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152A -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152A
KR20050107152A KR1020040032381A KR20040032381A KR20050107152A KR 20050107152 A KR20050107152 A KR 20050107152A KR 1020040032381 A KR1020040032381 A KR 1020040032381A KR 20040032381 A KR20040032381 A KR 20040032381A KR 20050107152 A KR20050107152 A KR 2005010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cumin
nanoparticles
nanoparticle
lactide
glyco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회
강수정
홍성유
손영덕
장양수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버드 filed Critical (주)바이오버드
Priority to KR102004003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152A/ko
Publication of KR2005010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약물 방출 속도가 조절되는 서방성을 가지고, 생체 조직이나 혈관 속으로 침투할 수 있는 수백 나노미터 크기를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나노입자로 난용성 약물인 쿠르쿠민의 생체내 적용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Nanoparticle comprising Vascular smooth muscle cell inhibitor and the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현대인의 사망원인 중 심근경색, 뇌졸중 등으로 대표되는 혈관질환이 차지하는 비율이 제1위로써 매우 위험한 질환이며,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30-40대까지 그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심근경색에 의한 심장마비 사는 가정, 사회, 국가적으로 너무 손실이 막대하다고 할 수 있으며, 노년층의 증가로 심장혈관 질환의 발생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심장질환 중 가장 위험한 심장마비의 경우,주요 원인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이 폐쇄되어 일어나며, 치료를 위해 혈전용해제 투여법과 관상동맥성형술 (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법이 시행되고 있다. 혈전용해제 투여법은 혈전에 의한 급성관상동맥 폐쇄일 경우 응급치료 효과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맥경화반 (atherosclerotic plaques)에 의한 폐쇄 시에는 관상동맥성형술(PTCA)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 시술법은 직접 막힌 심장혈관내로 미세한 풍선도자(balloon catether)를 삽입하여 확장하는 기법이다.
풍선도자시술 후 혈관 초기 개통율은 90%가까이되어 매우 높은 성공률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술 후 6개월 이내 혈관이 재협착되는 부작용(일명 혈관재협착증)이 40-50% 가까이 발생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스텐트 삽입술이 도입되었으며, 이 시술법은 풍선바깥에 stent(직경이 3mm이하되는 미세 그물망)를 부착하여 좁아진 혈관부위까지 도달하게 한 다음, 풍선에 압력을 넣어 스텐트를 넓혀 혈관이 다시 좁아지지 못하게 하는 삽입술로써 이미 관상동맥성형술의 50%이상을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혈관재협착율이 현저히 감소되었지만 여전히 20- 30%의 재협착증이 발생한다. 따라서, 심장혈관질환자에 있어서 혈관성형술 이후 혈관재협착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 안정성이 높은 의약품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 되어져왔다.
이에 따라 심혈관질환의 급성폐쇄의 주요원인인 혈전형성에 대한 예방과 치료는 1970년대 이후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 혈전용해제인 유로키나제, t-PA등의 도입으로 크게 발전되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새로운 항혈소판제인 glycoprotein IIb/IIIa inhibitor, thombin inhibitor, factor Xa inhibitor제제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혈관재협착은 가속화된 동맥경화에 의해 발생하는데, 재협착발생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진외국의 다국적기업인 Boston Scientific, J&J, Medtronic, Cook company등을 중심으로 스텐트에 혈관재협착을 방지하는 물질을 coating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스텐트 표면에 약제들을 공유결합으로 도포하는 것보다 나노입자 등에 혼합하여 단순히 국소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도자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있으며, 약물 혹은 치료유전자가 국소 혈관벽에 효율적으로 전달된 후 약물의 농도가 혈관내에서 빨리 낮아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전달체의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현재까지 주로 연구 되고있는 전달체로는 리포솜, 생체고분자(PLGA, PLA), 를 이용한 nanoparticle등과 collagen mixture, chitosan mixture 등이 있다.
