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734A -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734A
KR20050101734A KR1020040026909A KR20040026909A KR20050101734A KR 20050101734 A KR20050101734 A KR 20050101734A KR 1020040026909 A KR1020040026909 A KR 1020040026909A KR 20040026909 A KR20040026909 A KR 20040026909A KR 20050101734 A KR20050101734 A KR 20050101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s
mode
image processing
resolu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705B1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7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보기용 해상도를 촬상용 해상도와는 달리 낮게 설정하고, 촬상 시에만 고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저 해상도 모드에서 고 해상도 모드로 전환 시 카메라 센서 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선형 방정식을 통하여 변환함으로써, 미리보기 기능 수행 중 촬영 동작 으로 전환할 시에 지연이 없도록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드별로 서로 다른 해상도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며, 기준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기준값을 설정하며, 모드 전환 시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에 각각 적용하여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획득하는 복수개의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 또는 상기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센서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IN HANDSET WITH CAMERA FUN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빠른 속도의 미리보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속도가 개선되고 내부 메모리 및 처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표시 장치의 확대 및 표시 수준의 개선을 통해 사진은 물론이고 동영상을 감상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중 카메라 기능은, 그 해상도의 향상에 따라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활용 영역까지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의 해상도가 VGA(Video Graphic Array)급을 넘어서서 SXGA급으로 진행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VGA 및 SXGA는 컴퓨터에서 처리된 자료를 터미널 스크린에 표시하는 규격으로서, VGA는 영상 화면을 640×480화소(30만 화소 이상)의 해상도로 구현시켜 주는 규격 및 장치로 종래의 TV의 해상도와 비슷하며, 이보다 향상된 규격인 SXGA는 1,280×960화소(130만 화소 이상)의 해상도를 구현시켜 주는 규격 및 장치로서 기존 TV보다 해상도가 훨씬 높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110)는, 사물을 촬상하는 데에 있어서 물리적인 배율을 결정하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메라 센서(120)는, 렌즈(110)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의 영상을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120)는, 입력 영상을 전자 신호로 변환시키는 CMOS 센서 또는 CCD 센서를 의미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130)는, 카메라 센서(12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DSP(130)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AGC(Automatic Gain Control) 및 AWB(Automatic White Balance)를 위한 기준값을 계산한다. 또한, 주처리부(140)는, DSP(130)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DSP(130)에 의해 계산된 AEC, AGC 및 AWB를 위한 기준값에 따라 카메라 센서(120)를 조정하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표시부(150)는, 주처리부(140)로부터 표시용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종래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 센서(120)는, 외부 사물을 촬상하여 전기적인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인 영상 프레임(Frame)을 획득하는데, 이러한 프레임은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화소는 18비트의 RGB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0×128화소를 갖는 프레임의 경우에는 18×160×128비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영상 프레임은 DSP(130)에서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는 처리 과정을 거치는데, 이 때, 내부 클럭에 따라 각 정보 비트가 처리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되는 내부 클럭 발생 소자의 주파수는 24MHz~27MHz이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디지털 영상 데이터 처리 속도가 증가된다. 이 때, 24MHz~27MHz의 주파수 환경 하에서, 640×480화소를 갖는 프레임이 입력되는 VGA급 센서가 채용된 경우에, DSP(130)에서의 프레임 처리 속도는 약 30프레임/초이고, 1280×960화소를 갖는 프레임이 입력되는 SXGA급 센서가 채용된 경우에, DSP(130)에서의 프레임 처리 속도는 약 7.5프레임/초이다. 참고적으로, 초당 처리 프레임의 수가 증가할수록 획득 동영상의 동작이 자연스러워지며, 극장용 만화 영화의 경우 초당 삽입되는 프레임의 수는 약 30프레임이고, 일반 만화 영화의 경우 초당 삽입되는 프레임의 수는 약 20프레임이라고 알려져 있다.
