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357A - 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 Google Patents

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357A
KR20050107357A KR1020050100775A KR20050100775A KR20050107357A KR 20050107357 A KR20050107357 A KR 20050107357A KR 1020050100775 A KR1020050100775 A KR 1020050100775A KR 20050100775 A KR20050100775 A KR 20050100775A KR 20050107357 A KR20050107357 A KR 2005010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ggregate
chamber
screen unit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55908B1 (en
Inventor
동 석 강
Original Assignee
동 석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석 강 filed Critical 동 석 강
Priority to KR102005010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908B1/en
Publication of KR2005010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3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90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철거나 재건축시 발생하는 각종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변이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이 회전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스크린유닛을 그 바닥부가 골재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스크린챔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열 설치함으로서, 각종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재의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치의 소음과 고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스크린유닛과 스크린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골재의 분리작업에 보다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evice for separating the recyclable aggregate from the various construction waste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riangular screen plate having three sides formed in an arc shape is constant along the axis of rotation. Screen units spaced apart at intervals are rotatab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screen chamber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to form a discharge space of the aggregate, so that aggregates recyclable from various construction wastes can be more quickly and easily.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aggregates, minimize the noise and failure of the device generated during the separation of aggregates, and adjust the gap between the screen unit and the screen pla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parate the aggregat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more widely. Construction waste that can be applied A disk screen for processing.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은, 하부측 지지프레임(2)에 의하여 그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챔버(10)와, 상기 스크린챔버(10)의 내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D1)을 두고 회전하도록 동일선상에 배열 설치되는 스크린유닛(20)과, 상기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8)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챔버(10)는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 양단이 관통되는 양측벽(11)(12)과, 스크린유닛(20)의 하부측에서 골재의 배출공간(14)을 형성하는 바닥판(13)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방면은 건축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전방커버(6)와 골재의 배출구(7)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은 세변이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22)이 회전축(21)을 따라 일정한 간격(D2)으로 배열 고정되고, 그 회전축(21)의 일측단부에는 서로 인접하는 스크린유닛(20)을 타이밍벨트(24)에 의하여 지그재그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타이밍풀리(2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8)는 그 출력축(8a)에 고정된 구동풀리(25)가 상부측에 위치하는 스크린유닛(20)의 종동풀리(27)와 구동벨트(26)로서 연결되도록 상기 스크린챔버(10)의 바닥판(13) 하측에 형성된 모터설치부(10a)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 screen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chamber 10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by the lower side support frame (2), and the consta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screen chamber (10) The screen unit 20 is arranged in the same line so as to rotate at intervals (D 1 ), and the drive motor 8 for rotating the respective screen unit 20, the screen chamber 10 is Both side walls 11 and 12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pass, and a bottom plate 13 forming the discharge space 14 of the aggregate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unit 20 The front surface is divided into a front cover 6 and an aggregate outlet 7 for the input of construction waste, and each screen unit 20 is a triangular screen plate having three sides formed in an arc shape. 22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D 2) along the rotary shaft 21 At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21, a timing pulley 23 for zigzagly connecting screen units 20 adjacent to each other by a timing belt 24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driving motor 8 is The bottom plate 13 of the screen chamber 10 so that the driving pulley 25 fixed to the output shaft 8a is connected as a driving belt 26 and a driven pulley 27 of the screen unit 20 located on the upper sid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tor installation portion (10a) formed on the lower side.

Description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물의 철거나 재건축시 발생하는 각종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변이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이 회전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스크린유닛을 그 바닥부가 골재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스크린챔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열 설치함으로서, 각종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재의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치의 소음과 고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스크린유닛과 스크린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골재의 분리작업에 보다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evice for separating the recyclable aggregate from the various construction wastes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riangular screen plate having three sides formed in an arc shape is constant along the axis of rotation. Screen units spaced apart at intervals are rotatab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screen chamber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to form a discharge space of the aggregate, so that aggregates recyclable from various construction wastes can be more quickly and easily.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aggregates, minimize the noise and failure of the device generated during the separation of aggregates, and adjust the gap between the screen unit and the screen pla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parate the aggregat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more widely. Construction waste that can be applied A disk screen for processing.

일반적으로 노후된 주택이나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해체 또는 철거작업을 하거나 재건축 공사를 할 경우, 콘크리트나 골재 또는 철근 등을 포함하여 목재나 스티로폼과 같은 각종 건축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건축폐기물은 특수폐기물로 분류되어 그 매립장소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폐기물의 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이로 인하여 건축폐기물의 빈번한 불법무단투기에 따른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In general, when dismantling or dismantling or reconstructing a building such as an old house or building, various kinds of construction waste such as wood or styrofoam are generated, including concrete, aggregate, or reinforcing bars. Because it is classified as special waste and its landfill site is limited,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process the construction waste, which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frequent illegal dumping of construction waste.

