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124A - 지중앵커용 정착구 - Google Patents

지중앵커용 정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124A
KR20050108124A KR1020040033186A KR20040033186A KR20050108124A KR 20050108124 A KR20050108124 A KR 20050108124A KR 1020040033186 A KR1020040033186 A KR 1020040033186A KR 20040033186 A KR20040033186 A KR 20040033186A KR 20050108124 A KR20050108124 A KR 2005010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underground
pieces
anchor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안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해수 filed Critical 안해수
Priority to KR102004003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124A/ko
Publication of KR2005010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대상의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한 단순구조로서 경제성을 제고하여 주면서도, 지중앵커를 굴착공 내에 삽입 설치하는 데 따른 작업여건을 개선시켜 주는 지중앵커용 정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앵커용 정착구는 지중앵커(3)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로 형성되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내측 둘레면에 그 몸통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경사지게 돌출되어서 지중앵커(3)의 돌출리브(3a)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걸림편(20)들과, 상기 몸통(10)의 외측 둘레면에 그 몸체에 타단이 고정되고 일단은 경사지게 돌출되어서 지중에 천공된 굴착공(2)의 내벽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정착편(30)들로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앵커용 정착구{Earth anchor}
본 발명은 지중에 미리 천공된 굴착공 내에 삽입되는 지중앵커를 견고히 정착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지중앵커용 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사면이나 연약지반 보강공사를 위한 레일링 공법 또는 지하철 공사나 건축물의 지하구조물공사를 위하여 지중 터파기를 수행하고 토류벽을 설치하는 가설옹벽 공법을 수행할 때에, 지중에 천공된 굴착공 내에 지중앵커를 삽입 설치한 후 긴장력(프리스트레스)을 가하여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바, 이러한 지중앵커는 선단에 별도의 정착구를 갖추어서 굴착공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긴장력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히 정착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와 같이 지중앵커를 굴착공 내에 견고하게 정착시켜 주기 위한 지중앵커용 정착구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개발되어서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금속원판(110)의 외측단 둘레에 등간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편(120)들과, 상기 연결편(120)들과 일체로서 그 연결편(120)들의 사이에 외측으로 짧게 연장되어서 방사형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는 가정착편 (130)들과, 상기 연결편(120)들의 끝단에 각각 착설되어서 임의의 직경으로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가변형의 원통체를 이루도록 분할된 정착편(140)들과, 상기 정착편(140)들의 내부에 유동되도록 배치되어서 그 정착편(140)들이 축소, 확개되도록 동작시켜 주며 중앙부에 지중앵커(300)의 돌출리브(310)가 결착되는 조립구멍(151)을 형성하여서 되는 확경수단(150)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지중앵커용 정착구(10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연결편(120)들 사이에 방사형으로 펼쳐진 가정착편(130)들로서 가정착된 상태에서, 그 연결편(120)들의 끝단부에 착설되어 내측에서 유동되는 확경수단(150)에 의하여 벌어져서 확경되는 정착편(140)들이 굴착공(200)의 내벽에 걸어져서, 상기 확경수단(150)에 선단이 결착된 지중앵커 (300)를 구속하여 굴착공(200) 내에 견고히 정착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앵커용 정착구(100)는 연결편(120)에 설치되는 정착편(140)들과, 그 정착편(140)들의 그 내부에서 유동되는 확경수단(150)이 서로 협동하여 지중앵커(300)를 굴착공(200) 내에 정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첫째 구조가 복잡하여 관리대상의 구성부품수가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정착편(140)들과 확경수단(150)을 주물 제작하게 되는 만큼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지중에 천공된 굴착공(200) 내에 지중앵커(300)를 삽입 설치할 때에, 그 지중앵커의 선단에 확경수단(150)을 나사식으로 돌려서 결착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그 확경수단(150)의 외측에 정착편(140)들이 위치되도록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첫째 관리대상의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한 단순구조로서 경제성d을 제고하여 주는 지중앵커용 정착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지중앵커를 굴착공 내에 삽입 설치하는 데 따른 작업여건을 개선시켜 주는 지중앵커용 정착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지중앵커용 정착구(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중앵커(3)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로 형성되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내측 둘레면에 그 몸통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경사지게 돌출되어서 지중앵커(3)의 돌출리브(3a)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걸림편(20)들과, 