기어(115)에 장착된다. 제 2 종동기어(117)에 끼워지는 제 3 및 제 4 편심 샤프트(ES3, ES4)의 회전중심(O3) 또한 제 2 종동기어(117)의 중심(O3)에서 소정의 간격(t)만큼 편심되도록, 상기 제 3 및 제 4 편심 샤프트(ES3, ES4)가 제 2 종동기어(117)에 장착된다.
이와같이 편심 샤프트가 종동기어에 편심되도록 장착되므로서, 피스톤의 과부하 문제가 해결되는 원리는 이미 대한민국 특허 제408485호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편심 샤프트가 종동기어에 편심되도록 장착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해결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0043777호에 소개된 바와같이, 편심 샤프트와 피스톤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의 하우징 일부면이 피스톤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베어링의 하우징(외륜) 또는 피스톤의 내주면을 타원으로 가공하여 피스톤이 용적실에서 30°(또는 60°), 120°(또는 150°), 210°(또는 240°) 및 300°(또는 330°)의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피스톤이 용적실의 접촉으로부터 반발력을 받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피스톤(P1)과 제 3 피스톤(P3)은, 이미 공지된 바와같이, 흡입구(135)와 토출구(137)가 직접 소통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 1 실린더 블록(CB1)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 프레임(CF1)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용적실(131, 133) 내에서 제 1 피스톤(P1)과 제 3 피스톤(P3)의 편심내접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에 의해 흡입이 이루어지고, 제 1 피스톤(P1)과 제 3 피스톤(P3)이 펌핑물을 밀어내는 힘에 의해 펌핑물이 토출된다.
상기 제 2 및 제 4 피스톤(P2, P4) 또한 제 1 및 제 3 피스톤(P1, P3)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의 작동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제 1 편심 샤프트(ES1)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제 1 용적실(131)에 배치된 제 1 피스톤(P1)이 도 4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편심내접회전할 때, 제 3 편심 샤프트(ES3)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제 3 용적실(133)에 배치된 제 3 피스톤(P3)이 도 4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편심내접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상태에서 제 1 피스톤(P1)이 도 5의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편심내접회전하게 될 때, 제 1 피스톤(P1)에 의해 제 1 용적실(131)로 유입되었던 펌핑물이 토출구(137)로 토출되는 것과 동시에 흡입구(135)로 계속해서 펌핑물이 흡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 3 용적실(133)에서는 제 3 피스톤(P3)의 펌핑물 토출과정이 완료되고 흡입과정이 시작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 실린더 블록(CB2; 도 1 참조)의 제 2 용적실 및 제 4 용적실에서는 제 2 피스톤(P2) 및 제 4 피스톤(P4)가 제 1 피스톤(P1) 및 제 3 피스톤(P3)에 대해 180°의 위상차를 갖는 편심내접운동을 하게 되므로서, 제 1 피스톤(P1) 및 제 3 피스톤(P3)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편심 샤프트(ES1)와 제 3 편심 샤프트(ES3) 사이의 간격(d)을 줄일 수 있어 펌프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편심 샤프트(ES1)와 제 3 편심 샤프트(ES3) 사이의 간격(d)이 줄어들 경우, 이에 대응되게 제 1 및 제 3 피스톤(P1, P3)의 크기 및 제 1 실린더 블록(CB1)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어, 펌프의 전체폭(W)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서, 펌프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여 중소형 펌프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펌프는 제 1 구동기어(111)와 제 1 종동기어(115) 그리고, 제 2 구동기어(113)와 제 2 종동기어(117)가 일대일로 맞물려 연동되기 때문에 구동기어(111, 113)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200)는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GB)에 직립 구동 샤프트(VS)가 배치되고, 상기 직립 구동 샤프트(210)에 제 1 및 제 2 구동기어(211, 213)가 장착되고, 4개의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 ; 종동 샤프트)가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종동기어(215, 217)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기어(211, 213)에 결합되고, 제 1 구동기어(211)와 제 2 구동기어(213)는 톱니줄기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제 1 구동기어(211)에 맞물린 제 1 종동기어(2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2 구동기어(213)에 맞물린 제 2 종동기어(2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제 1 직선 수평 샤프트(SS1)와 제 2 직선 수평 샤프트(SS2)가 시계방형으로 회전되고, 제 3 직선 수평 샤프트(SS3)와 제 4 직선 수평 샤프트(SS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에 장착되는 4개의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의 용적실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의 회전에 의해 내접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211, 213)와 종동기어(215, 217)의 결합관계는 제 1 실시예의 포인펌프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3 임펠러(I1, I3)와 제 2 및 제 4 임펠러(I2, I4)의 구성 및 작동이 동일하여 제 1 및 제 3 임펠러(I1, I3)만을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3 임펠러(I1 ; I3)는 중심에 제 1 및 제 3 직선 수평 사프트(SS1 ; SS3)가 각각 장착되고, 제 1 하우징 블록(HB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4개의 날개부(221 ; 23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221 ; 231) 사이에 4개의 오목부(223 ; 233)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임펠러(I1 ; I3)가 회전할 때, 제 1 임펠러(I1)의 오목부(223)와 제 3 임펠러(I3)의 날개부(231)가 결합되거나 제 1 임펠러(I1)의 날개부(221)와 제 3 임펠러(I3)의 오목부(233)가 결합되어, 흡입구(241)와 배출구(243) 사이가 차단되므로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펌핑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날개부(221 ; 231)에는 단부의 중심에 고무(250)가 끼워진다. 