뿐만 아니라, 상기 건축폐기물에는 각종 철근류를 포함하여 건축재료로 재활용이 가능한 자갈이나 모래 등과 같은 골재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바, 이러한 건축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하는 것은 건축폐기물의 처리에 따른 비용상승과 함께 매립지 수명의 단축 및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건축폐기물로부터 철근류나 골재 등을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waste contains a large amount of aggregates, such as gravel or sand, which can be recycled as a building material, including various rebars. Along with this, shortening of landfill life and waste of unnecessary resources have resulted, and in recent years, a method of separating and recycling rebars and aggregates from building waste has been proposed.

상기와 같이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철근류나 골재 등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방법으로는, 물이 저장된 수조의 내부로 건축폐기물을 투입하여 콘크리트나 철근 또는 골재 등과 같이 무거운 물체는 수조의 바닥으로 침강시킴과 동시에, 종이나 비닐 또는 스티로폼이나 목재와 같이 가벼운 물체는 수면으로 부유되도록 하는 습식분리작업을 일차적으로 거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steel or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is to put construction waste into the tank where water is stored so that heavy objects such as concrete, rebar or aggregate can be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tank. In addition to sedimentation, light objects such as paper, vinyl, or styrofoam or wood are subjected primarily to wet separation to allow them to float to the surface.

상기와 같은 습식분리작업을 일차적으로 거친 다음에는,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선별기를 사용하여 건축폐기물로부터 각종 철근류를 이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콘크리트와 골재 등이 혼합된 건축폐기물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스크린장치의 내부로 공급시킴으로서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최종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fter the first wet separa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a sorting device having an electromagnet or permanent magnet secondary separation of the various rebars from the construction waste, and then to the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concrete and aggregates through a conveyor By supplying to the inside of the screen device it is possible to finally separate the aggregate from the construction waste.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와 골재 등이 혼합된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최종적으로 분리시키는 데 사용되었던 종래의 스크린장치는, 원통 형상의 몸체상에 골재 배출용 구멍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을 따라 건축폐기물의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스크린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서, 스크린을 통하여 건축폐기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요구하는 입도(粒度) 이하의 골재만이 스크린의 골재 배출용 구멍을 통하여 선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conventional screen device used to finally separate the aggregate from the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concrete and aggregates as described above, the hole for discharging the aggregate is formed on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transfer screw of the construction wast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By rotating the installed screen, so that only aggregates of a particle size or less require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construction waste through the screen can be selected through the hole for discharge of the aggregate of the scree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크린장치를 사용하여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분리시키게 되면, 스크린을 통한 건축폐기물의 이송 과정에서 스크린의 골재 배출용 구멍이 분리하고자 하는 골재보다 다소 큰 입도를 가지는 다른 입자에 의하여 쉽게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건축폐기물로부터 요구하는 입도의 골재를 분리시키는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aggregate is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waste by using the conventional screen device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transfer of the construction waste through the screen, the aggregate discharge hole of the screen to other particles having a somewhat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aggregate to be separ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is easily clogged by,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of separating the aggregate of the required particle size from the construction waste greatly reduc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통 형상의 스크린을 진동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스크린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와 함께 스크린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스크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그 제조단가의 상승 및 스크린장치의 잦은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스크린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진동에 따른 소음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s, the cylindrical screen may be rotated in a vibrating manner, but this requires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vibrator for vibrating the screen together with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en, thereby complicat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creen device.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problem causing the rise of the manufacturing cost and frequent failure of the screen devi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noise caused by vibr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screen device is very severe.

또한, 종래의 스크린장치는 그 부피가 비교적 크게 되는 원통 형상의 스크린을 사용함과 동시에,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된 골재의 운반을 위하여 별도의 컨베이어를 스크린의 하부측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서, 스크린장치의 전체적인 설치공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스크린과 컨베이어를 별도의 모터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경우 스크린장치의 운전비용 또한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creen device uses a cylindrical screen whose volume is relatively large,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for transporting aggregate separated from the screen, so that the overall screen device can be 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space is excessively required, and if the screen and the conveyor are driven separately by a separate motor,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running cost of the screen device is excessively required.

