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535A - 다기능 자전거 - Google Patents

다기능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535A
KR20050100535A KR1020040025929A KR20040025929A KR20050100535A KR 20050100535 A KR20050100535 A KR 20050100535A KR 1020040025929 A KR1020040025929 A KR 1020040025929A KR 20040025929 A KR20040025929 A KR 20040025929A KR 20050100535 A KR20050100535 A KR 20050100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d
fork
bicycl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947B1 (ko
Inventor
박종관
장로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업
상해 영홍 기차 영부건 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업, 상해 영홍 기차 영부건 유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업
Priority to KR102004002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94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5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having additional wheels for use when folded or collap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카트로 활용되도록 접이되어 편리하게 운반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자전거를 탄 후 용이하게 접이하여 편리하게 취급 및 운반할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 방식을 3개의 축으로 구비하여 작은 가압으로도 가속할 수 있는 다기능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앞바퀴가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앞포크와, 상기 앞포크와 연결되어 강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핸틀튜브와, 상기 핸들튜브와 연결되어 접이되는 핸들로 이루어진 앞바퀴지지부와; 일측에 뒷바퀴가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된 뒷포크와, 상기 뒷포크과 연결되어 짐이 안치되는 짐받이와, 시트를 고정시키며 상기 시트가 상하 조정되는 시트포스트와, 일측이 상기 시트포스트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뒷포크와 연결되는 리어쇽업소바로 이루어진 뒷바퀴지지부와; 상기 앞바퀴지지부와 뒷바퀴지지부를 연결시키며 내측에 2단으로 접이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가속되도록 2개의 동력축이 형성된 가속전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자전거 {A MULTI-FUNCTION BICYCLE}
본 발명은 다기능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카트로 활용되도록 접이되어 편리하게 운반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자전거를 탄 후 용이하게 접이하여 편리하게 취급 및 운반할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 방식을 3개의 축으로 구성하여 작은 가압으로도 가속할 수 있는 다기능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근거리 이동수단이나 레저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자전거가 개발되어 여가를 즐기며 신체단련을 겸할 수 있는 스포츠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앞바퀴(111)를 지지하는 앞바퀴지지부(110)와, 뒷바퀴(121)를 지지하는 뒷바퀴지지부(120)와, 상기 앞바퀴지지부(110)와 뒷바퀴지지부(120)를 연결하며 자전거의 골격을 유지시키는 프레임(130)과,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앞바퀴지지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핸들(112)과, 상기 앞바퀴(111)와 힌지 결합되는 앞포크(113)와, 일측은 상기 핸들(112)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앞포크(113)와 삽입 및 분리되도록 잠금레버가 포함된 핸들스냅(1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30)은 내측에 1개의 절곡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31)는 잠금레버가 구비되어 잠금과 풀림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30)을 접고 펼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40)는 상기 프레임(130)과 결합되며 사용자가 앉는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튜브(141)와, 상기 안장튜브(141)의 일단과 결합되며 패달(142)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스프라켓(143)과, 상기 구동스프라켓(143)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뒷바퀴(121)를 구동시키는 다단의 종동스프라켓(14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상기 프레임(130)의 절곡부(131)를 중심으로 상기 앞바퀴(111)와 뒷바퀴(121)가 접이되어 접철된 부분이 벌어지게 되므로 취급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접이된 자전거를 운반할 경우 자전거의 자체 중량물로 인하여 이동 및 운반하기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접이식 특성상 부피를 작게하여야 되므로 바퀴가 적어 가속할 경우 체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카트로 접이되어 편리하게 운반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자전거를 탄 후 용이하게 접이하여 편리하게 취급 및 운발할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 방식을 3단으로 구성하여 작은 가압으로도 가속할 수 있는 다기능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자전거는 