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953A -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 - Google Patents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953A
KR20050105953A KR1020050097304A KR20050097304A KR20050105953A KR 20050105953 A KR20050105953 A KR 20050105953A KR 1020050097304 A KR1020050097304 A KR 1020050097304A KR 20050097304 A KR20050097304 A KR 20050097304A KR 20050105953 A KR20050105953 A KR 2005010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carbon
floor
stov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922B1 (ko
Inventor
함창화
Original Assignee
함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창화 filed Critical 함창화
Priority to KR102005009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92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3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난로 내부에 섬유보강 카본 발열체를 내장시킨 것으로서, 상기 발열체는, 유연성섬유사를 종방향 및 횡방향의 그물 상 형태로 직조함과 동시에 양측 장변 및 중앙에 각각 여러 가닥의 동선을 함께 직조하여서 된 그물 상의 직조물을 액상 카본에 함침하여 건조시키고, 상기 양측 장변부 동선에 각각 양(+)단자와 음(-)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카본이 피복된 직조물의 상/하단에 유연성을 갖는 겔(GEL) 상 합성수지 압착 또는 함침시켜서 피복한 것으로 발열체가 접히거나 꺾이더라도 유연성섬유사의 단선이 없어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측 장변의 양(+)단자와 음(-)단자에 전기를 부여함으로서 발열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며, 기존의 전기난로는 전력소모가 많고 벽체형과 선풍기형 등 자리를 차지해 관리에 불편함이 많은 단점이 있어 이를 간단하게 바닥에 깔아 난방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omitted}
본 고안은, 대한민국특허 제10-2000-0068081 (2000.11.16)의 섬유보강면상전기전도체의 응용제품으로 전기적 저항에 의하여 발열하도록 전도성 카본이 피복된 그물상 발열체를 바닥난로에 내장시키되, 발열체의 제조가 용이하고 섬유사의 단선방지 등의 내구성이 우수한 발열체가 내장된 바닥난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난로는 니크롬선을 이용한 온풍기 및 선풍기형 난로 등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은 바닥에 사용하기 부적합하고 최근에는 카본으로 제조된 실을 직조하여 제조된 원단이나 pet성분을 갖는 필림 위에 카본페이스트와 실버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필림을 만들어 전기를 공급함으로서 발열되게 하는 발열체를 액자에 넣어 사용한 벽걸이 난로 등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바닥에 적용할 경우 굽혀지거나 꺽여지면 단선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발열체에 내구성을 강화한 카본이 피복된 직조물을 그물 상 상태로 유지하기가 용이하게 함으로서 코팅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바닥난로 전체에 대해 균일한 온도분포를 나타낼 수 있게 하며, 발열체 전체면에 대하여 합성수지재에 의한 외부 코팅 또는 압착 후에도 유연성을 갖게 함으로서 바닥난로의 쿠션성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연성섬유사를 종방향 및 횡방향의 그물 상 형태로 직조하되, 직조물의 양측 장변과 중앙에 각각 여러 가닥의 동선을 함께 직조하고, 상기 양측 장변부 동선에 각각 양(+)단자를, 중앙부 동선에 음(-)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양(+)전극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카본이 피복된 직조물을 유연성을 가지는 겔 상의 합성수지에 압착시키거나 함침시켜 합성수지를 피복시킨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발열체(100)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발열체(100)는 유연성섬유사를 종방향 및 횡방향의 그물 망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난로 전 면적에 내장시키기 적당한 크기로 직조된 것이고,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이하, '장변'이라 한다)에 여러 가닥의 동선을 직조한 전극부(30)(50) 한 쌍과 길이방향의 중앙에도 유연성섬유사와 함께 동선을 직조한 전극부(40)가 형성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로서, 상기 한 쌍의 장변 전극부(30)(50)는 각각 양(+)단자(31)(51)가 연결되었고, 중앙에 위치한 전극부(40)는 음(-)단자(4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단자(31)(51)와 음(-)단자(41)는 제어기(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열체(100)는 장변 일측 전극부(30)와 중앙 전극부(40) 사이에 제1발열부(10)가 형성되고, 장변 타측 전극부(50)와 중앙 전극부(40) 사이에 제2발열부(20)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100) 전체면에 유연성을 갖는 겔(GEL) 상의 피복층(60)이 형성되었다.