특히, 하나의 스크린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입도를 가지는 골재의 분리작업에 다양하게 적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골재 배출용 구멍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는 여러 개의 원통 스크린을 구비하여 놓은 상태에서 그 무게와 부피가 비교적 크게 되는 원통 스크린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통 스크린의 교체작업에 따른 난해성으로 인하여 스크린장치의 호환성 있는 사용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single screen device to apply variously to the separation of aggregat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the weight of the aggregate discharge holes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screens are different. Since the cylindrical screen itself is relatively large and bulky to be replaced, due to the difficulty of replacing the cylindrical scree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patible use of the screen device is very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은 세변이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이 회전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스크린유닛을 그 바닥부가 골재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스크린챔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열 설치함으로서, 각종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골재의 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치의 소음과 고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스크린유닛과 스크린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골재의 분리작업에 보다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is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iangular screen plate three sides are formed in an arc arc spaced apart scree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tation axis By arranging the unit to be rota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screen chamber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to form the discharge space of the aggregate,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and easily separate the recyclable aggregate from the various construction wastes In order to minimize the noise and failure of the device occurring during the separation of aggregates, and to control the separation between the screen unit and the screen plate, it is possible to apply more widely to the separation of aggregat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Let it be technical problem.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장치는 하부측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그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챔버와, 상기 스크린챔버의 내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도록 동일선상에 배열 설치되는 스크린유닛과, 상기 각각의 스크린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챔버는 스크린유닛의 회전축 양단이 관통되는 양측벽과, 스크린유닛의 하부측에서 골재의 배출공간을 형성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방면은 건축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전방커버와 골재의 배출구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스크린유닛은 세변이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이 회전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고정되고, 그 회전축의 일측단부에는 서로 인접하는 스크린유닛을 타이밍벨트에 의하여 지그재그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타이밍풀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그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풀리가 상부측에 위치하는 스크린유닛의 종동풀리와 구동벨트로서 연결되도록 상기 스크린챔버의 바닥판 하측에 형성된 모터설치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creen device for separating the recyclable aggregate from a variety of construction waste, the screen device is a screen chamber which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by the lower support frame, and A screen unit arranged in the same line so as to rotat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screen chamber,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respective screen units, wherein the screen cha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screen unit. It consists of both side walls and the bottom plate forming the discharge space of the aggregate at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unit, the front surface is divided into a front cover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aggregate for the input of construction waste, respectively The screen unit has a triangular screen plate having three sides formed in an arc shape. Arranged and fix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axis, a timing pulley for zigzagly connecting screen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by a timing belt is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drive motor has a drive pulley fixed to the output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motor installation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bottom of the screen chamber to be connected as a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belt of the screen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의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스크린의 요부에 해당하는 스크린챔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크린챔버에 설치되는 스크린유닛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스크린의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발췌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disk screen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4 (a) and (b) of the dis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creen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main portion, Figure 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screen unit installed in the screen chamber of Figure 4,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e means of the dis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1)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측 지지프레임(2)에 의하여 그 전방측으로 약 20 ~ 60°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챔버(10)와, 상기 스크린챔버(10)의 내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도록 동일선상에 배열 설치되는 스크린유닛(20)과, 상기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스크린챔버(10)의 중앙 하부로 돌출된 모터설치부(10a)로 삽입되는 구동모터(8)로 이루어진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isk scree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at an angle of about 20 to 60 ° to the front side by the lower support frame 2, as shown in FIGS. 1 to 3, respectively. A screen chamber 10 which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 screen unit 20 arranged in the same line so as to rotat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en chamber 10, and the respective screen units 20 ) Is formed as a driving motor 8 that is inserted into the motor installation portion 10a protruding from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screen chamber 10 as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그리고, 상기 스크린챔버(10)의 일측에는 보강벽(9)이 일체로 부착 설치된 상태에서, 디스크 스크린(1)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발판(3)이 발판지지대(5)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보강벽(9)상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발판(3)을 따라서는 작업자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난간(4)이 설치되는 데, 상기와 같은 작업발판(3)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의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디스크 스크린(1)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wall 9 is integr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so that the work scaffold 3 for maintenance of the disk screen 1 is supported by the scaffold support 5. It is installed on the wall (9), along the work scaffolding (3) is provided with a handrail (4) for the safe walking of the worker, a separate ladder or the like without installing the work scaffold (3)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aintenance of the disk screen 1 can also be performed by using the same.

또한, 상기 스크린챔버(10)는 그 상부가 개구된 사각 통로 형상을 가지면서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스크린챔버(10)의 내부 공간에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수십 개의 스크린유닛(20)이 스크린챔버(10)의 양측벽(11)(12)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챔버(10)의 전방면은 건축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전방커버(6)와 골재의 배출구(7)가 상,하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chamber 1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while having a rectangular passage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dozens of screen units 20 having a rod shape are formed in an inner space of the screen chamber 10.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spanned between both side walls (11, 12) of the (10),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chamber 10 is the front cover (6) and aggregate for the input of construction waste The outlet 7 of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상기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디스크 스크린(1)에서 그 요부를 이루는 스크린챔버(10)의 세부적인 구성이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챔버(10)는 지지프레임(2)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스크린챔버(10)를 도면상 수평상태로 도시하였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creen chamber 10 constituting the main portion of the disk screen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ure 4 (a) and (b), the screen chamber 10 )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ront side by the support frame 2, but the screen chamber 10 is shown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스크린(1)의 요부를 이루는 스크린챔버(10)는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 양단부가 관통되는 양측벽(11)(12)과, 스크린유닛(20)의 하부측에서 골재의 배출공간(14)을 형성하는 바닥판(13)으로 이루어져 개략 사각 형상의 통로를 형성하며, 그 전방면은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건축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전방커버(6)와 골재의 배출구(7)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면은 건축폐기물의 배출을 위하여 개구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The screen chamber 10 forming the main portion of the disk scree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4, the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is penetrated Both side walls 11 and 12, and the bottom plate 13 to form the discharge space 14 of the aggregate at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unit 20 to form a roughly rectangular passageway, the front surface of which is from above As described, the front cover 6 and the discharge opening 7 of the aggregate for the input of the construction waste is divided into, the rear surface has an open state for the discharge of the construction waste.

