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100A -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100A
KR20050102100A KR1020057014330A KR20057014330A KR20050102100A KR 20050102100 A KR20050102100 A KR 20050102100A KR 1020057014330 A KR1020057014330 A KR 1020057014330A KR 20057014330 A KR20057014330 A KR 20057014330A KR 20050102100 A KR20050102100 A KR 20050102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plate
conveyor
deflection
guard
passeng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브 자비스
프랭크 산세베로
큉동 리챠드 지앙
양잉 앤 첸
디트마르 탈러
루오밍 로이 티안
알렉산더 벨렌디어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5701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100A/ko
Publication of KR2005010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1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컨베이어 밴드의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그 상부에 배열된 복수 개의 치(24)를 갖는 이동 플랜지(8) 및 컨베이어 밴드를 구비하고, 사용 중에 컨베이어 밴드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홈(6)과 맞물리는 승객 컨베이어(2)를 위한 콤 플레이트(18)에 있어서, 콤 플레이트(18)의 측부 에지에 배열되고, 콤 플레이트(18)의 상부면 위로 소정 높이 연장되는 편향 가드(26)를 특징으로 하는 콤 플레이트.

Description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COMB PLATE FOR PASSENGER CONVEYOR WITH MOVING FLANGE}
본 발명은 컨베이어 밴드의 폭에 걸쳐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치(teeth) 및 기부판을 갖는, 무단 컨베이어 밴드 및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플레이트는 컨베이어 밴드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쐐기 또는 홈을 사용하여 맞물린다. 본 발명은 또한 콤 플레이트 등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승객 컨베이어는 예를 들어 WO 02/440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콤 플레이트는 작동 중에 컨베이어 벨트가 "사라지는" 위치에서 승객의 옷, 신발 또는 가방과 같은 물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계단식 벨트 내의 대응하는 홈과 맞물리는 치 또는 프롱이 제공된다. 상기 치는 계단식 벨트에 이송되는 물체를 멀리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경사지며, 이로써 포획 또는 압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단식 벨트는 승객을 이송 또는 이동시키는 승객 컨베이어 영역이다. 이 위에서 이동 경로의 노출된 표면을 따라 이동 승객은 걸어서 또는 서 있는 상태로 이송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계단식 밴드로 불린다. 상기 계단식 밴드는 계단식 밴드의 각 측부에 위치된 구동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된 몇 개의 계단부로 구성된다. 이동 보도에서, 컨베이어 밴드는 마찬가지로 구동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된 몇 개의 팰릿(pallet)으로 구성된다. 다르게는 이동 보도에 있어서, 컨베이어 밴드는 또한 예를 들어 강화 고무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가요성 재료로 된 무단 밴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다이캐스트 주석 또는 주형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각각 약 80개의 치와, 약 2 mm 폭, 40 mm 길이를 가진다.
이동 스커트 또는 이동 패널로도 불리는 이동 플랜지는 컨베이어 벨트 및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밴드의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제공된 종래의 컨베이어의 고정된 스커트의 상대 이동에 의한 걸림에 대해 컨베이어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이동 플랜지의 도입에 의해 걸림에 대한 위험이 처리되었지만, 걸림에 대한 위험은 계단부의 진입 및 컨베이어의 진출 랜딩부의 이동 플랜지에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 진입부 영역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컨베이어의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콤 플레이트의 단편의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콤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의 안전성을 더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콤 플레이트의 측부 에지에 배열되고 콤 플레이트의 상부면 위로 소정 높이 연장된 편향 가드를 갖는 콤 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편향 가드의 측부면은 이동 플랜지 진입부 부근에 주요 영역 내로 들어오는 물체 또는 본체부를 편향시키도록 이동 플랜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체의 걸림에 대한 위험이 상당히 감소된다. 통상적으로 컨베이어는 이동 플랜지 위로 연장되어 이를 덮는 고정된 내부 데킹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 플랜지의 일부 만이 외부로 노출되며, 그 나머지 부분은 내부 데킹에 의해 덮인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가드는 이동 플랜지의 노출 부분을 따라 연장될 정도로 높다.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편향 가드는 또한 내부 데킹의 일부에 걸쳐 그 상부로 연장된다. 이는 편향 가드가 편향을 용이하게 하는 물체에 대해 더 큰 표면적을 노출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가드는 사용 중에 이동 플랜지를 향해 내부 데킹의 하부 에지 이하로 돌출되는 노즈(nose)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즈는 이동 플랜지와 편향 가드 사이의 간극을 더 감소시키는데 적절하다. 통상적으로 내부 데킹과 편향 가드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을 알아야 한다. 