상기 발열체(100)는 전도성 카본을 소재로 하여 전기적으로 발열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카본의 구성과 직조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극부(30)와 제1발열부(10) 일부의 횡방향 단면 구성을 살펴보면, 제1발열부(10)의 유연성섬유사(11)는 유연성을 가지며, 종방향 및 횡방향의 격자 형태로 상호 직조되어 있으며, 횡방향 유연성섬유사는 전극부(30)에서 여러 가닥의 동선(32)과 함께 비교적 조밀하게 직조되어 있으며, 이러한 직조 방법으로 도시되지 않은 기타 전극부(40)(50)를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직조는 통상의 직조수단을 따르면 무방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2발열부(20)의 종방향 단면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유연성섬유사(11)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상호 그물 망 형태로 직조되어 있으며,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유연성섬유사(11)와 강성합성수지사(12)는 상호 교번하여 직조되어 있다.
즉, 종방향 유연성섬유사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유연성섬유사, 강성합성수지사, 유연성섬유사, 강성합성수지사와 같은 순서대로 교번 직조된 것이다.
상기 강성합성수지사(12)는 유연성섬유사에 비해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강성합성수지사(12)에 의해 유연성섬유사의 직조 간격유지와 상호 엉키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직조물의 최초 직조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 직조 형태와 같이 유연성섬유사로만 직조된 직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형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갖는 강성합성수지사는 발열체의 횡방향 길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구성되고, 또는 제조자의 선택에 의해 종방향으로 직조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직조물을 액상 전도성 카본에 전체를 함침시켜 건조하면 유연성섬유사(11), 강성합성수지사(12) 및 동선(32) 전체에 카본이 코팅된 카본 피복층(90)이 형성된다.
또한, 카본 피복층(90)이 형성된 직조물을 다시 유연성을 갖는 겔상의 합성수지, 예를 들면, 겔(GEL)상 우레탄 수지, 겔 상 PVC, 겔 상 PE, 겔 상 PET 등을 열에 의해 압착 건조시키거나 또는 직조물을 상기 다양한 겔 상의 합성수지에 함침시키면 직조물 전체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합성수지 피복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합성수지 피복층(60)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 과정에서 상기 강성합성수지사(12)는 직조물을 원형 상태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코팅이나 압착 작업을 위한 펼침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유연성섬유사의 직조로 발생된 메쉬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발열시 발열 전체 면적에 대해 고른 온도분포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피복층(60)이 굽혀지거나 꺽여지더라도 내부의 직조 발열체는 단선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가 바닥난로에 내장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체(100)는 장변에 양(+)단자(31)(51)가 연결된 전극부(30)(50)로 구성되고, 중앙 전극부(40)는 음(-)단자(41)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단자로의 전원 입력은 제어기(70)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단자(41)에 지속적으로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어느 일측, 예를 들면 양(+)단자(31)로만 전원을 인가하면, 제1발열부(10)에서만 발열이 발생하게 되고, 제2발열부(20)에서는 발열이 되지 않게 되며, 이와 반대로 양(+)단자(51)로만 전원을 인가하면, 제2발열부(20)에서만 발열이 되므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제어기(70)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분 발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체(100)를 바닥난로에 내장할 경우, 바닥난로 커버(81)와 발열체 사이에 섬유포(82)를 내장시키고, 섬유포(82)에는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발휘하는 물질, 예를 들면 옥, 황토, 세라믹, 숯을 분말화하여 첨가하거나 또는 혈액 순환을 돕는 자기력을 방출하는 자석을 수개소에 장착할 수 있고, 혹은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그물 망 형태로 동선을 장착할 수 있으며, 또는 선택적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토르말린 분말이나 은 분말을 첨가할 수 있다.