상기와 같이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이 관통되는 측벽(11)(12)에는 스크린유닛(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부시나 베어링 또는 각종 윤활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방커버(6)는 양측벽(11)(12)의 상단으로부터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스크린유닛(20)의 상부측까지 연결 설치됨으로서, 스크린챔버(10)를 통하여 투입된 건축폐기물이 스크린유닛(2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7)는 전방커버(6)의 하부에서 스크린챔버(10)의 바닥판(13)과 스크린유닛(20) 사이에 형성된 골재의 배출공간(14)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있다.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bush, a bearing or various lubrication means for smooth rotation of the screen unit 20 on the side walls 11 and 12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passes. The cover 6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unit 20 located at the foremost side from the upper ends of both side walls 11 and 12, so that the construction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screen chamber 10 is screen unit 20. The discharge port 7 is discharge space 14 of the aggregate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13 of the screen chamber 10 and the screen unit 2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6) It is made to communicate with.

그리고, 상기 스크린챔버(10)의 바닥판(13) 하측에는 스크린챔버(1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스크린챔버(10)를 그 하부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상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강을 이용한 보강대(15)가 고정 설치되는 데, 상기 보강대(15)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사항이며, 스크린챔버(10)의 바닥판(13) 중앙에는 구동모터(8)의 설치를 위한 모터설치부(10a)가 하나의 격실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3 of the screen chamber 10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screen chamber 10, and at the same time, the screen chamber 10 is easily placed on the support frame 2 positioned below the screen chamber 10. The reinforcing bar 15 using the section steel is fixedly installed to be installed and used, and the reinforcing bar 15 is also a matter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as necessary, and is drive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13 of the screen chamber 10. The motor mounting portion 10a for installation of the motor 8 is formed to protrude to form one compartment.

또한, 상기 스크린챔버(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일정한 간격(D1)을 두고 동일선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어 건축폐기물의 이송 및 골재의 분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스크린유닛(20)은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 개의 꼭지점을 가지면서 각각의 변이 동일한 곡률의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22)이 회전축(21)을 따라 일정한 간격(D2)으로 배열 및 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the same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 1 )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screen chamber 10 is used for the transfer of construction waste and separation of aggregate, the screen forming another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unit 20 has three vertices, each of which has a triangular screen plate 22 formed along the axis of rotation 21 to form an arc of equal curvatur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arranged and fixed at a constant interval (D 2 ).

상기와 같이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형성하는 스크린판(22)은 도 4의 (가)에서 확대된 부분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챔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형태와 위치를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D1)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당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을 따라서도 동일한 형태와 위치를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D2)을 두고 회전축(2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plate 22 forming each screen unit 20 is the sam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en chamber 10, as clearly shown in the enlarged portion in FIG. While being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t a constant interval (D 1 ) and having a position, and as shown in Figure 5 also has the same shape and posi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21 of the screen unit 20 at a constant interval ( D 2 )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1.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스크린유닛(20)과 스크린판(22)을 배열 설치하는 이유는, 각각의 스크린판(22)이 형성하게 되는 2개의 간격(D1)(D2)이 일정한 입도를 가지는 골재의 배출간격을 이루도록 하고, 스크린챔버(10)의 내부에서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이 그 회전에 따른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각 스크린판(22)의 꼭지점 부분에 의하여 건축폐기물의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arranging each screen unit 20 and screen plate 22 in the same manner as above is that two spacings D 1 (D 2 ) at which each screen plate 22 is formed have a constant particle size. To achieve the discharge interval of the aggregate having, and each screen unit 20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in the interior of the screen chamber 10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due to the rotation, at the vertex portion of each screen plate 22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transfer of construction waste more smoothly.

상기와 같이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이 일정한 간격(D1)을 유지하면서 그 회전에 따른 간섭없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 일단에는 한 쌍의 벨트걸이부(23a)를 구비하는 타이밍풀리(23)(Timing pulley: 벨트와 기어구동의 양쪽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도록 그 내측면을 따라 기어식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동풀리)가 회전축(21)과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있다.As a means for allowing each screen unit 20 to be rotated at the same speed without interference due to its rotat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D 1 )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Timing pulley 23 is provided with a pair of belt hangers 23a (Timing pulley: an electric pulley in which a gear-shaped groove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take advantage of both belt and gear driving)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rotary shaft 21.

상기와 같이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에 결합 설치되는 타이밍풀리(23)에 의하여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챔버(10)의 모터설치부(10a)로 삽입 설치되는 구동모터(8)의 출력축(8a)에 구동풀리(25)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린유닛(20)의 타이밍풀리(23)와 동일축{즉, 회전축(21)}상에 고정된 종동풀리(27)를 구동벨트(26)에 의하여 상기 구동풀리(25)와 연결 설치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the driving means for rotating each screen unit 20 at the same speed by the timing pulley 23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e timing of the screen unit 20 located above the drive pulley 25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8a of the drive motor 8 inserted into the motor mounting portion 10a of the screen chamber 10. The driven pulley 27 fixed on the same axis as the pulley 23 (that is, the rotating shaft 2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25 by the driving belt 26.