카레 및 염료의 주요 원료로 오랫동안 인도, 중국, 일본 등에서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온 생강과 식물인 울금(鬱金, 학명 Curcuma longa L.)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최근 쿠르쿠민(curcumin)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광범위한 질병에 대해 예방효과가 밝혀졌는데, 이 화합물의 주요한 약리작용으로는 항산화작용, 항혈전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간에 과다 축적된 중성지방에 대한 분해 작용, 세포사멸에 의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 억제효과, 베타아밀로이드 형성을 억제를 통한 노인성치매 치료와 예방효과, 피부염증에 대해 항염증 기능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에 관련된 쿠르쿠민의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심혈관계 세포의 증식 억제효과 및 이와 연관된 세포 신호 전달계의 변화가 부분적으로 관찰된 바 있다. (H.W.Chen, H.C.Huang,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998, 124, 1029-1040) 그러나, 쿠르쿠민의 경우 물에 난용성이고 유기용매에도 선택적으로 소수의 물질에만 용해되는 특징을 보여, 체내에 투여하기 위해서 약물을 가용화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물에 난용성인 약물을 가용화시키는 방법으로 약물의 구조식을 변화시켜 물에 용해되는 형태로 개량하는 방법,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약물을 수용액 중에 미셀화 시키는 방법, 생체적합성 물질로 약제를 담지 하는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난용성인 쿠르쿠민을 효과적으로 심장혈관질환 병변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 생체적합성 물질로 쿠르쿠민을 함유한 입자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Poly DL-lactide-co-glycolide); b)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블럭공중합체 ; 및 c) 쿠르쿠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는 공중합체의 조성비가 50:50 또는 75: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는 0.1의 경우 입자 크기가 더 작았으나, 함유되는 쿠르쿠민의 양이 50%이하로 적었고, 0.3부터는 나노입자 크기가 250nm를 넘어 우리가 목표하는 입자크기를 초과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실험했으나 입자크기가 너무 크고 aggregation되는 경우가 많아서, 표 1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중량부(w/v)에 0.1-0.4 중량부(w/v)인 것이 바람직하고, 0.2w/v의 경우 원하는 입자 크기와 쿠르쿠민 함유량이 적당하여(쿠르쿠민 함유량 75%이상) 0.2w/v의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블럭공중합체는 하기 표2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안정화제양이 많을수록 크기가 작아지지만, 5%이상에서는 크기 감소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고, 10%이상에서는 안정성 문제와 잉여의 안정화제가 잔존하여 불순물로 작용해 나노입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전체 중량부(w/v)에 2w/v-10중량부(w/v)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생체내 적용시 세포간극 사이와 혈관내로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하는 크기)인 100nm-3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a)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b)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된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를 쿠르쿠민과 혼합하는 단계;c) 상기 혼합된 유기상을 안정화제를 용해된 수용액에 포화시키는 단계;d) 상기 안정화된 혼합물을 소니케이션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유화용액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르쿠민을 함유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 크로라이드,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니케이션 방법은 아웃풋은 높을수록 크기가 감소하므로 10-60 왓트, 펄스 모드 50%, 반응시간은 3분 이하일 경우 충분한 유화가 되지 않아, 입자 생성이 안 되거나 aggregation을 일으키므로 반응시간의 경우 3-10분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맥경화와 혈관재협착의 원인이 되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물질로 울금의 주성분인 쿠르쿠민(curcumin)을 선정하여 혈관 내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약제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난용성인 쿠르쿠민을 효과적으로 심장혈관질환 병변 부위에 전달하기 위해 생체적합성 물질로 쿠르쿠민을 함유한 입자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혈관 내 약제를 투여하여 지속적인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 모세혈관을 폐쇄하지 않으며 혈관병변에 잘 침투할 수 있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의 입자 크기를 가지면서 약물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제조와 이 입자에 함유된 심혈관질환 예방 치료제인 쿠르쿠민의 생체 내 효능분석과 효과적 전달을 위한 동물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쿠르쿠민을 함유한 PLGA 나노입자의 제조
실시예 1-1
PLGA(Poly DL-lactide-co-glycolide; 공중합체 조성비 50:50, 분자량 34,000를 100mg-400mg로 10ml의 ethyl acetate에 용해시켜 1ml의 acetone에 용해시킨 curcumin(Sigma) 5mg 혼합하여 유기상을 만든다. 이 유기상을 유화시켜 안전한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안정화제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블럭공중합체(상품명: 플루로닉 , BASF사)를 사용하였으며, 5w/v의 농도로 20ml의 3차 증류수에 용해시켜 수용액상을 제조한다. 위 유기상을 안정화제가 용해된 수용액상에 포화시켜 열역학적인 평형상태가 유지 되는 연속상이 되도록 안정화 시킨 후 혼합물을 sonicator로 유화시킨다. 이 때, pulse mode 50%로 sonication의 energy output을 60 watt로 하여 10분동안 유화시켰다. 유화 후 2시간 동안 교반 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킨 뒤 잔류 유기용매와 안정화제, 담지 되지 않은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4L의 3차 증류수가 채워진 용기에 제조한 유화용액을 투석막에 넣어 10시간 이상 투석시킨다. 잔류 안정화제의 제거를 위해 투석시킨 유화용액을 35000rpm으로 초원심 분리한 뒤 3차 증류수로 다시 현탁 시켜 원심분리 하는 정제과정을 거친 뒤 동결 건조하여 약물이 담지된 PLGA 나노 입자를 제조한다.