앞바퀴와 뒷바퀴가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체인에 의하여 구동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일측에 앞바퀴가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앞포크와, 상기 앞포크와 연결되어 강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핸틀튜브와, 상기 핸들튜브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접이되는 핸들로 이루어진 앞바퀴지지부와; 일측에 뒷바퀴가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된 뒷포크와, 상기 뒷포크과 연결되어 짐이 안치되는 짐받이와, 시트를 고정시키며 상기 시트가 상하 조정되는 시트포스트와, 일측이 상기 시트포스트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뒷포크와 연결되는 리어쇽업소바로 이루어진 뒷바퀴지지부와; 상기 앞바퀴지지부와 뒷바퀴지지부를 연결시키며 내측에 2단으로 접이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가속되도록 2개의 동력축이 형성된 가속전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일측이 상기 앞포크와 연결되는 제1프레임과, 타측이 상기 제1프레임과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1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가 회전 및 고정되도록 캠과 결합되는 제2잠금레버와,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포스트와 결합되는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과 결합되어 양측에 동력전달부와 힌지 결합되는 중심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프레임와 결합되어 패달로부터 동력이 발생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뒷바퀴를 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속스프라켓과, 상기 가속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열결되어 뒷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단의 종동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뒷바퀴지지부의 리어쇽업소바는 일측이 상기 시트포스트와 힌지결합되는 포스트결합부와, 상기 포스트결합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쿠션스프링과, 일측이 상기 쿠션스프링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짐받이와 탈착되는 짐받이탈착부와, 상기 짐받이탈착부가 짐받이에서 파지하여 탈착되도록 형성된 탈착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앞포크는 앞바퀴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뒷포크는 뒷바퀴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접이될 경우에 상기 앞바퀴와 뒷바퀴가 대향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짐받이는 외측 하단에 보조바퀴가 구비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기능 자전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개요도이고, 도 3은 자전거가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4는 프레임부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는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6은 뒷바퀴의 리어쇽업소바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전거는 앞바퀴(11)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앞바퀴지지부(10)와, 뒷바퀴(21)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뒷바퀴지지부(20)와, 상기 앞바퀴지지부(10)와 뒷바퀴지지부(20)를 연결시키며 내측에 2단으로 접이되는 프레임부(30)와, 상기 프레임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가속되도록 3개의 동력축이 형성된 가속전달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앞바퀴지지부(10)는 일측에 앞바퀴(11)가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앞포크(12)와, 상기 앞포크(12)와 연결되어 강도가 유지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핸틀튜브(13)와, 상기 핸들튜브(13)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2단 접이되는 핸들(14)로 형성된다.
상기 뒷바퀴지지부(20)는 일측에 뒷바퀴(21)가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된 뒷포크(22)와, 상기 뒷포크(22)과 연결되어 짐이 안치되는 짐받이(23)와, 사람이 앉는 시트(24)를 고정시키며 상기 시트(24)가 상하로 조정되는 시트포스트(25)와, 일측이 상기 시트포스트(25)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뒷포크(22)와 연결되는 리어쇽업소바(26)로 형성된다.
도 4에서, 상기 프레임부(30)는 상기 앞바퀴지지부(10)와 뒷바퀴지지부(20)를 연결시키며 내측에 2단으로 접이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앞포크(12)와 연결되는 제1프레임(31)과, 타측이 상기 제1프레임(31)과 절곡되는 제1절곡부(32)와, 상기 제1절곡부(32)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제1잠금레버(33)와, 상기 제1잠금레버(33)에 의하여 제1프레임(31)과 힌지 연결되어 접이되는 제2프레임(34)과, 상기 제2프레임(34)의 일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2절곡부(35)와, 상기 제2절곡부(35)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제2잠금레버(36)와,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34)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포스트(24)와 결합되는 제3프레임(37)과, 상기 제3프레임(37)과 결합되어 양측에 동력전달부(40)와 힌지 결합되는 중심프레임(38)으로 구성된다.