또한, 각각의 스크린유닛(20)에 설치된 타이밍풀리(23)에 타이밍벨트(24)(타이밍풀리의 내측에 형성된 홈과 형합하는 기어식의 돌출부가 형성됨)를 연결하되, 타이밍풀리(23)에 형성된 2개의 벨트걸이부(23a)를 이용하여 도면상 전,후방측으로 인접하는 스크린유닛(20)이 각각 1개씩의 타이밍벨트(24)로 연결되도록 하면,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이 지그재그식의 연결구조를 가지는 타이밍벨트(24)에 의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동력전달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iming belt 24 (gear-type protrusions are formed to match the groove formed inside the timing pulley) is connected to the timing pulley 23 installed in each screen unit 20, but to the timing pulley 23. When the screen units 20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e drawing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timing belts 24 by using the two belt hangers 23a formed, the respective screen units 20 are zigzag-type. By the timing belt 24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o form a continuous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따라서, 구동모터(8)의 작동에 따라 구동풀리(25)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풀리(25)와 구동벨트(26)로서 연결된 종동풀리(27)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종동풀리(27)가 타이밍풀리(23)와 함께 고정된 스크린유닛(20)의 회전을 기점으로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이 해당 타이밍풀리(23)와 타이밍벨트(24)에 의하여 동일한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구동모터(8)로부터 발생한 회전속도를 요구하는 속도로 오차없이 정확하게 전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풀리(25)와 종동풀리(27) 및 구동벨트(26) 또한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pulley 25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8, the driven pulley 27 connected as the driving pulley 25 and the driving belt 26 rotates, and the driven pulley 27 ), Starting from the rotation of the screen unit 20 fixed together with the timing pulley 23, each screen unit 20 is the sam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by the timing pulley 23 and the timing belt 24. The drive pulley 25, the driven pulley 27 and the drive belt 26 are also able to rotate at the same time, and to accurately and accurately transmit the rotational speed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8 at a required speed. It is preferable to use a timing pulley and a timing belt.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8)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구조는, 스크린챔버(10)의 일측벽(11)(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장치의 관찰 및 유지보수가 용이}될 수도 있고, 스크린챔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장치의 외관이 미려함}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조업자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rotating the respective screen units 20 us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8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wall 11 and 12 of the screen chamber 10. Installation may be as easy as {the ob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device}, or may be installed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is beautiful}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screen chamber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necessary for the needs of the manufacturer or the user.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optional.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8)가 설치되는 위치 또한 스크린챔버(10)의 중앙부로 한정되지 않고 그 전,후방 단부측이 될 수도 있는 데, 이러한 경우 스크린챔버(10)의 최전방측 또는 최후방측에 위치하는 스크린유닛(20)의 타이밍풀리(23)에는 하나의 벨트걸이부(23a)가 남게 되므로, 별도의 종동풀리(27)를 사용하는 대신 타이밍풀리(23)에 남아 있는 하나의 벨트걸이부(23a)에 구동풀리(25)와 연결된 구동벨트(26)를 걸어서 사용하면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driving motor 8 is installed is not limit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creen chamber 10 but may be the front and rear end sides thereof. In this case, the driving motor 8 may be located at the foremos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Since one belt hook portion 23a remains in the timing pulley 23 of the screen unit 20, one belt hook portion remaining in the timing pulley 23 instead of using a separate driven pulley 27. The drive belt 26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25 may be hanged on the 23a.

그러나, 원활한 동력전달을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8)가 설치되는 위치는 가급적 스크린챔버(10)의 중앙부측이나 후방측이 바람직하며, 도 6에서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구동모터(8)를 사용하여 스크린유닛(20)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시키도록 하였으나, 감속기를 설치하지 않고 구동풀리(25)와 종동풀리(27)의 직경비(원주비)에 의하여 구동모터(8)의 출력축(8a)으로부터 발생하는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감속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drive motor 8 is installed is preferably at the center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for smooth power transmission. In FIG. 6, the screen using the drive motor 8 having the speed reducer is used. Althoug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nit 20 is properly adjusted, the output shaft 8a of the drive motor 8 is controlled by the diameter ratio (circumferential ratio) of the drive pulley 25 and the driven pulley 27 without installing a speed reducer.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low down the rotational speed generated from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구동모터(8)로 전력을 공급시킴으로서 구동모터(8)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모터(8)의 출력축(8a)에 고정된 구동풀리(25)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구동풀리(25)와 구동벨트(26)로서 연결된 종동풀리(27)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종동풀리(27)가 타이밍풀리(23)와 함께 고정된 스크린유닛(20)의 회전을 기점으로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이 타이밍풀리(23)와 타이밍벨트(24)에 의하여 동일한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First, when the driving motor 8 is oper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8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the driving pulley 25 fixed to the output shaft 8a of the driving motor 8 rotates. As a result, the driven pulley 27 connected as the driving pulley 25 and the driving belt 26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en pulley 27 rotates the screen unit 20 fixed together with the timing pulley 23. As a starting point, each screen unit 2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by having the sam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by the timing pulley 23 and the timing belt 24.