한편, 제조된 PLGA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광산란 장치(Zeta plus, Brookhaven Inst. Co.,)를 이용해 제조된 나노 입자를 무작위로 일부 취하여 3번씩 측정 한 뒤 평균값을 취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입자의 morphology를 확인하였다. (도1)
입자 크기 측정결과 PLGA의 농도에 따른 입자의 평균크기변화를 표1에 나타내었는데, 살펴보면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크기가 증가함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유화단계에서 수상으로 유기상이 침투하면서 micelle을 형성할 때 유기상에 녹아있는 고분자의 함량이 많을수록 침투되는 양이 각각 droplet에 많아지게 되므로 입자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PLGA 농도에 따른입자의 평균 크기 변화
PLGA 농도(w/v) 입자크기(nm)
0.1 115
0.2 121
0.3 152
0.4 189
실시예 1-2
안정화제인 계면활성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블록공중합체의 함량을 2w/v-10w/v의 범위로 변화시켜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PLGA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을 광산란장치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정화제농도가 높을수록 입자크기가 작아졌으나 5%이상에서는 크기 감소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고, 10%이상에서는 정제후에도 안정화제가 잔존하여 불순물로 작용해 나노입자 안정성에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안정화제의 농도에 따른 입자의 평균 크기 변화
안정화제 농도(w/v) 입자크기(nm)
2 154
5 122
7 115
10 111
실시예 1-3
유화단계의 Sonication출력을 3, 10, 25, 45, 60 watt로 변화시켜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입경을 광산란장치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나노입자의 최종 크기는 유화반응 동안에 생성되는 고분자의 globule 크기에 달려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따라서 sonication을 시킬 때에 더 강한 출력으로 유화를 시키게 되면 유기상이 수상으로 침투되면서 globule을 생성할 때에 좀더 작은 크기로 더 많은 수의 globules이 생기게 된다. 표2에 나타낸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출력 25watt미만에서는 안정하게 globule이 형성될 수 있는 에너지가 전달되지 못해 정제 과정에서 aggregation을 일으켜 입자가 ㎛크기 이상으로 커졌다. 출력60 watt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크기 감소가 없었고, 오히려 반응 온도의 급상승으로 Tg가 높은 PLGA 에 영향을 주어 반응 후 정제 과정에서 aggregation을 일으켰다.
sonicator의 energy output 조절에 따른 크기 변화
sonicator의 energy output (watt) 입자크기(nm)
3 입자 형성 실패
10 수 ㎛
25 350
45 148
60 121
실시예 1-4
PLGA고분자에 함유하는 쿠르쿠민의 농도를 5mg, 10mg으로 변화시켜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입경을 광산란장치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4에 보여지듯이 담지 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입자크기가 증가하고 distribution이 높아지고 PLGA내부에 담지 되는 양보다 쿠르쿠민끼리 뭉치거나 입자를 형성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후 최종 입자내 약물 함유량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확립한 고분자 입자 제조 조건에 있어서의 쿠르쿠민 함유량은 5mg으로 정하였다.
