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659A - 버터플라이 밸브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659A
KR20050103659A KR1020040028928A KR20040028928A KR20050103659A KR 20050103659 A KR20050103659 A KR 20050103659A KR 1020040028928 A KR1020040028928 A KR 1020040028928A KR 20040028928 A KR20040028928 A KR 20040028928A KR 20050103659 A KR20050103659 A KR 2005010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aft
center
flow path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882B1 (ko
Inventor
김종남
Original Assignee
김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남 filed Critical 김종남
Priority to KR102004002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88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2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유로의 소정 위치에 밸브 시트(110)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회전축(300)에 고정되며 유로 폐쇄 조작 시에 상기 밸브 시트(110)와 밀봉면을 형성하는 밸브 디스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버터플라이 밸브로서, 상기 회전축(300)은 유로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되, 그 양단부를 기준으로 한 축심(軸心,A)이 상기 밸브 시트(110)와 밸브 디스크(200) 밀봉면의 중심선(C)으로부터 소정 거리(a1)만큼 1차편심 되고, 상기 유로의 중심선(CL)로부터 소정 거리(a2)만큼 2차편심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밸브 디스크(200)와 고정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는 그 중심축선(B)이 상기 축심(A)으로부터 재편심 되도록 형성되며,
개폐 조작시에 디스크가 단순히 회전만 이뤄지는 구조와 비교하여, 밸브 폐쇄 후의 수밀유지도가 높으며, 특히 디스크의 회전 및 이동을 위한 관련 구동부의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본 발명은 배관에 설치되어 유량 제어 및 차단 기능을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폐쇄 조작시에 밸브본체에 축설된 디스크가 회전과 동시에 밸브 시트 측으로 전진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밸브 폐쇄 후의 수밀유지도가 높아지도록 한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버터플라이 밸브는 흐름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원판형의 디스크가 회전하므로서 유로의 개폐를 하는 밸브로서, 다른 형식의 밸브에 비하여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에 의해 각종 배관 설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순한 구조에 의해 버터플라이 밸브는 유체의 완전 차단이 쉽지 않다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밸브 폐쇄시에 디스크의 외주면이 밸브 시트에 접촉되는 접촉력에 의해 누수를 차단하게 되어 있으므로, 잦은 개폐로 인해 시트링이 마모되면 누수가 발생되고 이러한 누수현상은 수압이 높을수록 더욱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무재의 밸브 시트는 내산성과 내약품성이 불량하여 유류나 화공약품의 수송에는 부적합하였으며, 금속재의 밸브 시트는 높은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 1에 예시된 형태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23838호를 통해 제안된 밸브로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외측은 디스크를 90°각도로 회전시키고 내측은 회전운동을 캠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디스크를 전후진시키므로서, 디스크를 밸브 시트에 강하게 접촉시켜 누수를 차단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예는 누수 차단 효과의 확보는 별론으로 하고, 이중 회전축 및 관련 구동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점과 고장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등의 문제를 여전히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폐쇄 조작시에 밸브본체에 축설된 디스크가 회전과 동시에 밸브 시트 측으로 전진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밸브 폐쇄 후의 수밀유지도가 높아지도록 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디스크의 회전 및 이동을 위한 관련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 코스트를 현저히 절감시킴과 동시에 고장 가능성을 저감시킨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로의 소정 위치에 밸브 시트(110)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회전축(300)에 고정되며 유로 폐쇄 조작 시에 상기 밸브 시트(110)와 밀봉면을 형성하는 밸브 디스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버터플라이 밸브로서, 상기 회전축(300)은 유로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되, 그 양단부를 기준으로 한 축심(軸心,A)이 상기 밸브 시트(110)와 밸브 디스크(200) 밀봉면의 중심선(C)으로부터 소정 거리(a1)만큼 1차편심 되고, 상기 유로의 중심선(CL)로부터 소정 거리(a2)만큼 2차편심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밸브 디스크(200)와 고정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는 그 중심축선(B)이 상기 축심(A)으로부터 재편심 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의 적어도 일측에는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회전 지지부(320)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 지지부(320)는 그 원통형의 중심선이 상기 회전축(300)의 축심(A)과 일치하고, 밸브 몸체(100)에 형성된 내설부(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회전축(300)의 회동시 밸브 몸체(100)로부터 슬라이딩 지지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지지부(320)는, 회전축(3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축선(B')이 상기 디스크 고정부(310)의 중심축선(B)과 일치하도록 상기 축심(A)으로부터 재편심된 중심 지지부(322)와, 상기 중심 지지부(322)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캠(324)으로 이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와 중심 지지부(322)의 재편심은 상기 2차편심을 상쇄하도록 이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지지부(320)는, 회전축(3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축선(B')이 상기 축심(A)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중심 지지부(322)와, 상기 중심 지지부(322)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캠(324)으로 이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300)은 그 양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의 외측에 해당하는 회전축(300)의 상하측 외주면에는 오링 카라(140)를 개재하여 오링(14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괄호 내의 도면부호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참고로 부기한 것일뿐, 본 발명의 구성이 예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정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평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링 및 오링 카라의 사시도이다.
