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803A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803A
KR20050101803A KR1020040027016A KR20040027016A KR20050101803A KR 20050101803 A KR20050101803 A KR 20050101803A KR 1020040027016 A KR1020040027016 A KR 1020040027016A KR 20040027016 A KR20040027016 A KR 20040027016A KR 20050101803 A KR20050101803 A KR 2005010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terminal
microphone device
ear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엠텍
Priority to KR102004002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803A/ko
Publication of KR2005010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파일 재생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일측에 PC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USB포트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소정의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대방의 음성 및 음악 등을 청취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이어 스피커와, 상기 이어 스피커이 연결되는 케이블 적소에 설치되어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콘트롤 바디의 타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포함하여, 단말기와 별도로 보조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음악 파일의 저장 공간을 확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별도의 메모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저감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EAR-MICROPHONE WITH MEMORY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MANAGEMENT METHOD OF IT}
본 발명은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MP3 파일, VOD용 데이터, 디지털 카메라 촬영용 화상 데이터 등을 단말기에 포함된 메인 메모리와는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각종 전자, 통신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반면에 점차 소형 경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며, 예를 들면, 착탈이 가능한(attachable) 카메라 장치, 단말기상에 장착하여 통화가능하도도록 설치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등이 대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소정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신체, 예를 들면, 주머니나 가방등에서 꺼내지 않고도 단말기에 설치된 IF단자에 인터페이스 컨넥터(간단한 구조로는 이어폰 잭을 연결시킴)를 연결시켜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치로써 수화부로는 이어 스피커 장치(통상 '이어폰'이라 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화부로는 소정의 마이크로폰 장치(통상 '마이크'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일환으로 단말기내에 MP3 플레이어 또는 주문형 오디오 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는 스테레오 또는 서라운드 기능을 하는 이어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어 상술한 기능의 단말기에서 음악을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음악 화일 저장용 메모리 공간은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곡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를 단말기에 부가하거나, 별도의 메모리 스틱을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구입 비용 또는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메모리 장치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 장치에 보조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여 보다 많은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음악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메모리를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용 또한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일측에 PC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USB포트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소정의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대방의 음성 및 음악 등을 청취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이어 스피커와, 상기 이어 스피커이 연결되는 케이블 적소에 설치되어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콘트롤 바디의 타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단말기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단말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단말기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음악파일 재생키 입력시, 단말기 및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각 메모리를 검사하여 곡목록을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음악파일 목록중 특정 음악을 선택하는 키 입력시, 상기 선택된 음악의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음악의 파일이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메모리에 존재할 경우,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상기 선택된 음악의 파일을 독출하는 과정 및 상기 독출된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이어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이어폰 장치)(10)의 사시도로써, 본체인 바디(11)와, 상기 바디(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단말기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13)와, 상기 바디(11)의 타측으로 소정의 케이블에 의해 연장되는 한 쌍의 이어 스피커(21)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 스피커(21)는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청취함과 동시에 단말기의 호 수신시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을 병행한다. 상기 바디(11)와 이어 스피커(21)를 연결하는 케이블상에는 마이크로폰 장치(2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호 연결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13)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 수신함과 동시에 이어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는 SPR+ 단자, SPR- 단자, MIC 단자 및 GND단자를 포함하는 USB컨넥터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RS 232포트(UART방식)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바디(11)상에는 다수의 키버튼(12)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도시되었으나, LCD 모듈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의 측면 적소에는 소정의 USB포트(14)가 설치되어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USB 포트(14)는 후술될 상기 바디(11)상의 메모리에 PC의 음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써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20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은 이어폰 장치(10)의 메모리(30)(이하 "외부 메모리"라 함)에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외부 메모리(30)로부터 음악파일을 독출하여 재생하기 위한 동작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2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플래쉬 메모리는 다수의 음악파일(예 : MP3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이이피롬(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key pad)(20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표시부(203)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203)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204)과, 상기 코덱(204)에 접속된 마이크 및 스피커는 전화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204)은 상기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한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를 이용한 통화시, 통화경로는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장치가 아닌 인터페이스부(207)에 접속된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이어폰(16)과 마이크로폰(15)에 연결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07)는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접속 및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또한,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05)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모뎀부(206)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부(206)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부(206)는 상기 RF모듈(205)과 상기 제어부(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악파일 재생부(209)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내부 메모리(201) 또는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에 장착된 보조 메모리(20)로부터 음악파일(예 : MP3 파일)을 독출하여 압축을 해제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207)를 통해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로 출력한다. 상기 음악파일 재생부(209)는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audio layer-3) 플레이어(player)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블럭 구성도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이어폰 장치)의 바디내에 구성된 구성 요소들의 블럭 구성도이다. 역시, 상기 바디상에는 단말기내에 포함된 메모리(이하 "내부 메모리"라 함) 이외에 별도의 외부 메모리(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30)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 메모리(30)는 바디상에 설치되어 PC와 연결되는 USB 포트(14)를 통하여 USB Drive IC(15)에 의해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장치(13)로는 USB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데, 후술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RS-232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바디상에 구성되는 소정의 전원 제어부(16)에 의해서 제어받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원 제어부(16)는 상술한 USB 포트(14)에 공급되는 전원을 역시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와 이어폰 장치를 접속시키게 되면, 상기 단말기는 자동으로 호스트(host)로 인식되며, 이어폰 장치는 클라이언트(client)로 인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로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말기 제어부는 4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의해 음악 파일 재생키(예를 들어 MP3 재생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만일 음악 파일 재생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상에 포함하고 있는 내부 메모리를 검사하고, 이에 저장되어 있는 곡목록을 독출하는 403단계를 수행한다. 그후, 상기 제어부는 다시 한번,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에 포함된 외부 메모리를 검사하고, 이에 저장되어 있는 곡목록을 독출하는 405단계를 수행한다. 그후, 상기 각 메모리에서 독출된 곡목록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407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곡목록은 별도로 내부 메모리와 외부 메모리에서 독출된 것으로 구분하지 않아도 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어부는 각 메모리를 순차적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각 메모리에 해당하는 곡목록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후, 409단계에서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의한 방향키 검사 과정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곡목록 중 원하는 곡목록에 상기 방향키를 사용하여 커서를 위치시키는 것이다(411단계). 방향키를 이용한 선택 표시 이동이 완료되거나, 방향키를 조작할 필요가 없을 경우,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의한 선택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하는 413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선택키의 입력이 수행되지 않으면 다시 409단계로 복귀된다. 만일 선택키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선택된 곡이 존재하는 메모리를 검사하는 415단계를 수행한다. 그후, 417 단계를 통해 선택된 곡이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인지 검사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내부 메모리일 경우 내부 메모리 억세스 및 음악 파일을 독출하는 419단계를 수행하고, 421과정 및 423과정을 수행하여 선택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 신호를 이어스피커로 송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내부 메모리가 아닐 경우, 제어부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이어폰 장치)에 포함하고 있는 외부 메모리에 선택된 곡이 수록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425단계를 수행한다. 외부 메모리에 선택된 곡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는 내부 메모리 억세스 및 음악 파일을 독출하는 427단계를 수행하고 421단계부터 다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에 장착되는 외부 메모리(20)로는 SMS(smart media card), MMC(Multi Media Card), CFC(Compact Flash card), SD(Secure Digital)카드, MS(Memory Stick)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장형으로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바디(11)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블럭 구성도로써,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그 부호를 달리 하지 않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RS-232방식 통신을 위해서는 별도의 이어폰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는 USB통신 방식과 달리, 단말기가 호스트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며, 이로 인하여 단말기는 이어폰 장치의 접속 여부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어폰 장치의 메모리(30)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 제어부(50)는 단말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이어폰 장치(10)의 메모리(30)상의 데이터를 RS-232포트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전원 제어부(16)는 상기 이어폰 제어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병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흐름도에 있어서, 405단계, 425단계등에서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200)는 이어폰 제어부(50)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단말기와 별도로 보조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음악 파일의 저장 공간을 확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별도의 메모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이어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로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블럭 구성도.