쿠르쿠민 양(mg) 입자크기(nm)
5 122
10 147
최종적으로 여러 인자를 변화시킨 결과를 종합해 curcumin 5mg, PLGA 의 농도 0.2w/v%, Pluronic F68의 농도 5w/v%, Sonication 방법은 Sonication output 60watt, pulse mode 50%, 반응시간 10분으로 PLGA nanoparticle제조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 경우 150nm 이하의 쿠르쿠민을 함유한 PLGA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쿠르쿠민이 함유된 PLGA나노입자에서 쿠르쿠민 방출량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한 쿠르쿠민를 함유한 PLGA 나노 입자를 일정량 취해 유기용매에 녹인 뒤 UV-spectrometer (420㎚)로 curcumin 함유량을 측정한 뒤 미리 만들어 놓은 curcumin calibration curve의 값과 비교하여 입자내의 약물 담지 효율을 산출한다.
약물방출 실험을 위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한 쿠르쿠민를 함유한 PLGA 나노 입자를 100mg 취해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7.4) 5ml 에 현탁 시켜 투석튜브(cut off 3,500)에 넣은 뒤 100ml의 PBS(0.5% Tween 80) 에 담가 37℃ incubator에서 shaking하여 약물방출을 유도한다.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약물이 방출된 PBS를 일정량 취해 UV-spectrometer로 정량분석 하였다. 도2는 시간에 따른 쿠르쿠민의 누적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여지듯이, 약물방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물 초기 24시간 내에 burst effect가 적었고 약 2주 이후에도 40% 내의 방출거동을 보임으로 서방성을 가진 나노 입자가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경동맥 풍선손상을 이용한 재협착 모델의 제작 및 쿠르쿠민 함유 PLGA 나노입자의 재협착 억제시험
실시예 3-1
(1)Curcumin을 함유한 PLGA 나노 입자의 혈관 재협착 억제효과 조사를 위해 먼저 rat의 경동맥 풍선손상을 이용한 재협착 모델을 제작했다.
기초사육 후 1주일간 환경에 적응시킨 체중 350±30g 수컷 Sprague-Dawley Rat(12-14주령, ㈜대한바이오링크)을 검체당 7-10마리 사용하여, 경동맥 풍선손상방법을 이용하여 실험 하였다.
Ketamine(70㎎/㎏)과 Xylazine hydrochloride(33mg/kg)을 1:1로 혼합하여 복강 내로 투여하여 흰쥐를 마취한 후 경부 중앙 절개법으로 접근하여 좌측 총경동맥(left common carotid artery, CCA)과 내경동맥 (ICA, internal carotid artery) 및 외경동맥 (ECA, external carotid artery)의 분지부를 노출시켰다. 좌총경동맥 근위부와 내경동맥의 기시부를 수술사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결찰하여 혈류를 차단 한 뒤 외경동맥의 원위부를 결찰하고 적당한 간격을 두고 근위부는 결찰할 수 있게 해둔다. 두 수술사 사이의 외경동맥의 전벽을 일부 절개하여 2F Fogarty 풍선도자(Edwards Lifesciences)를 삽입한 후 좌총경동맥의 결찰을 풀고 상행대동맥 방향으로 전진시켰다. 대동맥궁의 총경동맥 기시부에서 약간의 저항을 느낄 정도로 풍선도자를 부풀려 잡아 당겨서 좌총경동맥 전체에 일정한 손상을 유발시키는 과정을 3회 반복한 뒤 Fogarty 풍선도자를 제거하였다. 이 과정에 의해 혈관 내피가 제거되어 중막의 평활근에 상해가 가해져 내막비후가 일어난다. Fogarty도자와 같은 재질의 tube를 풍선도자를 제거한 자리에 다시 삽입하여 좌총경동맥의 중간부에 위치시킨 후 좌총경동맥의 중간부와 원위부, 내경동맥을 일시적으로 수술사로 결찰 한 뒤 tube를 통해 drug대신 대조군인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는데, 30초 주입하고 30초 쉬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총 주입시간 5분) 총 주입액 0.5ml이 되도록 하였다. 외경동맥을 수술사로 영구 결찰한 뒤, 총경동맥과 내경동맥의 일시 결찰을 풀고, 혈류를 재관류시켜 혈액이 총경동맥에서 내경동맥으로 관류하는 것을 확인한 후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Rat은 마취로부터 회복한 후 개별의 케이지(cage)에 되돌려 조직형태 검사 전까지 사육하였다.