이러한 경우 각 스크린유닛(20)의 회전방향은 도 4에 있어 시계방향, 즉 스크린챔버(10)의 전방커버(6)측으로부터 스크린챔버(10)의 개구된 후단부를 향하여 건축폐기물의 이송이 가능한 방향이 되며, 이로 인하여 스크린챔버(10)의 전방커버(6)측으로 투입된 건축폐기물이 그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스크린챔버(10)를 따라 계단식의 배열구조를 가지는 스크린유닛(20)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린챔버(10)의 후방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rotation direction of each screen unit 20 is clockwise in FIG. 4, that is,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ront cover 6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toward the open rear end of the screen chamber 10. The construction waste introduced into the front cover 6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is rotated by the screen unit 20 having a stepped arrangement along the screen chamber 10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It is conveyed to the rear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상기와 같은 건축폐기물의 주된 이송작용은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이루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22)에 의하여 달성되는 데, 각각의 스크린판(22)이 회전축(21)과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꼭지점 부분이 건축폐기물을 후방측으로 밀어올리는 식으로 하여, 각각의 스크린유닛(20)에 의한 건축폐기물의 순차적이고도 연속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main conveying action of the building waste as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a triangular screen plate 22 constituting each screen unit 20, each of the screen plate 22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21 clock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the vertex portion pushes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sequential and continuous transfer of the construction waste by each screen unit 20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각각의 스크린유닛(20)에 의하여 스크린챔버(10)를 따라 건축폐기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건축폐기물에 포함된 재활용 가능한 골재는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이 형성하는 간격(D1) 및 해당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을 따라 각각의 스크린판(22)이 형성하는 간격(D2)을 통하여 요구하는 입도 이하의 골재만이 스크린챔버(10)의 바닥부로 선별 배출되고, 그 보다 큰 입도를 가지는 콘크리트와 같은 다른 입자는 각 스크린판(22)의 꼭지점 부위에 걸려 스크린챔버(10)의 후방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이송된다.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construction waste along the screen chamber 10 by each screen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e recyclable aggregate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waste is formed by the interval (D 1 ) of each screen unit 20. ) And only aggregates having a particle size less than or equal to the required particle size are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screen chamber 10 through the gap D 2 formed by each screen plate 22 along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And other particles such as concrete having a larger particle size are sequentially caught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by being caught at vertex portions of each screen plate 22.

따라서, 종래의 스크린장치에 적용되었던 원통 형상의 회전스크린과 같이 건축폐기물의 이송 과정에서 스크린에 형성된 골재 배출용 구멍이 분리하고자 하는 골재보다 다소 큰 입도를 가지는 다른 입자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것과 같은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건축폐기물로부터 요구하는 입도의 골재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 phenomenon in which a hole for discharging aggregate formed in the screen is blocked by oth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slightly larger than the aggregate to be separated during the transfer of construction waste, such as a cylindrical rotating screen applied to a conventional screen device. It rarely occurs, which makes it possible to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perform the task of separating aggregates of the required particle size from building waste.

또한, 상기와 같은 골재 배출용 구멍의 폐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크린 진동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크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된 콤펙트(Compact)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스크린장치의 제조에 따른 비용절감과 그 설치부피의 축소 및 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과 고장의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install a separate screen vibrator to prevent the closing of the aggregate discharge hole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creen device, but also screening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ct structure optimized to be able to do so, which will greatly contribute to reducing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screen device, the reduction of its installation volume and the prevention of noise and failur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t will be possible.

그리고, 상기 스크린챔버(10)가 그 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지지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유닛(20)에 의하여 선별된 골재가 스크린챔버(10)의 바닥판(13)으로 떨어지게 됨과 동시에, 스크린유닛(20)과 바닥판(13) 사이에 형성된 골재의 배출공간(14) 및 스크린챔버(10)의 전방 배출구(7)를 통하여 외부로 자동 배출되고, 나머지 건축폐기물은 스크린유닛(20)에 의하여 스크린챔버(10)의 개구된 후방측으로 자동 배출된다.In addition, since the screen chamber 1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2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thereof, the aggregate selected by the screen unit 20 is the bottom plate 13 of the screen chamber 10. At the same time as the fall, and through the discharge space 14 of the aggregate formed between the screen unit 20 and the bottom plate 13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7 of the screen chamber 10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remaining construction waste The screen unit 20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pen rear side of the screen chamber 10.

따라서, 건축폐기물로부터 분리된 골재를 스크린장치의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컨베이어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게 됨으로서,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분리하는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하나의 구동모터(8)만으로도 스크린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크린장치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conveyor as a means for transferring the aggregate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device, thereby maximiz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separating the aggregate from the construction waste. In addition, the entire operation of the screen apparatus can be performed with only one driving motor 8, thereby further contributing to the cost reduction due to the use and maintenance of the screen apparatus.

