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939A -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압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압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939A
KR20050098939A KR1020057015042A KR20057015042A KR20050098939A KR 20050098939 A KR20050098939 A KR 20050098939A KR 1020057015042 A KR1020057015042 A KR 1020057015042A KR 20057015042 A KR20057015042 A KR 20057015042A KR 20050098939 A KR20050098939 A KR 2005009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yer
release
matte
release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쓰 트러고
하워드 엔로우
노맨 에이 콘티
로저 에이 폴싱
Original Assignee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367,611 external-priority patent/US20040161564A1/en
Application filed by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9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08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layer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their release from a temporary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44C1/1725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using an intermediat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33Decalcomanias applied under pressure only, e.g.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B44C1/1741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layer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their release from a temporary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33Decalcomanias applied under pressure only, e.g.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B44C1/1745Decalcomanias applied under pressure only, e.g.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ing an intermediate sup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1/00Presence of unspecified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5/00Presence of styrenic polymer
    • C09J2425/006Presence of styren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9/00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 C09J2429/006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1/00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 C09J2431/006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9/00Presence of polyac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1/00Presenc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 C09J2461/005Presenc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7/00Presence of polyamide
    • C09J2477/006Presence of polyamid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이형 라이너(130) 상으로 페인트 필름층(110)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인트 필름(110)층 상으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130)는 상부 표면(133) 및 하부 표면(134)을 갖는 뒤대기 라이너(132); 상기 뒤대기 라이너(132)의 상부 표면(134) 위에 놓인 제1 방출 코팅층(135)(상기 제1 방출 코팅층(135)은 뒤대기 라이너(132)에 결합하여 뒤대기 라이너(132)로부터 공간 분리된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도록 경질화 또는 경화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광택 방출 표면은 압출된 페인트 필름층(110)과 접촉함)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130)의 무광택 방출 표면은 이 이형 라이너(130)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페인트 필름층(110)에 무광택 마무리를 전사시키도록 페인트 필름층(110)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것인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압출 제조 방법 {EXTRUSION METHOD OF MAKING A DRY PAINT TRANSFER LAMINATE}
본 발명은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압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라미네이트들은 건조 페인트 필름층, 이 건조 페인트 필름층의 한쪽 측 위에 놓인 접착제층, 및 건조 페인트 필름층의 다른 측 위에 놓인 이형 라이너를 포함한다.
액체 페인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페인팅은 페인트되지 않아야 할 영역들을 마스킹 오프하는 단계 및 건조 클로쓰들을 스프레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업 단계들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페인팅은 또한 브러쉬, 롤러 등의 까다로운 세정을 요구하고, 누출 문제, 연기들로 노출 및 페인트 건조 지연의 문제가 발생한다. 인조 마무리 등의 특수 효과들이 요구될 때, 추가의 코트를 도포하는데 추가의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들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페인트하지 않아야 하는 영역들을 마스크 오프할 필요가 없고, 드롭 클로쓰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브러쉬, 롤러 등의 까다로운 세정을 피할 수 있다. 누출 및 연기들로의 노출을 피할 수 있다. 페인트가 마르기까지 기다리는 지연도 피할 수 있다. 인조 마무리 등의 특수 효과들은 단 일회 도포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형 라이너 상으로 페인트 필름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인트 필름층 상으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뒤대기 라이너; 상기 뒤대기 라이너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인 제1 방출 코팅층(상기 제1 방출 코팅층은 뒤대기 라이너에 결합하여 뒤대기 라이너로부터 공간 분리된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도록 경질화 또는 경화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광택 방출 표면은 압출된 페인트 필름층과 접촉함)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의 무광택 방출 표면은 이 이형 라이너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페인트 필름층에 무광택 마무리를 전사시키도록 페인트 필름층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것인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방출 코팅층은 자체-감김 형태의 라미네이트 내의 접착제층과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뒤대기 라이너의 하부 표면 위에 놓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인트 필름층은 투명한 필름층 위에 컬러층을 도포하기 전에 이형 라이너 위로 압출된 투명한 필름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페인트 필름층 및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이형 라이너 위로 동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페인트 필름층은 이형 라이너 위에 놓이고,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은 페인트 필름층 위에 놓인 것인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형 라이너 위로 투명한 필름층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투명한 필름층 위로 페인트 필름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인트 필름층 위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뒤대기 라이너; 상기 뒤대기 라이너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인 제1 방출 코팅층(상기 제1 방출 코팅층은 뒤대기 라이너에 결합하여 뒤대기 라이너로부터 공간 분리된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도록 경질화 또는 경화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광택 방출 표면은 압출된 투명한 필름층과 접촉함)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의 무광택 방출 표면은 이 이형 라이너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투명한 필름층에 무광택 마무리를 전사시키도록 투명한 필름층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것인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형 라이너 위로 투명한 필름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한 필름층 위로 페인트 필름층 및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동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 필름층은 상기 투명한 필름층 위에 놓이고, 상기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은 상기 페인트 필름층 위에 놓인 것인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형 라이너 위로 장식적인 건조 페인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 페인트 필름층 위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 및 중합성 지지체층을 동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층은 상기 건조 페인트 필름층 위에 놓이고, 상기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은 상기 지지체층 위에 놓이고; 이형 라이너는 건조 페인트 필름층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것인,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압출된 페인트 필름층; 페인트층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인 건조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 및 페인트층의 하부 표면 위에 놓인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고, 이형 라이너는 박막의 가요성 중합체 캐리어 필름 및 이 캐리어 필름에 결합된 무광택 방출 코트를 포함하고, 이 무광택 방출 코트는 실온에서 경질화된 상태를 갖고, 본질적으로
(1) 무광택 표면을 형성하는 무광택 표면 처리 성분, (2) 페인트층에 무광택 방출 표면을 탈착 가능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 성분, 및 (3) 무광택 방출 표면으로부터 건조 페인트층의 노출된 표면에 무광택 표면 마무리를 전사시키기 위해 실온에서 건조 페인트층과의 접촉으로부터 무광택 방출 표면을 방출하는 방출 성분으로 구성된 수지질 코팅 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인 다중층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가요성 중합체 캐리어 필름 및 이 캐리어 필름에 결합된 무광택 방출 코트를 갖는 이형 라이너; 무광택 방출 코트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가요성 압출된 건조 페인트 전사층; 및 상기 이형 라이너의 탈착 가능하게 측 상의 압출된 건조 페인트 전사층에 결합된 건조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광택 코트는 기판과 접촉하는 건조 페인트층의 접착제 측을 배치할 때 건조 페인트층에 대한 구조적 지원 레벨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압출된 건조 페인트 전사층으로 이형 라이너를 우선적으로 접착시키는 택의 레벨을 갖고; 무광택 방출 코트는 이 방출 코트가 건조 페인트층과의 접촉으로부터 방출될 때 건조 페인트층의 노출된 표면으로 무광택 표면 마무리를 전사시키기 위한 미세한-거친 표면을 형성하도록 경질화 또는 경화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고; 접착제층은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이형 라이너의 제거에 후속하여 기판에 라미네이트가 접착되도록 허용하는 실온에서 택의 억제된 초기 레벨을 갖고, 접착제층은 기판에 건조 페인트층을 영구적으로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의 경과로 인해 접착의 후속 보강을 수행하는 것인 다중층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광택 방출 코트로부터 압출된 건조 페인트층으로 전사된 광택 레벨은 85도에서 30%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 페인트 전사층은 컬러층 위에 놓인 압출된 선명한 코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선명한 코트는 미세한-거친 표면을 선명한 코트층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무광택 방출 코트와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형 라이너는 실온에서 본질적으로 비스트레치성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트는 건조 페인트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강화 중합성 지지체층을 포함하고, 이 지지체층은 건조 페인트층보다 큰 인장 강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이형 라이너는 무광택 방출 코트로부터 맞은편인 라이너의 일측 상에 접착제 방출 코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트는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무광택 방출 코트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이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으로부터 접착제 방출 코트층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보다 더 큰 것인 자체-감김 형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트는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무광택 방출 코트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이 2인치당 약 20 내지 약 180그램 범위이고, 이형 라이너의 2인치 폭 시료가 90˚각도에서 분당 300인치의 속도로 잡아당김으로써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분리된 것인 자체-감김 형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건조 페인트층에 대한 지지체를 제공하도록 이형 라이너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건조 페인트층, 및 내부 벽에 페인트층을 부착시키기 위해 이형 라이너 맞은편의 건조 페인트층의 일측 상의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형 라이너는 페인트된 내부벽 커버링으로서 건조 페인트층을 노출시키기 위해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방출 코트를 갖고, 이 이형 라이너는 건조 페인트층과 접촉하는 방출 코트 맞은편의 라이너의 측측 상에 접착제 방출 코트를 갖고, 여기서 건조 페인트층은 압출된 외부 선명한 코트층을 포함하고, 이형 라이너는 중합성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그 위의 방출 코트는 캐리어 필름에 결합되고 건조 페인트층과 접촉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를 포함하고, 이 무광택 방출 코트는 경질된 상태에서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공간 분리된 미세한-거친 표면을 형성하고 건조 페인트층에 이형 라이너를 접착시키는 접착 레벨을 갖지만, 접착제층이 라미네이트를 벽에 접착시키고, 이형 라이너가 실온에서 건조 페인트층과의 접촉으로부터 방출될 때 건조 페인트층의 노출된 표면에 무광택 마무리를 전사시키는 물질로 제조된 것이고, 라미네이트는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무광택 방출 코트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방출력이 접착제층으로부터 접착제 방출 코트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방출력보다 더 크고, 무광택 방출 코트는 라이너를 제거하고, 건조 페인트층으로 무광택 표면을 전사시키는데 충분한 방출력 레벨을 가지면서 벽에 대한 그의 부착으로부터 방출시킴 없이 벽 위의 건조 페인트층의 통합성을 유지하는 자체-감김 형태를 갖는 것인, 인테리어 벽으로서 옥내용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이형 라이너의 측측 상으로 페인트층을 압출하고, 건조 페인트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형 라이너 상의 페인트층을 경질화시키는 단계(상기 이형 라이너는 박막의 가요성 중합체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이형 라이너는 건조 페인트층과 접촉하는 방출 표면을 가짐); 및 이형 라이너로부터 대향인 페인트층의 측에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 (무광택 방출 코트를 이형 라이너에 도포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고, 무광택 방출 코트는 분산된 입자 충전재 물질을 갖고, 무광택 표면을 형성하는 경화된 상태를 실온에서 갖는 수지질 물질을 포함함); 및 무광택 방출 코트의 무광택 표면에 페인트층을 도포하고, 무광택 표면에 건조 페인트층을 탈착 가능하게 접착시키기 위해 무광택 표면과 접촉하는 건조 페인트층을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단계(상기 무광택 표면은 라미네이트가 압력 감응성 접착제를 통해 기판에 접착되고, 이형 라이너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건조 페인트층의 노출된 표면에 무광택 표면 마무리를 전사시키기 위해 실온에서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방출되도록 채택됨)를 포함하는 다중층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특징부의 동일 부분들을 지시한다.