(2)관류고정(Perfusion fixation) 및 조직형태 계측 검사
흰쥐의 경동맥 손상 후 2주 후에 ketamine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마취 시킨 후 양측 경정맥을 절개한 후 대동맥을 통하여 생리 식염수를 관류시켜 혈관계를 세척한 후 즉시 대동맥을 통하여 10% 포르말린을 관류시켜 압력고정(pressure-fixation)을 시행하였다. 손상받은 좌총경동맥과 손상받지 않은 우총경동맥을 각각 적출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12시간 고정시킨 후 이를 파라핀에 포매시켰다. 손상부위 중 가장 증식이 많이 된 부위를 선택하여 50㎛ 간격으로 3㎛ 두께로 절편을 만들었고, 우총경동맥은 대조군으로 준비한다. 각 조직은 hematoxyline-eosin 염색법으로 엽색하여 형태를 관찰하여 신생내막(neointima)의 비후 여부를 비교하였다.도 3에 보여 지듯이, 대조군에 있어서 풍선손상을 일으킨 좌총경동맥(도3의 (b))의 경우 14일 경과한 재협착 모델에 있어서는 현저한 신생내막 비후가 관찰되었고, 손상 받지 않은 우총경동맥(도3의 (a))의 경우 내막의 비후가 전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경동맥에 풍선손상으로 신생내막을 형성시켜 혈관재협착 모델을 제작한 결과 풍선도자술에 의해 유도된 혈관내피 손상으로 인한 신생 내막 비후로 혈관 재협착을 유도하여 rat을 이용한 경동맥 재협착 모델이 성공적으로 정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혈관주입용 쿠르쿠민 PLGA 나노 입자의 혈관 재협착 억제효과 조사를 위해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 모델인 rat의 경동맥을 풍선도자로 손상시키고 drug을 투여하는 단계에서 대조군인 생리식염수 대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한 쿠르쿠민를 함유한 PLGA 나노 입자를 현탁 시킨 생리식염수를 30초 주입하고 30초 쉬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총 주입시간 5분) 총 주입액이 0.5ml이 되도록 한 실험군을 제작하였다. 시술 후 2주 경과 후에 경동맥 조직을 관찰하여 손상 혈관의 신생내막 (neointima)의 비후여부를 확인하여 비교하였다.
도4의 (a)는 풍선손상 받지 않은 우총경동맥, (b)는 풍선손상 후 쿠르쿠민 함유 PLGA 나노입자를 주입하고 2주가 지난 뒤의 좌총경동맥의 조직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쿠르쿠민 함유 PLGA 나노입자를 주입하여 혈액순환을 통해 전체 혈관에 도달했지만, 우총경동맥의 경우 위 도3의 대조군의 우총경동맥과 같이 전혀 신생내막의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풍선 손상 후 쿠르쿠민 함유 PLGA 나노입자를 주입한 경우에는 대조군의 풍선손상 받지 않은 우총경동맥(도3(a))에 비해서는 다소 신생내막의 비후가 일어났지만, 풍선손상 좌총경동맥(도3의 (b))와 비교했을 때 약 80%의 신생내막 억제 효과를 확연하게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쿠르쿠민의 생체내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쿠르쿠민을 함유한 생체적합성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고 안정한 형태로 저장가능하며 수용액에 현탁시켜 주사제로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쿠르쿠민을 함유한 PLGA나노입자는 서방성을 지니므로 약물의 투여량 증진과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고, 동물 재협착 모델을 통해 재협착 억제 능력을 보이는 것을 확일 할 수 있었으므로, 서방형 쿠르쿠민 함유 PLGA 나노입자를 혈관 재협착 억제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쿠르쿠민을 함유한 PLGA나노입자의 SEM 관찰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PLGA 나노입자로부터의 curcumin 방출 양식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풍선 손상 후 4주후의 경동맥 조직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의 (a) 손상 받지 않은 우총경동맥, (b) 손상 받은 좌총경동맥을 나타낸다. 