마지막으로,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스크린챔버(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 즉,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이 베어링이나 부시와 같은 회전지지수단과 함께 스크린챔버(10)의 측벽(11)(12)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스크린판(22)의 크기와 간격이 다르게 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스크린유닛(20)을 손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하나의 스크린장치를 다양한 입도를 가지는 골재의 분리에 보다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nally, when each screen unit 20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screen chamber 10, that is,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is the screen chamber 10 together with rotation support means such as bearings or bushes. In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to be inserted and deta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ide walls 11 and 12 of the side wall, various kinds of screen units 20 having different sizes and intervals of the screen plate 22 can be easily replac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pply a single screen device to a wider range of separation of aggregat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은, 건축폐기물의 이송 과정에서 스크린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골재 배출용 통로가 분리하고자 하는 골재보다 다소 큰 입도를 가지는 다른 입자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건축폐기물로부터 요구하는 입도의 골재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is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ggregate discharge passage formed by the screen unit during the transfer of construction waste is blocked by oth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slightly larger than the aggregate to be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rarely occurs,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o separate the aggregate of the required particle size from the construction waste.

또한, 골재 배출용 통로의 폐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크린 진동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크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된 콤펙트(Compact)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크린장치의 제조에 따른 비용절감과 그 설치부피의 축소 및 장치의 작동에 따른 소음과 고장의 방지에 크게 기여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additional screen vibrator to prevent the closing of the aggregate discharge passage, it is possible not only to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creen device, but also to select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device with optimized compact structure, which greatly contributes to the cost reduction, screening volume reduction, and the prevention of noise and failur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t has an effect.

그리고, 건축폐기물로부터 분리된 골재를 스크린장치의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컨베이어 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선별된 골재 및 나머지 건축폐기물이 스크린챔버의 외부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건축폐기물로부터 골재를 분리하는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도 스크린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크린장치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as a means for transferring the aggregate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device, even if a separate conveyor or the like is installed, the selected aggregate and the remaining construction waste ar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chamber. In addition to maximiz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separating aggregates from construction waste,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can be achieved with only one drive motor, which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cost savings associated with the use and maintenance of the screen unit. It can be effective.

특히, 각각의 스크린유닛을 스크린챔버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 즉, 스크린유닛의 회전축이 베어링이나 부시와 같은 회전지지수단과 함께 스크린챔버의 측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스크린판의 크기와 간격이 다르게 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스크린유닛을 손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하나의 스크린장치를 다양한 입도를 가지는 골재의 분리에 보다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each screen unit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screen chamber, that is, when the rotation axis of the screen unit is installed to be inserted and detach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ide wall of the screen chamber along with rotation support means such as bearings or bushes.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easily replace the different screen units of different sizes and intervals of the screen plate, so that one screen device can be more widely applied to the separation of the aggregate having a different particle siz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disk screen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FIG.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스크린의 요부에 해당하는 스크린챔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단면도.Figure 4 (a) and (b) is a side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creen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main portion of the dis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스크린챔버에 설치되는 스크린유닛의 확대 정면도.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screen unit installed in the screen chamber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스크린의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발췌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e means of the dis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디스크 스크린 2 : 지지프레임 3 : 작업발판1: disc screen 2: support frame 3: working step

4 : 난간 5 : 발판지지대 6 : 전방커버4: handrail 5: footrest support 6: front cover

7 : 배출구 8 : 구동모터 8a : 출력축7: outlet 8: drive motor 8a: output shaft

9 : 보강벽 10 : 스크린챔버 10a : 모터설치부9: reinforcement wall 10: screen chamber 10a: motor installation

11,12 : 측벽 13 : 바닥판 14 : 배출공간11, 12 side wall 13 bottom plate 14 discharge space

15 : 보강대 20 : 스크린유닛 21 : 회전축15: reinforcing table 20: screen unit 21: rotation axis

22 : 스크린판 23 : 타이밍풀리 23a : 벨트걸이부22: screen plate 23: timing pulley 23a: belt hanger

24 : 타이밍벨트 25 : 구동풀리 26 : 구동벨트24: timing belt 25: driving pulley 26: driving belt

27 : 종동풀리27: driven pulley

Claims (1)