즉,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미리보기 등의 동영상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VGA급의 미리보기 기능 수행 시에는 프레임 처리 속도가 약 30프레임/초이므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양질의 미리보기 동영상이 제공되나, SXGA급의 미리보기 기능 수행 시에는 프레임 처리 속도가 약 7.5프레임/초이므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너무 느린 미리보기 동영상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야간에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미리보기 등의 동영상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초당 처리되는 프레임 수가 절반으로 떨어지므로, 미리보기 기능 수행에 있어서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보기용 해상도를 촬상용 해상도와는 달리 낮게 설정하고, 촬상 시에만 고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저 해상도 모드에서 고 해상도 모드로 전환 시 카메라 센서 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선형 방정식을 통하여 변환함으로써, 미리보기 기능 수행 중 촬영 동작 으로 전환할 시에 지연이 없도록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는, 모드별로 서로 다른 해상도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며, 기준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기준값을 설정하며, 모드 전환 시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에 각각 적용하여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획득하는 복수개의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 또는 상기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센서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을 제어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은, 일반 모드 및 고화소 모드로 구동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은,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고, 상기 일반 모드용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기준값이 설정되는 활성화단계;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고화소 모드 중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는 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일반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에 따라 입력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고화소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선형 방정식에 적용하여 획득된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에 따라 입력 영상을 처리한 후, 상기 모드선택단계로 진행하는 영상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는, 카메라 센서(210), 영상 처리부(220), 표시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카메라 센서(210)는, 모드별로 서로 다른 해상도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카메라 센서(210)는, 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의 영상을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210)는, 입력 영상을 전자 신호로 변환시키는 CMOS 센서 또는 CCD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처리부(220)는, 상기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카메라 센서(2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며, 기준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기준값을 설정하며, 모드 전환 시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에 각각 적용하여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220)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 또는 상기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센서(210)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처리부(2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영상처리부(220) 내에 장착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는, 상기 카메라 센서(2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주처리부(22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AGC(Automatic Gain Control) 및 AWB(Automatic White Balance)를 위한 기준값인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220) 내에 장착된 기준값 계산부(222)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입력받고, 이를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에 대입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여기서, 는 상기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이며, a는 노출 제어 기울기값이고, b는 노출 제어 오프셋값이다. 또한, 상기 a 및 상기 b는 상기 카메라 센서에 입력되는 빛의 양을 변화시켜 복수개의 상기 노출 제어용 기준값 및 상기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 쌍을 구하여 획득한 그래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여기서, 는 상기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조정 기준값이며, c는 증폭 이득 기울기값이다. 또한, 상기 c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획득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대한 상기 고화소 모드에서 획득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의 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화이트 밸런스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 밸런스용 선형 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여기서, 는 상기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조정 기준값이다. 즉, 상기 조정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조정 기준값은, 상기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기준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영상처리부(220) 내에 장착된 주처리부(223)는, 상기 모드 전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에 의해 계산된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 또는 상기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 센서(210)를 조정하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용 영상 데이터 또는 저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시부(230)는, 상기 영상처리부(220)로부터 상기 표시용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해상도는 상기 표시부(230)의 표시창에 적용되는 해상도(128×16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저장부(240)는, 상기 영상처리부(220)로부터 상기 저장용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22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영상처리부(22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고, 카메라 센서(210)는,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의 영상을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는, 카메라 센서(2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210)는, 최초로 활성화될 때, 640×480화소를 갖는 프레임이 입력되는 VGA급 이하의 센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는, 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카메라 센서(210)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 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계산한다.
그 후, 주처리부(22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에서 계산된 카메라 센서(210)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 제어를 위한 기준값에 따라 카메라 센서(210)를 조정한다.
한편, 촬영 시에는, 기준값 계산부(222)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에서 계산된 카메라 센서(210)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 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소정의 선형 방정식에 대입하여 VGA급 이상의 센서(예를 들면, 1,280×960화소를 갖는 프레임이 입력되는 SXGA급 센서)에 적합한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 제어를 위한 조정 기준값을 계산한다.
그 후, 주처리부(223)는, 기준값 계산부(222)에서 계산된 카메라 센서(210)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 제어를 위한 조정 기준값에 따라 카메라 센서(210)를 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고, 일반 모드용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기준값이 설정된다(S301). 즉, 카메라 센서(210)는,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의 영상을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는, 카메라 센서(2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시에, 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카메라 센서(210)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 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계산한다. 이 때, 주처리부(22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21)에서 계산된 카메라 센서(210)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 제어를 위한 기준값에 따라 카메라 센서(210)를 조정한다.
