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821A -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821A
KR20050105821A KR1020040031088A KR20040031088A KR20050105821A KR 20050105821 A KR20050105821 A KR 20050105821A KR 1020040031088 A KR1020040031088 A KR 1020040031088A KR 20040031088 A KR20040031088 A KR 20040031088A KR 20050105821 A KR20050105821 A KR 2005010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supply
injecto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대
박준호
한태성
송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3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5821A/ko
Publication of KR2005010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82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코스 중 탈수과정에 입체분사방식의 급수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세탁효과 및 헹굼효과를 높여주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에서 본 발명의 분사장치는 세탁기의 세탁/탈수조 내부 바닥 중앙에 고정체 또는 회전체이면서 다수의 분사구 또는 분사노즐이 설치된 구형, 원통형, 봉형 또는 원뿔형의 분사체를 설치한 뒤, 분사구의 크기로 급수량을 조절하고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탈수과정 중 세탁물의 표면에 직접적이고 입체적으로 물을 급수하여 세탁효과와 헹굼효과가 향상되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세탁효과와 헹굼효과가 향상되는 동시에 전체 사용 용수량을 줄일 수 있고, 세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세탁 오염수의 배출량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세탁기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A Water Spraying Device For An Automatic Washer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세탁 코스 중 탈수행정에서 물을 입체적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세탁 효과와 헹굼 효과를 높여 주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펄세이터(pulsator)의 회전에 의한 수류를 이용하는 펄세이터형과, 세탁봉의 회전에 의한 세탁물과의 접촉을 이용하는 봉형, 및 드럼의 회전에 의한 세탁물의 수직낙하를 이용하는 드럼형이 있으며, 이 중에서 펄세이터형 세탁기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펄세이터형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세탁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3)과, 소정량의 세탁 용수를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0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105)와, 측면에 다수개의 세탁 용수 유통공(10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조(105) 안쪽에 설치된 세탁/탈수조(109)와, 세탁/탈수조(109)의 바닥에 설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펄세이터(111) 및, 세탁/탈수조(109) 및 펄세이터(111)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하우징(103) 상측의 상면패널(115) 개구부의 한쪽 측면에는 힌지(119)에 의해 뚜껑(117)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면패널(115) 내부에는 세탁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1)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저수조(105)의 하단 일측에는 세탁 후의 혼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123)가 연결되어 있고, 저수조(105)의 상단 일측면에는 급수호스(125)와 연결된 세제통(12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의 구동부(113)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5)와, 펄세이터(111)의 회전축(141)과 결합되어 있는 감속기어 조립체(137), 및 구동모터(135)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기어 조립체(137)로 전달하는 전동벨트(139)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세탁기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거쳐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세탁/탈수조(109) 내부에 세탁물을 넣은 다음, 세제통(127)에 적정량의 세제를 투입하고, 급수호스(125)와 연결된 수도꼭지와 같은 급수원을 개방하면 급수밸브(131)를 거쳐 세제통(127)에 유입된 급수가 세제와 혼합된 세탁 용수가 되어 세탁조(109) 내부에 일정한 높이까지 채워진다(S1).
이후 사용자 조작 혹은 자동으로 구동모터(113)가 동작하면, 펄세이터(111)의 회전이 개시되고, 펄세이터(111)가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조(109) 내부에 회전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S2).
