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071A -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071A
KR20050104071A KR1020040029301A KR20040029301A KR20050104071A KR 20050104071 A KR20050104071 A KR 20050104071A KR 1020040029301 A KR1020040029301 A KR 1020040029301A KR 20040029301 A KR20040029301 A KR 20040029301A KR 20050104071 A KR20050104071 A KR 2005010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display unit
load
primary coil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743B1 (ko
Inventor
이충석
Original Assignee
이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석 filed Critical 이충석
Priority to KR102004002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74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F2027/406Temperature sensor 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함에 내장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상호간의 유도에 의해 전압이 승강되는 변압기에 있어서, 외함의 전면에 취부되어 있으며, 통전 램프, 전압 표시부, 부하 표시부가 제공된 가동 상태 표시부와; 2차 코일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리드와 연결된 전류 변성기와; 1차 코일에 전원이 인가 및 인가 해제시 통전 램프를 점멸하도록 1차 코일과 연결되어 있고, 1차 및 2차 코일의 전압을 각기 검출하여 전압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전류 변성기로 부터 검출된 현재의 부하전류 및 부하율을 계산하여 부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공된 마이콤과; 1차 코일, 2차 코일 및 전류 변성기와 마이콤 사이에 개재된 마이콤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동 상태 표시부가 외함의 전면에 제공되어 변압기의 가동 상태를 한번에 식별할 수 있고, 과열, 과부하 또는 결상시 경광 및 경보하여 변압기의 신속한 유지보수를 구현함은 물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강제적으로 변압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변압기 및 변압기와 연결된 전기, 전자 기기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Apparatus for indicating running state of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의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변압기의 가동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외함의 전면부에 가동 상태 표시부를 제공함으로써 변압기의 안정 가동을 구현할 수 있는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의 비정상 작동시 변압기 및 변압기와 연결된 전기, 전자 기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전압을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 전압의 변환은 동시에 전류의 변환을 의미하며, 필요한 값의 전류를 얻기 위해 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의 경우는 전압의 변환이 목적이다.
전기는 교류와 직류로 나누어지지만 변압기는 교류전용이고 직류는 사용하지 않는다. 전력계통의 대부분에 교류가 이용되고, 직류는 전기철도 등 일부에만 이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교류에 변압기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송전선으로 수송할 수 있는 전력에는 한계가 있고 그 한계값은 송전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며 송전거리에 반비례한다.
최근의 전력계통은 큰 발전소가 수요지에서 멀어지는 경향이 있어 긴 송전선으로 큰 전력을 수송해야 한다. 따라서, 송전전압은 차츰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공장이나 일반가정에서 이러한 높은 전압은 적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낮은 전압으로 변환시켜야 하므로 변압기가 사용된다.
변압기는 운전중 권선의 저항에 따른 줄(Joule) 손실, 철심 속의 교번자속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손실, 철심이나 케이스 내에 발생하는 맴돌이전류 손실 등 때문에 열이 발생되고, 방열이 불충분하면 온도가 상승해서 절연체의 열화(劣化)를 가져오기 때문에 방열장치가 필요하다. 변압기는 철심과 권선을 외함 속에 담고 외함 내부를 오일로 충전한 유입식(油入式)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변압기의 가동시에 발생한 열은 기름에 전해지고 데워진 기름은 대류를 일으키며, 자냉식에서는 변압기 외함의 표면적을 크게 해서 냉각효과를 높이기 위해 주름철판을 붙이거나 방열기를 붙인다. 풍냉식은 팬으로 바람을 방열기에 보내고, 수냉식은 수냉관을 기름 속에 설치하여 냉각수를 통하게 하여 냉각한다. 송유식은 데워진 기름을 펌프로 뽑아내어 자연냉각·풍냉·수냉 등의 방법으로 냉각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유입식 변압기는 부하(負荷)의 변동이나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름의 온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기름의 부피도 변화하므로 탱크에 열린 부분이 있으면 공기가 출입한다. 이것을 호흡작용이라 하는데, 호흡작용이 있으면 바깥의 습기가 흡입되고 공기 속의 산소가 기름과 반응하여 불용해성인 슬러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기름의 절연내력과 냉각작용이 저하되어 고장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각종 기름의 열화방지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개방식은 호흡구에 탈수제를 놓고 흡입하는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밀봉식은 컨서베이터 윗부분에 질소를 봉입·밀폐한다. 따라서 기름 온도의 변화에 따라 질소의 압력이 변화하게 된다. 격막식은 컨서베이터 안에 부드러운 내유성 고무막으로 기름과 바깥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또한 유입식 변압기는 오랜 사용 역사를 지닌 신뢰성이 높은 기기이지만, 절연파괴 고장에 대비하여 탱크 윗부분에 안전관이 장치되어 있다. 