도 1은 특정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가 롤로 부분적으로 감겨진 것의 개략적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도의 개략적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지지체층 및 접착제층을 동시 압출하는 공정의 개략적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지지체층 및 접착제층을 동시 압출하는 공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예시도.
"위에" 및 "위에 놓이다"라는 용어 및 "위에 놓인" 등의 유사한 용어는 하나의 층 또는 제1 층의 다른 층 또는 제2 층에 대한 관계를 언급할 때, 제1층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2 층 위에 놓인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제2 층 위에 놓인 제1 층은 제2층과 접촉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추가의 층들은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래에" 및 "아래에 놓이다"라는 용어 및 "아래에 놓인" 등의 유사한 용어는 제1층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2 층 위에 놓이기 보다는 오히려 아래에 놓인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건조 페인트"라는 용어는 기판에 도포된 페인트 조성물이 충분히 건조되고 경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만지거나 또는 다룰 때 얼룩지지 않거나 또는 더럽혀지지 않는 페인트 조성물을 의미한다. 건조 페인트 조성물은 액체(즉, 용매 베이스 또는 물 베이스) 코팅 또는 필름 형성 조성물 또는 고온 용융 코팅 또는 필름 형성 조성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 페인트 조성물은 1개 이상의 휘발성 성분들(예, 유기 용매, 물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여기서 이 페인트 조성물은 기판에 도포되고, 휘발성 성분들이 완전히 또는 충분히 제거되어 페인트가 기판에 접착되도록 허용하고, 사용자가 만졌을 때 얼룩지지 않거나 또는 더럽혀지지 않는 정도까지 건조된다. "휘발성"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건조 온도 및 대기압에서 휘발성인 물질들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1개 이상의 건조 페인트 필름층들 위에 놓인 투명한 필름층을 언급할 때 "투명한"이라는 용어는 1개 이상의 건조 페인트 필름 층들이 투명한 필름층을 통해 보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투명한 필름층은 반투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는 그의 예시된 실시예들 중의 하나에서,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100)로 나타내고, 이는 상부 표면(112) 및 하부 표면(114)을 갖는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 상부 표면(112) 위에 놓이고 그에 접착된 접착제층(120); 및 하부 표면(114) 위에 놓이고 그에 접착된 이형 라이너(130)를 포함한다. 이 이형 라이너(130)는 상부 표면(133) 및 하부 표면(134)을 갖는 뒤대기 라이너(132); 상부 표면(133) 위에 놓이고 그에 접착된 제1 방출 코팅층(135); 및 하부 표면(134) 위에 놓이고 그에 접착된 제2 방출 코팅층(136)을 포함한다. 제1 방출 코팅층(135)은 캐리어 방출 코팅층 또는 무광택 방출 코팅층이라 언급될 수 있다. 제1 방출 코팅층(135)은 뒤대기 라이너(132)의 상부 표면(133)과 건조 필름층(110)의 하부 표면(114) 사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뒤대기 라이너(132)의 상부 표면(133)에 접착된다. 따라서, 이형 라이너(130)가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으로부터 박리될 때, 방출 코팅층(135)은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으로부터 분리되고, 뒤대기 라이너(132)에 접착된 채로 남겨진다. 방출층(136)의 하부 표면(127)은 라미네이트(100)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감겨질 때 접착제층(120)의 상부 표면(122)과 접촉하도록 채택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는 접착제층(120)의 상부 표면(122)과 접촉하는 방출 코팅층(136)의 하부 표면(137)을 갖는 롤 형태로 감겨진다. 이 방출 코팅층(136)은 우선적으로 뒤대기 라이너(132)에 접착된다. 따라서, 도 2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가 감기지 않을 때, 방출 코팅층(136)은 접착제층(120)으로부터 분리되고, 뒤대기 라이너(132)에 접착된 채로 남겨진다.
도 3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A)는 투명한 필름층(140)이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과 방출 코팅층(135)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하다. 방출 코팅층(135)은 측측 상에서 투명한 필름층(140)에 접착되고, 다른 측 상에서 뒤대기 라이너(132)에 접착되고, 우선적으로 뒤대기 라이너(132)에 접착된다. 따라서, 이형 라이너(130)가 투명한 필름층(140)으로부터 박리될 때, 방출 코팅층(135)은 투명한 필름층(140)으로부터 분리되고 뒤대기 라이너(132)에 접착된 채로 남겨진다.
도 4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B)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이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과 투명한 필름층(1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A)와 동일하다.
도 5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C)는 제2의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이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과 투명한 필름층(1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B)와 동일하다.
층들(150 및 160) 너머로 추가의 인쇄된 장식적인 층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들은 상호 중첩하는 5개 이상의 인쇄된 장식적인 층들, 일 실시예에서는 약 3개 또는 4개의 인쇄된 장식적인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된 장식적인 층들은 목적하는 프린트 또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고, 그라비어, 철판 인쇄법, 실크 스크린, 잉크 제트 등의 종래의 인쇄 방법들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D)는 방출 코팅층(136)이 존재하지 않고, 추가의 이형 라이너(170)가 접착제층(120) 위에 놓이도록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하다. 이형 라이너(170)는 상부 표면(173) 및 하부 표면(174)을 갖는 뒤대기 라이너(172); 및 하부 표면(174) 위에 놓이고 그에 접착된 방출 코팅층(176)을 포함한다. 방출층(176)은 뒤대기 라이너(172)의 하부 표면(174)과 접착제층(120)의 상부 표면(122) 사이에 위치하고, 우선적으로 뒤대기 라이너(172)의 하부 표면(174)에 접착된다. 따라서, 이형 라이너(170)가 접착제층(120)으로부터 박리될 때, 방출 코팅층(176)은 접착제층(120)으로부터 분리되고, 뒤대기 라이너(172)에 접착된 채로 남겨진다.
도 7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E)는 이 라미네이트(100E)가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과 접착제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체층(18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하다.
도 8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F)는 이 라미네이트(100F)가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과 접착제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배리어층(19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하다.
도 9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G)는 이 라미네이트(100G)가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과 접착제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체층(18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하다. 또한, 이 라미네이트(G)는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과 제1 방출 코팅층(135)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들(150, 160 및 165)을 포함한다.
도 10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H)는 라미네이트(100C) 내에 이형 라이너(130)가 존재하지 않고, 이형 라이너(170)가 접착제층(120) 위에 놓이고, 방출층(176)이 이형 라이너(170)와 접착제층(1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C)와 동일하다.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은 약 0.5 내지 약 1.5밀, 일 실시예에서는 약 0.5 내지 약 1.2밀, 일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0.9밀, 일 실시예에서 약 0.7밀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층(120)의 두께는 약 0.4 내지 약 1밀, 일 실시예에서 약 0.4 내지 약 0.8밀, 일 실시예에서 약 0.4 내지 약 0.6밀의 범위일 수 있다. 뒤대기 라이너(132)의 두께는 약 0.5 내지 약 2밀, 일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1.5밀, 일 실시예에서 약 0.85 내지 약 1.05밀 범위일 수 있다. 제1 방출 코팅층(135)의 두께는 약 0.05 내지 약 0.3밀, 일 실시예에서 약 0.1 내지 약 0.2밀 범위일 수 있다. 제2 방출 코팅층(136)의 두께는 약 0.04 내지 약 0.2밀, 일 실시예에서 0.04 내지 약 0.15밀, 일 실시예에서 0.04 내지 약 0.08밀 범위일 수 있다. 투명한 필름층(140)의 두께는 약 0.05 내지 약 0.4밀, 일 실시예에서 약 0.05 내지 약 0.3밀, 일 실시예에서 약 0.2밀 범위일 수 있다.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의 두께는 약 0.02 내지 약 0.15밀, 일 실시예에서 약 0.02 내지 약 0.08밀 범위일 수 있다. 제2의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의 두께는 약 0.02 내지 약 0.15밀, 일 실시예에서 약 0.02 내지 약 0.1밀 범위일 수 있다. 뒤대기 라이너(172)의 두께는 약 0.5 내지 약 2밀, 일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1.5밀, 일 실시예에서 약 0.85 내지 약 1.05밀 범위일 수 있다. 방출 코팅층(176)의 두께는 약 0.04 내지 약 0.2밀, 일 실시예에서 약 0.04 내지 약 0.15밀, 일 실시예에서 약 0.04 내지 약 0.08밀 범위일 수 있다. 지지체층(180)은 약 0.3 내지 약 1.4밀, 일 실시예에서 약 0.3 내지 약 1.1밀, 일 실시예에서 약 0.3 내지 약 0.8밀, 일 실시예에서 약 0.3 내지 약 0.5밀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층(180)이 사용될 때,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및 지지체층(180)을 합한 전체적인 두께는 약 0.5 내지 약 1.5밀, 일 실시예에서 0.5 내지 약 1.2밀, 일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0.9밀, 일 실시예에서 약 0.7밀 범위일 수 있다. 배리어층(190)은 약 0.01 내지 약 0.1밀, 일 실시예에서 약 0.05 내지 약 0.1밀, 일 실시예에서 약 0.01 내지 약 0.02밀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께들 각각은 건조 필름 두께이다. 라미네이트들(100 내지 100H)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하기 적절한 임의의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폭은 약 1 내지 200cm, 일 실시예에서 10 내지 100cm, 일 실시예에서 약 30 내지 약 40cm 범위일 수 있다. 그 길이는 약 10 내지 약 6500미터, 일 실시예에서 약 15 내지 약 1000미터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 길이는 약 19 내지 약 6500미터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 길이는 약 17 내지 약 20미터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트는 약 10 내지 약 20cm의 폭 및 약 10 내지 약 30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라미네이트들은 도 2에 예시된 바의 편평한 시트 형태 또는 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층들(110, 150, 160 및 165)은 독립적으로 1개 이상의 결합재들 또는 수지들, 및 1개 이상의 안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층(180)은 1개 이상의 결합재들 또는 수지들, 및 임의로 1개 이상의 안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한 필름층(140)은 1개 이상의 결합재들 또는 수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층들은 1개 이상의 결합재들 또는 수지들, 1개 이상의 안료들(사용되는 경우), 물 또는 1개 이상의 유기 용매들, 및 임의로 유동학적 특성들 등의 특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부가제들을 포함하는 액체 코팅 또는 페인트 조성물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층들(110, 140 및 180) 각각은 독립적으로 1개 이상의 압출된 필름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재 또는 수지는 코팅 또는 페인트 제형들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결합재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재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재 또는 수지는 합성 수지 또는 천연 수지일 수 있다. 결합재 또는 수지는 일 실시예에서 압출 가능한 필름 형성 물질일 수 있는 필름 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결합재들 또는 수지들의 예들은 아크릴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부타디엔 수지, 스티렌 수지, 프탈산 또는 무수물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한다. 결합재 또는 수지는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 비닐, 염화 비닐리덴 등의 유닛들을 함유하는 비닐 및 비닐리덴 중합체들 또는 공중합체들;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유닛들을 함유하는 탄화수소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 및 에테르, 부타디엔의 산소 처리된 또는 할로겐 처리된 유도체들, 산소 처리된 부타디엔, 이소프렌, 산소 처리된 이소프렌, 부타디엔-스티렌, 부타디엔 비닐 톨루엔, 이소프렌-스티렌 등;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들의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유닛들을 함유하는 중합체들 또는 공중합체들; 말레산 또는 무수물과 스티렌의 반응 생성물과 같은 불포화 물질들과 반응한 비닐계 탄화수소 단량체들; 및 광의로, 에틸렌계의 불포화된 단량체들의 다양한 다른 수지질 고무형 탄성체 라텍스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 및 적절한 수성 라텍스 형태로 얻어질 수 있는 중합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재 또는 수지는 염화 비닐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재 또는 수지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에틸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페놀포름알데히드, 페놀성 글루, 동물의 할로겐화물 글루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결합재들 또는 수지들의 다른 예들은 불소 수지들, 실리콘 수지들 및 피브린 수지들을 포함한다.