도4의 (a)는 풍선손상 받지 않은 우총경동맥, (b)는 풍선손상 후 쿠르쿠민 함유 PLGA 나노입자를 주입하고 2주가 지난 뒤의 좌총경동맥의 조직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a)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Poly DL-lactide-co-glycolide);
    b)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블럭공중합체 ; 및
    c) 쿠르쿠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는 공중합체의 조성비가 50:50 또는 7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는 전체 중량부(w/v)에 대하여 0.1중량부(w/v)∼0.4 중량부(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블럭공중합체는 전체 중량부(w/v)에 대하여 2중량부(w/v)∼10중량부(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100nm∼3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6. a)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된 폴리 DL-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를 쿠르쿠민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유기상을 안정화제를 용해된 수용액에 포화시키는 단계;
    d) 상기 안정화된 혼합물을 소니케이션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유화용액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르쿠민을 함유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 크로라이드,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르쿠민을 함유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니케이션 방법은 소니케이션 아웃풋 10-60 왓트, 펄스 모드 50%, 반응시간 3분∼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르쿠민을 함유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20040032381A 2004-05-07 2004-05-07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7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81A KR20050107152A (ko) 2004-05-07 2004-05-07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81A KR20050107152A (ko) 2004-05-07 2004-05-07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52A true KR20050107152A (ko) 2005-11-11

Family

ID=3728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381A KR20050107152A (ko) 2004-05-07 2004-05-07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1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48B1 (ko) * 2006-08-29 2009-02-02 정헌택 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혈관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KR100906978B1 (ko) * 2007-06-22 2009-07-08 (주)바이오버드 손상혈관 타겟팅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억제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48B1 (ko) * 2006-08-29 2009-02-02 정헌택 디메톡시커큐민을 함유하는 혈관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KR100906978B1 (ko) * 2007-06-22 2009-07-08 (주)바이오버드 손상혈관 타겟팅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억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62674B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diseases
US10098987B2 (en) Coating for intraluminal expandable catheter providing contact transfer of drug micro-reservoirs
US8518429B2 (en) Arsenic trioxide medical elution scaffold
CA2388656C (fr) Utilisation de microspheres biodegradables liberant un agent anticancereux pour le traitement du glioblastome
EP205798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tin-encapsulated nanoparticle
EP3368553B1 (en) Polymer-based therapeutics for inductive browning of fat
US20040126400A1 (en) Delivery of therapeutic compounds via microparticles or microbubbles
JP2005504008A (ja) 過形成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07153896A (ja) 脈管の病気の局所注入に基づく治療のためのナノ粒子および/またはマイクロ粒子の配合物
JP7437074B2 (ja) リバスチグミンを含む長期持続型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796895B1 (en) Biomimetic vesicles and uses thereof
Chandy et al. Changes in cisplatin delivery due to surface-coated poly (lactic acid)–poly (∊-caprolactone) microspheres
WO2020081455A1 (en) Coating for intraluminal expandable catheter providing contact transfer of drug micro-reservoirs
JP2001527040A (ja) 神経系の脳血管性疾患を治療、抑制及び防止するためのテトラサイクリン及び/又はテトラサイクリン誘導体
Mei et al. Modified paclitaxel-loaded nanoparticles for inhibition of hyperplasia in a rabbit arterial balloon injury model
Lee et al. Paclitaxel release from micro-porous PLGA disks
US11406742B2 (en) Coating for intraluminal expandable catheter providing contact transfer of drug micro-reservoirs
KR20050107152A (ko) 혈관 평활근 세포 억제제를 함유한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US11660345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delivery of anti-platelet drugs for the treatment of acute stroke
Ribeiro Internship and Monograph reports entitled” Nanotechnology-based therapeutics strategies towards the topical treatment of hair loss
Motawee et al. Lipospheres and Pro-Nanolipospheres: Advancements in Drug Delivery Systems
KR100906978B1 (ko) 손상혈관 타겟팅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억제용 조성물
KR20170114245A (ko) 저분자 메틸셀룰로오스 기반의 비경구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
JPH07330581A (ja) 埋込型徐放性免疫抑制剤
JP2018505200A (ja) 腫瘍を治療するためのアクリフラビンの局所送達形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