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907A -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907A
KR20050104907A KR1020040030356A KR20040030356A KR20050104907A KR 20050104907 A KR20050104907 A KR 20050104907A KR 1020040030356 A KR1020040030356 A KR 1020040030356A KR 20040030356 A KR20040030356 A KR 20040030356A KR 20050104907 A KR20050104907 A KR 2005010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password
temporary password
digital doo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870B1 (ko
Inventor
정용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87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04B7/10Shell structures, e.g. of hyperbolic-parabolic shape; Grid-like formations acting as shell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7/105Grid-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마다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와 비밀번호를 각각 지정하여 저장시킨 메모리 및 고유번호를 갖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상기 디지털 도어락 고유번호 및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 및 이동통신단말기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도어락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 리스트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을 통해 매칭되는 비밀번호가 있을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에서 도어락 서버로 호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도어락 서버간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임시(Temporary) 비밀번호 정보를 요청하는 호를 도어락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도어락 서버는 난수발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발생시키고, 메시지 형태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및 디지털 도어락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이용될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결과,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 도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홈 네트워크용 제어장치를 마련할 필요없이 디지털 도어락에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만 탑재하면 되므로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비밀번호와 도어락 서버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 임시 비밀번호에 의해 이중 보안이 이루어지므로 보안 강화가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Method for locking door by linked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도어락에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만을 탑재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며, 디지털 도어락에 미리 지정된 비밀번호와 도어락 서버에서 제공된 임시 비밀번호에 의한 이중 보안을 수행하는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번거롭게 무거운 열쇠꾸러미를 가지고 다니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통신망과 연동하여 가정내의 기기(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홈네트워킹 기술과 응용서비스가 개발 중이며, 도어락 제어도 그 일환의 하나로 시범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집안에 분산되어 있는 기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IEEE1394, USB, IrDA, X-10, Lonwork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용 제어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용 제어장치는 비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의 특성상,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누설되면 보안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에 보안관리가 힘들어져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과 도어락 장치를 연동시키되 값비싼 별도의 홈 네트워크 장비 없이 디지털 도어락에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만을 탑재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에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를 1차로 입력하고 이 비밀번호에 대응하여 도어락 서버에서 제공된 임시 비밀번호를 2차로 입력하게 함으로써 이중 보안을 수행하는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도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마다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와 비밀번호를 각각 지정하여 저장시킨 메모리 및 고유번호를 갖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상기 디지털 도어락 고유번호 및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 및 이동통신단말기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도어락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 리스트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을 통해 매칭되는 비밀번호가 있을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에서 도어락 서버로 호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도어락 서버간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임시(Temporary) 비밀번호 정보를 요청하는 호를 도어락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도어락 서버는 난수발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발생시키고, 메시지 형태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및 디지털 도어락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이용될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결과,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 도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비밀번호 입력 및 임시(Temporary) 비밀번호 입력시에 입력오류라고 판별되면, 경보음 및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 또는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설정횟수 이상 입력오류라고 판별되면,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도어락(1), 이동통신단말기(2), 기지국(3), 무선통신망(4), 사업자 IP 네트워크(5), SMS 서버(6), 도어락 서버(7)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는 통상의 통신 및 SM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면 된다. 상기 기지국(3)은 디지털 도어락(1)으로부터의 신호, 상기 SMS 서버(6)와 이동통신단말기(2)간 송수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망(4)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의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3)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기지국(3)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교환기는 기지국 제어기와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2)의 통화 설정 및 해제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타 망(Network)과의 연동을 가능케 하게 하며,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단말기(2) 가입자의 정보,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어락 서버(7)는 도어락 고유번호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들)(2)의 전화번호를 테이블화시켜 저장하고 잇는 데이터베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어락 서버(7)는 임시 비밀번호를 발생시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 및 디지털 도어락(1)으로의 단문메시지 요청을 SMS 서버(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1)은, 사용자 조작(비밀번호 입력)을 지원하는 키입력부(11)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을 설정회수 이상 실패할 경우에 동작하는 카메라(12)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이 올바른 경우에 상기 비밀번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2)의 전화번호를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SMS 서버(6)로부터 전달된 임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13)와,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부(14)와,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통신단말기(2)의 전화번호 및 이에 매칭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며 상기 SMS 서버(6)로부터 전달된 임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15)와,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1), 카메라(12), 무선 송수신부(13), 도어개폐부(14) 및 메모리(15)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처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13)는 자체 고유번호를 갖는 CDMA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15)에는 다음 [표]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의 전화번호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 사용자가 각각 지정한 비밀번호가 테이블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표]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2) 전화번호 비밀번호
1 011-XXX-XXXX ****
2 011-YYY-YYYY ****
3 011-ZZZ-ZZZZ ****
N 011-AAA-AAAA ****
상기한 [표]에서와 같이 해당 도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마다 초기에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와 비밀번호를 달리 지정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표]에서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2)의 전화번호와 이동통신단말기(2)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비밀번호를 키입력부(1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이에 디지털 도어락(1)의 메모리(15)에 이동통신단말기(2)의 전화번호와 비밀번호가 테이블화되어 저장된다(S1).
이 상태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키입력부(11)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S2), 디지털 도어락(1)은 메모리(15)에 저장된 다수의 비밀번호 리스트 중에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비밀번호가 존재하는가를 판별하게 된다(S3).
상기 매칭되는 비밀번호가 없을 경우에는 경보음 또는 메시지를 디지털 도어락(1)에 출력시키고(S4), 한편 매칭되는 비밀번호가 있을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락(1)은 도어락 서버(7)에 호접속을 수행하여(S5)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의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임시(Temporary) 비밀번호 정보를 요청하는 호를 도어락 서버(7)에 요청한다(S6).
이에 도어락 서버(7)에서는 난수발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발생시키고(S7), SMS 서버(6)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 전화번호를 동시에 전달한다.
이에 SMS 서버(6)는 SMS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 및 디지털 도어락(1)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1)에 이용될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전송한다(S8).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2)에 전송된 SMS를 확인하여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이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디지털 도어락(1)의 키입력부(11)에 입력한다(S9). 이에 디지털 도어락(1)에서는 상기 SMS 서버(6)로부터 전달받은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메모리(15)에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상기 SMS 서버(6)로부터 전달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10).
상기 임시(Temporary) 비밀번호 일치여부 판별결과,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 및 메시지를 출력시키고(S11), 한편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는 제어부(16)에서 도어개폐 제어신호를 도어개폐부(14)로 출력하고, 이에 도어개폐부(14)에서는 도어를 제어하게 된다(S12).
이와 같이, 사용자별로 초기에 저장한 비밀번호와 네트워크의 도어락 서버(7)에서 부여하는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통해 이중 보안을 수행한다.
한편, 비밀번호 또는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설정횟수 이상 틀릴 경우에, 즉 상기 단계 S3과 단계 S4 사이, 상기 단계 S10과 단계 S11 사이에서 카메라(12)를 동작시켜 사용자를 촬영한 후, 무선 송수신부(13)를 통해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된 이동통신단말기(2)의 전화번호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은, 고가의 홈 네트워크용 제어장치를 마련할 필요없이 디지털 도어락에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만 탑재하면 되므로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비밀번호와 도어락 서버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 임시 비밀번호에 의해 이중 보안이 이루어지므로 보안 강화가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지털 도어락 11 : 키입력부
12 : 카메라 13 : 무선 송수신부
14 : 도어개폐부 15 : 메모리
16 : 제어부
2 : 이동통신단말기 3 : 기지국
4 : 무선통신망 5 : 사업자 IP 네트워크
6 : SMS 서버 7 : 도어락 서버

