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138A -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138A
KR20050101138A KR1020050089907A KR20050089907A KR20050101138A KR 20050101138 A KR20050101138 A KR 20050101138A KR 1020050089907 A KR1020050089907 A KR 1020050089907A KR 20050089907 A KR20050089907 A KR 20050089907A KR 20050101138 A KR20050101138 A KR 20050101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upper half
half body
lower half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령
Original Assignee
박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령 filed Critical 박하령
Priority to KR102005008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138A/ko
Publication of KR2005010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로용 통발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측유인구와 상측배수구와 회전돌기와 상측걸고리지지구와 상측걸고리부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와, 하측유인구와 하측배수구와 회전돌기지지구와 하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걸고리부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추고정구돌출부와 추고정구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 가 일체로 연설된 추 걸고리를 형성하고, 연결줄에 연설된 연결고리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측반체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를 하측반체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측반체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회전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에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의 연결고리로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를 일체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상측유인구와 하측유인구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추고정구에 추 걸고리를 착설하므로서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고,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형성한다.
또한, 해제 할 때에는 상측반체의 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를 일체적으로 통과시킨 연결줄의 연결고리를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의 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의 상부면이 하측반체의 내주연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접시 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어로용 통발과 비교하면 동일한 보관 장소의 면적에 대하여 보다 많은 수량을 보관 할 수 있으며, 동일한 선박에 보다 많은 수량을 탑재할 수 있으며, 상측반체와 하측반체에 상측유인구와 하측유인구가 각각 형성됨으로서 문어나 낙지의 접근성을 극대화하여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omitted}
본 발명은 어로용 통발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측유인구와 상측배수구와 회전돌기와 상측걸고리지지구와 상측걸고리부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와, 하측유인구와 하측배수구와 회전돌기지지구와 하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걸고리부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추고정구돌출부와 추고정구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 가 일체로 형성된 추 걸고리를 형성하고, 연결줄에 연설된 연결고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측반체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를 하측반체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측반체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회전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에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의 연결고리로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를 일체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상측유인구와 하측유인구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추고정구에 추 걸고리를 착설하므로서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고,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해제 할 때에는 상측반체의 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를 일체적으로 통과시킨 연결줄의 연결고리를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의 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의 상부면이 하측반체의 내주연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접시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어로용 통발은 질그릇 단지 대신에 플라스틱로 만든 포획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형태의 구조가 질그릇 단지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모하고 단지 성형에 의한 제조방법만이 진보되는 것에 불과하며, 근래에는 플라스틱로 만든 포획구를 한쌍으로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접합 고정하는 구조의 문어잡이 통발이 공개된바 있으나, 이것 또한, 단지의 본체를 이등분 성형하여 다시 고정 접합하여 본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제조과정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효과에 불과하고 기능이나 어획량 증대효과의 진보는 미흡하다.
즉, 종래의 어로용 통발은 유인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단지에 불과하여 보관 장소의 면적에 대하여 보다 많은 수량을 보관 할 수 없으며, 선박에 보다 많은 수량을 탑재할 수 없으며, 유인구가 하나에 불과하여 포획대상 어류의 접근성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미흡함으로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어로용 통발과 비교하여 동일한 보관 장소의 면적에 대하여 보다 많은 수량을 보관 할 수 있으며, 동일한 선박에 보다 많은 수량을 탑재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인구가 형성됨으로서 문어나 낙지의 접근성을 극대화하여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이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유인구와 상측배수구와 회전돌기와 상측걸고리지지구와 상측걸고리부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와, 하측유인구와 하측배수구와 회전돌기지지구와 하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걸고리부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추고정구돌출부와 추고정구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 가 일체로 형성된 추 걸고리를 추고정구돌출부의 추 고정구에 연설하고, 상기 상측반체의 회전돌기를 하측반체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하여, 상측반체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회전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에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고 연결줄의 연결고리로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를 일체적으로 통과시켜 제어함으로 상측유인구와 하측유인구를 통한 내주연에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과, 또한, 상측유인구와 하측유인구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해제할 때에는 즉, 어로 작업이 끝나고 보관하거나 선적할 때에는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에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하측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고 연결줄과 연설된 