결합재 또는 수지는 1개 이상의 폴리스티렌들, 폴리올레핀들, 폴리아미드들, 폴리에스테르들, 폴라카르보네이트들,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비닐 알콜, 폴리우레탄들, 폴리아크릴레이트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들, 이오노머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들은 ASTM 시험 방법 1238로 측정한 바 약 30 미만, 일 실시예에서 약 20 미만, 일 실시예에서 약 10 미만의 용융 지수 또는 용융 흐름 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올레핀들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등의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 또는 그러한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의 혼합물들의 블렌드들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들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들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 및 프로필렌-에틸렌 및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들 등의 공중합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서로의 블렌드들 또는 이들중 하나 또는 모두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블렌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 형성 물질들은 높은 프로필렌 함량,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들 또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낮은 에틸렌 함량의 블렌드들 또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들 또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1-부텐과 낮은 부텐 함량의 블렌드를 가질 수 있다.
저 밀도, 중간 밀도 및 고 밀도 폴리에틸렌들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폴리에틸렌들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들에 대한 저 밀도 범위는 약 0.910 내지 약 0.925 g/cm3일 수 있고, 중간 밀도 범위는 약 0.925 내지 약 0.940 g/cm3일 수 있고, 고 밀도 범위는 약 0.940 내지 약 0.965 g/cm3일 수 있다. 유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예는 Huntsman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Rexene 1017이다.
단독으로 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은 ASTM 시험 D 1238, 조건 L에 의해 측정된 바 약 0.5 내지 약 20의 용융 유동률(MFR)을 갖는 것들과 같은 각종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약 10 미만, 일 실시예에서 약 4 내지 약 10의 MFR을 갖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은 약 0.88 내지 약 0.92 g/cm3 범위의 밀도를 갖는 것으로서 특징될 수 있다. 많은 유용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이 각종 소스들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될 수 있고, 일부 유용한 중합체들은 Union Carbide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고, 12.0g/10분의 용융률 및 0.90 g/cm3의 밀도를 갖는 5A97; Union Carbide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고, 8.8g/10분의 MFI 및 0.90 g/cm3의 밀도를 갖는 DX5E66; 및 Union Carbide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고, 3.9g/10분의 MFI 및 0.90 g/cm3의 밀도를 갖는 WRD5-1057을 포함한다. 유용한 상업적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들은 Fina 및 Montel사로부터 입수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들은 CF6S, CR-9, XE3303 및 G-21 등의 일반 상표명 Grivory 하에 EMS 어메리칸 Grilon Inc., Sumter, SC.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수지들을 포함한다. Grivory G-21은 125℃의 유리 전사 온도, 90ml/10분의 용융 유동률(DIN53735) 및 15의 파열시 신장률(ASTM D638)을 갖는 무정형 나일론 공중합체이다. Grivory CF65는 135℃의 융점, 50ml/10분의 용융 유동률 및 350%를 초과하는 파열시 신장률을 갖는 나일론 6/12 필름 등급 수지이다. Grilon CR9는 200℃의 융점, 200ml/10분의 용융 유동률 및 250%의 파열시 신장률을 갖는 다른 나일론 6/12 필름 등급 수지이다. Grilon XE3303은 200℃의 융점, 60ml/10분의 용융 유동률 및 100%의 파열시 신장률을 갖는 나일론 6.6/6.10 필름 등급 수지이다. 폴리아미드 수지들은 예를 들면 Uni-Rez 프러덕트 라인 하에 뉴저지주 웨인의 Union Camp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들, 및 Bostik, Emery, Fuller, Henkel(Versamid 프러덕트 라인 하)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다이머-베이스 폴리아미드 수지들을 포함한다. 폴리아미드들은 이량체화된 식물성 산들과 헥사메틸렌 디아민을 응축함으로써 생산된 것들을 포함한다. Union Camp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들의 예들은 Uni-Rez 2665; Uni-Rez 2620; Uni-Rez 2623; 및 Uni-Rez 2695를 포함한다.
폴리스티렌들은 스티렌과 알파-메틸 스티렌 등의 치환된 스티렌의 단독 중합체들 뿐만 아니라 공중합체들을 포함한다. 스티렌 공중합체들 및 삼중 중합체들의 예들은 아크릴로니트릴-부텐-스티렌(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들 (SAN); 스티렌 부타디엔(SB); 스티렌-말레산 무수물(SMA); 및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SMMA) 등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들은 지방족 뿐만 아니라 방향족 폴리우레탄들을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들은 여러 가지 글리콜들 또는 폴리올들 및 1개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및 PETG(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개질된 PET)는 Eastman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업적 소스들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유용한 필름 형성 물질들이다. 예를 들면, Kodar 6763은 Eastman Chemical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PETG이다. DuPont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다른 유용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Selar PT-8307이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 및 알킬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들(예, EVA 중합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들은 Escorene UL-7520 (Exxon), 에틸렌과 19.3%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Nucrell 699(DuPont), 11% 메타크릴산을 함유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이오노머들(분자 사슬들 중의 이온 결합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오노머들의 예들은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연염에 기초한 사슬간 이온 결합들을 함유하는 것으로 믿어지는 Surlyn 1706(DuPont) 등의 이오노머 에틸렌 공중합체들을 포함한다. DuPont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Surlyn 1702는 사용될 수 있는 이오노머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들 역시 유용하고, 이들은 Dow Chemical Co.(Calibre), G.E. Plastics(Lexan) 및 Bayer(Makrolon)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들은 접촉 과정에서 비스페놀 A와 염화 카르보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분자량들은 약 22,000에서 약 35,000으로 변화할 수 있고, 용융 유동 속도들은 약 4 내지 약 22g/10분의 범위일 수 있다.
안료는 장식적인 코팅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안료일 수 있다. 이들은 이산화 티탄 및 산화 아연 등의 불투명 안료들 뿐만 아니라 카본 블랙, 황색 산화물들, 갈색 산화물들, 황갈색 산화물들, 생 및 구운 시에나토 또는 엄버, 산화 크롬 그린, 프탈로시아닌 그린, 프탈로시아닌 블루, 울트라마린 블루, 카드뮴 안료들, 크롬 안료들 등을 포함한다. 이 안료들은 아조 레드들, 퀴나크리돈 레드 및 페릴렌 레드 등의 유기 레드들 뿐만 아니라 디아릴리드 옐로우 등의 유기 옐로우들을 포함한다. 혼성 금속 산화물 안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점토, 실리카, 활석, 마이카, 규회석, 목분, 황산 바륨, 탄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등의 충전재 안료들이 코팅 및 페인트 제형들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양들로 마찬가지로 부가될 수 있다.
용매는 케톤, 에스테르, 지방족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알콜,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등의 유기-기재 용매일 수 있다. 이들은 메틸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백색 용제들, 알칸류, 시클로알칸류, 벤젠, 탄화수소 치환된 방향족 화합물들(예, 톨루엔, 크실렌 등), 이소파라핀 용매들 및 이들의 2 이상의 조합물들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물 또는 물-베이스 용액이 결합재 또는 수지와의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베이스 용액들은 물-알콜 혼합물들 등을 포함한다. 용매 또는 물은 충분히 휘발성이므로, 기판에 도포될 때, 용매는 증발하여 결합재 또는 수지, 안료(사용되는 경우) 및 임의의 기타 추가의 비휘발성 성분들을 남긴다.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성분들은 보습제들; 가소제들; 현탁 보조제들; 실리카 등의 틱소트로픽제들; 폴리실록산 화합물들 등의 무 추진 첨가제들; 난연 부가제들; 살생물제들; 거품 제거제들; 유동제들 등을 포함한다.
층들(110, 150, 160 및 165)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 액체 페인트 또는 코팅 조성물에 대한 안료 농도는 약 10 내지 약 30중량%, 일 실시예에서 약 13 내지 약 27중량% 범위일 수 있다. 결합재 또는 수지 농도는 약 20 내지 약 40중량%, 일 실시예에서 약 22 내지 약 37중량% 범위일 수 있다. 물 또는 유기 용매 농도는 약 30 내지 약 70중량%, 일 실시예에서 약 40 내지 약 60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보습제, 현탁제 등의 추가의 성분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농도, 예를 들면 약 5중량%에 이르고, 일 실시예에서 약 0.1 내지 약 5중량%의 농도로 제공될 수 있다. 층들(110, 150, 160 및 165)의 제조에 사용된 코팅 또는 페인트 조성물들은 약 5 내지 약 35% 범위, 일 실시예에서 10 내지 약 30% 범위의 안료 부피 농도(PVC)를 가질 수 있다. 필름 층들(110, 150, 160, 165 및 180)을 제조하기 이해 사용되는 액체 페인트 또는 코팅 조성물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혼합될 수 있다.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은 페인트의 단일 코트 또는 다중 코트들을 연속적인 층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인쇄된 장식적인 층들(150, 160 및 165)은 독립적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 층들의 형태일 수 있다. 층(110)에 대한 다중 코트들이 사용될 때, 각각의 코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층들(150, 160 및/또는 165)은 층(110)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층들(150, 160 및/또는 165)은 동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서로 상이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층(110)은 배경 컬러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층들(150, 160 및/또는 165)은 패턴 또는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들(150, 160 및/또는 165)은 가짜 마무리 또는 "래깅" 또는 "스폰징"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층들(150, 160 및/또는 165)은 1개 또는 다수의 컬러들을 갖는 목적하는 프린트 또는 디자인 이미지(예, 꽃 무늬 디자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자인들은 반복 디자인들 또는 랜덤한 비반복적 디자인들의 형태일 수 있다.