버터플라이 밸브의 밸브 몸체(100) 내 유로의 소정 위치에는 밸브 시트(110)가 형성되며, 회전축(300)에 고정되어 유로 폐쇄 조작 시에 밸브 시트(110)와 밀봉면을 형성하는 밸브 디스크(200)가 유로 내에 위치한다.
밸브의 회전축(300)은 유로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며, 그 양단부 중 일측 단부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예시된 밸브를 보면, 회전축(300)의 상단부에 웜 휠 고정너트(134)를 통해 웜 휠(130)이 동축상으로 고정되며, 웜 휠(130)은 일측에 위치한 웜 샤프트(132)에 나합된다.
작업자가 웜 샤프트(132)에 축결합된 핸들(150)을 회전시키면, 웜 샤프트(132)가 회전되고 그 회전력이 웜 휠(130)을 통해 밸브 회전축(300)으로 전달되어 밸브 디스크(200)의 개폐 조작이 이뤄지게 된다.
웜 휠(130)과 웜 샤프트(132) 등은 밸브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박스(102) 내에 위치하며, 기어박스(102)의 상부면에는 개폐 가능한 형태로 커버(104)가 결합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웜 휠(130)은 도 5에 예시된 형태로 대략 110~120도 정도의 부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밸브 오픈 상태와 클로즈 상태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양측 스토퍼(184a,184b)를 고정 설치하면, 웜 휠(130)의 회전은 정확하게 밸브 오픈 상태와 클로즈 상태 사이의 범위에서만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밸브의 회전축(3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은 상기 예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지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예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한편, 상기 기어박스(102)와 유로부 사이에는 밸브 몸체(100)의 내설부(120)가 형성되며, 그 상세 설명은 후술한다.
유로를 통과하는 고압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로의 외측에 해당하는 회전축(300)의 상하측 외주면에는 오링 카라(140)를 개재하여 오링(142)이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환형으로 형성된 오링 카라(14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요입홈이 형성되며, 내외측 요입홈에는 내외측 오링(142)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 회전축(300)에 삽설된다.
오링 카라(140)의 재질로서는 황동이나 스테인레스(예를 들어, SUS316)와 같은 내식성 금속이 사용되며, 오링(142)의 재질로서는 바리톤과 같은 내열성 합성고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박스(102) 부분을 유로 측과 차단하기 위하여, 기어박스(102) 하단부를 통과하는 회전축(300)의 외주면에는 패킹 커버(162)와 패킹 누르개(164)를 개재하여 패킹(160)이 설치된다.
이러한 기어박스(102)의 측면에는 패킹 누르개(164)의 고정용 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구 삽입용 관통 홀(102a)이 다수개(예를 들어,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300)의 하단부는 엔드커버 조정카라(172)를 개재하여 엔드커버(170)가 설치되어, 밸브 몸체(100)의 유로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밸브는, 회전축의 축심(軸心,A)이 밸브 시트(110)와 밸브 디스크(200) 밀봉면의 중심선(C)으로부터 소정 거리(a1)만큼 1차편심 되고, 유로의 중심선(CL)로부터 소정 거리(a2)만큼 2차편심 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의 축심(A)은 회전축(300)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한 축심을 의미한다.