이것은 탱크 안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하여 아크 때문에 유압이 이상하게 높아졌을 경우, 탱크가 파괴되기 전에 안전관에서 기름을 방출하여 유압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안전관에서 방출되는 기름은 고온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공기와 접촉해서 발화하는 등 다른 물건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지하 탱크로 유도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유입식 변압기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재질 예컨대 철재의 외함(10) 상측부에는 복수 개의 부싱(12) 및 단자(14)가 취부되어 있으며 오일의 방열을 위하여 방열판(20)이 전면 및 배면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식 변압기는 측면 상측부에 유량계(30) 및 오일 온도계(40)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유입식 변압기는 방열판(20)이 전면 및 배면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유량계(30) 및 오일 온도계(40)는 외함(10)의 측면 상측부에 취부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식별이 용이치 못함은 물론, 전력용 구성요소를 패키지화한 패드 마운트 타입(Pad-mounted type)인 경우에는 주상 변압기에 비하여 보다 식별이 용이치 못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변압기는 전압, 전류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별하게 제공된 별도의 계장 패널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실제 사용시에는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변압기는 통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변압기의 소리를 들음으로써 확인되기 때문에 감전 사고에 항시 노출되어 있으며, 과부하에 대한 경보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전 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통전 상태를 확인하는 다른 방법은 변전실이나 수배전 패널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현장에서 즉시 통전 상태를 알 수 없음은 물론, 계측기에 의한 방법은 반드시 계측장비가 요구되는 번거러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의 가동 상태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압기 사용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함에 내장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상호간의 유도에 의해 전압이 승강되는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전면에 취부되어 있으며, 통전 램프, 전압 표시부, 부하 표시부가 제공된 가동 상태 표시부와; 상기 2차 코일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리드와 연결된 전류 변성기와; 상기 1차 코일에 전원이 인가 및 인가 해제시 상기 통전 램프를 점멸하도록 상기 1차 코일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및 2차 코일의 전압을 각기 검출하여 상기 전압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류 변성기로 부터 검출된 현재의 부하전류 및 부하율을 계산하여 상기 부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공된 마이콤과; 상기 1차 코일,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전류 변성기와 상기 마이콤 사이에 개재된 마이콤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변압기의 오일 충전부 내부에 상기 마이콤과 연결된 열전대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가동 상태 표시부에는 온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도 표시부는 상기 열전대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오일의 온도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마이콤 보호부는 상기 1차 및 2차 코일로부터 인가된 고압을 저압으로 감압하는 감압부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감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가동 상태 표시부에는 부하 경보 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하 경보 램프는 상기 전류 변성기로부터 입력된 부하율을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부하율이 기준 부하율 이상인 경우에 점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가동 상태 표시부에는 결상 경보 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상 경보 램프는 상기 1차 코일의 결상 유무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결상 발생시 점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마이콤과 연결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는 상기 열전대로부터 검출된 오일의 온도가 기준 오일 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경우, 상기 부하 경보 램프 또는 상기 결상 경보 램프의 점등시 상기 마이콤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교류 전원과 상기 1차 코일 사이에 개재된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열전대로부터 검출된 오일의 온도, 상기 전류 변성기로부터 검출된 부하율 및 상기 1차 코일의 결상 유무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기준 오일 온도 이상의 과열 상태, 기준 부하율 이상의 과부하 상태 또는 결상 상태인 경우에 기설정 시간 경과후 상기 1차 코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상태 표시부를 구비한 변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변압기는 금속 재질 예컨대 철재의 외함(110) 상측부에는 복수 개의 부싱 (112) 및 단자(114)가 취부되어 있으며 오일의 방열을 위하여 방열판(120)이 전면 및 배면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상태 표시부(150)는 외함의 전면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상태 표시부(150)는 통전 램프(151), 전압 표시부 (152a)(152b), 부하 표시부(153a)(153b), 온도 표시부(154a)(154b), 부하 경보 램프(155), 결상 경보 램프(156)가 제공되어 있다.
