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116A -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116A
KR20050109116A KR1020040033867A KR20040033867A KR20050109116A KR 20050109116 A KR20050109116 A KR 20050109116A KR 1020040033867 A KR1020040033867 A KR 1020040033867A KR 20040033867 A KR20040033867 A KR 20040033867A KR 20050109116 A KR20050109116 A KR 2005010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effect
voice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2692B1 (ko
Inventor
권혁훈
이상연
함희혁
김기문
박태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69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는 손쉽게 음성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으며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포함하여 착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효과 데이터를 저장/관리 및 제공하는 효과제공서버,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효과 데이터를 삽입하고, 착신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측으로 효과 데이터가 삽입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수신측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고, 수신측이 응답하면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고, 발신측으로부터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수신한 음성메시지에 부여하고자 하는 효과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효과데이터를 음성 메시지에 삽입한 후 효과데이터가 추가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수신측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및 수신측이 응답함에 따라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발신자는 손쉽게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하여 발신할 수 있으며, 착신자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전화를 받는 동작만으로도 발신자가 전송하는 효과음 또는 배경음이 삽입된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
본 발명은 발신자는 손쉽게 음성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으며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포함하여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1980년대 후반부터 서비스되기 시작한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의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에서 제공하는 낮은 품질의 음성 통화 위주의 제 1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디지털 셀룰러 방식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에서 제공하는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였다. 또한, 제 2.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GHz대의 주파수 확보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가 개발되어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이지만 데이터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으며, 제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 사서함을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발신단말이 착신단말로의 호 접속시 착신단말이 접속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접속시키고 발신단말을 통해 음성을 녹음하게 함으로써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였다.
그리고 착신단말이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착신단말로 전송하고, 착신단말은 소정의 접속 절차를 통하여 음성 사서함으로 접속함으로써 착신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는 발신단말이 통화 시도 중 착신단말로의 호 접속이 불가능할 때에만 제공하였으며, 착신자 단말은 음성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음성 사서함으로 별도의 호 접속을 수행해야만 착신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음성만을 녹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발신자는 손쉽게 음성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고, 착신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에 페이징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에 대한 응답만으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포함하여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효과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며 요청에 따라 해당 효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효과제공서버,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효과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효과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시지에 삽입하고, 상기 착신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측으로 상기 효과 데이터가 삽입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측이 응답하면 상기 효과 데이터가 삽입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은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수신한 음성메시지에 부여하고자 하는 효과데이터를 추출하는 2단계, 상기 추출한 효과데이터를 음성 메시지에 삽입한 후 상기 효과데이터가 추가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측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3단계 및 상기 수신측이 응답함에 따라 상기 효과데이터가 추가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전송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100 및 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11 및 12)과, 상기 BTS(11 및 12)를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0)와, 상기 BSC(20)와 접속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30)와, 상기 BSC(20)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 통신을 서비스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이하 'PDSN'이라 칭함)(50)를 포함하고, 상기 PDSN(50)에는 데이터 코어망(이하 'DCN'이라 칭함)(60)이 접속되고, 상기 DCN(6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인 음성 메시지 서버(이하 'VIMS'라 칭함)(600)가 접속되고, 상기 VIMS(600)에는 음성 메시지에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제공서버(500)가 접속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망(10) 및 VIMS(600)는 인터넷(1)과 접속되고, 상기 인터넷(1)에는 개인단말(300) 및 메일서버(400)가 접속된다.
또한, 개인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IP(예를 들어, VoIP) 또는 메신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VIMS(600)와 접속될 수 있으며, VIMS(600)는 상기 개인단말(300)의 IP(또는 VoIP)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관리한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는 VIMS(600)와 음성 메시지에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제공서버(500)가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효과제공서버(500)는 VIMS(600)내의 구성으로 포함되어 하나의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100)을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0)은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120)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10)와, 운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30)와, 이동통신망(3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40)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0)은 마이크(162)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으며, 음성을 스피커(163)로 출력하는 음성제어부(161)와, 음성메시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음성 메시지 제어부(171) 및 음성 메시지 저장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제어부(161)는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으며, 상기 마이크(16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고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 제어부(171)는 상기 음성제어부(161)를 통해 녹음/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음성메시지로 하여 음성 메시지 저장부(172)에 저장/관리한다. 또한, 상기 음성 메시지 제어부(17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음성 메시지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에 소정의 착신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40)를 통하여 이동통신망(300)으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0)은 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 수신시 이동통신망(300)과 통화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며, 일반적인 통화 상태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이동통신망(300)으로부터 호 수신시 소정의 벨소리(혹은 진동)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라 호 수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망(300) 및 VIMS(600)는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하고, 이동통신단말(100)은 음성제어부(161)의 구동에 따라 스피커(163)를 통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0)은 음성 메시지 전체를 수신할 수도 있는데, 무선통신부(140)를 통하여 이동통신망(300)으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음성 메시지 제어부(171)는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저장부(172)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메시지서버(VIMS)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버(6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10)와, 이동통신망(10) 및 인터넷(1)과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620)와, 안내메시지를 저장하는 안내메시지 데이터베이스(632)와, 상기 안내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32)에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안내메시지 제공부(631)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42)에 저장/관리하고 음성 메시지의 효과정보를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643)에 저장/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641)와,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 녹음부(650)와, 음성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를 통하여 관리하는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와,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10)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SMS제어부(67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VIMS(600)는 이동통신망(1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망 접속부(6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로 전송한다.