Claims (9)

  1.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일측에 PC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USB포트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소정의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대방의 음성 및 음악 등을 청취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이어 스피커;
    상기 이어 스피커가 연결되는 케이블 적소에 설치되어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 및
    상기 콘트롤 바디의 타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는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및 이어 스피커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USB통신 방식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는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및 이어 스피커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RS-232통신 방식을 사용하되,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에는 단말기와 RS-232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어폰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PC와 데이터 통신시 PC의 전원을 사용하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시 단말기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제어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7. 소정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단말기와 소정의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단말기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음악파일 재생키 입력시, 단말기 및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각 메모리를 검사하여 곡목록을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상기 음악파일 목록중 특정 음악을 선택하는 키 입력시, 상기 선택된 음악의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검사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음악의 파일이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메모리에 존재할 경우,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상기 선택된 음악의 파일을 독출하는 과정; 및
    상기 독출된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이어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운용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에 포함되는 메모리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운영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페이스 컨넥터가 RS-232 방식일 경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에는 소정의 이어폰 제어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가 이어폰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곡목록, 음악파일 독출등이 과정)시 상기 이어폰 제어부를 경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운영 방법.
KR1020040027016A 2004-04-20 2004-04-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및 그 운용 방법 KR20050101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016A KR20050101803A (ko) 2004-04-20 2004-04-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016A KR20050101803A (ko) 2004-04-20 2004-04-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803A true KR20050101803A (ko) 2005-10-25

Family

ID=3728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016A KR20050101803A (ko) 2004-04-20 2004-04-2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880B2 (en) Hands-free function
KR100605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재생방법
US20050027385A1 (en) MP3 player having a wireless earphone communication with a mobile
US20120078400A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US937445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050208893A1 (en)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US7715874B2 (en) Portable handsfree device for cable connection to a mobile terminal
KR1006780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KR10100263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조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1005922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테레오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방법
KR2005010180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를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및 그 운용 방법
EP1585291A1 (en) MP3 player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lephone
KR10122159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악파일에 사운드 효과를 부여하기위한 방법
KR20040067242A (ko) 엠피쓰리음악파일 재생기능을 갖는 휴대폰
JP2002300238A (ja) ポータブル電子装置
KR100502715B1 (ko) 데이터 저장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KR20070049717A (ko) 휴대용 단말기와 카팩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107168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대기음을 송출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50099398A (ko) 엘씨디 패널을 갖는 이어마이크로폰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및 그 운용 방법
KR10064754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데이터 처리 장치
KR2006000708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벨소리 편집 방법
KR2005003098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악파일재생 방법
KR20050069331A (ko) 오디오 재생부 착탈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118026A (ko) 멀티미디어 장치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 및 상기휴대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