투명한 층 또는 필름층(140)은 단일 코팅층 또는 다수의 코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지 물질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코트들이 사용될 때, 각각의 코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투명층(140)이 압출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수지들의 특정 예들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염화 비닐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들을 포함한다. 투명층(140)은 주로 그것이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다는 사실로 인에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과 구별될 수 있다. 투명층(140)은 일 실시예에서 증진된 스커프 저항, 오염 저항 및/또는 건조 페인트 필름층 또는 그 아래 놓인 층들에 대한 재코팅 가능성을 제공한다. 증진된 재코팅 가능성은 투명층(140)의 존재가 다른 건조 페인트 필름층 또는 그 위에 인쇄된 장식적인 층의 후속 도포 또는 종래의 페인트 또는 그위의 월 커버링들(예, 벽지)의 도포를 고무시킨다.
지지체층(180)은 상기 결합재 또는 수지 물질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층은 용액 또는 에멀젼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아래 기재된 코팅 기술들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지지체층(180)이 압출될 수 있다. 지지체층(180)은 1개 이상의 상기 안료들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층(180)은 회색, 밝은 청색, 밝은 적색 등의 중성 컬러를 갖기에 충분한 안료를 함유한다. 지지체층(180) 중의 안료의 농도는 사용될 때, 약 10중량%까지, 일 실시예에서 약 6 내지 약 10중량% 범위일 수 있다.
층들(110, 140 및 180)은 외관 특성들(투명, 불투명 또는 착색된 필름), 내구성 및 가공 특성들과 같은 목적하는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독립적으로 무기 충전재들 또는 기타 유기 또는 무기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물질들의 예들은 탄산 칼슘, 이산화 티탄, 금속 입자들, 섬유들, 난연제들, 산화 방지제 화합물들, 열 안정제들, 광 안정제들, 자외선 안정제들, 안티블로킹제들, 가공 보조제들, 산 수용체들 등을 포함한다.
핵생성제들은 결정성을 증가시키고, 그에 의해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1개 이상의 층들(110, 140 또는 180)에 부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핵생성제들은 미네랄 핵생성제들 및 유기 핵생성제들을 포함한다. 미네랄 핵생성제들의 예들은 카본 블랙, 실리카, 카올린 및 활성을 포함한다. 유기 핵생성제들의 예는 지방족 일-염기 또는 이-염기산의 염들 또는 아릴알킬산들의 염들, 예를 들면 숙신산 나트륨, 글루타르산 나트륨, 카프로산 나트륨, 소듐 4-메탈발레에이트, 페닐 아세트산 알루미늄 및 신남산 나트륨을 포함한다. 방향족 및 알리시클릭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루미늄 염들, 예를 들면 벤조산 알루미늄, 벤조산 나트륨 또는 칼륨, 베타나프톨산 나트륨, 벤조산 리튬 및 3급-부틸 벤조산 알루미늄 역시 유용한 유기 핵생성제들이다. 치환된 소르비톨 유도체들, 예를 들면 비스(벤질리덴) 및 비스(알킬벤질리덴) 소르비톨들(여기서, 알킬기들은 약 2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들을 함유함)이 유용한 핵생성제들이다. 소르비톨 유도체들, 예를 들면 1,3,2,4-디벤질리덴 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벤질리덴 소르비톨 및 1,3,2,4-디-파라-메틸벤질리덴 소르비톨이 사용될 수 있다. 필름 형성 제형들 내로 혼입된 핵성제의 양들은 필름의 약 100 내지 약 6000ppm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핵생성제의 양은 약 1000 내지 5000 ppm 범위일 수 있다.
1개 이상의 층들(110, 140 및 180)은 층들(140 및/또는 180)에 대한 층들(110)의 접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최소량의 접착제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접착제 수지의 타이 층들은 층들(110, 및 140) 또는 층들(110 및 1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제 수지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예를 들면 상표명 Elvax 하에 DuPont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들일 수 있다. 상표명 Bynel 하에 DuPont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접착제 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들(110, 140 및/또는 180)은 실온에서 비스트레치성 및 비탄성이다.
접착제층(120)은 압력 감응성 접착제(PSA) 층, 습기 활성 접착제층 또는 열 활성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필름 기판들과 사용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압력 감응성, 습기 활성 또는 열 활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120)은 연속 또는 불연속 층의 형태일 수 있고, 하나의 접착제 또는 2개 이상의 접착제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일부 영역에서 비교적 강한 접착성 및 다른 영역에서 비교적 약한 접착성을 갖는 패턴화된 접착제층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층은 초기 택을 제공하고, 영구 결합을 형성하기 전에 배치 조절을 허용하도록 라미네이트의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페인트 필름층의 사용이 더 이상 바람직하지 않을 때 기판으로부터 건조 페인트 필름층의 고무된 스트리핑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층은 라미네이트가 기판에 도포될 때 기판의 경계들 너머로 제한된 양의 배출물 만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떠한 배출물도 생산되지 않는다. 접착제는 고무 베이스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비닐 에테르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이들의 2개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고온 용융된 용매-베이스 또는 물-베이스 접착제로서 도포될 수 있다. 유용한 접착제 물질들은 주성분으로서 접착성 중합체, 예를 들면 아크릴 타입 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천연, 재생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접착성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크릴 삼중 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에테르)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점착성 수지들, 가소제, 산화 방지제들, 충전재들, 왁스들 등의 기타 물질들이 접착제에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들은 다음 범주들: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들, α-올레핀 공중합체들, 실리콘 공중합체들, 클로로프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들 등에 기초한 것들 등의 랜덤 공중합체 접착제들; 선형 블록 공중합체들(즉, A-B 및 A-B-A 타입), 분지된 블록 공중합체들, 스타 블록 공중합체들, 그래프트 또는 방사상 블록 공중합체들 등에 기초한 것들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접착제들; 및 천연 및 합성 고무 접착제들로 분류될 수 있다. 유용한 압력 감응성 접착제들의 설명은 윌리-인터사이언스 발행(뉴욕, 1988)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제13권에서 발견할 수 있다. 유용한 압력 감응성 접착제들의 추가의 설명은 인터사이언스 발행(뉴욕, 1964)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제1권에서 발견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압력 감응성 접착제들은 HM-1597, HL-2207-X, HL-2115-X, HL-2193-X와 같이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소재 H.B. Fuller 컴퍼니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고온 용융 압력 감응성 접착제들을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압력 감응성 접착제들은 오하이오주 컬럼버스 소재 Century Adhesives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실리콘-베이스 PSAs, 고무-베이스 PSAs 및 아크릴-베이스 PSAs를 포함하는 종래의 PSAs가 유용하다. 고온 용융 접착제의 다른 상용 제품의 예는 위스콘신주 와우와투사의 Ato Findley, Inc.사가 판매하는 H2187-01이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239,478호(Harlan)에 기재된 고무 베이스 블록 공중합체 PSAs 역시 사용될 수 있고, 이 특허는 그러한 고온 용융 접착제들의 개시를 위한 참조 문헌으로서 본원에 인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들은 고무 베이스 탄성체 물질들, 예를 들면 디블록 구조물들 A-B, 트리블록 A-B-A, 방사상 또는 결합된 구조물들(A-B)n으로 나타낸 선형, 분지된, 그래프트 또는 방사상 블록 공중합체들 및 이들의 조합물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A는 실온에서 비고무질 또는 유리질 또는 결정질이지만 고온에서 유체인 경질 열가소성 상 또는 블록을 나타내고, B는 서비스 중에 또는 실온에서 고무질 또는 탄성인 소프트 블록을 나타낸다. 이들 열가소성 탄성체들은 고무질 세그먼트들의 약 75 내지 약 95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비고무질 세그먼트들의 약 5 내지 약 2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비고무질 세그먼트들 또는 경질 블록들은 모노- 및 폴리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들의 중합체들, 보다 상세하게는 본래 모노시클릭 또는 바이시클릭일 수 있는 비닐-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들을 포함한다. 고무질 블록들 또는 세그먼트들은 전형적으로 지방족 콘쥬게이트된 디엔들의 단독 중합체들 또는 공중합체들의 중합체 블록들이다. 고무질 물질들, 예를 들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들은 고무질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고무질 세그먼트들은 폴리디엔류 및 에틸렌/부틸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들의 포화된 올레핀 고무들을 포함한다. 후자의 고무들은 대응하는 불포화된 폴리알킬렌 잔기들, 예를 들면 그의 수소 첨가에 의한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이소프렌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들 및 콘쥬게이트된 디엔들의 블록 공중합체들은 탄성 특성들을 나타내는 것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블록 공중합체들은 디블록, 트리블록, 멀티블록, 스타블록, 폴리블록 또는 그래프트블록 공중합체들일 수 있다. 본원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 전반에서, 블록 공중합체들의 구조적 특징들에 관련하여 디블록, 트리블록, 멀티블록, 폴리블록 및 그래프트 또는 그래프트된-블록이라는 용어들은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제2권(1985) 뉴욕 소재 존 윌리 & 선즈 인크, 제325-326페이지 및 J.E. McGrath의 Block Copolymers, Science Technology, Dale J. Meier, 편집, 하우드 아카데믹 발행, 1979, 페이지 1-5 등의 문헌에 정의된 바의 통상의 의미로 주어져야 한다.
그러한 블록 공중합체들은 약 40중량%에 이르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것들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들에 대한 콘쥬게이트된 디엔들의 여러 가지 비율들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형 또는 방사 대칭성 또는 비대칭성이고, 식들 A-B, A-B-A, A-B-A-B, B-A-B, (AB)0,1,2...BA 등으로 나타낸 구조들을 갖는 멀티-블록 공중합체들이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A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중합체 블록 또는 콘쥬게이트된 디엔/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테이퍼된 공중합체 블록이고, B는 콘쥬게이트된 디엔의 고무질 중합체 블록이다.
블록 공중합체들은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251,905호; 동 제3,390,207호; 동 제3,598,887호; 및 동 제4,219,627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량체의 순차적인 부가, 단량체의 증가하는 부가 또는 커플링 기술들을 포함하는 잘 공지된 블록 중합 또는 공중합 공정들 중의 임의의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잘 공지된 바와 같이, 테이퍼된 공중합체 블록들은 이들의 공중합 반응성 속도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콘쥬게이트된 디엔과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공중합함으로써 멀티-블록 공중합체들로 혼입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251,905호; 동 제3,639,521호; 및 동 제4,208,356호를 포함하는 여러 특허들이 테이퍼된 공중합체 블록들을 함유하는 멀티-블록 공중합체들의 제법을 개시하고, 그의 개시 내용을 참고 문헌으로서 본원에 인용한다.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콘쥬게이트된 디엔들은 4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 및 보다 일반적으로, 4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들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그 예들은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클로로프렌,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등을 포함한다. 이들 콘쥬게이트된 디엔들의 혼합물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콘쥬게이트된 디엔들은 이소프렌 및 1,3-부타디엔이다.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들의 예들은 스티렌 및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터트-부틸스티렌, 1,2-디메틸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베타-메틸스티렌, p-이소프로필스티렌, 2,2-디메틸스티렌, o-클로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o-브로모스티렌, 2-클로로-4-메틸스티렌 등의 여러 가지 치환된 스티렌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는 스티렌이다.