즉, 발신단말,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100)이 착신번호를 포함하여 음성 메시지를 발신하면, 이동통신망(10)은 상기 발신단말이 발신하는 음성 메시지를 착신번호 및 발신번호와 함께 VIMS(600)로 전송한다. VIMS(600)는 망 접속부(620)를 통해 상기 착신번호 및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음성메시지를 수신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로 전송한다.
상기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임시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음성 메시지는 착신번호 및 발신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643)에 저장된 효과 설정정보에 따라 효과제공서버(400)를 통해 효과음 또는 배경음 데이터를 획득하여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하며, 이후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이동통신망(10)으로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단말,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200)에 대한 호 접속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망(10)의 MSC(30)는 상기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200), 즉 착신단말에 대한 호를 접속하기 위하여 HLR(40)를 통해 착신단말의 경로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경로정보에 따라 MSC(30)는 착신단말로 호 접속을 요청한다. 상기 MSC(30)는 호 접속 요청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발신자 정보표시에 따라 발신번호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착신단말은 MSC(30)로부터의 호 접속 요청에 따라 소정의 벨소리를 출력한다. 이때 착신단말은 현재의 호가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번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착신단말이 호 접속 요청에 응답하면, 그 응답에 따라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착신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착신단말은 상기 VIMS(6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착신단말의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전술한 음성 메시지 전달 동작에서 착신단말이 전원꺼짐, 무응답, 통화중 등과 같이 음성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상태에 있을 경우 VIMS(6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착신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면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VIMS(600)는 음성 메시지 전달 상황을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SMS제어부(670)를 통해 생성하고, 발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VIMS(600)는 발신단말,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100)이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VIMS(600)에 접속하면, VIMS(600)의 안내메시지제공부(631)는 안내메시지 데이터베이스(632)에 저장된 안내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발신단말로 안내를 수행한다. 이때 안내메시지는 텍스트, 음성 및 동영상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신단말 사용자는 상기 안내메시지 제공부(631)로부터의 안내에 따라 음성 녹음 메뉴를 선택하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은 발신단말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VIMS(600)로 전달되고, VIMS(600)의 안내메시지 제공부(631)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음성 메시지 녹음부(650)로 전달한다.
음성 메시지 녹음부(650)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음성을 녹음하고,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
음성 녹음 후 발신단말은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 즉 착신단말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착신번호를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한다. 이때 발신번호정보를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효과제공서버(400)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하며, 이후에는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착신단말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VIMS(600)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데이터를 착신단말로 데이터 푸시방법으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이동통신망(10)으로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착신단말로 데이터 푸시 요청을 수행하고, 이동통신망(10)은 상기 데이터푸시 요청에 따라 음성 메시지 데이터를 착신단말로 푸시한다. 착신단말은 음성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표시부에 음성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제공서버의 구성을 성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제공서버(400)는 전체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410)와, 인터넷(1) 및 VIMS(600)와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420)와, 효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정보 제공부(430)와, 효과정보 및 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450)와, 상기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450)로부터 효과 데이터를 추출하여 VIMS(600)로 전송하는 효과제어부(44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효과제공 서버(400)는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효과 데이터, 예를 들어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상기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45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VIMS(600)는 효과제공서버(400)가 전송하는 효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발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단말(100)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음성 녹음을 한 후(S10), 착신번호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발신한다(S20). 음성 메시지는 이동통신망(10)을 통하여 VIMS(600)로 전달되며, 이때 발신단말의 번호, 즉 발신번호가 음성 메시지와 함께 VIMS(600)로 전달된다(S30). 이에 따라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단계 S30에서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임시 저장한다(S40).
