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417A -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417A
KR20050111417A KR1020040036114A KR20040036114A KR20050111417A KR 20050111417 A KR20050111417 A KR 20050111417A KR 1020040036114 A KR1020040036114 A KR 1020040036114A KR 20040036114 A KR20040036114 A KR 20040036114A KR 20050111417 A KR20050111417 A KR 2005011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support
main body
opening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1417A/ko
Priority to CNB200410103940XA priority patent/CN100397853C/zh
Publication of KR2005011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를 포함한 단말기 전체의 외형이나 단말기가 놓여지는 위치 또는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폴더의 열림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열림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폴더와 본체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열림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폴더와 힌지 결합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와, 왕복 이동되는 상기 지지대를 단계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본체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폴더의 열림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Open Angle Control Equipment For Fold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열림각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를 포함한 단말기 전체의 외형이나 단말기가 놓여지는 위치 또는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열림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본체와 폴더가 상대 회전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폴더가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일정한 열림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폴더의 열림각은 단말기 사용에 적합한 각도를 고려한 것이며, 통상적으로 폴더는 약 160°내지 170°정도의 열림각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같이 폴더의 열림각이 단말기 사용에 적합한 각도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지만, 폴더의 열림각이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데 따른 단말기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폴더가 개방된 상태로 단말기를 책상에 올려놓고 폴더의 표시화면을 확인하는 경우, 폴더 및 그 표시화면의 열림 각도가 빛에 대한 반사각을 유지하여 잘 보이지 않게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때 폴더의 열림각을 조절할 수 없음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를 파지하여 폴더의 표시화면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폴더형 단말기에서 폴더의 열림 각도가 여러 열림 단계에서 선택적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폴더 열림각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더와 본체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열림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폴더와 힌지 결합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와, 왕복 이동되는 상기 지지대를 단계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본체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폴더의 열림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열림각도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열림각도 조절장치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단말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단말기(1)는 본체(10)에 폴더(2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폴더(2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단말기(1)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단말기(1)의 닫힘이란 폴더(20)가 단말기(1)의 본체(10)에 마주하도록 접혀지는 상태를 말하며, 단말기(1)의 열림이란 폴더(20)가 힌지를 중심으로 단말기(1)의 본체(10)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진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지지대(30)와 길이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30)는 단말기(1)의 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즉 지지대(30)는 본체(10)와 폴더(20)를 결합하는 힌지축(60)과 인접하도록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와 같은 지지대(30)는 폴더(20)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대(30)는 본체(10)와 폴더(20)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축(6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기준하면 지지대(30)는 세워진 상태의 단말기(1)에서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단말기(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길이조정수단은 힌지축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를 소정의 돌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하며, 이와 같은 길이조정수단에 의해 지지대(30)는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대(30)의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을 통해 폴더(20)의 열림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길이조정수단은 모터(40)와 피니언(42)과 랙(44)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모터(40)는 본체(10)에 내장되어 지지대(3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모터(40)의 구동축에 피니언(42)이 결합된다. 그리고, 피니언(42)의 회전력을 지지대(30)의 직선 이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랙(44)이 구비되며, 여기서 랙(44)은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대(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랙이 지지대에 결합되어 피니언의 회전력을 지지대에 직선 이동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지지대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지지대(3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50)과 본체(10)의 케이스(14)에 구비되는 걸림부재(52)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걸림홈(50)은 지지대(30)에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걸림홈(50)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52)는 지지대(30)의 걸림홈(50)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대(30)를 본체(10)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걸림부재(52)가 본체(10)의 케이스(14)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하였다.
즉, 판스프링 형태의 걸림부재(52)는, 상기 지지대(30)의 걸림홈(50)에 삽입되어 지지대(30)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52a)와, 본체(10)의 케이스(14)에 탄성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돌기부(52a)로부터 연장되어 돌기부(52a)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날개부(52b)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단말기의 본체(10)에 대한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폴더(20)의 열림 각도를 여러 각도로 선택적인 조정을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폴더의 열림 각도가 조절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즉, 도 4는 세개의 실시예 중 지지대(30)가 단말기(1)의 본체(10)로부터 가장 낮은 높이로 돌출되므로써, 폴더(20)가 단말기(1)의 본체(10)로부터 가장 큰 각도로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비하여 지지대(30)가 단말기(1)의 본체(10)로부터 보다 높이 돌출되므로써, 폴더(20)가 단말기(1)의 본체(10)로부터 도 4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각도로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비하여 지지대(30)가 단말기(1)의 본체(10)로부터 보다 더 높이 돌출되므로써, 폴더(20)가 단말기(1)의 본체(10)로부터 도 4나 도 5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의해서, 폴더형의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열려지는 폴더의 열림 각도를 여러 단계로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음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단말기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열림각도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열림각도 조절장치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 열림각도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폴더의 열림 각도가 조절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통신 단말기 10 : 본체
12 : 삽입홀 20 :폴더
30 : 지지대 40 : 모터
42 : 피니언 44 : 랙
50 : 걸림홈 52 : 걸림부재
52a: 돌기부 52b: 탄성날개부
60 : 힌지축

Claims (5)

  1. 폴더와 본체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열림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의 폴더와 힌지 결합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지지대와,
    왕복 이동되는 상기 지지대를 단계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본체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폴더의 열림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지지대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대의 직선 방향 이동력으로 전환하는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들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에 대한 고정 기능을 하는 돌기부와, 상기 본체의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돌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기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20040036114A 2004-05-20 2004-05-20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50111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14A KR20050111417A (ko) 2004-05-20 2004-05-20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CNB200410103940XA CN100397853C (zh) 2004-05-20 2004-12-31 一种调节翻盖打开角度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114A KR20050111417A (ko) 2004-05-20 2004-05-20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417A true KR20050111417A (ko) 2005-11-25

Family

ID=3547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114A KR20050111417A (ko) 2004-05-20 2004-05-20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111417A (ko)
CN (1) CN1003978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9696B (zh) * 2015-03-19 2017-04-26 东莞市天杰实业有限公司 带支撑架的手机保护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4712B2 (ja) * 2001-10-02 2007-10-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259166A (ja) * 2002-02-28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0705A (zh) 2005-11-23
CN100397853C (zh)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6925B1 (en) Torsion coil spring an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US9068692B2 (en) Stand device
KR10051301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549915B1 (ko) 트위스트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힌지장치
KR20020084325A (ko) 힌지장치
KR100457749B1 (ko) 힌지장치
KR101690794B1 (ko)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US7173825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107676A (ko) 힌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11417A (ko) 폴더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43098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60086739A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1241450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KR100619907B1 (ko) 토크 조절이 가능한 힌지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09933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60072365A (ko)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KR200392956Y1 (ko)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04979Y1 (ko) 힌지장치
KR101294296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0694498B1 (ko) 투웨이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
KR100703152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69177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6408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열림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