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274A -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274A
KR20050104274A KR1020040029654A KR20040029654A KR20050104274A KR 20050104274 A KR20050104274 A KR 20050104274A KR 1020040029654 A KR1020040029654 A KR 1020040029654A KR 20040029654 A KR20040029654 A KR 20040029654A KR 20050104274 A KR20050104274 A KR 20050104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upper body
movable
longitudinal direc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317B1 (ko
Inventor
권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1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형성되어 마그넷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열리고 닫힐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유닛으로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기간의 증가에 따른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SLIDE OPEN AND CLOSE TYP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개폐타입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의 자기력(magnetic force)을 이용하여 상부 바디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개폐타입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입력버튼 영역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플립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립 타입과, 다이얼 버튼 및 메뉴 버튼 등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엘시디가 부착되는 폴더로 구성되는 폴더 타입 등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엘시디가 부착되는 본체에 다이얼 버튼 및 메뉴버튼이 구비되는 커버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개폐타입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타입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타입 휴대 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110)가 부착되는 하부바디(102)와, 상기 하부바디(102)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면에 각종 메뉴버튼(106) 및 다이얼버튼(104)이 부착되는 상부바디(108)와, 상기 하부바디(102)와 상부바디(10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바디(108)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본체에 장착하는 슬라이딩 유닛(120,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120,122)은 상기 하부바디(102)의 양쪽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그루브(120)와, 상기 상부바디(108)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그루브(120)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레일(1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부바디(108)를 밀어서 열고 다시 상부바디(108)를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닫아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1443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반부(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축(16)에 기어(17)가 설치되고, 상반부(11)에 상기 기어(17)에 맞물리는 래크(18)를 설치하여 하반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축에는 상기 하반부(13)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21)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14431에 제시된 종래 기술은 하반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기어, 래크, 탄성 스프링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탄성 스프링에 의해 구동력을 부여되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에 자석들을 구비하여 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부바디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기간의 증가에 따른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형성되어 마그넷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열리고 닫힐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유닛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 마그넷과, 상기 상부바디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고정마그넷과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상기 고정 마그넷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바디가 닫힐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가동 마그넷과, 상기 고정 마그넷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마그넷과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상기 마그넷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바디가 열릴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가동 마그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의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6)가 부착되고 각종 회로 부품이 실장된 PCB가 내장되는 하부바디(10)와, 상기 하부바디(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종 메뉴버튼(22) 및 다이얼 버튼(24)이 부착되는 상부바디(20)와, 상기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10)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바디(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부바디(20)가 열리거나 닫힐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바디(10)의 상면에 장착되고 고정 마그넷(32)이 부착되는 제1슬라이딩부재(30)와, 상부바디(20)의 하면에 장착되고 고정 마그넷과 상호 작용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1가동 마그넷(42) 및 제2가동 마그넷(44)이 부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0)는 하부바디(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프레임(34)과, 상기 제1프레임(34)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 마그넷(32)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프레임(34)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체결홀(36)이 형성되어 하부바디(34)의 상면에 볼트 체결되고, 그 양측에는 각각 일정 폭만큼 돌출된 가이드 레일(3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마그넷(32)은 제1프레임(34)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40)는 상기 상부바디(20)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2프레임(46)과, 상기 제2프레임(46)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고정 마그넷(32)과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고정 마그넷(32)과의 사이에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부바디(20)가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가동 마그넷(42)과, 상기 제1가동 마그넷(42)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바디(20)의 하면에 장착되어 고정 마그넷(32)과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고정 마그넷(32)과의 사이에 자기력이 발생되어 상부바디(20)가 열리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가동 마그넷(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46)은 상부바디(2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양쪽 측면에는 상부바디(20)에 볼트 체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체결홀(50)이 형성되며, 하부바디(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8)에 삽입되어 상부바디(2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그루브(48)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동 마그넷(42)은 제2프레임(46)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제2가동 마그넷(44)도 제1가동 마그넷(42)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제2프레임(46)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유닛의 조립공정 및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조립공정을 살펴보면, 고정 마그넷(32)이 부착된 제1프레임(34)을 하부바디(10)의 상면에 볼트 체결하고, 제1가동 마그넷(42) 및 제2가동 마그넷(44)이 부착된 제2프레임(46)을 상부바디(20)에 볼트 체결한다.
그리고, 제1프레임(34)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8)을 상기 제2프레임(46)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48)에 삽입하면 슬라이딩 유닛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상부바디(20)를 열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상부바디(20)를 열리는 방향으로 일정 정도 밀어주면 하부바디(10)에 고정된 고정 마그넷(32)과 상부바디(20)에 고정된 제2가동 마그넷(44)이 극성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 마그넷(32)과 제2가동 마그넷(44) 사이에 상호 자기력 즉, 서로 다른 극끼리 당기는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상부바디(20)에 열리는 방향을 구동력이 부여되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의 사용을 마치고 상부바디(20)를 닫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상부바디(20)를 닫히는 방향으로 일정 정도 밀어주면 고정 마그넷(32)과 제1가동 마그넷(42) 사이에 상호 자기력 즉, 서로 당기는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상부바디(20)에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력이 부여되어 상기 상부바디(20)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유닛의 정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유닛은 상부바디(20)의 열림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20)의 슬라이드 이동시 다단계로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바디(20)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넷들이 구비된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하부 바디(10)의 상면에 장착된 제1프레임(34)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고정 마그넷(32)과, 상기 상부바디(20)의 하면에 장착된 제2프레임(46)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로 장착되는 다수의 가동 마그넷들(60,62,6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동 마그넷들(60,62,64)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계에 따라 그 개수가 정해지며, 일예로 가동 마그넷이 3개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20)가 열릴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가동 마그넷(60)과, 상기 상부바디(20)가 중간쯤 열린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가동 마그넷(62)과, 상기 상부바디(20)가 닫힐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3가동 마그넷(6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유닛은 다수의 가동 마그넷(60,62,64)이 구비되어, 상부바디(20)의 열림 위치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는 상부바디를 개방할 때 고정 마그넷과 제2가동 마그넷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열리고, 상부바디를 닫을 때 고정 마그넷과 제1가동 마그넷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부바디가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상부바디를 열고 닫는 구동력이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횟수가 증가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고, 구성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석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단말기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상부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하부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엘시디 10 : 하부바디
20 : 상부바디 30 : 제1슬라이딩부재
32 : 고정 마그넷 34 : 제1프레임
36 : 체결홀 38 : 가이드 레일
40 : 제2슬라이딩부재 42 : 제1가동 마그넷
44 : 제2가동 마그넷 46 : 제2프레임
48 : 가이드 그루브 50 : 체결홀