그리고 효과제공서버(500)를 통하여 효과의 종류를 선택한다(S50). 이때 효과는 배경음악 또는 효과음악 등이 될 수 있다. 효과가 선택되면 효과제공서버(500)는 선택된 효과를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 서버(600)는 상기 효과를 음성 메시지에 적용하여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S60).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을 넣거나 배경음악을 넣을 수 있다.
그 후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착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HLR(40)로 착신단말의 경로정보를 요청한다. HLR(40)은 상기 경로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교환기, 즉 착신MSC로 경로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그리고 HLR(40)은 수신된 경로정보를 VIMS(600)로 전송한다.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경로정보에 따라서 해당 착신 MSC로 착신단말로의 착신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서 착신MSC는 착신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한다(S60). 이때 상기 착신MSC는 페이징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발신자 정보표시에 따라 발신번호를 착신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착신단말이 상기 페이징에 응답하면(S70)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착신단말로 전송한다(S80).
이에 따라서 착신단말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전화를 받는 것 만으로 소정의 효과가 적용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S9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발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단말(100)이 착신단말(200)로의 발신을 수행하면(S110), 이동통신망(10)은 상기 착신단말(200)에 대한 경로정보에 따라 착신단말(200)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착신단말(200)이 호 연결 불가능한 상태이면(S121), 이동통신망(10)은 현재 호를 VIMS(600)로 전환한다(S122). 착신단말(200)의 착신불능 상태는 전원꺼짐, 통화중 상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신단말(100)과 VIMS(600)간의 호 설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호 설정에 따라 VIMS(600)의 안내메시지 제공부(631)는 안내메시지 데이터베이스(632)에 저장된 안내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발신단말(100)로 안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발신단말 사용자는 상기 안내메시지 제공부(631)로부터의 안내에 따라 음성 녹음 메뉴를 선택하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은 발신단말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VIMS(600)로 전달되고, VIMS(600)의 안내 메시지 제공부(631)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음성 메시지 녹음부(650)로 전달한다.
음성 메시지 녹음부(650)는 상기 발신단말로부터의 음성을 녹음하고,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S130).
그리고 효과제공서버(500)를 통하여 효과의 종류를 선택한다(S140). 이때 효과는 배경음악 또는 효과음악 등이 될 수 있다. 효과가 선택되면 효과제공서버(500)는 선택된 효과를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 서버(600)는 상기 효과를 음성 메시지에 적용하여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S150).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을 넣거나 배경음악을 넣을 수 있다.
이때 발신단말(100)은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 즉 착신단말(200)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 관리부(461)는 상기 착신번호를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착신번호는 호 전환을 수행한 MSC로부터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발신번호 정보를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에 매칭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VIMS(600)는 이동통신망(10)을 통하여 착신단말(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170). 모니터링을 위해 VIMS(600)는 HLR(40) 및 MSC비롯한 이동통신망(10)의 다른 구성을 통해서 착신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착신단말이 착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호 연결을 수행하고(S180), 연결이 되면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착신단말(200)로 전송한다(S190).
이에 따라서 착신단말(20)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전화를 받는 것 만으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인단말로부터 이동통신단말로 음성 메시지 전송시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단말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발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개인단말(300)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음성 녹음하여 파일로 생성하거나 또는 미리 녹음된 음성파일을 준비하여(S210), 착신번호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발신한다(S221). 이때 개인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웹주소 또는 메신저와 같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신된 음성 메시지는 인터넷(1)을 통하여 VIMS(600)로 전달되며, 이때 개인단말(300)의 발신자 정보가 음성 메시지와 함께 VIMS(600)로 전달된다(S222). 이에 따라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임시 저장한다(S230).
그리고 효과제공서버(500)를 통하여 효과의 종류를 선택한다(S240). 이때 효과는 배경음악 또는 효과음악 등이 될 수 있다. 효과가 선택되면 효과제공서버(500)는 선택된 효과를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 서버(600)는 상기 효과를 음성 메시지에 적용하여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S250).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을 넣거나 배경음악을 넣을 수 있다.
음성 메시지의 저장 후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이동통신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HLR(40)로 이동통신단말(100)의 경로 정보를 요청한다. HLR(40)은 상기 경로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MSC로 경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그리고 HLR(40)은 수신된 경로 정보를 VIMS(600)로 전송한다.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서 해당 MSC(30)로 이동통신단말(100)로의 착신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서 MSC(30)는 이동통신단말(100)로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MSC(30)는 페이징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발신자 정보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100)이 상기 페이징에 응답하면(S262)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이동통신단말(100)로 전송한다(S270).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100)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전화를 받는 것 만으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S280).