편향 가드가 콤 플레이트에 부착되면, 그와 함께 이동 가능해야 한다. 안전성을 위해, 콤 플레이트는 컨베이어 트러스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힘에 대향하여 어느 정도 연장되도록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콤 플레이트가 계단부에 의해 잠금되면, 계단부는 안전 스위치가 컨베이어를 차단하고, 컨베이어 드라이브에 동력을 차단할 때까지 콤 플레이트를 트러스에 대해 이동시킬 것이다.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콤 플레이트 및 편향 가드가 트러스, 내부 데킹 등에 대해 소정 거리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가드가 콤 플레이트와 함께 일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콤 플레이트에 간단하고 고정적인 부착을 허용하고, 비용 효율적인 성과를 허용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편향 가드는 나사 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콤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컨베이어 내의 조절을 허용하고, 존재하는 콤 플레이트에 편향 가드를 부착시키는 것을 더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가드는 콤 치의 방향의 측방향 외부로 그리고 그 자유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다. 상기 테이퍼는 물체를 이동 플랜지로부터 멀리 편향시키거나 또는 보호한다. 상기 노즈를 제공함으로써, 편향 가드와 이동 플랜지 그리고 편향 가드와 내부 데킹 사이에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극 폭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데킹은 이동부가 아니므로, 내부 데킹과 편향 가드 사이의 간극 거리는 또한 이동 플랜지와 편향 가드 사이의 간극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는 편향 가드 상부에 위치된다. 편향 가드가 콤 플레이트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덮개는 예를 들어, 제조가 저렴한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상이한 재료일 수 있다. 게다가, 콤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다이캐스트 공정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그 측부 에지에서 과도하게 높은 플랜지는 이러한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한다. 게다가, 그 에지에서 과도하게 높은 플랜지는 파괴 등의 경향을 갖기 쉽다. 미소 간극이 바람직하게는 편향 가드와 덮개 사이에 제공되는 통상적으로 내부 데킹과 연결된 핸드 레일 진입부 박스 및/또는 내부 데킹 등의 트러스에 덮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간극은 상술된 바와 같이 비상 시, 편향 가드 및 콤 플레이트의 이동을 허용한다.
편향 가드가 콤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부 에지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을 알아야한다. 게다가, 이러한 편향 가드는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 랜딩부와 마찬가지로 진입 및 진출 랜딩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컨베이어(2)의 일부를 도시한다. 특히, 도1은 컨베이어의 상부 랜딩부를 도시한다. 그 상부면에 복수 개의 홈(6)을 갖는 계단부(4)는 계단부 밴드 또는 컨베이어 밴드에서 대표적이다. 컨베이어 밴드는 그 각각의 측부 에지 상에 이동 플랜지(8)를 가진다. 내부 데킹(10)은 이동 플랜지에 걸쳐 하부 에지(12)에 연장된다. 내부 데킹(10) 및 이동 플랜지(8)는 컨베이어 밴드의 측부 에지에서 물체의 걸림을 방지한다.
내부 데킹(10)은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트러스와 같은 지지 구조체(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판금 재료 또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다른 재료로 구성된다. 진입부 영역(16)의 측부 제한을 제공하는 핸드 레일 진입부 박스(14)가 내부 데킹(10)에 연결된다. 복수 개의 콤 플레이트 단편(20, 22)을 포함하는 콤 플레이트(18)는 통상적으로 계단부 밴드의 진입부 영역에서 제공된다. 콤 플레이트 단편(20, 22)은 각각 계단부 벨트 상의 홈(6)과 협동하는 복수 개의 치(24)를 포함한다.
물체를 진입부 영역에서 이동 플랜지(8)로부터 멀리 편향시키기 위해 콤 플레이트(18)의 각각의 측부 에지에 편향 가드(26)가 제공된다.
편향 가드(26)를 덮는 덮개(28)가 핸드 레일 진입부 박스(14)에 부착되고 편향 가드(26)의 상부를 덮는다. 편향 가드(26)는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등과 같은 상이한 이유로 콤 플레이트 단편(20, 22)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덮개(28)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더 비용 효과적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2에는 홈(6) 및 치(24)가 더 명백하게 도시된다. 도2는 이동 플랜지(8)의 진입부 영역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특히, 편향 가드(26)와 이동 플랜지(8)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키는 노즈(30)가 보기 쉽게 도시된다. 이론적으로, 상기 부분들 즉, 이동 플랜지(8)와 편향 가드(26) 사이의 간극은 가능한 한 작다. 그러나, 사실상 4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mm의 간극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간극은 그 사이에서 물체의 걸림을 회피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의 간극이 내부 데킹(10)과 편향 가드(26)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간극은 비상 시 콤 플레이트(18) 및 편향 가드(26)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요구된다. 편향 가드(26)와 덮개(28) 사이에 유사한 간극(32)이 제공된다. 상기 간극은 콤 플레이트(18)의 상방 이동에 의한 비상 시, 비상 스위치의 안전 트리거를 허용하는데 충분한 폭이어야 한다.
도3은 콤 플레이트 단편(20)을 도시하고, 특히 그 상부에 일체식으로 제공되는 편향 가드(26)를 도시한다. 편향 가드(26)는 용이한 주조 및 감소된 중량을 허용하는 비교적 얇은 벽 두께를 가진다. 도4의 측면도에서, 편향 가드(26)의 전방 에지(34)는 경사지거나 또는 몇 도 정도 후방으로 각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방 에지(34)가 대체로 수직 배향인 것도 바람직하다.