연결고리로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하측걸고리지지구를 통과시켜 제어시킨 연결줄의 연결고리를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하측걸고리지지구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상부면이 하측반체내주연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접시 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되는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을 보급하여 종래의 어로용 통발과 비교하여 동일한 보관 장소의 면적에 대하여 보다 많은 수량을 보관 할 수 있으며, 동일한 선박에 보다 많은 수량을 탑재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인구가 형성됨으로서 문어나 낙지의 접근성을 극대화하여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유인구와 상측 배수구와 회전돌기와 상측걸고리지지구와 상측걸고리부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와, 하측유인구와 하측배수구와 회전돌기지지구와 하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걸고리부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과 추고정구돌출부와 추고정구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 가 일체로 형성된 추 걸고리를 추고정구에 연설하고, 연결줄의 연결고리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측반체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를 하측반체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삽설하여, 상측반체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회전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에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고 연결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고리로 상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걸고리지지구를 일체적으로 통과시켜 제어함으로 상측유인구와 하측유인구를 통한 내주연에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추고정구에 추 걸고리를 연설하므로서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고,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형성하고, 또한, 상측유인구와 하측유인구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해제할 때에는 즉, 어로 작업이 끝나고 보관하거나 선적할 때에는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에 접촉하여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부와 하측반체의 하측걸고리부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고 연결줄과 연설된 연결고리로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하측걸고리지지구를 통과시켜 제어시킨 연결줄의 연결고리를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지지구와 하측반체의 하측걸고리지지구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의 상측걸고리부를 하측반체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상부면이 하측반체내주연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접시 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상측반체와 하측반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Z-Z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가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의 (가)는 연결줄과 연설된 연결고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의 (나)는 추에 연설된 추걸고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의 (다)는 소정의 무게로 형성된 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사시도이며,
도 9의 (나)는 도 9의 (가)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9의 (다)는 도 9의 (나)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나)는 도 10의 (가)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의 (다)는 도 10의 (나)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유인구(30)와 상측배수구(70)와 회전돌기(10, 10-1)와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상측걸고리부(40)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A)와, 하측유인구(30-1)와 하측배수구(70-1)와 회전돌기지지구(20, 20-1)와 하측걸고리지지구(50-1)와 하측걸고리부(40-1)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과 추고정구돌출부(60)와 추고정구(60-1)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B)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90) 가 일체로 연설된 추 걸고리(90-1)를 추고정구(60-1)에 연설하고,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상측반체(A)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10, 10-1)를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하여, 상측반체(A)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B)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고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하므로 상측유인구(30)와 하측유인구(30-1)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반체(A)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10, 10-1)는 상측반체의개방된면가장자리(A-1)와 동일선상의 수평선에 돌출되게 형성하되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에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게 할 수단으로 회전돌기(10, 10-1)의 직경이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각각 형성된 회전돌기 지지구(20, 20-1)의 내주연 직경보다 소정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의 직경은 상측반체(A)의 회전돌기(10, 10-1)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게 할 수단으로 회전돌기(10, 10-1)의 외주연 직경보다 소정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는 하측반체의개방된면가장자리(B-1)보다 하측반체내주연(200) 방향의 소정 길이 안쪽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상측반체(A)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B)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 하였을 때 상측반체의개방된면가장자리(A-1)와 하측반체의개방된면가장자리(B-1)의 이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는 상측반체(A)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B)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였을 때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걸고리부(40-1)에 형성된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걸고리지지구(50-1)가 일직선상에 포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은 상측걸고리부(40)가 회동하여 하측반체의개방된면가장자리(B-1)에 이르렀을 때 맞닿아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하되, 하측반체의개방된면가장자리(B-1)의 다른 부분보다 하측반체내주연(200)의 방향으로 소정의 오목 요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유인구(30)와 하측유인구(30-1)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해제할 때에는 즉, 어로 작업이 끝나고 보관하거나 선적할 때에는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고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시킨 연결줄(300)의 연결고리(400)를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상부면(100)이 하측반체내주연(200)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A)와 하측반체(B)가 접시 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되는 것이다.