상기 고무(250)는 용적실과 날개부의 시일링(sealing)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200)는 제 1 실시예의 포인펌프와 마찬가지로 펌프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여 중소형 펌프로 제조할 수 있고,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일대일로 맞물려 구동기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인펌프는 종동기어 및 임펠러에 편심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품가공 및 제품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 1 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하는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300)는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GB)에 직립 구동 샤프트(VS)가 배치되고, 상기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구동기어(311)가 장착되고, 제 1 직선 수평 샤프트(SS1 ; 종동 샤프트)가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에 장착되는 제 1 종동기어(315)가 상기 구동기어(311)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종동기어(315)와 제 2 종동기어(317)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 1 종동기어(315)와 제 2 종동기어(317)가 맞물림으로서, 상기 제 2 종동기어(317)에 끼워지는 제 2 직선 수평 샤프트(SS2 ; 종동 샤프트)가 제 1 직선 수평 샤프트(SS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의 선단 장착부(321, 323, 325, 327)에 장착되는 4개의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의 용적실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의 회전에 의해 내접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I1, I2, I3, I4)의 구성 및 작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의 임펠러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는 축간거리(s)를 줄일 수 있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4륜원통 포인펌프 보다 더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제 2 실시예의 포임펌프와 마찬가지로 임펠러를 편심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품가공 및 제품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 2 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하는 제 3 실시예의 구성요소에는 제 2 실시예와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는 구동기어에서 피스톤(또는 임펠러)을 회전시키는 작동 샤프트의 종동기어로 동력전달을 하는 동력전달방식을 개선함으로서,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고, 부품의 마모가 줄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동기어에 편심 샤프트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4륜원통 포인펌프에서 제 1 및 제 3 피스톤이 작동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 1 및 제 3 임펠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4륜원통 포인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결합관계를 종동기어 도시한 측면도

Claims (6)

  1. 제 1 실린더 블록(CB1)과 제 2 실린더 블록(CB2)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GB)에 직립 구동 샤프트(VS)가 배치되고, 상기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제 1 및 제 2 구동기어(111, 113)가 장착되고, 4개의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가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종동기어(115, 117)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기어(111, 113)에 각각 결합되고, 제 1 구동기어(111)와 제 2 구동기어(113)는 톱니줄기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제 1 구동기어(111)에 맞물린 제 1 종동기어(1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2 구동기어(113)에 맞물린 제 2 종동기어(11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제 1 편심 샤프트(ES1)와 제 2 편심 샤프트(ES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제 3 편심 샤프트(ES3)와 제 4 편심 샤프트(ES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의 편심부(121, 123, 125, 127)에 장착되는 4개의 피스톤(P1, P2, P3, P4)이 상기 제 1 실린더 블록(CB1)과 제 2 실린더 블록(CB2)의 용적실에 서로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P1, P2, P3, P4)들이 상기 편심 샤프트(ES1, ES2, ES3, ES4)의 회전에 의해 편심내접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원통 포인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기어(111)가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우비틀림 헬리컬 기어일 경우, 상기 제 1 구동기어(1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종동기어(115)는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좌비틀림 헬리컬 기어가 되고, 상기 제 2 구동기어(113)는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좌비틀림 헬리컬 기어가 되고, 상기 제 2 구동기어(113)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 2 종동기어(117)는 45°의 비틀림각을 갖는 우비틀림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원통 포인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기어(115)에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편심 샤프트(ES1, ES2)의 회전중심(O2)이 제 1 종동기어(115)의 중심(O1)에서 소정의 간격(t)만큼 편심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편심 샤프트(ES1, ES2)가 제 1 종동기어(115)에 장착되고, 제 2 종동기어(117)에 끼워지는 제 3 및 제 4 편심 샤프트(ES3, ES4)의 회전중심(O3) 또한 제 2 종동기어(117)의 중심(O3)에서 소정의 간격(t)만큼 편심되도록, 상기 제 3 및 제 4 편심 샤프트(ES3, ES4)가 제 2 종동기어(11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원통 포임펌프.