도 5에서, 상기 동력전달부(40)는 상기 프레임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가속되도록 2개의 동력축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30)의 중심프레임(38) 일측과 결합되어 패달(44)로부터 동력이 발생되는 구동스프라켓(41)과, 상기 중심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구동스프라켓(41)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뒷바퀴(21)를 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속스프라켓(42)과, 상기 가속스프라켓(42)과 체인으로 열결되어 뒷바퀴(2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3단의 종동스프라켓(43)으로 형성된다.
도 6에서, 상기 뒷바퀴지지부(20)의 리어쇽업소바(26)는 일측이 상기 시트포스트(25)와 힌지 결합되는 포스트결합부(26a)와, 상기 포스트결합부(26a)의 타측과 연결되어 사람이 앉는 시트(24)에 탄성을 발생시키는 쿠션스프링(26b)과, 일측이 상기 쿠션스프링(26b)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짐받이(23)와 탈착되는 짐받이탈착부(26c)와, 상기 짐받이탈착부(26c)가 짐받이(23)에서 탈착되도록 형성된 탈착레버(26d)로 형성된다.
도 7에서, 상기 앞포크(12)는 앞바퀴(11)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돌기(12a)가 형성되며, 상기 뒷포크(22)는 뒷바퀴(21)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홈(22a)이 형성되어 접이될 경우에 상기 앞바퀴(11)와 뒷바퀴(21)가 대향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짐받이(23)는 외측 하단에 보조바퀴(23a)가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전거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전거는 앞바퀴(11)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앞바퀴지지부(10)와 뒷바퀴(21)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뒷바퀴지지부(20)가 내측에 2단으로 접이되는 프레임부(3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30)의 일측에 결합된 가속전달부(40)가 3개의 동력축이 형성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가속하게 된다.
상기 앞바퀴지지부(10)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핸틀튜브(13)가 강도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핸들튜브(13)와 연결된 핸들(14)이 내측으로 2단 접이되도록 형성되어 부피를 최소화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다기능 자전거를 접이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부(30)의 제2프레임(34)를 중심으로 상기 제1절곡부(32)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제1잠금레버(33)를 파지하여 풀어 상기 제1프레임(31)을 내측으로 절곡시키고, 상기 제2절곡부(35)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제2잠금레버(36)를 파지하여 내측으로 절곡시키면 상기 제1프레임(31)과 제3프레임(37)이 대향되어 받침대 역활을 함으로써, 짐이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접이될 경우에 상기 중심프레임(38)을 중심축으로 상기 동력전달부(40)가 2단으로 접이되며, 상기 앞바퀴(11)와 뒷바퀴(21)가 대향되어 접이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짐받이(23)는 외측 하단에 보조바퀴(23a)가 형성되어 대향된 두개의 앞바퀴(11)와 뒷바퀴(21)와 함께 이동카트로 활용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상기 동력전달부(40)는 상기 프레임부(30)의 중심프레임(38) 일측과 결합된 구동스프라켓(41)이 발로 밟는 패달(44)로부터 동력을 발생시켜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속스프라켓(42)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속스프라켓 (42)과 체인으로 열결된 3단의 상기 종동스프라켓(43)이 뒷바퀴(21)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축이 2단으로 형성되어 작은 가압으로도 가속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뒷바퀴지지부(20)의 리어쇽업소바(26)는 포스트결합부(26a)가 상기 시트포스트(25)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짐받이탈착부(26c)가 짐받이(23)에서 탈착되는 탈착레버(26d)가 형성되어 접이될 경우 탈착레버(26d)를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리어쇽업소바(26)가 짐받이(23)에서 용이하게 탈착되어 뒷바퀴(21)가 접이된다.
