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292A - 괄약근 단련용 방석 - Google Patents

괄약근 단련용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292A
KR20050101292A KR1020040026449A KR20040026449A KR20050101292A KR 20050101292 A KR20050101292 A KR 20050101292A KR 1020040026449 A KR1020040026449 A KR 1020040026449A KR 20040026449 A KR20040026449 A KR 20040026449A KR 20050101292 A KR20050101292 A KR 2005010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phincter
protrusion
cas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201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4002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20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괄약근 단련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석의 중심에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손쉽게 상하로 진동되는 요동수단을 설치하여 착석시 괄약근 부위를 반복적으로 자극하여 괄약근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석(10)과, 상부면에 돌출된 돌기(23)를 구비하고, 상기 방석(10)의 외부로 상기 돌기(23)가 노출되도록 상기 방석(10)의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23)를 상하로 동작시키기 위한 요동수단(50)과, 상기 요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23)는 상기 케이스(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요동수단(50)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고정된 모터(51)와, 상기 모터(51)의 축(52)에 편심되도록 고정된 진동디스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모터(51)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연속작동버튼(31)과, 상기 모터(51)를 일정시간동안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간헐작동버튼(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괄약근 단련용 방석{cushion for sphincter traning}
본 발명은 괄약근 단련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석의 중심에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손쉽게 상하로 진동되는 요동수단을 설치하여 착석시 괄약근 부위를 반복적으로 자극하여 괄약근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명칭이 '회전지압볼방석'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28940호에는 방석의 중앙부에 일정한 크기로 다수의 회전지압볼을 배열하여 괄약근에 압력을 가하고 사용자의 착석상태로 둔부 전, 후방 유동시 슬라이딩현상을 통해 회전지압볼의 돌출부가 전, 후방으로 동일하게 회전하여 줌으로서 혈관을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공개된 회전지압볼방석은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매트형 중앙복판에 회전지압볼(300) 3개의 구면이 일렬로 돌출장착된 상부면에는 수개의 통풍구(101)가 형성된 통풍커버(100)와 상기 회전지압볼(300)을 지탱하는 지지부가 일체로 설치된체 통풍커버(100)의 밑판의 하부베이스(200)로 결합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전지압볼방석은 사용자가 착석하여 전, 후방으로 둔부를 움직이는 것에 집중해야 하므로 다른 일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무실, 학교, 도서관 등의 장시간 착석하여 일을 하는 곳에서 사용할 때 둔부를 전, 후방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해야하므로 주위의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없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으며 둔부의 움직이없이 착석한 상태에서 스위치를 작동시켜 괄약근을 반복적으로 작극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한 괄약근 단련용 방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무실, 학교, 도서관 등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방석에 착석하여 스위치만을 작동시키면 되므로 주위에 혐오감을 주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괄약근 단련용 방석은, 방석과, 상부면에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방석의 외부로 상기 돌기가 노출되도록 상기 방석의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상하로 동작시키기 위한 요동수단과, 상기 요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편심되도록 고정된 진동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연속작동버튼과, 상기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간헐작동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돌기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를 작동시켜주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괄약근 단련용 방석은, 푹신푹신한 쿠션으로 형성된 사각형태 또는 원형형태 등의 다각형상을 갖는 방석(10)과, 상기 방석(10)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방석(10)의 외부로 돌출된 돌기(23)가 형성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요동수단(50)과, 상기 요동수단(50)을 작동시키는 제어부(30)와 상기 요동수단(50)과 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가잭(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방석(10)의 상부외피(11)와 하부외피(13) 사이의 쿠션부재(12)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외피(11)로 일부 돌출된 돌기(23)가 상부케이스(21)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내측면에 복수의 지지부재(21c,21d)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1)와, 상기 상부케이스(21)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1)의 복수의 지지부재(21c,21d)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지지부재(22c,22d)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가 고정되기 위해 고리형상을 갖는 탄성부재인 상부케이스(21)의 체결부재(21a)와 이에 대응되는 하부케이스(22)의 체결부재(22b)가 결합되고, 또한 상부케이스(21)의 체결부재(21b)와 이에 대응되는 하부케이스(22)의 체결부재(22a)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의 결합은 탄성체의 고리형상을 하고 있으나 볼트 및 핀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요동수단(50)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고정되는 모터(51)와, 상기 모터(51)의 축(52)에 편심되도록 고정된 진동디스크(53)로 구성된다.
상기 요동수단(50)의 모터(51)는 상부케이스(21)의 복수의 지지부재(21c)와 하부케이스(22)의 복수의 지지부재(22c) 사이에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모터(5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21)의 복수의 지지부재(21d)와 하부케이스(22)의 복수의 지지부재(22d)가 상기 모터(51)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51)의 일단에는 축(52)이 설치되고 원판형상을 갖고 중심과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축(52)의 일단이 편심되도록 고정된 진동디스크(53)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디스크(53)는 모터(51)의 작동에 의해 축(52)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진동디시크(53)가 회전시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을 흔들게 되며, 상기 방석(10)의 상부외피(11)로 돌출되고 상부케이스(21)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23)가 상기 진동디스크(53)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진동된다.
상기 요동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가 방석(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33)와, 상기 요동수단(50)의 모터(51)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괄약근을 자극시키는 연속작동버튼(31)과, 상기 모터(51)를 일정시간동안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괄약근을 자극시키는 간헐작동버튼(32)이 구성된다.
상기 간헐작동버튼(32)은 2초작동 후 5초휴식, 5초작동 후 10초휴식, 10초작동 후 20초휴식 등의 조합이 가능한 동작모드를 세팅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어부(30)와 모터(51)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용 시가잭(40)이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시가잭(40)을 연결한 방석(10)을 구비하고 있으나, 기타의 전원공급장치인 어댑터, 전원플러그 등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돌기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의 돌기(23)는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중심이 낮고 일측면이 높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5(b)의 돌기(23)는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도 5(c)의 돌기(23)는 경사면을 갖도록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기(23)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항문과 요도부위의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변비해소, 치질예방, 요실금 치료 및 정력증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요동수단(50)과 구성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요동수단(60)은 방석(10)의 쿠션부재(12)에 설치되는 케이스(61)와 상기 케이스(61)의 내측면에 솔레노이드(62)를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62)의 일단에 슬라이딩바(63)를 장착한다.
상기 슬라이딩바(63)는 상기 솔레노이드(62)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딩바(63)의 상단에 상기 방석(10)으로 돌출되도록 돌기(23)가 배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62)의 일단에는 제어부(3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33)와, 상기 요동수단(60)의 솔레노이드(62)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괄약근을 자극시키는 연속작동버튼(31)과, 상기 솔레노이드(62)를 일정시간동안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괄약근을 자극시키는 간헐작동버튼(32)이 구성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62)가 작동되면 일측에 장착된 슬라이딩바(63)가 상기 돌기(23)의 하부면을 밀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바(63)의 경사진 곡면을 따라서 상기 돌기(23)의 하부면이 따라 움직여 방석(10)의 홈(H)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반복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6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돌기(23)는 작동시에만 방석(10)의 홈(H)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미사용시에는 상기 돌기(23)가 방석(10)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착석시 거슬림없이 편안히 앉을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요동수단(60)의 구성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요동수단(70)은 방석(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71)과 상기 에어백(71)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기(23)와, 상기 에어백(71)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방석(10) 외부의 에어펌프(72)와 연결된다.
상기 돌기(23)는 상기 에어백(71)의 상부에 형성되며 에어백(71)에 공기를 주입하면 방석(10)의 홈(H)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도록 반복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또한 미사용시에는 에어백(71)의 공기를 빼고 상기 에어백(71)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23)를 방석(10)의 내부에 삽입시켜 착석시 편안히 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석의 중심에 상하로 진동되는 돌기를 설치하여 괄약근부위를 집중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만 사용하여도 효과가 좋으며, 작동이 손쉽고 사용이 편리한 괄약근 단련용 방석을 제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돌기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괄약근 단련용 방석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회전지압볼방석의 사시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방석 20 케이스
21 상부케이스 22 하부케이스
23 돌기 30 제어부
40 시가잭 50 요동수단
51 모터 52 축
53 진동디스크 60 요동수단
62 솔레노이드 70 요동수단
71 에어백 72 에어펌프