콘쥬게이트된 디엔들 및 비닐 방향족 화합물들의 상기 공중합체들의 다수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수소 첨가 전의 블록 공중합체들의 수평균 분자량은 약 20,000 내지 약 500,000, 바람직하게는 약 40,000 내지 약 300,000이다.
공중합체들 내의 개별 블록들의 평균 분자량들은 특정 한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비닐 방향족 블록은 약 2000 내지 약 125,000, 바람직하게는 약 4000 내지 60,000 정도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것이다. 수소 첨가 전사나 후에 콘쥬게이트된 디엔 블록들은 약 10,000 내지 약 4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000 내지 150,000 정도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것이다.
또한, 수소 첨가 전에, 콘쥬게이트된 디엔 부분의 비닐 함량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약 80%이고, 비닐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65%이고, 특히 개질된 블록 공중합체가 고무질 탄성을 나타낼 때 35% 내지 55%이다. 블록 공중합체의 비닐 함량은 핵 자기 공명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디블록 공중합체들의 특정 예들은 스티렌-부타디엔(SB), 스티렌-이소프렌 (SI) 및 이들의 수소 첨가된 유도체들을 포함한다. 트리블록 중합체들의 예들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알파-메틸스티렌-부타디엔-알파-메틸스티렌 및 알파-메틸스티렌-이소프렌 알파-메틸스티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들로서 유용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블록 공중합체들의 예들은 Shell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하고, 다음 표 II에 열거된다.
표 II
Kraton 유형 스티렌/고무 비율(w) 용융 지수
D1101 선형 SBS 31/69 <1
D1107P 선형 SIS 15/85 11
D1111 선형 SIS 22/78 3
D1112P 선형 SIS 15/85 23
D1113P 선형 SIS 16/84 24
D1117P 선형 SIS 17/83 33
D1320X 멀티-arm(SI)n 10/90 NA
벡터4111은 텍사스주 휴스턴의 Dexco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SIS 블록 공중합체이다.
1,4 및 1,2-아이소머들이 혼합물의 고무질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SBS 공중합체들의 수소 첨가에 따라, 스티렌-에틸렌-부틸렌 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SIS 중합체의 수소 첨가는 스티렌-에틸렌 프로필렌-스티렌 (SEPS) 블록 공중합체를 생산한다.
블록 공중합체들의 선택적인 수소 첨가는 Raney 니켈, 귀금속들, 예를 들면 백금, 팔라듐 등의 촉매들 및 가용성 전사 금속 촉매들의 존재 하의 수소 첨가를 포함하는 각종의 잘 공지된 공정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수소 첨가 공정들은 디엔-함유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시클로헥산 등의 불활성 탄화수소 희석제 중에 용해되고, 가용성 수소 첨가 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와의 반응에 의해 수소 첨가된 것들이다. 그러한 공정들은 미합중국 특허 제3,113,986호 및 동 제4,226,952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의 개시 내용을 본원에 참조 문헌으로서 인용한다. 블록 공중합체들의 그러한 수소 첨가는 이 수소 첨가 전의 이들의 원시 불포화 함량이 약 0.5% 내지 약 20%인 폴리디엔 블록 중의 잔류 불포화 함량을 갖는 수소 첨가된 공중합체들을 선택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정도까지 어떤 방식으로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콘쥬게이트된 디엔은 적어도 90% 포화되고, 보다 자주 적어도 95% 포화되지만, 비닐 방향족 부분은 현저히 수소 첨가되지 않는다. 유용한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들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들의 수소 첨가된 제품들을 포함한다.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수소 첨가될 때, 중합체 중의 1,4-폴리부타디엔에 대한 1,2-폴리부타디엔 비율은 약 30:70 내지 약 7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블록 공중합체가 수소 첨가될 때, 결과의 제품은 에틸렌 및 1-부텐(EB)의 규칙적인 공중합체 블록들을 닮는다. 콘쥬게이트된 디엔이 이소프렌으로 사용되었을 때, 결과의 수소 첨가된 제품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EP)의 규칙적인 공중합체 블록을 닮는다.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들의 수는 일반 상표명 "Kraton G"하에 Shell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일 예는 약 30중량%의 스티렌 말단 블록들을 포함하는 수소 첨가된 SBS 트리블록 및 에틸렌과 1-부텐(EB)의 공중합체인 미드블록인 Kraton G1652이다. G1652의 저분자량 버전은 상표명 Kraton G1650 하에 Shell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Kraton G1651은 약 33중량%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다른 SEBS 블록 공중합체이다. Kraton G1657은 약 13중량%의 스티렌을 함유하는 SEBS 디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스티렌 함량은 Kraton G1650 및 Kraton G1652에서 스티렌 함량보다 낮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는 다음 식을 갖는다
Bn(AB)oAp
여기서, n은 0 또는 1; o는 1 내지 100; p는 0 또는 1이고; 수소 첨가 전의 각각의 B는 우세하게 약 20,000 내지 약 45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되고 콘쥬게이트된 디엔 탄화수소 블록이고; 각각의 A는 우세하게 약 2000 내지 약 11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이고; A 블록들은 공중합체의 약 5중량% 내지 약 95중량%를 구성하고; 블록 B의 불포화는 원시 불포화의 약 10% 미만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블록 B의 불포화는 수소 첨가에 따라 원시 값의 5% 미만까지 감소되고,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의 평균 불포화는 그의 원시 값의 20% 미만까지 감소된다.
블록 공중합체들은 알파, 베타-올레핀에 의해 불포화된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시약을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들의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들 및 상기한 바의 콘쥬게이트된 디엔들 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바의 관능화된 중합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래프트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카르복실산 시약 사이의 반응은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 용융 공정에 의해서 또는 용액들 중에서 실시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 시약으로 그래프트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들과 콘쥬게이트된 디엔들의 여러 가지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들의 제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4,578,429호; 동 제4,657,970호; 및 동 제4,795,782호를 포함하는 많은 특허들에 개시되어 있고, 콘쥬게이트된 디엔들 및 비닐 방향족 화합물들의 그래프트되고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들 및 그러한 화합물들의 제법에 관련한 이들 특허들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서 인용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795,782호는 용액 공정 및 용융 공정에 의해 그래프트된 블록 공중합체들의 제법의 예들을 개시하고 제공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78,429호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 중의 용융 반응에 의해 말레산 무수물 및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에 의한 Kraton G1652(SEBS)의 그라프팅의 예를 포함한다.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말레인화되고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된 공중합체들의 예들은 Shell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Kraton FG1901X, FG1921X, 및 FG1924X를 포함하고, 종종 말레인화되고 선택적으로 수소 첨가된 SEBS 중합체들이라 칭한다. FG1901X는 숙신산 무수물로서 약 1.7%중량 바운드 관능성 및 약 28중량% 스티렌을 함유한다. FG1921X는 숙신산 무수물로서 약 1%중량 바운드 관능성 및 약 29중량% 스티렌을 함유한다. FG1924X는 약 13% 스티렌 및 숙신산 무수물로서 약 1% 바운드 관능성을 함유한다.
유용한 블록 공중합체들은 또한 일본국 도쿄 치요다구 마루노치 2-1 소재 Nippon Seon Co.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Quintac 3530은 Nippon Zeon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고, 선형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으로 믿어진다.
접착제 조성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수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고형 점착제는 80℃ 이상의 연화점을 갖는 것으로서 본원에 정의된다. 고형 점착제 수지 성분이 존재할 때, 접착제 조성물들은 열가소성 탄성체 성분의 약 40 내지 약 80중량% 및 약 20 내지 약 60중량%, 일 실시예에서 고형 점착제 수지 성분의 약 55 내지 약 6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고형 점착제는 택 또는 접착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혼합물의 모듈러스를 감소시킨다. 또한, 고형 점착제들(특히, 고분자량 고형 점착제들(예, 약 2000이상의 Mw) 및 낮은 분산성을 갖는 것들(Mw/Mn=약 3 미만))이 감응성이 적어 중합체 필름층 내로 이동하고, 필름층(110 또는 180) 내로 점착제의 이동이 치수적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바람직하다.
고형 점착제 수지들은 탄화수소 수지들, 로진, 수소 첨가된 로진, 로진 에스테르들, 폴리테르펜 수지들 및 적절한 밸런스 특성들을 나타내는 다른 수지들을 포함한다. 각종 유용한 고형 점착제 수지들은 Arizona Chemical Company사가 상표명 Zonatac 하에 판매하는 테레펜 수지들 및 Exxon Chemical Company사가 상표명 Escorez 하에 판매하는 수지와 같은 석유 탄화수소 수지들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유용한 고형 점착제의 하나의 특정 예는 2100의 Mw 및 2.69의 분산성(Mw/Mn)을 갖는 C5-C9(방향족 개질된 지방족) 합성 점착제인 Escorez 2598이다. 다른 유용한 고형 점착제는 Escorez 1310LC이고, 1350의 Mw 및 1.8의 분산성을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로서 식별된다. Wingtack 95는 주로 피페릴렌 및 이소프렌으로부터 유도된 중합된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Goodyear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합성 점착제 수지이다.
동시 압출되어야 하는 접착제 혼합물의 모듈러스는 액체 고무들, 즉, 실온에서 액체인 고무들을 혼입시킴으로써 저하될 수 있다. 액체 고무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5,000의 Mw를 갖고, 보다 종종 적어도 20,000의 Mw를 가질 것이다. 접착제 제형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10중량% 미만, 심지어 5중량% 미만의 양의 액체 고무를 혼입시키는 것은 중합성 필름 물질들과 동시 압출될 수 있는 접착제들을 초래한다. 액체 고무의 혼입은 증가된 택 및 접착성을 갖는 접착제를 생산할 수 있다. 액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들 등의 액체 블록 공중합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들은 Shell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Kraton LVSI-101을 포함한다. 다른 예는 고분자량 폴리이소프렌의 해중합에 의해 얻어진 액체 폴리이소프렌이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해중합된 고분자량 폴리이소프렌의 예는 뉴저지주 벨레빌 소재 Elementis Performance Polymers사의 D-400이고, 이러한 액체 고무는 약 20,000의 Mw를 갖는다. 접착제 혼합물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다른 액체 고무들은 액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들, 액체 부타디엔 고무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들 등을 포함한다.