도 7에서, 상기 앞포크(12)에는 앞바퀴(11)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뒷포크(22)에는 뒷바퀴(21)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홈(22a)이 형성되어 접이될 경우에 상기 앞바퀴(11)와 뒷바퀴(21)가 대향되어 고정됨으로써, 접이된 자전거를 이동이나 운반할 경우 풀어지거 벌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전거는 프레임부에 2단으로 절곡되는 2개의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접이할 경우에 두개의 프레임이 받침대 역활을 하게 되어 짐이나 물건 등을 올려 놓을 뿐만 아니라 앞바퀴와 뒷바퀴가 대향되도록 접이되고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고정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뒷바퀴지지부에 탈부착이 용이한 리어쇽업소바룰 구비하여 뒷바퀴가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접이될 수 있으며, 앞포크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뒷바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고정시킴으로써 이동이나 운반할 경우 접이된 자전거가 풀어지거 벌어지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운반 및 취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에 3개의 구동축을 구비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이 2단으로 형성되어 작은 가압으로도 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를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개요도,
도 3은 자전거가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프레임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뒷바퀴의 리어쇽업소바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도 2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단지지부 11 : 앞바퀴
12 : 앞포크 12a:결합돌기
13 : 핸들튜브 14 : 핸들
20 : 후단지지부 21 : 뒷바크
22 : 뒷포크 22a: 결합홈
23 : 짐받이 24 : 시트
25 : 시트포스트 26 : 리어쇽업소바
26a: 포스트결합부 26b: 쿠션스프링
26c: 짐받이탈착부 26d: 탈착레버
30 : 프레임부 31 : 제1프레임
32 : 제1절곡부 33 : 제1잠금레버
34 : 제2프레임 35 : 제2절곡부
36 : 제2잠금레버 37 : 제3프레임
40 : 동력전달부 41 : 구동스프라켓
42 : 가속스프라켓 43 : 종동스프라켓

Claims (6)

  1. 앞바퀴와 뒷바퀴가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체인에 의하여 구동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일측에 앞바퀴(11)가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앞포크(12)와, 상기 앞포크(12)와 연결되어 강도가 유지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핸틀튜브(13)와, 상기 핸들튜브(13)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접이되는 핸들(14)로 이루어진 앞바퀴지지부(10)와;
    일측에 뒷바퀴(21)가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된 뒷포크(22)와, 상기 뒷포크(22)과 연결되어 짐이 안치되는 짐받이(23)와, 시트(24)를 고정시키며 상기 시트(24)가 상하 조정되는 시트포스트(25)와, 일측이 상기 시트포스트(25)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뒷포크(22)와 연결되는 리어쇽업소바(26)로 이루어진 뒷바퀴지지부(20)와;
    상기 앞바퀴지지부(10)와 뒷바퀴지지부(20)를 연결시키며 내측에 2단으로 접이되는 프레임부(30)와;
    상기 프레임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가속되도록 2개의 동력축이 형성된 가속전달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30)는 일측이 상기 앞포크(12)와 연결되는 제1프레임(31)과, 타측이 상기 제1프레임(31)과 절곡되는 제1절곡부(32)와, 상기 제1절곡부(32)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제1잠금레버(33)와, 상기 제1프레임(31)과 힌지 결합되는 제2프레임(34)과, 상기 제2프레임(34)의 일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2절곡부(35)와, 상기 제2절곡부(35)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제2잠금레버(36)와,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34)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포스트(24)와 결합되는 제3프레임(37)과, 상기 제3프레임(37)과 결합되어 양측에 동력전달부(40)와 힌지 결합되는 중심프레임(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전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40)는 상기 프레임부(30)의 중심프레임(38)와 결합되어 패달(44)로부터 동력이 발생되는 구동스프라켓(41)과, 상기 구동스프라켓(41)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뒷바퀴(21)를 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속스프라켓(42)과, 상기 가속스프라켓(42)과 체인으로 열결되어 뒷바퀴(2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단의 종동스프라켓(43)으로 이루어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전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지지부(20)의 리어쇽업소바(26)는 일측이 상기 시트포스트(25)와 힌지결합되는 포스트결합부(26a)와, 상기 포스트결합부(26a)의 타측과 연결되는 쿠션스프링(26b)과, 일측이 상기 쿠션스프링(26b)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짐받이(23)와 탈착되는 짐받이탈착부(26c)와, 상기 짐받이탈착부(26c)가 짐받이(23)에서 파지하여 탈착되도록 형성된 탈착레버(26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전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포크(12)는 앞바퀴(11)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돌기(12a)가 형성되며, 상기 뒷포크(22)는 뒷바퀴(21)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결합홈(22a)이 형성되어 접이될 경우에 상기 앞바퀴(11)와 뒷바퀴(21)가 대향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전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짐받이(23)는 외측 하단에 보조바퀴(2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전거.