Claims (10)

  1. 컨베이어 밴드의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그 상부에 배열된 복수 개의 치(24)를 갖는 이동 플랜지(8) 및 컨베이어 밴드를 구비하고, 사용 중에 컨베이어 밴드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홈(6)과 맞물리는 승객 컨베이어(2)용 콤 플레이트(18)에 있어서,
    콤 플레이트(18)의 측부 에지에 배열되고, 콤 플레이트(18)의 상부면 위로 소정 높이 연장되는 편향 가드(26)를 특징으로 하는 콤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드(26)는 콤 플레이트(18)와 함께 일체 형성되는 콤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드(26)는 체결구에 의해 콤 플레이트(18)에 부착되는 콤 플레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드(26)는 콤 치(24)의 방향으로 측방향 외부로 그리고 그 자유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 콤 플레이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드(26)는 콤 치(24)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측방향 외부로 돌출된 노즈(30)를 포함하는 콤 플레이트.
  6. 무단 컨베이어 밴드와, 상기 컨베이어 밴드와 함께 사용 중에 이동하는 이동 플랜지(8)와, 상기 컨베이어 밴드의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치(24)를 가지며, 사용 중에 컨베이어 밴드의 상부면 상에 제공된 홈(6)과 맞물리는 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2)에 있어서,
    콤 플레이트(18)의 측부 에지에 배열되고, 콤 플레이트(18)의 상부면 위로 소정 높이 연장되는 편향 가드(26)를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랜지(8)에 걸쳐 연장되는 내부 데킹(10)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 가드(26)는 내부 데킹(10)의 하부 에지(12)의 위로 그리고 아래로 연장되고, 이동 플랜지(8)를 향해 내부 데킹(10)의 하부 에지(12) 아래로 돌출되는 노즈(30)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드(26)의 위에 위치되는 덮개(28)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가드(26)와 덮개(28) 사이에 미소 간극(32)이 제공되는 승객 컨베이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콤 플레이트(18)에 측방향으로 인접하며 덮개(28)가 부착되는 핸드 레일 진입부 박스(14)를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
KR1020057014330A 2005-08-04 2003-02-07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 KR20050102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4330A KR20050102100A (ko) 2005-08-04 2003-02-07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4330A KR20050102100A (ko) 2005-08-04 2003-02-07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100A true KR20050102100A (ko) 2005-10-25

Family

ID=3728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330A KR20050102100A (ko) 2005-08-04 2003-02-07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21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316B1 (en) Escalator with step flange
US5560468A (en) Laterally adjustable side inserts for the steps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pallets
AU2002227070A1 (en) Escalator with step flange
US10793398B2 (en) Conveyance element for a people conveyor
US7353931B2 (en) Comb plate for passenger conveyor with moving flange
CA1059939A (en) Transportation apparatus with protective arrangement for combplate teeth
KR20050102100A (ko)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용 콤 플레이트
US9850099B2 (en) Skirt for passenger conveyer
US6102186A (en) Escalator balustrade/handrail construction
US4004676A (en) Escalator with non-jaming step
US5291982A (en) Passenger conveyor, platform floor for passenger conveyor, and comb for platform floor
US20040060800A1 (en)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JP7167259B1 (ja) 安全装置、乗客コンベアおよび取付方法
US5992606A (en) Escalator balustrade/hand rail construction
EP1353872B1 (en)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JP2004521040A (ja) 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用のデフレクタ
GB2249535A (en) Passenger conveyor
JPH055784U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H02163285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ツプ
JP2003182965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03182967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820002523Y1 (ko) 맨컨베이어의 스텝
KR830002445B1 (ko) 맨 컨베이어의 난간
JP2008297050A (ja) 乗客コンベア
JPH10182051A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