세탁 행정이 끝난 후 헹굼 행정에서는 세탁 용수가 차있으면 배수하고, 중간탈수한 후 다시 급수하여 헹구는 과정을 수회 반복한다. 이때 중간탈수 단계에서 급수하는 경우도 있으나 종래에는 상단 측면에서 급수가 이루어져 세탁물에 골고루 물이 공급되지 않아 편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헹굼이 끝난 후 탈수 행정에서는 수조(105)에 세탁 용수가 차있으면 배수하고, 세탁/탈수조(109)를 고속회전시켜 탈수를 마치면 모든 세탁 과정이 종료된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세탁코스 중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이 끝난 후, 다음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탁물내 잔류세제의 농도 및 미셀(Micelle: 세제와 오구의 결합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순한 세탁오염수의 배수와 중간탈수 과정을 도입하는 방법을 택하였고, 간혹 헹굼행정 후 이어지는 중간탈수 과정에서 물을 분사시켜주어 헹굼효과를 높이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들은 과다한 물과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실제로 세탁효과 및 헹굼효과를 증가시키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 중간탈수 과정에서의 급수방식은 세탁기의 상부 중앙 또는 측면에서 물을 분사시켜주는 방식이므로 직접적이고 입체적인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탁물에 균등한 물이 공급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세탁/탈수조 내에 편심회전운동이 발생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특정 부분의 분사량이 많은 관계로 원심력에 의해 섬유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수과정에 용수를 직접적으로 분사시켜 세탁물에 용수가 균등하게 공급되게 하여 물낭비를 최소화하고, 입체적으로 물을 분사시켜 세탁/탈수조 내에 일방향으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일어나는 진동과 소음을 해결하며, 세탁물에 미소량의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여 세탁물의 특정 지점에 과량의 물이 분사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기용 용수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셀과 잔류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세탁효과와 헹굼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급수, 세탁, 헹굼, 탈수 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세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헹굼행정의 중간탈수 단계나 탈수 행정이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분사장치를 통해 세탁 용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세탁/탈수조를 고속회전시켜 탈수하는 탈수중 급수단계; 및 급수를 중단하고 세탁물에 흡수된 습기를 탈수하기 위해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고속 탈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하우징안에 저수조와 세탁/탈수조가 있고, 세탁/탈수조의 하부에는 펄세이터가 위치하여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탈수조의 하단에 고정 혹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를 세탁물에 직접 분사시키는 분사체;와 상기 분사체에 용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세탁방법]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행정(S1), 세탁 행정(S2), 헹굼 행정(S3), 탈수 행정(S4')으로 이루어지고, 세탁 행정(S2)은 세탁 단계(S21), 배수 단계(S22), 중간탈수 단계(S23), 급수 단계(S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헹굼 행정(S3)은 헹굼 단계(S31), 배수 단계(S32), 중간탈수 단계(S33), 급수 단계(S34), 헹굼 단계(S35)로 이루어지고, 탈수행정(S4)은 배수단계(S41)와, 세탁/탈수조(109)를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용수를 세탁물에 직접 입체적으로 분사급수하는 분사급수단계(S42), 급수를 중단하고 고속으로 탈수하는 탈수단계(S43)를 포함한다. 이때 세탁행정의 중간탈수 단계(S23)나 헹굼행정의 중간탈수 단계(S33)에서도 본 발명에 따라 고속회전중 분사급수를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탁/탈수조(109)에 세탁물을 넣고 세탁물의 량에 따라 적정하게 세제를 세제통에 넣은 후, 시작 버튼을 누르면 급수가 시작된다(S1). 급수에 의해 수위가 적정선에 이르면 펄세이터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세탁 행정을 시작한다(S2). 세탁이 이루어진 후, 헹굼행정에서 헹굼이 이루어진다(S3). 이때 헹굼행정(S3)은 배수와 중간탈수, 급수 등의 세부 행정들로 이루어져 전체 헹굼 행정이 3회 내지 5회정도 진행된다.
탈수행정의 배수 단계에서는 배수밸브(미도시)를 열어 불필요한 용수를 배수하고(S41), 탈수중 분사급수단계에서는 세탁/탈수조(109)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를 함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세탁/탈수조(109) 하단에 설치된 분사장치(410)를 통해 깨끗한 용수를 세탁물에 직접 분사시켜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제와 미셀 등을 제거한다(S42). 이후 탈수 단계에서는 급수를 중단하고 세탁/탈수조(109)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를 완성한다(S4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중 분사 급수방식은 탈수 행정(S4)뿐만 아니라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 중에 사용되는 중간탈수 단계(S23,S33)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세탁 절차에 따르면, 탈수행정에서 세탁/탈수조(109)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에 직접 용수를 분사시켜 세탁물에 남아 있던 세제와 미셀 등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세탁효과와 헹굼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헹굼회수를 줄임으로써 동일한 세탁 및 헹굼 효과를 얻는데 드는 용수의 량과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에 용수를 균일하게 분사함으로써 고속회전중에도 편중에 의한 섬유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일부 절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사체의 다양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용수 분사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탈수조(109)의 내부 하단에 고정 혹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를 세탁물에 직접 분사시키는 분사체(410)와, 분사체(410)에 용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420)으로 이루어진다. 분사체(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분사체(410)에는 분사구(412) 혹은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사체의 분사구(412)의 크기와 배치형태를 조절하여 분사량과 분사방향 등을 콘트롤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3)과, 소정량의 세탁 용수를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0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105)와, 측면에 다수개의 세탁 용수 유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조(105) 안쪽에 설치된 세탁/탈수조(109)와, 용수를 세탁물에 직접 분사시키는 분사체(410)와 분사체(410)에 용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420)으로 이루어진 분사장치, 세탁/탈수조(109)의 바닥에 설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펄세이터(미도시) 및, 세탁/탈수조(109) 및 펄세이터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세탁기의 구동부는 다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5)와, 전동벨트(139)로 이루어지고, 급수수단(420)은 세탁/탈수조(109)와 펠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424)와, 내부에 급수를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회전부(424)를 지지하는 고정관체(422)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부(424)와 고정관체(422)의 결합부위는 윤활기능을 제공함과 함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 등이 설치되어 있다.