접착제층(120)은 그 위로 놓이는 페인트 필름층들의 불투명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1개 이상의 안료들을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한 불투명 레벨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박막의 페인트 필름 층들의 사용을 허용한다. 상기 식별된 안료들 중의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들은 이산화 티탄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안료 부피 농도는 약 10%에 이르기까지, 일 실시예에서 약 5 내지 약 10%, 일 실시예에서 약 2 내지 약 8% 범위일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들은 또한 산화 방지제들, 열 및 빛 안정제들, 자외선 흡수제들, 충전재들, 착색제들, 블로킹 방지제들, 강화제들, 가공 보조제들 등의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장해된 페놀 및 아민 산화 방지제 화합물들이 접착제 조성물들에 포함될 수 있고, 광범위한 그러한 산화 방지제 화합물들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각종 산화 방지제들은 일반적인 상표명 "Irganox" 및 "Irgafos" 하에 Ciba-Geigy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체 장해된 페놀 산화 방지제 n-옥타데실 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프리오네이트는 상표명 "Iranox 1076" 하에 입수할 수 있다. Iranox 1010은 테트라키스(메틸렌 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프리오네이트)메탄으로서 식별된다. Irgafos 168은 Ciba-Geigy사의 다른 유용한 산화 방지제이다. 하이드로퀴논-베이스 산화 방지제들 역시 이용될 수 있고, 그러한 산화 방지제의 하나의 예는 2,5-디-tertiary-아밀-하이드로퀴논이다. 빛 안정제들, 열 안정제들 및 UV 흡수제들 역시 접착제 조성물들에 포함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들은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들, 히드록시벤질페논들, 벤조산의 에스테르들, 옥살산, 디아미드들 등을 포함한다. 광 안정제들은 입체 장해된 아민 빛 안정제들을 포함하고, 열 안정제들은 아연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등의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조성물들을 포함한다.
접착제 조성물들은 목적하는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무기 충전재들 및 기타 유기 및 무기 부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유용한 충전재들의 예들은 탄산 칼슘, 이산화 티탄, 금속 입자들, 섬유들 등을 포함한다. 유용한 말단-블록 강화제의 예는 Neville Resins사의 Cumar LX509이다.
배리어층(190)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들 또는 공중합체들, 폴리비닐 알콜,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들,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 알콜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은 폴리비닐 알콜, 우레탄, Cymel 385(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로서 식별되는 Cytec사 제품) 및 폴리아지리딘(예, 트리메톨-트리스 N(메틸 아지리디닐)프로프리오네이트로서 식별되고, Avecia Resins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우레탄에 대한 폴리비닐 알콜의 중량비는 약 20:80이다. 배리어층은 기판으로부터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가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내로 도포되기까지 염료들 또는 안료들 및 기타 물질들의 이동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예들은 배리어층(19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코팅 조성물들을 예시한다.
중량%
배리어층 1호
Elvacite 2042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0
공중합체로서 식별되는 Ineos사 제품)
톨루엔 48
메틸 에틸 케톤 32
배리어층 2호
Adcote 61WG178 (아크릴 중합체의 용액으로서 0.10
식별되는 Rohm & Haas사 제품)
Syloid 234 (합성 무정형 실리카로서 식별되는
Grace Davison사 제품)
N-프로판올 44.35
배리어층 3호
Adcote 61WG178 74.07
N-프로판올 25.83
Syloid 234 0.10
배리어층 4호
Adcote 61WG178 55.55
N-프로판올 44.35
Syloid 234 0.10
Desmodur CB 75N (올리고머 톨루엔 0.44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식별되는 Bayer사 제품)
배리어층 5호
Adcote 61WG178 74.07
N-프로판올 25.83
Syloid 234 0.10
Desmodur CB 75N 0.44
배리어층 6호
Adcote 61WG178 58.0
R-900 TiO2 (금홍석 이산화 티탄으로서 15.00
식별되는 DuPont사 제품)
N-프로판올 24.00
이소부탄올 3.00
배리어층 7호
Adcote 61WG178 58.00
R-900 TiO2 15.00
N-프로판올 24.00
이소부탄올 3.00
Desmodur CB 75N 0.44
배리어층 8호
Air Vol 523(폴리비닐 알콜로서 식별되는 5.0
Air Products사 제품)
N-프로판올 25.83
Syloid 234 0.10
물 47.5
이소프로판올 47.5
뒤대기 라이너들(132 및 172)은 독립적으로 페이퍼, 중합체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뒤대기 라이너들은 일 실시예에서 실온에서 열적으로 안정하고, 비탄성이고, 비스트레치성이다. 페이퍼 라이너들은 이들이 사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용도들 때문에 유용하다. 페이퍼는 또한 비교적 고가이고 블로킹 방지성, 정전기 방지성, 치수 안정성 등의 바람직한 특성들을 갖고, 잠재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종래의 페이퍼 코팅 및 취급 장치에서 다루어져야 할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는 임의의 유형의 페이퍼가 뒤대기 라이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유형의 페이퍼가 최종 용도 및 특정한 개인의 기호에 좌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페이퍼의 유형에는 점토 코팅된 페이퍼, 글래신, 중합체 코팅된 페이퍼, 대마, 및 소다, 아황산염 또는 황산염(크라프트) 공정들, 중성 황화물 쿠킹 공정들, 알칼리-염소 공정들, 아질산 공정들, 반-화학적 공정들 등의 공정들에 의해 제조된 유사한 셀룰로스 물질들이 포함된다. 임의의 중량의 페이퍼가 뒤대기 라이너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1연(ream)당 약 30 내지 약 120파운드 범위의 중량을 갖는 페이퍼가 유용하고, 1연당 약 60 내지 약 100 파운드 범위의 중량을 갖는 페이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연(ream)"이라는 용어는 3000 제곱 피트와 동일하다.
대안으로, 뒤대기 라이너들(132 및 172)은 독립적으로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중합체 필름들의 예들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물들을 의미한다. 폴리올레핀 필름들은 분자당 2 내지 약 12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고, 일 실시예에서 2 내지 약 8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고, 일 실시예에서 2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모노올레핀들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단독 중합체들의 예들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등을 포함한다. 공중합체들의 블렌드들 또는 공중합체들과 단독 중합체들의 블렌드들로부터 제조된 필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필름들은 모노 또는 다중층들에서 압출될 수 있다.
뒤대기 라이너들(132 및 172)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물질은 중합체 코팅에 의해 측측 또는 양쪽 측이 코팅된 크라프트 라이너로 기본적으로 구성된 폴리코팅된 크라프트 라이너이다. 고밀도, 중간 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기타 유사한 중합체 필름들로 구성될 수 있는 중합체 코팅은 라이너에 강도 및/또는 치수 안정성을 부가하기 위해 기판 표면 상으로 코팅된다. 이들 유형의 라이너들의 중량은 1연당 약 30 내지 약 100파운드 범위이고, 1연당 약 94 내지 약 100파운드가 유용하다. 전체적으로, 최종 뒤대기 라이너(132)는 약 10% 내지 약 40%의 중합체 및 약 60% 내지 약 90%의 페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측 코팅을 위해, 중합체의 정량은 페이퍼의 상단과 하단 표면 사이에서 거의 균일하게 분할될 수 있다.
뒤대기 라이너들(132 및 172)은 일 실시예에서 이들이 기판에 라미네이트를 도포함에 따라 제거될 때까지 라미네이트에 구조적 통합성을 제공한다. 이들 라이너들 중의 하나 또는 둘을 사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들에 의해 반강성 또는 강화 뒤대기 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방출 코팅층(135)은 방출 코팅 물질의 단일 코트 또는 다중 코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코트들이 사용될 때, 각각의 코트는 동일한 제형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제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출 코팅층(135)은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동안 및 그러한 라미네이트를 다루는 동안 필름층(110, 140 또는 165)으로부터 방출 코팅층(135)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도 1 또는 6-8), 투명한 필름층(140)(도 3-5) 또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165)(도 9)과 방출 코팅층(135) 사이에 충분한 택 또는 접착성을 제공하지만, 라미네이트를 사용할 때 방출 코팅층(135)과 층들(110, 140 또는 165) 사이의 고무된 분리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방출 특성들을 갖는 상기 결합재들 또는 수지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출 코팅층(135)은 멜라민 수지와 가교된 알키드 수지 및/또는 비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키드 수지들은 1개 이상의 다가 알콜들과 1개 이상의 다염기산 또는 무수물들과의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들을 포함한다. 다가 알콜들은 글리콜을 포함하고, 다염기산 또는 무수물들은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다염기산이 아크릴산 또는 식물성 오일 지방산 등의 일염기산으로 부분 치환된 개질된 알키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닐 수지들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염화 비닐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들, 아크릴 수지들, 메타크릴산 수지들, 폴리스티렌 수지들 등을 포함한다. 멜라민 수지들은 메틸렌 브리지들을 제공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화합물과 멜라민의 축합에 의해 제조된 아미노 수지들을 포함한다. 알키드 및/또는 비닐 수지와 멜라민 수지의 교차 결합은 전형적으로 방출 코팅(135)이 뒤대기 라이너에 도포되고 건조 또는 경화될 때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출 코팅은 고형분 베이스로 0 내지 약 80중량%, 일 실시예에서 약 10 내지 약 30중량% 알키드 수지; 0 내지 약 80중량%, 일 실시예에서 약 10 내지 약 30중량% 비닐 수지; 및 약 10 내지 약 30중량%, 및 일 실시예에서 약 20 내지 약 25중량%의 멜라민 수지를 포함한다.
방출 코팅층(135)은 무광택 또는 편평한 마무리를 갖는 층들(110, 140 또는 165)을 제공하도록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의 표면(114), 투명한 필름층(140) 또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165)의 표면(141) 내로 돌출하는 1개 이상의 고체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자들이 존재할 때, 방출 코팅층(135)은 무광택 방출 코트 또는 무광택 방출층이라 언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입자들은 페인트 필름층들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충전재 안료들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불규칙적인 형상들(예, 혈소판 형상들)을 갖는 입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입자들의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건조 페인트 필름층, 투명한 필름층 또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의 표면 마무리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입자들을 사용함으로써, 건조 페인트 필름층, 투명한 필름층 또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은 편평하거나 또는 반광택 마무리를 구비할 수 있다. 페인트 필름층, 투명한 필름층 또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은 이들 입자들을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그들의 사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광택있는 마무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지 또는 결합재에 대한 입자들의 중량비는 약 1.1:1, 일 실시예에서 약 0.7:1 내지 약1.1:1, 일 실시예에서 약 0.7:1 내지 약 0.9:1, 일 실시예에서 약 0.9:1 내지 약 1.1:1 범위일 수 있다.