이때, 상측반체(A)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10, 10-1)와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에 의하여 하측반체내주연(200)에서 상측반체(A)가 충분히 회동할 수 있게 할 수단으로 하측반체내주연(200)의 직경과 크기, 회전반경을 상측반체(A)의 회전반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8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300)은 연결줄을 나타낸 것이고, (400)은 걸고리를 나타낸 것으로 (402)는 고리제어부이며,
도 8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반체(A)와 하측반체(B)의 결합체가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고,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의 추에 연설된 추걸고리(9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90-1)은 추걸고리를 나타낸 것으로 (90-3)는 추걸고리고리제어부이다.
도 8의 (다)는 소정의 무게로 형성된 추(9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가), (나),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된 일 실시예로 상측반체(A) 일측부에 상측유인구(30)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도 10의 (가), (나),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하측유인구(30-1)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어로용 통발과 비교하여 동일한 보관 장소의 면적에 대하여 보다 많은 수량을 보관 할 수 있으며, 동일한 선박에 보다 많은 수량을 탑재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인구가 형성됨으로서 문어나 낙지의 접근성을 극대화하여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상측반체와 하측반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X-X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Y-Y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Z-Z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가변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의 (가)는 연결줄과 연설된 연결고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의 (나)는 추에 연설된 추걸고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의 (다)는 소정의 무게로 형성된 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사시도.
도 9의 (나)는 도 9의 (가) 요부 분리 사시도.
도 9의 (다)는 도 9의 (나)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의 사시도.
도 10의 (나)는 도 10의 (가)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0의 (다)는 도 10의 (나) 상측반체와 하측반체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상측반체.
A-1 : 상측반체의 개방된 면 가장자리.
B : 하측반체.
B-1 : 하측반체의 개방된 면 가장자리.
10 : 회전돌기.
10-1 : 회전돌기.
20 : 회전돌기지지구
20-1 회전돌기지지구.
30 : 상측유인구.
30-1 : 하측유인구.
40 : 상측걸고리부.
40-1 : 하측걸고리부.
50 : 상측걸고리지지구.
50-1 : 하측걸고리지지구.
60 : 추고정구돌출부.
60-1 : 추고정구.
70 : 상측배수구.
70-1 : 하측배수구.
80 : 제 1 걸고리부안착요홈.
80-1 : 제 2 걸고리부안착요홈.
90 : 추.
90-1 : 추걸고리.
90-2 : 추걸고리고리부
90-3 : 추걸고리고리제어부
100 : 상측반체상단면.
200 : 하측반체내주연.
300 : 연결줄.
400 : 연결고리.
401 : 고리부
402: 고리제어부.

Claims (3)

  1.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측유인구(30)와 상측배수구(70)와 회전돌기(10, 10-1)와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상측걸고리부(40)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A)와, 하측유인구(30-1)와 하측배수구(70-1)와 회전돌기지지구(20, 20-1)와 하측걸고리지지구(50-1)와 하측걸고리부(40-1)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과 추고정구돌출부(60)와 추고정구(60-1)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B)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90) 가 일체로 연설된 추 걸고리(90-1)를 추고정구(60-1)에 연설하고, 상측반체(A)의 회전돌기(10, 10-1)를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하여, 상측반체(A)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B)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하므로 상측유인구(30)와 하측유인구(30-1)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유인구(30)와 하측유인구(30-1)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해제할 때에는 즉, 어로 작업이 끝나고 보관하거나 선적할 때에는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시킨 연결줄(300)의 연결고리(400)를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상부면(100)이 하측반체내주연(200)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A)와 하측반체(B)가 접시 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2.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측유인구(30)와 상측배수구(70)와 회전돌기(10, 10-1)와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상측걸고리부(40)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A)와, 하측배수구(70-1)와 회전돌기지지구(20, 20-1)와 하측걸고리지지구(50-1)와 하측걸고리부(40-1)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과 추고정구돌출부(60)와 추고정구(60-1)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B)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90) 가 일체로 연설된 추 걸고리(90-1)를 추고정구(60-1)에 연설하고, 상측반체(A)의 회전돌기(10, 10-1)를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하여, 상측반체(A)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B)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하므로 상측유인구(30)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유인구(30)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해제할 때에는 즉, 어로 작업이 끝나고 보관하거나 선적할 때에는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시킨 연결줄(300)의 연결고리(400)를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상부면(100)이 하측반체내주연(200)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A)와 하측반체(B)가 접시 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3.