은, 황토, 숯 분말의 경우는 세균이나 진드기 등의 서식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기석이라고 불리는 토르마린은 자체 내에서 미세전류를 방출하고, 가열에 의해 더욱 그 양이 증가하는 것을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발열체(100)에서 발열하는 열에 의해 상기 선택되거나 혼용되어진 물질들이 더욱 활발하게 작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가 내장된 바닥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닥난로 커버(81)하부로 섬유포(82), 카본 발열체(100), 단열재(83), 커버(81)가 차례로 적층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나열된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선택되거나 적층 순서를 달리 할 수 있다.
단열재(83)는 우레탄 또는 폴리올래핀계열 폼에 은박을 합지하여 단열층을 형성한 것으로 보온효과를 우수하게 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바닥난로의 발열체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니크롬열선이나 면상발열체, 즉 카본으로 제조된 실이나 pet성분을 갖는 필림위에 카본페이스트와 실버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필림을 만들어 전기를 공급함으로서 발열되게 한 것에도 포함되는 바닥난로 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된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지만, 도시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설명된 본원고안이 갖는 많은 기능들의 조합 및 선택적 부가 등의 변경은 물론, 이하에서 기재되는 본원고안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열체에 따르면, 유연성섬유사로 직조된 직조물의 어느 일방향에 강성합성수지사가 유연성섬유사와 함께 교번하여 직조되었기 때문에 유연성섬유사의 직조 최초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엉킴을 방지하여 겔 상 합성수지 코팅(압착 또는 함침) 작업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전체 면적에 대해 균일한 온도분포를 이룰 수 있게 되고, 겔 상 합성수지 피복에 의해서 발열체가 유연성을 가지므로, 이를 바닥난로에 내장시켜도 접거나 구부려도 단선되지않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열체 장변에 한 쌍의 양(+) 전극부를 마련하고 중앙 전극부를 음(-)극으로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부분적인 발열이 가능하므로 취향에 따라 발열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섬유포에 첨가된 옥 분말, 황토 분말, 세라믹 분말, 숯 분말 등이 첨가될 경우 발열체의 발열로 인하여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이 다량 방사하게 되고, 자석의 경우 자기욕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전체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가 바닥난로에 내장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가 내장된 바닥난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발열부 11 : 유연성섬유사
20 : 제2발열부 30, 40, 50 : 전극부
31, 51 : 양(+)단자 41 : 음(-)단자
60 : 겔(GEL)상 합성수지 피복층 70 : 제어기
71 : 코드 72 : 코드선
73 : 단자캡 80 : 바닥난로
90 : 카본 피복층 100 : 발열체

Claims (3)

  1. 전기적 특성에 의해 발열되는 바닥난로의 발열체에 있어서,
    대한민국특허 제10-2000-0068081 (2000.11.16)의 섬유보강면상전기전도체와 니크롬열선, 카본으로 제조된 실을 직조하여 제조된 원단이나 pet성분을 갖는 필림 위에 카본페이스트와 실버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필림을 만들어 전기를 공급함으로서 발열되게 하는 발열체에 있어 사용저항 값이 0.1Ω부터 500Ω대의 저항 값을 갖는 발열체를 사용하는 바닥난로
  2. 청구 1항의 발열체에 있어서 장변에 한 쌍의 양(+) 전극부를 마련하고 중앙전극부를 음(-)극으로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부분적인 발열이 가능하므로 취향에 따라 발열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닥난로.