Claims (3)

  1. 도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마다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와 비밀번호를 각각 지정하여 저장시킨 메모리 및 고유번호를 갖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상기 디지털 도어락 고유번호 및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 및 이동통신단말기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도어락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 리스트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을 통해 매칭되는 비밀번호가 있을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에서 도어락 서버로 호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도어락 서버간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임시(Temporary) 비밀번호 정보를 요청하는 호를 도어락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도어락 서버는 난수발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발생시키고, 메시지 형태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및 디지털 도어락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이용될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임시(Temporary) 비밀번호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결과,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에 도어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 및 임시(Temporary) 비밀번호 입력시에 입력오류라고 판별되면, 경보음 및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또는 임시(Temporary) 비밀번호가 설정횟수 이상 입력오류라고 판별되면, 방문자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0040030356A 2004-04-30 2004-04-30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KR10062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56A KR100624870B1 (ko) 2004-04-30 2004-04-30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56A KR100624870B1 (ko) 2004-04-30 2004-04-30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907A true KR20050104907A (ko) 2005-11-03
KR100624870B1 KR100624870B1 (ko) 2006-09-19

Family

ID=3728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356A KR100624870B1 (ko) 2004-04-30 2004-04-30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8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673B1 (ko) * 2006-12-20 2009-08-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난수를 이용하는 홈 오토 시스템 및 그 비밀번호 초기화방법
WO2017115961A1 (ko) * 2015-12-29 2017-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83153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바로서비스 복수의 사용자들 기반의 도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416786B2 (en) 2013-12-02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pointing informa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663B1 (ko) 2018-01-31 2019-07-02 이대석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47822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튠잇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673B1 (ko) * 2006-12-20 2009-08-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난수를 이용하는 홈 오토 시스템 및 그 비밀번호 초기화방법
US10416786B2 (en) 2013-12-02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pointing informa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17115961A1 (ko) * 2015-12-29 2017-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672209B2 (en) 2015-12-29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83153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바로서비스 복수의 사용자들 기반의 도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870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6318A (en) Virtual private network system over public mobile data network and virtual LAN
US561321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henticating system
US6134431A (en) Personal statio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US8583106B2 (en) Cellular docking station
US5509052A (en) Base storage of handset&#39;s base registrations
KR100969594B1 (ko)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69988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258430B2 (en) Method for dynamically providing a terminal connected to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with services offered by a privat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624870B1 (ko) 통신망 연동 도어락 제어 방법
US6310538B1 (en) Process of access restriction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unit for such a system
US5905944A (en) Secure communication of access information
KR100511178B1 (ko)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기 위해 발신되는 신호를 이용한 보안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5909A (ko) 블루투스와 보이스 오버 아이피 서비스를 이용한 호 접속방법
US6333978B1 (en) Telephone system
KR100824177B1 (ko) 사설 ip주소를 이용한 인터넷기반의 응용서비스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59043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16185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원격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100590172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홈 뷰어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0308134A (ja) 通信装置及び携帯端末
KR100686829B1 (ko) 외부 프리픽스 등록 메뉴를 제공하는 원폰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550775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바일 에이전트 모듈
KR200311537Y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발신신호를 이용한 보안장치
KR101510662B1 (ko) 번호이동 자동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389826B1 (ko) 무선 사설교환시스템 운용상태 표시방법
KR20040009624A (ko) 이동단말기의 esn 불일치시 map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