그 후, 상기 일반 모드 및 고화소 모드 중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다(S302). 여기서, 촬영 동작 수행 중에 한하여 상기 고화소 모드가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화소 모드 시의 입력 영상은, 상기 일반 모드용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일반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카메라 활성 초기화 당시에 설정된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에 따라 입력 영상을 처리한다(S303). 즉, 고화소의 영상 프레임이 요구되지 않는 미리보기 동작 등의 수행 시에는 상기 일반 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고화소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선형 방정식에 적용하여 획득된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에 따라 입력 영상을 처리한 후, 상기 모드선택단계(S302)로 진행한다(S304). 즉, 고화소 모드 시 기준값을 디스에이블시키지 않고 선형 방정식에 대입하여 바로 고화소 모드용 조정 기준값을 산출하므로 카메라 모듈 동작을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수학식 1]
여기서, 는 상기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이며, a는 노출 제어 기울기값이고, b는 노출 제어 오프셋값이다. 또한, 상기 a 및 상기 b는 상기 카메라 센서에 입력되는 빛의 양을 변화시켜 복수개의 상기 노출 제어용 기준값 및 상기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 쌍을 구하여 획득한 그래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수학식 2]
여기서, 는 상기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조정 기준값이며, c는 증폭 이득 기울기값이다. 또한, 상기 c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획득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대한 상기 고화소 모드에서 획득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의 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화이트 밸런스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 밸런스용 선형 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수학식 3]
여기서, 는 상기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조정 기준값이다. 즉, 상기 조정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조정 기준값은, 상기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기준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보기용 해상도를 촬상용 해상도와는 달리 낮게 설정하고, 촬상 시에만 고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저 해상도 모드에서 고 해상도 모드로 전환 시 카메라 센서 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선형 방정식을 통하여 변환함으로써, 미리보기 기능 수행 중 촬영 동작 으로 전환할 시에 지연이 없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카메라 센서 220 : 영상 처리부
230 : 표시부 240 : 저장부

Claims (13)

  1. 모드별로 서로 다른 해상도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며, 기준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기준값을 설정하며, 모드 전환 시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에 각각 적용하여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획득하는 복수개의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 또는 상기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센서의 증폭 이득, 화이트밸런스 및 노출을 제어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일반 모드 및 고화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센서는, 상기 일반 모드 시 기준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고화소 모드 시 상기 기준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촬영 동작 수행 중에 한하여 상기 고화소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은,
    [수학식 1]
    - 는 상기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이며, a는 노출 제어 기울기값이고, b는 노출 제어 오프셋값임 -
    이고, 상기 a 및 상기 b는 상기 카메라 센서에 입력되는 빛의 양을 변화시켜 복수개의 상기 노출 제어용 기준값 및 상기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 쌍을 구하여 획득한 그래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은,
    [수학식 2]
    - 는 상기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조정 기준값이며, c는 증폭 이득 기울기값임 -
    이고, 상기 c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획득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대한 상기 고화소 모드에서 획득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의 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조정 기준값은, 상기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기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해상도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창에 적용되는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8. 일반 모드 및 고화소 모드로 구동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은,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되고, 상기 일반 모드용 해상도를 갖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기준값이 설정되는 활성화단계;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고화소 모드 중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는 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일반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에 따라 입력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고화소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기준값을 선형 방정식에 적용하여 획득된 복수개의 조정 기준값에 따라 입력 영상을 처리한 후, 상기 모드선택단계로 진행하는 영상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소 모드 시의 입력 영상은, 상기 일반 모드용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단계는, 촬영 동작 수행 중에 한하여 상기 고화소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제어용 선형 방정식은,
    [수학식 1]
    - 는 상기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이며, a는 노출 제어 기울기값이고, b는 노출 제어 오프셋값임 -
    이고, 상기 a 및 상기 b는 상기 카메라 센서에 입력되는 빛의 양을 변화시켜 복수개의 상기 노출 제어용 기준값 및 상기 노출 제어용 조정 기준값 쌍을 구하여 획득한 그래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형 방정식은,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 이득용 선형 방정식은,
    [수학식 2]
    - 는 상기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기준값이고, 는 상기 조정 기준값 중 증폭 이득용 조정 기준값이며, c는 증폭 이득 기울기값임 -
    이고, 상기 c는 상기 일반 모드의 입력 영상의 해상도에 대한 상기 고화소 모드의 입력 영상의 해상도의 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조정 기준값은, 상기 기준값 중 화이트밸런스용 기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방법.
KR1020040026909A 2004-04-20 2004-04-20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KR100602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09A KR100602705B1 (ko) 2004-04-20 2004-04-20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09A KR100602705B1 (ko) 2004-04-20 2004-04-20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734A true KR20050101734A (ko) 2005-10-25
KR100602705B1 KR100602705B1 (ko) 2006-07-20

Family

ID=3728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909A KR100602705B1 (ko) 2004-04-20 2004-04-20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7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404B1 (ko) * 2007-10-01 2008-05-22 시마건설 주식회사 소구경 관로 굴착용 굴진장치
CN112188106A (zh) * 2014-05-08 2021-01-05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481B1 (ko) 2011-11-28 201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404B1 (ko) * 2007-10-01 2008-05-22 시마건설 주식회사 소구경 관로 굴착용 굴진장치
CN112188106A (zh) * 2014-05-08 2021-01-05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11405565B2 (en) 2014-05-08 2022-08-02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188106B (zh) * 2014-05-08 2022-12-27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705B1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0118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7852401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exposure control during continuous photographing mode
JP491916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1442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simulated based on different shooting conditions
US20150036001A1 (en) Imaging apparatus
US20030210338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2009016792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JP611811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602705B1 (ko) 카메라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처리 장치 및방법
US200801173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in a mobil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JP201018346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72801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0250760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EP3544292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7502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0459422B1 (ko) 카메라 결합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질 보정 방법
JP6941744B2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014116B1 (ko) 카메라폰에서의 프리뷰 화면 조정 방법
JP202400775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359773A (ja) 画像入出力装置、画像変換方法および画像変換プログラム
KR100282303B1 (ko) 화상의 전송속도 제어방법
KR20050013767A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화면의 밝기 조절 방법
JP2005079743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07188396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