분사체(410)는 세탁/탈수조 내부 바닥 중심에 고정 혹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그 형상은 반구형, 원통형, 봉형, 또는 원뿔형이 있을 수 있고, 각 형상의 분사체(410)에는 다수의 분사구(412) 또는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사체(410)에 형성된 분사구의 크기로 급수량을 조절하고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탈수과정 중 세탁물의 표면에 직접적이고 입체적으로 물을 급수하여 세탁효과와 헹굼효과가 향상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반구형의 분사체(410)에 분사구(412)이 형성된 예이고, (B)는 원주형의 분사체(410)에 분사구(412)가 형성된 예이며, (C)는 봉형 분사체(410)에 분사구(412)가 형성된 예, (D)는 원뿔형의 분사체(410)에 분사구(412)가 형성된 예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 외에 다른 형상의 분사체도 가능하며, 분사체의 내부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비어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탈수행정의 탈수중 급수단계(S42)가 되면, 미도시된 급수밸브를 열어 강한 수압을 갖는 용수가 고정관체(422)의 내부 홀을 통해 화살표(402) 방향으로 급수되고, 급수시의 수압에 의해 분사체(410)의 분사구에서 가는 물줄기(404) 형태로 세탁물에 직접 분사된다. 이때 수압이 낮을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급수펌프를 사용하여 용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의 분사체가 분사 급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의 분사체가 분사 급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형의 분사체가 분사 급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의 분사체가 분사 급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체가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분사체(410)의 형상과 분사구의 크기, 분사구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용수를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분사구의 크기로 급수량을 조절하고 분사구 배치형태로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행굼 행정중의 중간 탈수시나 탈수 행정에서 급수수단(420)에 의해서 세탁/탈수조 내부로 급수되는 물은 분사체(410)를 통하여 세탁물에 직접 입체적으로 뿌려지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의 다른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장치는 세탁/탈수조의 내부 하단에 고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체(410)와, 분사체(410)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520)으로 이루어지는데, 제2 실시예의 경우는 분사체(4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급수수단(520)은 달리한 경우이다. 즉, 제2 실시예의 경우도 분사체(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사구 또는 분사노즐이 설치된 반구형(A), 원통형(B), 봉형(C), 또는 원뿔형(D)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급수수단(520)은 상부에 있는 분사체(410)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이 형성되어 있고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522)와, 회전체(522)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면서 회전체(522) 중앙부분에 위치하여 급수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체(524)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체(522) 내부의 관에는 용수를 위로 유도하기 위한 나선형의 유도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체(522)와 급수체(524)의 결합부위는 윤활기능을 제공함과 함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장치는 세탁/탈수조의 내부 하단에 고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체(410)와, 분사체(410)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620)으로 이루어지는데, 제3 실시예의 경우는 분사체(4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급수수단(620)은 달리한 경우이다. 즉, 제3 실시예의 경우도 분사체(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사구 또는 분사노즐이 설치된 반구형(A), 원통형(B), 봉형(C), 또는 원뿔형(D)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서 급수수단(620)은 구동축(622)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모터로서, 구동축(622)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상부에 있는 분사체(410)로 용수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세탁/탈수조(109) 또는 펄세이터(미도시)를 직접 구동하는 방식에서 구동축(622)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급수하는 방식이다. 이때 용수를 분사하는 분사체(410)도 구동축(622)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과정과 헹굼과정 후 수반되는 탈수과정이나 헹굼과정의 중간탈수과정 등에서 효율적이고 입체적이며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는 분사장치를 작동시킴으로 해서, 물낭비를 줄이고 진동·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의류손상 없이 세탁 효과와 헹굼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물에 잔류세제의 양을 줄이면서 세탁코스중 일부분을 생략하거나 세탁 및 헹굼시간을 단축시켜 전기 소비량을 줄이는 에너지 절약형 세탁기를 제조할 수 있고, 누적 용수량을 줄임으로 해서 최종 배출되는 세탁 오염수의 양을 줄이는 친환경 세탁기의 제조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세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일부 절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체의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의 분사체가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의 분사체가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형의 분사체가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의 분사체가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체가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장치의 다른 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장치의 또 다른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 하우징 105: 저수조
109: 세탁/탈수조 135: 구동모터
139: 전동벨트 410: 분사체
420,520: 급수수단 422: 고정관체
424: 회전부 522: 회전체
524: 급수체

Claims (9)

  1. 급수, 중간탈수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 중간탈수 단계를 포함하는 헹굼, 탈수 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세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탈수 단계나 상기 탈수 행정이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분사장치를 통해 세탁 용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세탁/탈수조를 고속회전시켜 탈수하는 탈수중 급수단계; 및
    급수를 중단하고 세탁물에 흡수된 습기를 탈수하기 위해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고속 탈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장치를 이용한 세탁방법.