변압기는 1차 코일(172) 및 2차 코일(174)이 오일이 충전된 오일 충전부 (16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변압기는 교류 전원과 1차 코일(172) 사이에 전원 차단부(190)가 개재되어 있으며, 전원 차단부(190)는 변압기의 외함 또는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1차 코일(172)은 코일로부터 인출된 리드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통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마이콤(2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콤(220)은 교류 전압의 인가 및 인가 해제에 대응하여 가동 상태 표시부(150)의 통전 램프(151)를 점멸한다.
1차 코일(172) 및 2차 코일(174)은 각기 코일로부터 인출된 리드들이 최초 인가 전압 및 출력 전압을 검출하기 위하여 마이콤(220)이 각기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콤(220)에 의해 검출값이 디지털 처리되어 가동 상태 표시부(150)에 제공된 전압 표시부(152a)(154b)에 각기 최초 인가 전압과 출력 전압이 표시된다.
2차 코일(174)의 코일로부터 인출된 리드와 마이콤(220) 사이에 전류 변성기(CT)(210)가 개재되어 있으며, 전류 변성기(210)에 의해 부하 전류(A) 및 부하율(%)이 검출되며 마이콤(220)에 의해 디지털 처리되어 가동 상태 표시부(150)의 부하 표시부(153a)(153b)에 부하 전류(A) 및 부하율(%)이 표시된다.
제 1 부하 표시부(153a)는 "0 ~ 40%", "41 ~ 80%" 및 "80% ~" 등으로 부하율이 구분되어 있으며, 마이콤(220)이 부하율에 대응하여 각 램프(도시 안됨)에 전원을 인가 또는 인가 해제하여 점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하 표시부(153B)는 부하 전류(A) 및 부하율(%)이 마이콤(220)에 의해 디지털 처리하여 각기 표시된다.
제 1 전압 표시부(152a)는 1차 코일(172)에 인가된 교류 전압이며, 제 2 전압 표시부(152b)는 1차 코일(172)로부터 유도된 2차 코일(174)의 출력 전압으로서 마이콤(220)에 의해 디지털화되어 각기 대응된 전압이 표시된다.
변압기는 오일 충전부(160)에 열전대(184)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열전대(184)는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마이콤(220)과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콤(220)에 의해 가동 상태 표시부(150)에 제공된 온도 표시부(154a)(154b)에 각 온도가 표시된다.
제 1 온도 표시부(154a)는 "0 ~ 75℃" 및 "75℃ ~" 등으로 오일의 온도가 구분되어 있으며, 마이콤(220)이 각기 대응된 부분에 제공된 램프(도시 안됨)에 전원을 인가 또는 인가 해제하여 점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온도 표시부(154b)는 오일의 현재 온도가 마이콤(220)에 의해 디지털화 처리되어 각기 표시된다. 여기서, "상한온도"는 각 변압기의 절연 등급에 대응되는 오일의 최고온도 상승한도를 의미한다.
가동 상태 표시부(150)의 부하 경보 램프(155)는 전술된 전류 변성기(210)로부터 검출된 부하율이 기준 부하율 이상인 경우에 마이콤(22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상태 표시부(150)의 결상 경보 램프(156)는 1차 코일(172)과 연결된 마이콤(220)에 의해 결상 정보가 입력되어 결상 발생시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하 경보 램프(155) 또는 결상 경보 램프(156)가 점등된 경우에 변압기 관리자 및 외부인에게 변압기의 위험 상태를 경보하도록 마이콤(220)에 의해 제어되는 스피커(23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230)는 열전대(184)에 의해 검출된 오일의 온도가 기준 오일 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마이콤(220)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한다.