상기 몸통 (10)의 외측 둘레면에 그 몸체에 타단이 고정되고 일단은 경사지게 돌출되어서 지중에 천공된 굴착공(2)의 내벽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정착편(30)들로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중앵커용 정착구(1)는 지중앵커(3)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몸통(10)의 내,외면에 걸림편(20)들 및 정착편(30)들을 일체화시킨 단순구조로서, 지중앵커(3)의 선단에 간단히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몸통(10)에 걸림편(20)들 및 정착편(30)들을 일체화시켜서 불필요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키고, 주물제작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지중에 천공된 굴착공(2) 내에 지중앵커(3)를 삽입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중앵커(3)의 선단에 한번에 끼워서 결착시킬 수 있게 하여서 그 지중앵커의 설치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지중앵커용 정착구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통(10)은 지중앵커(3)의 선단에 여유 있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로서 그 지중앵커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로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10)은 고강도 철판을 소재로 만들어서, 굴착공(2) 내에 삽입 설치된 상태의 지중앵커(3)를 긴장시킬 때에 가해지는 작용력에 의하여 휨변형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걸림편(20)들은 상기 몸통(10)의 내면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 형성하되, 개개의 걸림편(20)은 일단이 상기 몸통(10)에 붙어 있도록 남겨두고 타단 쪽으로 절개하여 상향 경사지게 돌출시켜서 된다. 이러한 걸림편(20)들은 도 6a에서와 같이 지중앵커(3)에 정착구(1)를 끼워서 결착시킬 때에는 탄력적으로 유동되면서 그 지중앵커의 돌출리브(3a)가 걸리지 않고 통과하게 하여 주며, 도 6c에서와 같이 정착구(1)에 의하여 굴착공(2)에 정착된 상태의 지중앵커(3)를 긴장시킬 때에는 그 지중앵커의 돌출리브(3a)를 걸어서 빠지지 않게 단속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편(20)들은 상기 몸통(10) 내면의 양측에 2단으로 배열 형성하여서, 상기 지중앵커(3)의 돌출리브(3a)를 확실하게 걸어서 빠지지 않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20)들은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그 타단을 지중앵커 (3)의 외경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만곡지게 형성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걸림편(20)들의 타단이 지중앵커(3)의 외면에 폭넓게 면접촉되어 밀착된 상태로 돌출리브(3a)를 확실하게 걸어서, 지중앵커(3)를 긴장시킬 때에 돌출리브(3a)에 걸어진 걸림편(20)의 타단이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정착편(30)들은 상기 몸통(10)의 외면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 형성하되, 개개의 정착편(30)은 타단은 상기 몸통(10)에 붙어 있도록 남겨두고 일단 쪽으로 절개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시켜서 된다. 이러한 정착편(30)들은 도 6b에서와 같이 지중앵커(3)의 선단에 정착구(1)가 결착된 상태로 굴착공(2) 내에 삽입할 때에는 탄력적으로 오므려지면서 내벽에 걸리지 않게 하여 주며, 도 6c에서와 같이 정착구(1)가 결착된 지중앵커(3)를 굴착공(2) 내에 삽입하여 긴장시킬 때에는 굴착공의 내벽에 걸어져서 그 지중앵커를 견고히 정착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착편(30)들은 상기 몸통(10) 외면의 상기 걸림편 (20)들 사이 양측에 1단으로 배열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착편(30)들은 도 5에서와 같이 각각의 폭이 상기 몸통 (10)에 붙은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큰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하여서, 지중앵커(3)를 긴장시킬 때에 가해지는 작용력에 대응하는 강도를 가지게 하여 꺽임 변형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몸통(10)의 내주면에는 등간격마다 고강도 철편(21)을 소재로 하여 상기 몸통(10)에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경사지게 돌출시킨 부착형 걸림편(20)들을 형성하고, 상기 몸통(10)의 외주면에는 등간격마다 고강도 철편(31)을 소재로 하여 상기 몸통(10)에 타단을 고정시키고 일단은 경사지게 돌출시킨 부착형 정착편(30)들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통(10)의 내,외주면에 각각 고강도 철편(21)(31)을 소재로 한 부착형 걸림편(20)들 및 정착편(30)들을 갖추어서, 상기 몸통(10)을 훼손하지 않고 걸림편(20)들 및 정착편(30)들을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상기 몸통(10)이 그 자체의 강도를 보존할 수 있게 하여 지중앵커(3)를 긴장시킬 때에 가해지는 작용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주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앵커용 정착구는 몸통의 내,외면에 걸림편들 및 정착편들을 일체화시킨 단순구조로서, 지중앵커의 선단에 간단히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키고, 주물제작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지중앵커의 설치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지중앵커용 정착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지중앵커용 정착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 지중앵커용 정착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지중앵커용 정착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지중앵커용 정착구의 저면도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 지중앵커용 정착구의 작용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7은 본 발명 변형실시예에 따른 지중앵커용 정착구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정착구 10: 몸통
20: 걸림편 30: 정착편