방출 코팅층들(136 및 176)은 독립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출 코팅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방출 코팅 조성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방출 코팅 조성물들은 전형적으로 폴리오르가노실록산들,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실리콘 방출 코팅 조성물은 실온 경화될 수 있건, 열적으로 경화될 수 있거나, 또는 방사선 경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온 및 열적으로 경화될 수 있는 조성물들은 그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들)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적어도 하나의 촉매(또는 경화제)를 포함한다. 이들 조성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경화 가속제 및/또는 접착성 촉진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부 물질들은 두 기능들을 수행하는 능력, 즉,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경화 온도를 감소시키는 경화 가속제로서 작용하고, 또한 기판에 대한 실리콘 조성물의 결합을 개선시키기 위한 접착성 촉진제로서 작용하는 능력을 갖는다. 적절한 경우 그러한 이중 기능 부가제들의 사용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9에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투명한 필름층(140) 또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165)으로부터 방출 코팅층(135)을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방출력은 접착제층(120)으로부터 방출 코팅층(136)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보다 더 큰 것이 유리하다.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으로부터 방출 코팅층(135)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은 접착제층(120)으로부터 방출 코팅층(176)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보다 더 큰 것이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투명한 필름층(140) 또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165)으로부터 방출 코팅층(135)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은 2인치당 약 20 내지 180그램(g/2in), 일 실시예에서 30 내지 약 150g/2in, 일 실시예에서 40 내지 약 120g/2in, 일 실시예에서 50 내지 약 100g/2in, 일 실시예에서 50 내지 약 90g/2in, 일 실시예에서 70 내지 약 90g/2in, 일 실시예에서 50 내지 약 65g/2in 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층(120)으로부터 방출 코팅층(136 또는 176)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은 10 내지 약 150g/2in, 일 실시예에서 20 내지 약 150g/2in, 일 실시예에서 20 내지 약 90g/2in, 일 실시예에서 30 내지 약 150g/2in, 일 실시예에서 30 내지 약 100g/2in, 일 실시예에서 30 내지 약 70g/2in 범위이다. 이들 방출력들을 결정하는 시험 방법은 층들(110, 140 또는 165)로부터 또는 접착제 코팅된 기판으로부터 2인치 폭의 방출 코팅된 라이너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방출력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단 방출 코팅된 라이너는 그 층 또는 기판에 상대적으로 90˚각도로 확장하고 분당 300인치의 속도로 당겨진다. 시험은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층들(135, 136, 140, 176, 180 및 190) 각각은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도포되고 건조 및/또는 경화될 수 있다. 도포 기술들은 그라비어, 역 그라비어, 오프셋 그라비어, 롤 코팅, 브러슁, 나이프-오버 롤, 계측 막대, 역 롤 코팅, 독터 나이프, 디핑, 다이 코팅, 슬롯 다이 코팅, 분무, 커튼 코팅, 슬라이드 코팅, 슬라이드 커튼 코팅, 압출, 동시-압출, 철판 인쇄, 레터 프레스, 회전 스크린, 편평 스크린, 등을 포함한다. 장식적인 층들(150, 160 및 165)은 그라비어, 철판 인쇄, 실크 스크린, 잉크 제트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인쇄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도포된 층들은 이온화 또는 화학선 비이온성 방사선의 공지된 형태들에 또는 열에 노출됨으로써 건조 및/또는 경화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건조 또는 경화 온도들은 약 115℃ 내지 약 160℃, 일 실시예에서 약 140℃ 내지 약 150℃ 범위일 수 있다. 유용한 유형의 방사선은 자외선 및 전자 빔을 포함한다. 이들 형태의 열 또는 방사선을 발생시키고, 건조 및/또는 경화시키는 장비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층들(110 및 120) 뿐만 아니라 층들(140 및 180) 중의 하나가 압출될 수 있다. 층들(110 및/또는 180)은 접착제층(120)과 동시 압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층(180)은 접착제층(120)과 동시 압출될 수 있다.
층들(110, 140 또는 180) 각각은 독립적으로 단일층 필름 또는 2개 이상의 인접한 동시 압출된 층들의 다중층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들(110, 140 또는 180)은 1층의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EVA)의 공중합체의 블렌드의 1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층들(110, 140 또는 180)은 3개의 층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의 베이스 또는 코어층,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중합체 블렌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베이스 또는 코어층의 두 측 내의 스킨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 또는 지지체층(180)은 도 11에 예시된 바의 별개의 압출기들 또는 도 12에 예시된 바의 이중 다이 압출기를 사용하여 접착제층(120)과 동시 압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형 라이너(200)는 롤(240)로부터 똬리가 풀리고, 접착제층(120)으로 코팅된 경우 지난 압출 다이(210)로 진행되고, 이어서 지지체층(180)이 접착제층(120) 상으로 코팅된 경우 지난 압출 다이(220)로 진행된다. 결과의 동시 압출물은 수집 롤(250)에 의해 지시된 바의 롤 형태로 수집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형 라이너(200)는 접착제층(120) 및 지지체층(180)으로 이형 라이너(200)를 동시에 코팅하는 지난 이중 압출 다이(230)로 진행된다. 결과의 동시 압출물은 수집 롤(250)로 지시된 바의 롤 형태로 수집된다. 목적하는 정량의 동시 압출물이 제조되었을 때, 수집 롤(250)은 공정에서 제거되고,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지리적 위치에서 별개의 오퍼레이션 동안 후속 프로세싱(예, 코팅, 인쇄 등)을 위해 저장됨으로써, 증진된 제조 융통성을 제공한다. 대안으로, 수집되기보다는 오히려, 동시 압출물들이 동일한 제조 오퍼레이션 동안 코팅, 인쇄 등을 위해 루팅될 수 있다.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은 상기 공정에 따라 접착제층(120)과 동시 압출될 수 있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 및 필름 형성층 모두를 기판에 도포하는데 유용한 다중-다이 도포 방법은 공개된 PCT 국제 출원 제PCT/US95/11807호; 동 제PCT/US95/11733호; 동 제PCT/US95/11734호; 및 동 제PCT/US95/11717호에 추가로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 문헌으로서 본원에 인용한다. 동시 압출된 중합체 필름 물질들 및 접착제 조성물들은 깨끗할 수 있고, 이들은 에멀젼들 또는 용매-베이스일 수 있다. 에멀젼 및 용매-베이스 아크릴 베이스 PSAs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5,639,811호 및 동 제5,164,444호 각각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특허를 그의 개시 내용들에 대해 참고 문헌으로서 본원에 인용한다. 필름 물질들 및/또는 접착제 조성물들의 에멀젼들이 사용될 때, 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5,716,669호(LaRose 등)에 기재되고 특허 청구된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압출기 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시 압출된 필름 물질들 및 접착제들은 물 및/또는 용매들이 실질적으로 없는 (예, 약 1중량% 미만) 조성물들이다. 동시 압출 공정 동안 물 또는 용매들의 존재는 동시 압출된 필름에서 핀홀들 및 버블들을 초래할 수 있다. 스팀으로 인한 필름 내의 공극들의 존재는 "습기 슬릿들"이라 칭할 수 있다.
중합성 필름 물질 및 접착제가 동시 압출될 때, 중합성 필름 물질 및 접착제의 고온 용융 점도는 동시 압출 공정 동안 중합성 필름 물질 및 접착제의 뒤섞임 및 필름 결함들을 피하기 위해 중합성 필름 물질 및 접착제의 연속적이고 균일한 동시 압출물들을 생산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점성 범위 내일 수 있다. 중합성 필름 물질은 동시 압출 공정 동안 발생한 전단 속도에서 접착제의 고온 용융 점도의 약 0.07배 내지 약 15배의 인자 내인 고온 용융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전단 속도들은 약 100sec-1 내지 10,000 sec-1 범위일 수 있다. 그 인자는 약 1 내지 약 15, 일 실시예에서 약 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또한 중합성 필름 물질 및 접착제는 압출 온도에서 비교적 유사한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접착제가 종래의 고온 용융 접착제일 때, 접착제의 압출 온도들은 약 150℃ 내지 약 200℃, 일 실시예에서 약 175℃ 내지 약 200℃ 범위일 수 있다. 접착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중합성 필름 물질은 약 200℃ 이하의 압출 온도, 일 실시예에서 약 150℃ 내지 약 180℃ 범위의 압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는 상기 도포 기술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132)의 하위 표면(134)에 방출 코팅(136)을 도포하고, 이어서 방출 코팅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방출 코팅층(136)에 대한 코트 중량은 제곱 미터당 약 0.1 내지 약 1그램(gsm), 일 실시예에서 약 0.25 내지 약 0.35gsm 범위일 수 있다. 이어서, 방출 코팅층(135)은 상기 지시된 도포 기술들(예, 그라비어)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132)의 상부 표면(133)에 도포되고, 이어서, 건조 또는 경화된다. 방출 코팅층(135)의 코트 중량은 약 2.5 내지 약 6.5gsm, 일 실시예에서 약 4.5 내지 약 5.5gsm 범위일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을 형성하기 위한 액체 페인트 또는 코팅 조성물은 상기 지시된 도포 기술들(예, 역 롤 또는 슬롯 다이)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방출 코팅층(135)의 표면에 도포되고, 이어서 건조 또는 경화된다.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의 코트 중량은 약 20 내지 약 60gsm, 일 실시예에서 약 30 내지 약 40gsm 범위일 수 있다. 1개 이상의 코트들이 도포될 수 있다. 이어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이 상기 지시된 도포 기술들(예, 슬롯 다이)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의 상부 표면(112)에 도포되고, 이어서 건조 또는 경화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가 전사 라미네이션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에 대한 코트 중량은 약 10 내지 약 30gsm, 일 실시예에서 약 11 내지 약 17gsm 범위일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는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의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A)는 투명한 필름층(140)이 방출 코팅층(135)의 표면에 도포되고, 이어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의 도포 전에 건조 또는 경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라미네이트(100)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은 투명한 필름층(140)의 표면에 도포된다. 투명한 필름층(140)은 상기 도포 기술들(예, 그라비어)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투명한 필름층(140)에 대한 코트 중량은 약 1 내지 약 5gsm, 일 실시예에서 약 2.5 내지 약 3.5gsm 범위일 수 있다. 1개 이상의 코트들이 도포될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A)가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의 롤 내로 감길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B)는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을 형성하기 위한 액체 페인트 조성물이 투명한 필름층(140)의 표면에 도포되고, 이어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의 도포 전에 경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라미네이트(100A)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은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의 표면에 도포된다.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은 상기 인쇄 기술들(예, 그라비어, 철판 인쇄, 실크 스크린, 잉크 제트 등)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한 코트 중량은 약 0.3 내지 약 2gsm, 일 실시예에서 약 0.3 내지 약 0.7gsm 범위일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B)가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의 롤 내로 감길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C)는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을 형성하기 위한 액체 페인트 조성물이 투명한 필름층(140)의 표면에 도포되고, 이어서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의 도포 전에 건조 또는 경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라미네이트(100B)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은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의 표면 위로 도포된다.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은 상기 인쇄 기술들(예, 그라비어, 철판 인쇄, 실크 스크린, 잉크 제트 등)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에 대한 코트 중량은 약 0.3 내지 약 2gsm, 일 실시예에서 약 0.3 내지 약 0.7gsm 범위일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C)가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의 롤 내로 감길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D)는 이형 라이너(170)가 접착제층(120)과 접촉하는 방출 코팅층(176)에 의해 접착제층(120)에 접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E)는 지지체층(180)이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에 접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지지체층(180)은 접착제층(120)과 동시 압출될 수 있고, 이어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은 지지체층(180) 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예, 그라비어). 이어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E)는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의 롤 내로 감길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F)는 배리어층(190)이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상에 코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F)는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의 롤 내로 감길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G)는 지지체층(180)이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에 접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지지체층(180)은 접착제층(120)과 동시 압출될 수 있다. 인쇄된 장식적인 층들(150, 160 및 165)은 순차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어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G)는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의 롤 내로 감길 수 있다.