  2. 하우징안에 저수조와 세탁/탈수조가 있고, 세탁/탈수조의 하부에는 펄세이터가 위치하여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탈수조의 내부 하단에 고정 혹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를 세탁물에 직접 분사시키는 분사체;와
    상기 분사체에 용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는 분사구가 형성된 반구형, 원통형, 봉형, 혹은 원뿔형중 어느 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세탁/탈수조와 펠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내부에 급수를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고정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상부에 있는 상기 분사체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면서 회전체 중앙부분에 위치하여 급수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내부 관벽에는
    용수를 상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는
    고정되어 있거나 세탁/탈수조의 회전운동에 대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급수구 또는 급수관의 위치가
    세탁/탈수조 외부 하면에 위치하여 세탁/탈수조 회전축과 급수구 또는 급수관의 중심축이 일치하거나 세탁/탈수조 회전축과 급수구와 급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구동축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KR1020040031088A 2004-05-03 2004-05-03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20050105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088A KR20050105821A (ko) 2004-05-03 2004-05-03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088A KR20050105821A (ko) 2004-05-03 2004-05-03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821A true KR20050105821A (ko) 2005-11-08

Family

ID=3728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088A KR20050105821A (ko) 2004-05-03 2004-05-03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58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1475A (zh) * 2019-01-04 2020-07-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控制方法
CN112391784A (zh) * 2019-08-01 2021-02-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419A (ko) * 1994-04-27 1995-11-22 김광호 세탁기의 급속헹굼제어방법
KR19980033854A (ko) * 1996-11-02 1998-08-05 구자홍 세탁기의 헹굼제어방법
KR19980042238A (ko) * 1996-11-04 1998-08-17 김상철 세탁기
KR19980077931A (ko) * 1997-04-24 1998-11-16 배순훈 세탁전용세탁기의 세탁장치
JP2003169996A (ja) * 2001-12-06 2003-06-17 Kazuo Nakada 洗濯機
KR20030051151A (ko) * 2002-07-02 2003-06-25 하영옥 드럼세탁기와 통상세탁기 보풀방지용 알뜰세탁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419A (ko) * 1994-04-27 1995-11-22 김광호 세탁기의 급속헹굼제어방법
KR19980033854A (ko) * 1996-11-02 1998-08-05 구자홍 세탁기의 헹굼제어방법
KR19980042238A (ko) * 1996-11-04 1998-08-17 김상철 세탁기
KR19980077931A (ko) * 1997-04-24 1998-11-16 배순훈 세탁전용세탁기의 세탁장치
JP2003169996A (ja) * 2001-12-06 2003-06-17 Kazuo Nakada 洗濯機
KR20030051151A (ko) * 2002-07-02 2003-06-25 하영옥 드럼세탁기와 통상세탁기 보풀방지용 알뜰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1475A (zh) * 2019-01-04 2020-07-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控制方法
CN112391784A (zh) * 2019-08-01 2021-02-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662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JPH08299669A (ja) 洗濯機の濯ぎ方法
KR20050105821A (ko) 세탁기용 물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100304571B1 (ko) 드럼세탁기의세탁수분사장치
KR20050014503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5253488B2 (ja) 洗濯機
KR100207063B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0134840Y1 (ko) 드럼 세탁기의 수류 고압분사 장치
KR200159317Y1 (ko) 세탁기의 샤워급수장치
KR20070071095A (ko) 드럼세탁기
KR200143269Y1 (ko)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100192292B1 (ko) 드럼 세탁기의 간헐 탈수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60039305A (ko) 세탁기
KR20010088216A (ko) 드럼세탁기의 중앙 물 분사 장치
KR0122444Y1 (ko) 세탁기
JPH09173676A (ja) 洗濯機
KR0130460Y1 (ko) 세탁기의 세탁수분사장치
KR100223801B1 (ko) 드럼세탁기의 분사노즐 구조
KR100411225B1 (ko) 드럼 세탁기
KR100388847B1 (ko) 세탁기의 세제액 분사를 위한 펌핑구조
KR100239535B1 (ko) 세탁기의 분사장치
KR100262984B1 (ko) 세탁기
KR100778703B1 (ko) 드럼 세탁기의 헹굼수 절약방법
KR0125469Y1 (ko) 세탁기의 용수공급장치
KR100437034B1 (ko)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