음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VIMS(600)는 개인단말(300)로 음성 메시지 전송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S290)하거나, 또는 SMS제어부(670)를 통해 완료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된 개인단말(300)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개인단말로 음성 메시지 전송시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개인단말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100)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서 음성을 녹음하여 파일로 생성하거나 또는 미리 녹음된 음성파일을 준비하여(S310), 착신정보(개인단말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자 정보)와 함께 음성 메시지를 발신한다(S321).
이에 따라 상기 발신된 음성 메시지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VIMS(600)로 전달되며(S322), 이때 이동통신단말(100)의 발신자 정보가 음성 메시지와 함께 VIMS(6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임시 저장한다(S330).
그리고 효과제공서버(500)를 통하여 효과의 종류를 선택한다(S340). 이때 효과는 배경음악 또는 효과음악 등이 될 수 있다. 효과가 선택되면 효과제공서버(500)는 선택된 효과를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 서버(600)는 상기 효과를 음성 메시지에 적용하여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S350).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을 넣거나 배경음악을 넣을 수 있다.
음성 메시지의 저장 후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사용자 관리부(641)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62)로부터 착신정보에 해당하는 착신자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착신자 정보에 따라 VIMS(600)는 인터넷(1)을 경유하여 해당 개인단말(300)의 클라이언트와 연결을 확인한다(S360-1). 이때 개인단말(300)의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하여 연결 확인이 되면,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개인단말(300)의 클라이언트로 전송(S360-2)하고, 개인단말(300)은 음성 메시지를 수신/저장함으로써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S380).
음성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VIMS(600)는 SMS제어부(670)를 통해 완료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단말(100)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390).
한편, VIMS(600)는 착신정보가 메일계정이거나 또는 단계 S360-1에서 연결확인 되지 않을 경우에 음성메시지를 포함하는 음성 메일을 소정의 메일서버(400)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VIMS(600)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메일 계정을 관리하는 메일서버(400)로 전송한다(S370-1). 이후 개인단말(300)은 상기 메일서버(400)에 접속함으로써 음성메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S370-2), 음성메일에 포함된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S380).
전술한 과정 중에서 음성 메시지에 효과를 적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에 대한 효과적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또는 개인단말이며, 이하에서는 이동통신단말로 설명하도록 함)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전송되면(S400), VIMS(600)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임시 저장한다(S410). 그리고 VIMS(600)의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642)로부터 발신자의 정보를 조회한다(S420).
그리고 조회된 해당 발신자의 정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30). 단계 S430에서 효과가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지정된 효과 데이터를 효과제공서버(500)로 요청한다(S441).
효과제공서버(500)의 효과제어부(440)는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의 요청에 따라 해당 효과 데이터를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450)로부터 추출(S442)하고, 추출된 효과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로 전송한다(S443).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효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즉 효과 데이터가 적용된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고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S450).
한편, 단계 S430에서 효과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효과제공서버(500)로 제공 가능한 효과정보(예를 들어, 효과음 또는 배경음 리스트 정보)를 요청한다(S461). 이에 효과제공서버(500)의 효과정보제공부(430)는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450)로부터 효과정보 리스트를 추출(S462)하여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로 전송한다(S463).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효과정보 리스트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이동통신단말로 제공한다(S471). 그리고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선택정보가 전송되면(S472),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선택된 정보에 따른 효과 데이터를 효과제공서버(500)로 요청한다(S481).