부하 경보 램프(155)와 결상 경보 램프(156)의 점등 및 열전대(184)에 의해 검출된 오일의 온도가 기준 오일 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상태에서 기설정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는 변압기의 소손 및 기타 연결된 전기, 전자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류 전원을 차단하도록 교류 전원과 1차 코일(172) 사이에 전원 차단부(190)가 제공되어 있다. 전원 차단부(190)는 마이콤(220)에 의해 전술된 바와 같이 기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교류 전원과 1차 코일(172)을 자동으로 단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압기는 코일(172)(174)의 각 리드들, 열전대(184), 전류 변성기(210), 2차 코일(174)과 각기 연결된 마이콤(220) 사이에 마이콤 보호부(250)가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콤 보호부(250)는 1차 코일 (172)로부터 인가된 초고압의 전압으로부터 마이콤(220을 보호하도록 전압을 감압하는 감압부, 교류를 직류를 변환하는 정류부 및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감쇠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상 유입식 변압기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변형 실시될 수 있는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3상 변압기 적용 -> 단상 변압기 적용
2. 유입식 변압기 적용 -> 건식 또는 몰드 변압기 적용
열전대를 2차 코일의 인접부에 설치하여 2차 코일의 온도를 측정
3. 부하율(%) 표시 -> 정격 전류(A) 표시
4. 1차 코일로부터 통전 확인 -> 1차 또는 2차 코일로부터 통전 확인
5. 1차 코일의 결상 확인 -> 1차 또는 2차 코일의 결상 확인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利點)과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가동 상태 표시부가 외함의 전면에 제공되어 주상 또는 패키지화 되어 있어도 가동 상태를 한번에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과열, 과부하 또는 결상시 각기 대응된 램프와 스피커에 의해 동시에 경광 및 경보되어 변압기의 신속한 유지보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경광 및 경보가 진행된 후 기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강제적으로 변압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변압기 및 변압기와 연결된 전기, 전자 기기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변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상태 표시부를 구비한 변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상태 표시 및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0 : 가동 상태 표시부
151 : 통전 램프
152a, 152b : 전압 표시부
153a, 153b : 부하 표시부
154a, 154b : 온도 표시부
155 : 부하 경보 램프
156 : 결상 경보 램프
160 : 오일 충전부
172, 174 : 코일
184 : 열전대
190 : 전원 차단부
210 : 전류 변성기(CT)
220 : 마이콤(MICOM)
230 : 스피커
250 : 마이콤 보호부

Claims (8)

  1. 외함에 내장된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상호간의 유도에 의해 전압이 승강되는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전면에 취부되어 있으며, 통전 램프, 전압 표시부, 부하 표시부가 제공된 가동 상태 표시부와;
    상기 2차 코일의 내부로부터 인출된 리드와 연결된 전류 변성기와;
    상기 1차 코일에 전원이 인가 및 인가 해제시 상기 통전 램프를 점멸하도록 상기 1차 코일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및 2차 코일의 전압을 각기 검출하여 상기 전압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류 변성기로부터 검출된 현재의 부하전류 및 부하율을 계산하여 상기 부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공된 마이콤과;
    상기 1차 코일,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전류 변성기와 상기 마이콤 사이에 개재된 마이콤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오일 충전부 내부에 상기 마이콤과 연결된 열전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상태 및 안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상태 표시부에는 온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도 표시부는 상기 열전대로부터 검출된 온도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오일의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 보호부는 상기 1차 및 2차 코일로부터 인가된 고압을 저압으로 감압하는 감압부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감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상태 표시부에는 부하 경보 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하 경보 램프는 상기 전류 변성기로부터 입력된 부하율을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부하율이 기준 부하율 이상인 경우에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상태 표시부에는 결상 경보 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상 경보 램프는 상기 1차 코일의 결상 유무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결상 발생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7.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과 연결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는 상기 열전대로부터 검출된 오일의 온도가 기준 오일 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경우, 상기 부하 경보 램프 또는 상기 결상 경보 램프의 점등시 상기 마이콤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8.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과 상기 1차 코일 사이에 개재된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열전대로부터 검출된 오일의 온도, 상기 전류 변성기로부터 검출된 부하율 및 상기 1차 코일의 결상 유무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제공받아 기준 오일 온도 이상의 과열 상태, 기준 부하율 이상의 과부하 상태 또는 결상 상태인 경우에 기설정 시간 경과후 상기 1차 코일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 및 안전장치.