  4.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GB)에 직립 구동 샤프트(VS)가 배치되고, 상기 직립 구동 샤프트(210)에 제 1 및 제 2 구동기어(211, 213)가 장착되고, 4개의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가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종동기어(215, 217)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기어(211, 213)에 결합되고, 제 1 구동기어(211)와 제 2 구동기어(213)는 톱니줄기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제 1 구동기어(211)에 맞물린 제 1 종동기어(2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2 구동기어(213)에 맞물린 제 2 종동기어(2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제 1 직선 수평 샤프트(SS1)와 제 2 직선 수평 샤프트(SS2)가 시계방형으로 회전되고, 제 3 직선 수평 샤프트(SS3)와 제 4 직선 수평 샤프트(SS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제 2 , 제 3 및 제 4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에 장착되는 4개의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의 용적실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 SS3, SS4)의 회전에 의해 내접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원통 포인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임펠러(I1 ; I3)는 중심에 제 1 및 제 3 직선 수평 사프트(SS1 ; SS3)가 각각 장착되고, 제 1 하우징 블록(HB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4개의 날개부(221 ; 23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221 ; 231) 사이에 4개의 오목부(223 ; 233)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임펠러(I1 ; I3)가 회전할 때, 제 1 임펠러(I1)의 오목부(223)와 제 3 임펠러(I3)의 날개부(231)가 결합되거나 제 1 임펠러(I1)의 날개부(221)와 제 3 임펠러(I3)의 오목부(233)가 결합되어, 흡입구(241)와 배출구(243) 사이가 차단되므로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펌핑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원통 포임펌프.
  6.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GB)에 직립 구동 샤프트(VS)가 배치되고, 상기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구동기어(311)가 장착되고, 제 1 직선 수평 샤프트(SS1)가 직립 구동 샤프트(VS)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에 장착되는 제 1 종동기어(315)가 상기 구동기어(311)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종동기어(315)와 제 2 종동기어(317)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 1 종동기어(315)와 제 2 종동기어(317)가 맞물림으로서, 상기 제 2 종동기어(317)에 끼워지는 제 2 직선 수평 샤프트(SS2)가 제 1 직선 수평 샤프트(SS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의 선단 장착부(321, 323, 325, 327)에 장착되는 4개의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HB1)과 제 2 하우징 블록(HB2)의 용적실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I1, I2, I3, I4)가 상기 직선 수평 샤프트(SS1, SS2)의 회전에 의해 내접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원통 포인펌프.
KR1020040038017A 2004-05-28 2004-05-28 4륜원통 포인펌프 KR20050113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017A KR20050113389A (ko) 2004-05-28 2004-05-28 4륜원통 포인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017A KR20050113389A (ko) 2004-05-28 2004-05-28 4륜원통 포인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389A true KR20050113389A (ko) 2005-12-02

Family

ID=3728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017A KR20050113389A (ko) 2004-05-28 2004-05-28 4륜원통 포인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33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672B2 (en) Screw pump with increased volume of fluid to be transferred
CN1081749C (zh) 具有成对圆筒转子的泵
KR100801247B1 (ko) 탠덤 로터리 펌프
KR100919253B1 (ko) 쌍 원통 펌프
EP0873474A1 (en) Twin-cylinder impeller pump
EP2306023B1 (en) Nested motor, reduction motor, reduction gear and pump with selectable mounting options
KR100876547B1 (ko) 트윈 로터리 펌프
KR101728260B1 (ko) 다중 펌프 장치
KR20050113389A (ko) 4륜원통 포인펌프
AU2013205168B2 (en) Pump and /or compressor arrangement including mating, oscillatable vane members for the simultaneous admission and discharge of fluid
CN108787554B (zh) 手持式高压清洗机
CN2784611Y (zh) 一种活塞式缸体旋转压缩机
JP4628481B1 (ja) 容積形往復ポンプ
KR100583574B1 (ko) 로터리 펌프
WO2010150388A1 (ja) ギヤポンプ
KR100448549B1 (ko) 용적식 펌프
KR20190018359A (ko) 맥동저감수단이 구비된 삼각 로터리 펌프
CN217712918U (zh) 压裂泵
KR100882466B1 (ko) 로터리 피스톤 펌프의 구동장치
KR100618949B1 (ko) 아이들 피스톤을 갖춘 용적식 펌프
WO2022219886A1 (ja) ポンプ装置
GB2125109A (en) Rotary positive-displacement fluid-machines
KR100187395B1 (ko) 롤러 펌프
CN2653176Y (zh) 双转子容积泵
KR100625207B1 (ko) 유체 펌프 및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