Claims (10)

  1. 방석과,
    상부면에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방석의 외부로 상기 돌기가 노출되도록 상기 방석의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상하로 동작시키기 위한 요동수단과,
    상기 요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편심되도록 고정된 진동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돌기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를 작동시켜주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케이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돌기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방석 외부에서 에어펌프로 공기를 공급하여 작동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연속작동버튼과,
    상기 모터를 일정시간동안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간헐작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어부와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용 시가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방석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중심이 낮고 양측면이 높은 완만한 곡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중심이 높고 양측면이 낮은 완만한 곡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연속작동버튼과,
    상기 솔레노이드를 일정시간동안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간헐작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단련용 방석.
KR1020040026449A 2004-04-17 2004-04-17 괄약근 단련용 방석 KR10061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49A KR100610201B1 (ko) 2004-04-17 2004-04-17 괄약근 단련용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49A KR100610201B1 (ko) 2004-04-17 2004-04-17 괄약근 단련용 방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687U Division KR200356701Y1 (ko) 2004-04-19 2004-04-19 괄약근 단련용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292A true KR20050101292A (ko) 2005-10-21
KR100610201B1 KR100610201B1 (ko) 2006-08-10

Family

ID=3727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449A KR100610201B1 (ko) 2004-04-17 2004-04-17 괄약근 단련용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50A1 (ko) * 2012-11-29 2014-06-05 Chun Sung-Hoon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50A1 (ko) * 2012-11-29 2014-06-05 Chun Sung-Hoon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201B1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32967A1 (en) Vibratory Stimulation Apparatus
US5904660A (en) Physiotherapy and health improvement instrument
AU7238300A (en) Massager
KR101922650B1 (ko) 괄약근 및 전립선 마사지 장치
KR200356701Y1 (ko) 괄약근 단련용 방석
JP2005137532A (ja) 腰掛け式便器
KR100610201B1 (ko) 괄약근 단련용 방석
KR100352631B1 (ko) 의자에 구비된 완충식 진동 안마기
JP7025754B2 (ja) マッサージ機
JPH11104202A (ja) マッサージ具
KR200329961Y1 (ko) 전립선 자극용 보조방석
KR200261236Y1 (ko) 저주파 치료기능을 갖는 혈액순환안마기
KR100408628B1 (ko) 진동 안마장치
CN219290106U (zh) 一种抖动筋膜按摩手
KR101376114B1 (ko) 진동하는 다리 안착부가 설치된 안마의자
KR100456979B1 (ko) 운동기구를 구비한 침상용 매트리스
JP3040611U (ja) 指圧器具および指圧器具付き椅子
CN218419568U (zh) 一种分段式按摩浴缸
KR200234890Y1 (ko) 안마기기의 진동발생장치
KR200360472Y1 (ko) 안마기 겸용 운동기구
KR100529861B1 (ko) 진동형 운동기구
KR101100739B1 (ko)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안마기
KR200276404Y1 (ko) 벨트 마사지 기구
KR100469227B1 (ko) 다리베개 기능을 갖는 의자
KR20040050211A (ko) 헬스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