이러한 편심 설치 상태에서, 밸브 디스크(200)의 회전과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밸브 디스크(200)와 고정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는 재편심 상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디스크 고정부(310)의 중심축선(B)은 유로의 중심선(CL) 측으로 오도록 상기 축심(A)으로부터 재편심 형성된다.
여기서, 재편심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이유는 회전축의 축심(軸心,A)이 유로의 중심선(CL)으로부터 소정 거리(a2)만큼 편심(2차편심)된 상태에서 디스크 고정부(310) 부분이 다시 유로 중심선(CL) 측으로 편심된 형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스크 고정부(310)의 재편심 구조에 의해, 회전축(300)의 회전시 밸브 디스크(200)는 디스크 고정부(310)의 중심축선(B)을 중심으로 자전을 함과 동시에, 회전축(300)의 축심(A)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갖는다.
그 결과, 밸브의 개폐 조작시에 밸브 디스크(200)는 회전과 동시에 밸브 시트(110)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이 이뤄질 수 있게 되며, 단순히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가 아닌 밸브 시트(110)측으로의 전진 이동에 의한 압착 효과까지 얻게 된다.
한편,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의 상하 양측에는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회전 지지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320)는 그 원통형의 중심선이 상기 회전축(300)의 축심(A)과 일치하고, 밸브 몸체(100)에 형성된 내설부(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회전축(300)의 회동시 밸브 몸체(100)로부터 슬라이딩 지지된다.
이러한 회전 지지 구조를 통해 밸브 디스크(200)의 개폐 움직임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회전 지지부(320)는 가공 및 조립 공정의 편의상 캠 조립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심축선(B')이 상기 디스크 고정부(310)의 중심축선(B)과 일치하도록 상기 축심(A)으로부터 재편심된 중심 지지부(322)가 회전축(300)에 일체로서 형성된다.
이 중심 지지부(322)의 외측에 캠(324)이 고정 결합되며, 캠(324)은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조립체 상태로서 상기한 회전 지지부(320)를 형성하도록 한다. 중심 지지부(322)와 캠(324)의 결합은 스플라인 결합이나 키 결합 등에 의해 이뤄진다.
도 3c는 도 3a의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320)의 위치를 함께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V2-V2 단면에 V1-V1 단면의 회전 지지부를 설명의 편의상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3c에는 회전축(300)의 중심 지지부(322)와 캠(324)이 도시되어 있는데, 회전축(300)의 중심 지지부(322)의 중심은 디스크 고정부(310)의 중심축선(도 3a의 P2)과 일치하고, 캠(324)의 중심은 회전축(300)의 축심(도 3a의 P1)과 일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와 중심 지지부(322)의 재편심(중심축선 B와 B'의 위치 편심)은 상기 2차편심을 상쇄하도록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의 중심축선(B)과 중심 지지부(322)의 중심축선(B')은 회전축(300)의 축심(A)으로부터 유로의 중심선(CL) 측으로 2차 편심거리(a2)만큼 재편심되어, 결과적으로 유로의 중심선(CL)과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재편심에 의해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에 결합된 밸브 디스크(200)는 밸브 폐쇄 상태에서 단면적의 중심이 유로의 중심과 정확히 일치되어, 견고한 폐쇄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심 지지부(322)의 편심에 의해 회전축(300)은 견고한 지지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중심 지지부(322)에 고정 결합된 캠(324)이 축 외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중심 지지부(322) 외측 지점에는 캠 고정용 너트(182)가 결합되며, 이 너트(182)의 원활한 고정 조립을 위하여 밸브 몸체(100)에 형성된 내설부(120)의 내주면은 너트(182) 위치까지 확경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 지지부(320)의 중심 지지부(322)는 회전축(300)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중심축선(B')이 회전축의 축심(A)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캠(324)이 중심 지지부(322)의 외측에 고정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버터플라이 밸브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도 3a를 보면, 밸브 폐쇄 상태에서는 밸브 디스크(200) 단면적의 중심이 유로의 중심과 정확히 일치되어 견고한 폐쇄 상태를 이루며, 이때 밸브 디스크(200)의 단면적 중심선은 유로의 중심선(CL)과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밸브 디스크(200)와 고정 결합되는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는 그 중심축선(도 3a의 포인트 P2)이 유로의 중심선(CL)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있으며, 회전축(300)의 축심(도 3a의 포인트 P1)으로부터 거리 a2만큼 편심되도록 형성된다.