  3. 상기 바닥난로의 적층순서가 바닥난로 커버(81) 하부로 섬유포(82), 카본 발열체(100), 단열재(83), 커버(81)가 차례로 적층되며, 바닥난로 커버 내부의 섬유포가 옥 분말, 은 분말, 황토 분말, 세라믹 분말, 숯 분말, 자석 또는 그물 망 형태의 동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져 부가된 섬유포를 내장하되, 상기 섬유포는 청구항 1 기재의 섬유보강 카본 발열체와 연접하여 간접 가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로.
KR1020050097304A 2005-10-17 2005-10-17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 KR100787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304A KR100787922B1 (ko) 2005-10-17 2005-10-17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304A KR100787922B1 (ko) 2005-10-17 2005-10-17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953A true KR20050105953A (ko) 2005-11-08
KR100787922B1 KR100787922B1 (ko) 2007-12-21

Family

ID=3728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304A KR100787922B1 (ko) 2005-10-17 2005-10-17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9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44B1 (ko) * 2006-05-10 2007-10-02 김상복 전열시트지
KR100783184B1 (ko) * 2006-05-30 2007-12-07 임영일 Ac 겸용 dc 발열직물의 제조방법
KR101034698B1 (ko) * 2011-04-07 2011-05-16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원적외선 방사 맥섬석 매트리스를 갖는 숙면침대
KR101412993B1 (ko) * 2013-02-06 2014-07-04 신영연 카본섬유 발열체 및 발열시트 제조방법
KR20190111571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유니크 메쉬 형태 전극을 구비한 열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38B1 (ko) * 2015-12-31 2016-08-03 (주)닥터서플라이 전기온열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7607B1 (ko) 2016-10-24 2017-06-14 유은조 의료용 복사열 난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112Y1 (ko) 2004-02-27 2004-09-22 김기호 모서리에 금속선 다발을 연속적으로 접속시켜 전기가 잘접속되도록 만든 탄소섬유직조물 전기발열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44B1 (ko) * 2006-05-10 2007-10-02 김상복 전열시트지
KR100783184B1 (ko) * 2006-05-30 2007-12-07 임영일 Ac 겸용 dc 발열직물의 제조방법
KR101034698B1 (ko) * 2011-04-07 2011-05-16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원적외선 방사 맥섬석 매트리스를 갖는 숙면침대
KR101412993B1 (ko) * 2013-02-06 2014-07-04 신영연 카본섬유 발열체 및 발열시트 제조방법
KR20190111571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유니크 메쉬 형태 전극을 구비한 열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922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9763B (zh) 纤维增强加热装置和具有该装置的床垫
KR100787922B1 (ko)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바닥난로
US20080135120A1 (en) Heat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84132B1 (ko) 카본코팅 발열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685B1 (ko)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KR20110053864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 상의
JP3820855B2 (ja) 面状発熱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シートヒーター
KR101970796B1 (ko) 선택적 발열시스템을 갖는 발열매트
KR100689044B1 (ko) 섬유보강 카본 발열체 및 그 발열체가 내장된 매트리스
KR200375247Y1 (ko) 섬유보강 카본 발열체 및 그 발열체가 내장된 매트리스
KR20050110584A (ko) 섬유보강전기전도체를 활용한 다기능찜질기
KR101667142B1 (ko)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23454B1 (ko) 스마트 전원인가방식을 갖춘 전기 온열매트
US3758747A (en) Electric mattress
KR20110053863A (ko) 유연성 발열체를 이용한 착용형 발열패드
KR200434526Y1 (ko) 개인온열 사우나
KR20030019491A (ko) 온열과 음이온을 가진 음전위 발생 매트의 전열시트제조방법
KR101760613B1 (ko) 전자파 상쇄 면상 발열체
KR20120002898A (ko) 발열작용과 전류 및 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가죽
KR100927173B1 (ko) 활성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시트
WO1998001009A1 (en) Electrically-heated, flexible and stretchable, shaped fabric
KR20130012609A (ko) 전열선을 내장한 직물지
KR100987567B1 (ko) 찜질기능을 겸비한 발열매트
KR200195313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온열매트
CN217509942U (zh) 一种电热护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