KR1020040025929A 2004-04-14 2004-04-14 다기능 자전거 KR10065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929A KR100650947B1 (ko) 2004-04-14 2004-04-14 다기능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929A KR100650947B1 (ko) 2004-04-14 2004-04-14 다기능 자전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427U Division KR200355882Y1 (ko) 2004-04-14 2004-04-14 다기능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535A true KR20050100535A (ko) 2005-10-19
KR100650947B1 KR100650947B1 (ko) 2006-11-29

Family

ID=3727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929A KR100650947B1 (ko) 2004-04-14 2004-04-14 다기능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9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63B1 (ko) * 2002-12-18 2009-10-05 스튜디오 모더나 사 접철식 자전거
CN103661727A (zh) * 2012-09-19 2014-03-26 株式会社万都 折叠式自行车
CN104787192A (zh) * 2014-01-16 2015-07-22 天津若望科技有限公司 三折叠助力式自行车
KR101538215B1 (ko) * 2013-07-25 2015-07-22 손영철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
CN106627936A (zh) * 2017-01-22 2017-05-10 常州摩本智能科技有限公司 可折叠型智能自行车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63B1 (ko) * 2002-12-18 2009-10-05 스튜디오 모더나 사 접철식 자전거
CN103661727A (zh) * 2012-09-19 2014-03-26 株式会社万都 折叠式自行车
KR101538215B1 (ko) * 2013-07-25 2015-07-22 손영철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
CN104787192A (zh) * 2014-01-16 2015-07-22 天津若望科技有限公司 三折叠助力式自行车
CN106627936A (zh) * 2017-01-22 2017-05-10 常州摩本智能科技有限公司 可折叠型智能自行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947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8562Y1 (ko) 접철식 3륜 자전거
US9321499B2 (en) Bicycle frame and bicycle, and baby carriage using same capable of two-wheel and three-wheel conversion
US7455308B2 (en) Convertible riding toy
KR20150115767A (ko) 다중-탑승자 세발자전거
US6601862B2 (en) Tricycle and intermediate frame for tricycle
US20070187922A1 (en) Self powered collapsible bicycle
TWI247701B (en) Foldable jogging stroller
CN202320664U (zh) 一种折叠自行车
TW200410861A (en) Folding bicycle
KR20110103521A (ko)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자전거
TWM269240U (en) Foldable infant jogging stroller
KR100920263B1 (ko) 접철식 자전거
KR100650947B1 (ko) 다기능 자전거
CN102085899A (zh) 具有两个后驱动轮的可侧倾三轮踏步车
US8894082B2 (en) Pedal powered wheeled vehicle
TWI757899B (zh) 嬰兒車
KR200355882Y1 (ko) 다기능 자전거
JP2008132955A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WO2014003629A1 (en) A bicycle transportation support and a packaging structure and a method for packaging a bicycle
CN104210598A (zh) 一种折叠自行车
KR100982777B1 (ko) 접이식 경량 배낭 자전거
TW589266B (en) Collapsible bicycle
KR20120049003A (ko) 접이식 전동 4륜 자전거
WO2019103632A1 (en) Folding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