Claims (4)

  1. 지중앵커(3)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로 형성되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내측 둘레면에 그 몸통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경사지게 돌출되어서 지중앵커(3)의 돌출리브(3a)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걸림편(20)들과, 상기 몸통(10)의 외측 둘레면에 그 몸체에 타단이 고정되고 일단은 경사지게 돌출되어서 지중에 천공된 굴착공(2)의 내벽에 걸어지는 복수개의 정착편(30)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앵커용 정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20)들은 각각 그 타단을 지중앵커(3)의 외경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만곡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앵커용 정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편(30)들은 각각의 폭이 상기 몸통(10)에 붙은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큰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앵커용 정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의 내주면에는 등간격마다 고강도 철편 (21)을 소재로 하여 상기 몸통(10)에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경사지게 돌출시킨 부착형 걸림편(20)들을 형성하고, 상기 몸통(10)의 외주면에는 등간격마다 고강도 철편(31)을 소재로 하여 상기 몸통(10)에 타단을 고정시키고 일단은 경사지게 돌출시킨 부착형 정착편(30)들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앵커용 정착구.
KR1020040033186A 2004-05-11 2004-05-11 지중앵커용 정착구 KR2005010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86A KR20050108124A (ko) 2004-05-11 2004-05-11 지중앵커용 정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86A KR20050108124A (ko) 2004-05-11 2004-05-11 지중앵커용 정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124A true KR20050108124A (ko) 2005-11-16

Family

ID=3728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186A KR20050108124A (ko) 2004-05-11 2004-05-11 지중앵커용 정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1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05B1 (ko) * 2010-08-31 2013-02-08 주식회사 신화 록볼트 시공의 품질 향상을 위한 안전캡
KR102026034B1 (ko) * 2018-12-17 2019-09-26 공학봉 다수의 수동 저항 내하체를 가진 네일링
JP2021161665A (ja) * 2020-03-31 2021-10-11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地盤調査装置、地盤調査装置用器具、及びこれらを用いた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05B1 (ko) * 2010-08-31 2013-02-08 주식회사 신화 록볼트 시공의 품질 향상을 위한 안전캡
KR102026034B1 (ko) * 2018-12-17 2019-09-26 공학봉 다수의 수동 저항 내하체를 가진 네일링
JP2021161665A (ja) * 2020-03-31 2021-10-11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地盤調査装置、地盤調査装置用器具、及びこれらを用い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552A (en) Expansible mounting assembly
KR101329054B1 (ko) 지반용 앵커
KR100715633B1 (ko) 앵커용 내부정착제
KR20030051002A (ko) 그라운드 앵커
CA2078845C (en) Mine roof expansion anchor and bail member therefor
KR101253496B1 (ko)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25534B1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100022767A (ko) 암반층 정착용 쐐기식 확장형 앵커
KR101633505B1 (ko) 지보재
KR20050108124A (ko) 지중앵커용 정착구
KR20110003998U (ko) 지반앵커의 지반 지지장치
KR20060069810A (ko) 정착식 네일링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49724Y1 (ko) 확경형 락볼트
KR20050017160A (ko)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고강성 앵커
KR101057434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102280605B1 (ko) 다확공 비트를 이용한 다목적 법면보호용 고정앙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96583B1 (ko) 탄성링이 장착된 확경 지압형 앙카체 및 그 정착방법
KR20080082395A (ko) 앵커 볼트
KR20060050476A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0721604B1 (ko) 쏘일네일의 두부보호 조임장치
KR200437221Y1 (ko) 네일 장착용 스페이서
KR200382596Y1 (ko) 앵커용 내부정착제
KR200454741Y1 (ko) 나선형 다철근 네일
KR20160127961A (ko) 앙카볼트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