밸브 개방을 위하여 조작자가 핸들(150)을 회전시키면, 웜 샤프트(132)와 웜 휠(130)을 통해 회전축(300)이 회전 구동된다.
이러한 회전 구동이 이뤄지면, 회전축(300)의 축심(도 3a의 P1)은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고 회전축(300)의 양단부는 자전만 하게 되지만, 디스크 고정부(310)는 그 중심축선(도 3a의 P2)을 중심으로 자전을 함과 동시에 회전축(300)의 축심(도 3a의 P1)을 중심으로 회전반경이 a2인 원을 따라 공전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밸브 개폐 시에 밸브 디스크(200)의 최외각 지점은 도 3b의 R2와 같은 타원형 궤적을 그리게 된다.
즉, 회전축(300)의 2차편심과 그 디스크 고정부(310)의 재편심이 없다면, 밸브 디스크(200)의 최외각 지점은 도 3b의 R1과 같은 원형 궤적을 그리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밸브는 회전축(300)의 2차편심과 그 디스크 고정부(310)의 재편심을 통해 도 3b의 R2와 같은 타원형 궤적을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4a의 개방 상태에서 도 4c의 폐쇄 상태로 회전되는 동안, 본 실시예의 밸브 디스크(200)는 회전과 동시에 밸브 시트(110) 측으로 전진 이동을 하게 되고, 밸브 시트(110)와의 접촉 시에 단순히 회전에 의한 압착력이 아닌 전진 이동에 의한 압착력을 받게 되어 누수 차단의 효과가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가공 및 조립 공정이 대폭 간소화되고 조립 상태에서의 고장 가능성도 대폭 저감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개폐 조작시에 디스크가 단순히 회전만 이뤄지는 구조와 비교하여, 밸브 폐쇄 후의 수밀유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디스크의 회전 및 이동을 위한 관련 구동부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조 코스트가 현저히 절감되며 고장 가능성도 대폭 저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밸브 디스크의 회전 시에 전진 또는 후진이 동시에 이뤄지는 구조이므로 금속재 밸브 시트에 우수한 적용성을 제공하며, 그 결과 유류나 화공약품의 배관에도 우수한 사용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버터플라이 밸브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정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평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 밸브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링 및 오링 카라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밸브 몸체 110: 밸브 시트
120: 내설부 200: 밸브 디스크
300: 회전축 310: 디스크 고정부
320: 회전 지지부 322: 중심 지지부
324: 캠 CL: 유로 중심선
A: 회전축 축심(軸心) B,B': 중심축선
C: 밸브 시트와 밸브 디스크 밀봉면의 중심선
a1: 1차편심거리 a2: 2차편심거리

Claims (7)

  1. 유로의 소정 위치에 밸브 시트(110)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회전축(300)에 고정되며 유로 폐쇄 조작 시에 상기 밸브 시트(110)와 밀봉면을 형성하는 밸브 디스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버터플라이 밸브로서,
    상기 회전축(300)은 유로 방향에 직각으로 설치되되, 그 양단부를 기준으로 한 축심(軸心,A)이 상기 밸브 시트(110)와 밸브 디스크(200) 밀봉면의 중심선(C)으로부터 소정 거리(a1)만큼 1차편심 되고, 상기 유로의 중심선(CL)로부터 소정 거리(a2)만큼 2차편심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밸브 디스크(200)와 고정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는 그 중심축선(B)이 상기 축심(A)으로부터 재편심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의 적어도 일측에는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회전 지지부(320)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 지지부(320)는 그 원통형의 중심선이 상기 회전축(300)의 축심(A)과 일치하고, 밸브 몸체(100)에 형성된 내설부(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회전축(300)의 회동시 밸브 몸체(100)로부터 슬라이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320)는,
    회전축(3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축선(B')이 상기 디스크 고정부(310)의 중심축선(B)과 일치하도록 상기 축심(A)으로부터 재편심된 중심 지지부(322)와,
    상기 중심 지지부(322)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캠(324)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의 디스크 고정부(310)와 중심 지지부(322)의 재편심은 상기 2차편심을 상쇄하도록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320)는,
    회전축(3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축선(B')이 상기 축심(A)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중심 지지부(322)와,