KR1020040029301A 2004-04-28 2004-04-28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를 갖는 안전장치 KR10085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01A KR100855743B1 (ko) 2004-04-28 2004-04-28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를 갖는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301A KR100855743B1 (ko) 2004-04-28 2004-04-28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를 갖는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71A true KR20050104071A (ko) 2005-11-02
KR100855743B1 KR100855743B1 (ko) 2008-09-03

Family

ID=3728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301A KR100855743B1 (ko) 2004-04-28 2004-04-28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를 갖는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7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84B1 (ko) * 2007-02-26 2008-03-26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0882786B1 (ko) * 2007-09-03 2009-02-09 중원전기 주식회사 전력설비용 열화보호 계전시스템
WO2010077078A2 (ko) * 2008-12-31 2010-07-08 Oh Tae-Hon 부하표시 배전용 변압기 및 그의 표시 장치
WO2010134754A2 (ko) * 2009-05-21 2010-11-25 Oh Tae-Hon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배전용 변압기, 그의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38341B1 (ko) * 2011-03-04 2011-06-01 주식회사 아이티파워 노이즈 표시부 및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한 노이즈 차단 변압기
KR101523674B1 (ko) * 2014-01-27 2015-05-28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전원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39B1 (ko) * 1999-04-19 2001-11-07 이기표, 박기주 수변전장치
JP3877474B2 (ja) * 1999-08-03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84B1 (ko) * 2007-02-26 2008-03-26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0882786B1 (ko) * 2007-09-03 2009-02-09 중원전기 주식회사 전력설비용 열화보호 계전시스템
WO2010077078A2 (ko) * 2008-12-31 2010-07-08 Oh Tae-Hon 부하표시 배전용 변압기 및 그의 표시 장치
WO2010077078A3 (ko) * 2008-12-31 2010-10-28 Oh Tae-Hon 부하표시 배전용 변압기 및 그의 표시 장치
WO2010134754A2 (ko) * 2009-05-21 2010-11-25 Oh Tae-Hon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배전용 변압기, 그의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0134754A3 (ko) * 2009-05-21 2011-03-10 Oh Tae-Hon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배전용 변압기, 그의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38341B1 (ko) * 2011-03-04 2011-06-01 주식회사 아이티파워 노이즈 표시부 및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한 노이즈 차단 변압기
KR101523674B1 (ko) * 2014-01-27 2015-05-28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전원 변환 장치
CN104811051A (zh) * 2014-01-27 2015-07-29 Ap系统股份有限公司 电力转换装置
CN104811051B (zh) * 2014-01-27 2019-05-14 Ap系统股份有限公司 电力转换装置
TWI665853B (zh) * 2014-01-27 2019-07-11 南韓商Ap系統股份有限公司 電力轉換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743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2547A (en) Neutral wire current monitoring for three-phase four-wire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280446B1 (ko) 과열보호 음성경보장치가 내장된 분전반/저압배전반
KR101799954B1 (ko)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US6556404B2 (en) Self powered cooling fan and method
KR102230392B1 (ko) 배전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버스덕트의 셀프 냉각 장치
KR100855743B1 (ko) 변압기의 가동 상태표시를 갖는 안전장치
Kumar et al. Application of computer and modern automation system for protection and optimum use of High voltage power transformer
KR101245748B1 (ko) 과전류, 과열 및 서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저감장치
Pansini Electrical transformers and power equipment
US103888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rapid shutdown of electrical devices
CN104157434A (zh) 220kV电压等级气体绝缘变压器
KR20140040795A (ko) 전력 변압기의 코일 온도의 표현 및 디스플레이
US3849705A (en) Fluid-cooled transformer having a temperature responsive indicating and controlling device
CN218384687U (zh) 一种配电变压器在线检测监控装置
KR20170051984A (ko) 사용전 전기단락저항 측정기 장치를 적용한 수배전반
US2943305A (en) Protective circuitry for rectifiers
CN202524055U (zh) 空调设备
CN106898482A (zh) 一种电力变压器
JP6192884B1 (ja) 電力機器
JP2011229376A (ja) 変圧器二次側用アーク・フラッシュ事故軽減
CN201204439Y (zh) 电气连接点安全保护装置
CN209859734U (zh) 一种高稳电力电气变压器
CN215496261U (zh) 一种电力系统变压器的绕组漏电保护装置
CN210091873U (zh) 一种高压油浸电压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