Claims (12)

  1.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형성되어 마그넷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열리고 닫힐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그 전면에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는 그 전면에 각종 메뉴 버튼들 및 다이얼 버튼들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 마그넷과;
    상기 상부바디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고정마그넷과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상기 고정 마그넷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바디가 닫힐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가동 마그넷과;
    상기 고정 마그넷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마그넷과 극성이 반대로 되도록 상기 마그넷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바디가 열릴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가동 마그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 마그넷이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기 제1프레임의 양쪽에 각각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고정 마그넷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의 하면에는 상기 제1가동 마그넷 및 제2가동 마그넷이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 마그넷과 제2가동 마그넷은 각각 제2프레임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제1가동 마그넷 및 제2가동 마그넷과 수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 마그넷과;
    상기 상부 바디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로 장착되어 상기 상부바디가 다단계로 열림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3 개 이상의 가동 마그넷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 마그넷이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가동 마그넷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마그넷들은 상기 상부 바디가 열릴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가동 마그넷과;
    상기 상부 바디가 중간 정도 열릴 때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가동 마그넷과;
    상기 상부 바디가 완전히 닫힐 때 가동력을 부여하는 제3가동 마그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KR1020040029654A 2004-04-28 2004-04-28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 KR10067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54A KR100677317B1 (ko) 2004-04-28 2004-04-28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54A KR100677317B1 (ko) 2004-04-28 2004-04-28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274A true KR20050104274A (ko) 2005-11-02
KR100677317B1 KR100677317B1 (ko) 2007-02-02

Family

ID=3728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654A KR100677317B1 (ko) 2004-04-28 2004-04-28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65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41313A (ko) * 2006-11-07 2008-05-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096B1 (ko) 2006-05-11 2007-07-27 주식회사 팬택 버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65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41313A (ko) * 2006-11-07 2008-05-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317B1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0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US7660614B2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EP192628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382520Y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JP4713637B2 (ja) 電子機器用のスライド可能なキーボード
JP5473773B2 (ja) 携帯式電子装置
EP2034700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39450B1 (ko) 휴대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EP2273770B1 (en) Electronic device and semi-auto sliding mecahnism thereof
JP4638937B2 (ja) スライド型ヒンジ機構
KR100677317B1 (ko) 슬라이드 개폐방식 휴대용 단말기
US20100085721A1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69167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US7986511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326807Y1 (ko) 자성체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구동 장치
KR100715810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100827740B1 (ko)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20070026924A (ko) 회동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딩 및회동가능한 힌지모듈
KR20090104401A (ko) 휴대폰 슬라이딩 장치
KR1008331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09788183B (zh) 移动终端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833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9819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449913Y1 (ko) 수납 가능한 로터리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