효과제공서버(500)의 효과제어부(440)는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의 요청에 따라 해당 효과 데이터를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450)로부터 추출(S482)하고, 추출된 효과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로 전송한다(S483).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 관리부(661)는 상기 효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즉 효과 데이터가 적용된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고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662)에 저장한다(S490).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으며, 효과가 적용된 음성 메시지는 앞서 설명한 전송 방식에 따라 착신측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메시지 서버와 효과제공서버가 별도로 구성되었으나, 하나의 서버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방법에 의하면, 발신자는 손쉽게 음성 메시지에 효과음 또는 배경음을 삽입하여 발신할 수 있으며, 착신자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전화를 받는 동작만으로도 발신자가 전송하는 효과음 또는 배경음이 삽입된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메시지서버(VIMS)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제공서버의 구성을 성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발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발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단말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발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개인단말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에 대한 효과 적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인터넷 10:이동통신망
100:이동통신단말 300:개인단말
500:효과제공서버 600:음성메시지서버

Claims (18)

  1.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효과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며 요청에 따라 해당 효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효과제공서버,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효과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효과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시지에 삽입하고, 상기 착신정보에 해당하는 수신측으로 상기 효과 데이터가 삽입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수신측이 응답하면 상기 효과 데이터가 삽입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으며,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제어부와, 음성메시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음성 메시지 제어부 및 음성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부는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으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고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며,
    상기 음성 메시지 제어부는 상기 음성제어부를 통해 녹음/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음성메시지로 하여 음성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관리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음성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에 소정의 착신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제공서버는,
    전체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인터넷 및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 와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와, 효과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정보 제공부와, 효과정보 및 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효과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효과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효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과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와, 발신측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음성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관리하고 상기 효과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효과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시지에 포함시켜 해당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음성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음성 메시지 전송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 또는 발신단말의 발신번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측이 이동통신단말일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측의 이동통신단말로 호 접속을 요청할 때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 또는 발신번호를 전송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SMS제어부를 포함하고,
    착신측으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불가 사유가 발생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이동통신단말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불가 사유가 발생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호 접속 가능상태가 되면 음성 메시지 전송을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는 접속한 발신측으로 안내를 수행하기 위한 안내메시지 제공부 및 안내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안내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안내메시지 제공부를 통한 안내에 따라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하는 음성 메시지 녹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상기 음성 메시지 녹음부를 통해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효과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효과 데이터를 삽입하여 해당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발신측으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상기 발신측의 정보에 따라 효과설정이 되어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설정이 되어 있으면, 그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효과제공서버로 효과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받아 음성메시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관리부는 발신측으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상기 발신측의 정보에 따라 효과설정이 되어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효과제공서버로 효과정보 리스트를 요청하고 제공받아 상기 발신측으로 전송하고,
    발신측으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상기 효과제공서버로 효과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받아 음성메시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12.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메시지에 효과를 부여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수신한 음성메시지에 부여하고자 하는 효과데이터를 추출하는 2단계,
    상기 추출한 효과데이터를 음성 메시지에 삽입한 후 상기 효과데이터가 추가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측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3단계 및
    상기 수신측이 응답함에 따라 상기 효과데이터가 추가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전송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측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효과설정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효과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 효과설정에 해당하는 효과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효과설정 정보가 없을 경우, 효과정보 리스트를 발신측으로 제공하고, 상기 발신측으로부터 효과정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그에 따른 효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발신측은 사용자 음성을 녹음하여 착신정보와 함께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 요청시 음성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 또는 발신측의 발신정보를 선택적으로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에 따른 수신측이 이동통신단말일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불가 사유가 발생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호 접속 가능 상태가 되면 음성 메시지 전송을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발신측 단말이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단말의 접속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로 음성 메시지 녹음을 위한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에 따라 발신측 단말로부터 음성이 전송되면 녹음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단말로부터 착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녹음된 음성에 착신정보를 매칭하여 음성메시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40033867A 2004-05-13 2004-05-13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12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867A KR100612692B1 (ko) 2004-05-13 2004-05-13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867A KR100612692B1 (ko) 2004-05-13 2004-05-13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116A true KR20050109116A (ko) 2005-11-17
KR100612692B1 KR100612692B1 (ko) 2006-08-16

Family

ID=3728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867A KR100612692B1 (ko) 2004-05-13 2004-05-13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84B1 (ko) * 2005-03-28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84B1 (ko) * 2005-03-28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에 따른 음성 메시지 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2692B1 (ko)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687B1 (en) Delivery of voice data from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US834686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0711827B1 (ko) 향상된 음성메시지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352719B2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voice message using packet-switched scheme
KR100612692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0376101C (zh) 一种即时语音通讯方法及其系统
KR100499769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사진 표시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100612681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8444A (ko)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US8571584B1 (en) Delivery of voice data from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KR100612689B1 (ko) 음성 메시지 동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5109673A (ja) 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装置、ケーブルモデム、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101838154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102334530B1 (ko) 수신 단말기에서 통화대기 콘텐츠 재생 전에 볼륨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612686B1 (ko) 웹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로의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방법
JP2001282677A (ja) データ転送方法、メールサーバ、移動端末、およびメール送信端末
KR100612680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2320035A (ja) 留守番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25523B1 (ko) 이동통신망의 음성 쪽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10137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20010048191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91247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과,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서비스시스템 및그 방법
KR20210002084A (ko) 발신 단말기에서 통화대기 콘텐츠 재생 전에 볼륨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