각종 건축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골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스크린장치에 있어서,In the screen device for separating the recyclable aggregate from various construction waste, 상기 스크린장치는 하부측 지지프레임(2)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챔버(10)와, 상기 스크린챔버(10)의 내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D1)을 두고 회전하도록 동일선상에 배열 설치되는 스크린유닛(20)과, 상기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8)로 이루어지며,The screen device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 1 )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en chamber 10 and the screen chamber 10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by the lower support frame (2). It consists of a screen unit 20 arranged on the same line and a drive motor 8 for rotating the respective screen unit 20, 상기 스크린챔버(10)는 스크린유닛(20)의 회전축(21) 양단이 관통되는 양측벽(11)(12)과, 스크린유닛(20)의 하부측에서 골재의 배출공간(14)을 형성하는 바닥판(13)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방면은 건축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전방커버(6)와 골재의 배출구(7)로 분할 형성되며,The screen chamber 10 forms both side walls 11 and 12 through which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21 of the screen unit 20 penetrate, and a discharge space 14 for aggregate at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unit 20. Is made of a bottom plate 13, the front face is divided into a front cover 6 and the discharge port 7 of the aggregate for input of construction waste, 상기 각각의 스크린유닛(20)은 세변이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스크린판(22)이 회전축(21)을 따라 일정한 간격(D2)으로 배열 고정되고, 그 회전축(21)의 일측단부에는 서로 인접하는 스크린유닛(20)을 타이밍벨트(24)에 의하여 지그재그식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타이밍풀리(23)가 고정 설치되며,Each of the screen units 20 is triangular screen plate 22 having three sides formed in an arc shape is fixed to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D 2 along the rotation axis 21, one side end of the rotation shaft 21 The timing pulley 23 is fixedly installed to connect the screen unit 20 adjacent to each other in a zigzag manner by the timing belt 24, 상기 구동모터(8)는 그 출력축(8a)에 고정된 구동풀리(25)가 상부측에 위치하는 스크린유닛(20)의 종동풀리(27)와 구동벨트(26)로서 연결되도록 상기 스크린챔버(10)의 바닥판(13) 하측에 형성된 모터설치부(10a)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The drive motor 8 is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27 of the screen unit 20 on the upper side of which the drive pulley 25 fixed to the output shaft 8a is connected to the screen pulley 27 and the drive belt 26. 10) Disc screen for building waste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motor installation portion (10a) formed on the bottom plate 13 of the bottom.
KR1020050100775A 2005-10-25 2005-10-25 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KR100655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775A KR100655908B1 (en) 2005-10-25 2005-10-25 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775A KR100655908B1 (en) 2005-10-25 2005-10-25 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357A true KR20050107357A (en) 2005-11-11
KR100655908B1 KR100655908B1 (en) 2006-12-08

Family

ID=3728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775A KR100655908B1 (en) 2005-10-25 2005-10-25 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90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22B1 (en) * 2006-10-17 2007-02-02 (주)거산기계 The other multi-purpose selector of right and left right and left inclines
KR100927052B1 (en) * 2009-05-20 2009-11-17 정정호 Sludge dehydrator
KR20180076440A (en)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Moving screen apparatus for putting s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32B1 (en) 2007-04-04 2007-12-12 주식회사 포스벨 Ggregate reproducing surface reform grain size and sepation foreign substance apparatus
KR100909894B1 (en) 2008-09-26 2009-07-30 주식회사 신텍 Pre-treatment apparatus of living wastes with reducing odo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652A (en) * 1983-10-28 1986-04-01 Beloit Corporation Disk screen shaft assemblies and method of and means for manufacturing the same
FI852997L (en) * 1984-08-31 1986-03-01 Beloit Corp FOERHINDRANDE AV TILLTAEPPNING GENOM FASTKILNING AV SKIVDISKSORTERMASKINER.
JP2003126758A (en) * 2001-10-22 2003-05-07 Natoko Kk Apparatus for processing building board and apparatus for coating building 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22B1 (en) * 2006-10-17 2007-02-02 (주)거산기계 The other multi-purpose selector of right and left right and left inclines
KR100927052B1 (en) * 2009-05-20 2009-11-17 정정호 Sludge dehydrator
KR20180076440A (en)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Moving screen apparatus for putting s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908B1 (en) 200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908B1 (en) Disk-screen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CN110215989A (en)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multi-stage construction waste crushing processing unit
CN210752922U (en) A garbage collection device for green building construction
KR20220034063A (en) Drum-type foreign substance adsorption screening device
KR20000058670A (en) Landfill Garbage Sorting Equipment
KR102121612B1 (en) Hit type complex sortor
KR101019230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of Construction Wastes
KR200409534Y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Cleaning Aggregates of Rotary Type with High Efficiency
CN107983463A (en) A kind of new ore screening machine
KR200381995Y1 (en) Continuous Washing Device For Recycled Aggregate
CN218460152U (en) Screening device for building gravel
KR100273840B1 (en) The sorting apparatus of the reclaimed trash and the soil
KR20110130824A (en) Apparatus for peeling mortar of recycled aggregate
JP3748840B2 (en) Roll crusher discharge assist device
CN108722291A (en) The processing unit of highway bridge beam slab precast concrete waste material
CN109225467B (en) Vertical double-rotor powder hammering machine
KR100400197B1 (en) Wet reclaiming apparatus for sorting out stones
KR101935313B1 (en) Aggregate Treatment Equipment for Soft Soil Improvement using Construction Waste
CN108160314B (en)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system
CN111451124A (en) Gravel and sand screening machine
CN220479345U (en) Fine sand screening device for mine waste comprehensive utilization production
CN217093646U (en) Sorting type construction waste aggregate treatment equipment
CN219377460U (en) Building rubbish screening machine
CN220657664U (en) Waste crushing and recycling device
CN220804426U (en) Separation type screening machine for construction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