    상기 중심 지지부(322)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는 캠(324)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은 그 양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외측에 해당하는 회전축(300)의 상하측 외주면에는 오링 카라(140)를 개재하여 오링(14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KR1020040028928A 2004-04-27 2004-04-27 버터플라이 밸브 KR10061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28A KR100613882B1 (ko) 2004-04-27 2004-04-27 버터플라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928A KR100613882B1 (ko) 2004-04-27 2004-04-27 버터플라이 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337U Division KR200356872Y1 (ko) 2004-05-03 2004-05-03 버터플라이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659A true KR20050103659A (ko) 2005-11-01
KR100613882B1 KR100613882B1 (ko) 2006-08-22

Family

ID=3728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928A KR100613882B1 (ko) 2004-04-27 2004-04-27 버터플라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827B1 (ko) 2005-04-18 2006-06-28 주식회사 에이스브이 직선 및 회전운동에 의한 수밀구조를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KR20180096047A (ko) 2017-02-20 2018-08-29 주식회사 디케이시 콘센트릭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51B1 (ko) 2008-11-06 2010-01-22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하수의 역류방지 및 오니제거를 위한 하수구구조
KR101985935B1 (ko) * 2017-05-11 2019-06-04 삼미기계주식회사 유량제어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4771A (en) 1980-03-05 1981-09-30 Hanshin Koki Kk Closed type butterfly valve
US5467965A (en) 1991-10-02 1995-11-21 Chapman; John E. Valve system
JPH074532A (ja) * 1993-01-14 1995-01-10 Kubota Corp バタフライ弁
DE69706888T2 (de) 1997-07-10 2002-04-25 Lucien Mazot Klappe mit exzentrischen lager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827B1 (ko) 2005-04-18 2006-06-28 주식회사 에이스브이 직선 및 회전운동에 의한 수밀구조를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KR20180096047A (ko) 2017-02-20 2018-08-29 주식회사 디케이시 콘센트릭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882B1 (ko) 200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75465A1 (en) Ball Valve With Anti-Rotational Pressure Plate
JP7137583B2 (ja) 偏心型バタフライバルブ
JP7177092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EP3464966B1 (en) Valve for a faucet assembly
CA2930242C (en) Lining for mechanical joints
KR100613882B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56872Y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0442743B1 (ko) 피팅 부재
KR100478094B1 (ko) 밸브장치
JP6523734B2 (ja) バタフライ弁
JP3376325B2 (ja) 弁装置
CA3099623A1 (en) A ball valve and valve operating method
HU225807B1 (en) Double acting ball valve
US4150694A (en) Rotary plug valve
JP6387753B2 (ja) バルブ装置
KR200334648Y1 (ko) 세그먼트 플러그형 이중편심 메탈시트 볼밸브
JP6692167B2 (ja) バルブ
KR200224585Y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1173306B1 (ko) 이중 개폐형 디스크를 갖는 버터플라이밸브
KR100944387B1 (ko) 원통형 밸브
RU2375627C1 (ru) Осевой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ий дисковый клапан
KR102035051B1 (ko) 디스크 개폐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밸브
KR101024095B1 (ko) 볼 밸브
JPH11304014A (ja) ボールコック
KR200409572Y1 (ko) 밸브의 스톱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