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측배수구(70)와 회전돌기(10, 10-1)와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상측걸고리부(40)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상측반체(A)와, 하측유인구(30-1)와 하측배수구(70-1)와 회전돌기지지구(20, 20-1)와 하측걸고리지지구(50-1)와 하측걸고리부(40-1)와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과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과 추고정구돌출부(60)와 추고정구(60-1)가 형성되고 또한, 일측부에 한 면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하측반체(B)를 형성하고, 바다 밑에 빨리 도착하기 위해, 또한 도착한 후에 해류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추(90) 가 일체로 연설된 추 걸고리(90-1)를 추고정구(60-1)에 연설하고, 상측반체(A)의 회전돌기(10, 10-1)를 하측반체(B)의 일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회전돌기지지구(20, 20-1)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하여, 상측반체(A)의 개방된 면과 하측반체(B)의 개방된 면을 상호 마주보게 형성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하므로 하측유인구(30-1)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측유인구(30-1)를 통하여 문어나 낙지가 잠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해제할 때에는 즉, 어로 작업이 끝나고 보관하거나 선적할 때에는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1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에 접촉하여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부(40-1)를 상호 맞닿게 접촉하여 연결줄(300)과 연설된 연결고리(400)로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를 통과시켜 제어시킨 연결줄(300)의 연결고리(400)를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지지구(50)와 하측반체(B)의 하측걸고리지지구(50-1)에서 이탈시키고 상측반체(A)의 상측걸고리부(40)를 하측반체(B)에 형성된 제 2 상측반체걸고리부안착요홈(80-1)으로 회동시키면 상측반체상부면(100)이 하측반체내주연(200)으로 이동하여 상측반체(A)와 하측반체(B)가 접시 쌓기 형태와 같이 가변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KR1020050089907A 2005-09-23 2005-09-23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KR20050101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07A KR20050101138A (ko) 2005-09-23 2005-09-23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07A KR20050101138A (ko) 2005-09-23 2005-09-23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138A true KR20050101138A (ko) 2005-10-20

Family

ID=3727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907A KR20050101138A (ko) 2005-09-23 2005-09-23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1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24B1 (ko) * 2005-12-23 2007-05-28 조규오 주꾸미 포획용 통발 구조
KR101146479B1 (ko) * 2010-06-21 2012-05-21 고영로 미끼 부착면과 돌출형 무게추 돌기가 형성된 두족류 포획구 및 상기 포획구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24B1 (ko) * 2005-12-23 2007-05-28 조규오 주꾸미 포획용 통발 구조
KR101146479B1 (ko) * 2010-06-21 2012-05-21 고영로 미끼 부착면과 돌출형 무게추 돌기가 형성된 두족류 포획구 및 상기 포획구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31206A1 (en) Fish trap
US5074071A (en) Decoy holder assembly
US20060112610A1 (en) Collapsible crustacean trap
KR20050101138A (ko) 어로용 통발 및 그 사용방법
US6915808B2 (en) Valve dishwasher basket
US3497989A (en) Shellfish trap
US10548303B2 (en) Crab trap
US10336407B2 (en) Pool flotation tether assembly
US3158127A (en) Boat anchor
US5357708A (en) Aquatic trap
US6493985B2 (en) Collapsible bait trap
US9512558B1 (en) Animated clothes container
CA3110156A1 (en) Crustacean trap
US6195931B1 (en) Convertible crab trap with quick release hinges
WO2010009501A1 (en) Marine harvest system
KR102239363B1 (ko) 야채 세정용 바구니
WO2006064293A1 (en) Collapsible fishing trap
KR102099810B1 (ko) 어류 포획용 어항
US5157864A (en) Crab trap apparatus
WO2015162571A1 (en) Carrier for pets
KR20090011703U (ko) 낙지잡이용 통발
US20220265031A1 (en) Hammock Accessory For Diverting Rain Flow
JPH05211830A (ja) 貝などの捕獲かご
AU2015101140B4 (en) Collapsible craypot
US6425201B1 (en) Collapsible bait fish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