도 10에 예시된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H)는 라미네이트(100C)에 사용된 이형 라이너가 제거되고, 이형 라이너(170) 및 수반되는 이형 라이너가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예시된 라미네이트(100C)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및 접착제층(120)은 이형 라이너(170)의 방출층(176) 상으로 동시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는 단일 생산 라인 또는 다수의 생산 라인드 또는 다수의 생산 설비들에서 제조될 수 있다. 다수의 생산 라인들 또는 설비들에 의해, 라미네이트의 일부는 롤 라미네이트로서 생산되고, 건조 또는 경화되고, 롤 업되고, 다음 생산 라인 또는 설비로 전송되고, 풀려지고, 추가의 층들의 도포에 의해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및 접착제층(120)은 다수의 라인들에서 침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단일 라인 중에 순차로 침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동시 압출 또는 멀티-다이 코팅 방법들에 의해 동시에 침착될 수 있다. 단일 생산 라인에서의 생산은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비교적 박막의 미묘한 필름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여분의 핸들링, 저장, 및 수송 단계들을 피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는 도 2에 예시된 롤로부터 라미네이트를 풀어내고, 동시에 커버되어야 하는 기판(예, 벽)에 라미네이트를 도포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기판은 임의의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편평한 표면은 월 보드, 플라스틱 시트, 금속 시트, 복합체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내부(즉, 옥내) 표면 또는 외부(즉, 옥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기판과 접촉하는 접착제층(120)과 함께 기판 위에 놓인다. 이어서, 이형 라이너(130)는 박리되어 접착제층(120)에 의해 기판에 접착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을 남긴다. 이러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는 장점은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이음매들이 실질적으로 사라지고 따라서 인지할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해 다음에 인접하게 도포된 건조 페인트 필름층으로 도포된 건조 페인트 필름층의 일부를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이 비교적 박막이라는 사실로 인해 적어도 일부 제공된다. 또한,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의 광택 및 불투명도는 이음매들을 감추는 이러한 능력에 기여한다.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A)는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130)가 박리될 때,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투명한 필름층(140), 및 접착제층(120)은 기판과 접촉하는 접착제층(120)에 의해 기판에 접착된 채로 남겨진다.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B)는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130)가 박리될 때, 건조 페인트 필름층(110),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 투명한 필름층(140), 및 접착제층(120)은 기판과 접촉하는 접착제층(120)에 의해 기판에 접착된 채로 남겨진다.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C)는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130)가 박리될 때, 층들(110, 150 및 160), 투명한 필름층(140), 및 접착제층(120)은 기판과 접촉하는 접착제층(120)에 의해 기판에 접착된 채로 남겨진다.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D)는 라미네이트가 롤 이외의 편평한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고, 접착제층(120)이 기판에 접착되기 전에 이형 라이너(170)가 박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라미네이트(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E)는 접착제층(120)을 기판에 접착시키고, 이어서 이형 라이너(130)를 제거함으로써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100F)는 접착제층(120)을 기판에 접착시키고, 이어서 이형 라이너(130)를 제거함으로써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100G)는 접착제층(120)을 기판에 접착시키고, 이어서 이형 라이너(130)를 제거함으로써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100H)는 이형 라이너(170)를 피일링하고 라미네이트로부터 방출 코팅(176)을 수반시키고, 접착제층(120)을 기판에 도포함으로써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이 라미네이트는 이형 라이너(170)를 감거나 또는 코일링하는 특수 도포기를 사용하고, 라미네이트의 나머지가 기판에 도포됨에 따라 방출층(176)을 수반시킴으로써 도포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
뒤대기 라이너(132)에 대응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뒤대기 라이너는 제2 방출 코팅층(136)에 대응하는 실리콘 방출 코팅에 의해 측측 상에 코팅된다. 방출 코팅된 라이너의 두께는 0.92밀이다.
제1 방출 코팅층(135)에 대응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는 6.5-7.75gsm의 코팅 중량으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의 다른 측에 도포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메틸이소부틸케톤 26중량%, 이소프로판올 6중량%, Lankyd 13-1425(아크릴 개질된 알키드로서 식별되는 Akzo Resins사가 공급하는 제품) 34.8중량%, Elvacite 2042(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로서 식별되는 Lucite 인터내셔널사가 공급하는 제품) 2.6중량%, Microtalc MP 15-38(활석 증점제 안료로서 식별되는 Barrett's Minerals사가 공급하는 제품) 30중량%, Cycat4040(파라톨루엔 술폰산으로서 식별되는 Cytec사가 공급하는 제품) 2.5중량%, 및 Cymel 303(멜라민 수지로서 식별되는 Cytec사가 공급하는 제품) 8.7중량%. 무광택 방출 코트는 149℃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투명한 층 또는 필름층(140)에 대응하는 투명층은 2.7-2.9gsm의 코트 중량으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무광택 방출 코트에 도포되고, 120℃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투명층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메틸 에틸 케톤 46.7중량%, 톨루엔 31.3중량%, VYNS(비닐 아세테이트 5-20중량%를 함유하는 염화 비닐/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서 식별되는 Union Carbide사의 제품) 11중량%, 및 Vitel 2200B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식별되는 Bostict사의 제품) 11중량%.
다음 페인트 조성물들은 투명층 상에서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하나는 실시예 1에 대한 것이고, 나머지는 실시예 2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은 짙은 갈색 톤을 갖는 한편, 실시예 2는 오렌지색 파스텔 톤을 갖는다. 다음 표에서, 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메틸에틸 케톤 66.7 66.7
톨루엔 33.3 33.3
VYHH(염화 비닐/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서 50.05 30.55
식별되는 Union Carbide사 제품)
Edinol 9790(폴리에스테르 가소제로서 식별되는 24.65 15.05
Cognis사 제품)
황색 안료 42(산화 철) 17.8 2.3
오렌지색 안료 36(모노아조 벤즈이미다졸린) 2.5 0.38
블랙 7(카본 블랙) 0.1 0.02
화이트 6(이산화티탄) 4.9 51.7
실시예 1에 대한 안료 부피비는 10%이고, 실시예 2에 대해서는 27%이다. 상기 페인트 제형들은 역 롤러 코터를 사용하여 투명층에 도포되고, 용매들을 제거하기 위해 135℃의 온도에서 건조된다. 건조 페인트층들 각각의 건조 필름 두께는 0.7밀이다.
이어서, 안료 처리된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을 제공하기 위해 전사 라미네이션을 사용하여 14-20gsm의 코트 중량으로 건조 페인트층에 도포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90중량%, 아크릴산 1-10중량%, 메틸 아크릴레이트 10-20중량%, UCD 1106E(이산화티탄 분산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Rohm & Haas사의 제품) 3.7중량%, 및 UCD 1507E(카본 블랙 분산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Rohm & Haas사의 제품) 0.3중량%.
실시예 3
실시예 1 및 2에 사용된 절차는 다음 액체 페인트 조성물이 사용되어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된다. 다음 표에서, 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29.6
톨루엔 19.5
Vitel 2200 B 11.6
Vitel 2650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11.5
식별되는 Bostic사의 제품)
R-900 (이산화티탄으로서 식별되는 DuPont사 제품) 27.5
955-39230 (쉐이딩 블랙으로서 식별되는 0.2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99-34520 (프탈로 블루 GS로서 식별되는 0.1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955-37470 (카르바졸 바이올렛으로서 식별되는 tint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상기 페인트 조성물은 옅은 청색이다. 건조 페인트 필름층의 건조 필름 두께는 0.6-0.8밀이다.
실시예 4
뒤대기 라이너(132)에 대응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뒤대기 라이너는 제2 방출 코팅층(136)에 대응하는 실리콘 방출 코팅으로 하나의 측 상에 코팅된다. 방출 코팅층의 두께는 0.92밀이다.
제1 방출 코팅층(135)에 대응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는 4.4-4.6gsm의 코팅 중량에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의 다른 측에 도포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메틸이소부틸 케톤 50.54중량%, 이소프로판올 7.84중량%, Lankyd 13-1425 8.93중량%, VAGH(히드록시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서 식별되는 Union Carbide사 제품) 10.68중량%, Microtalc MP 15-38 22중량%, Cycat4040 2중량%, 및 Cymel 303 6.8중량%. 무광택 방출 코트는 149℃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투명한 층(140)에 대응하는 투명층의 제1 코트는 1.3-2gsm의 코트 중량으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무광택 방출 코트에 도포되고, 120℃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건조 필름 두께는 0.05-0.1밀이다. 이러한 제1 투명층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메틸 에틸 케톤 41.5중량%, 메틸 이소부틸 케톤 41.5중량%, 및 Elvacite 2042(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서 식별되는 Lucite 인터내셔널사 제품) 17중량%.
투명한 층 또는 필름층(140)에 대응하는 투명층의 제2 코트는 1.0-1.5gsm의 코트 중량으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투명한 필름층의 제1 코트 상으로 도포되고, 120℃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건조 필름 두께는 0.03-0.7밀이다. 이러한 제2 투명층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메틸 에틸 케톤 41.5중량%, 메틸 이소부틸 케톤 41.5중량%, 및 VYHH (비닐 아세테이트 5-20중량%를 함유하는 염화 비닐/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서 식별되는 Union Carbide사의 제품) 17중량%.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에 대응하는 장식적인 층은 3.0-3.2gsm의 코트 중량으로 투명한 코팅층의 제2 코트 위로 인쇄되고, 120℃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장식적인 층에 사용된 페인트 조성물들은 다음 제형을 갖는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42.6
메틸 이소부틸 케톤 38.7
VYHH 15.86
DP 80110(메틸에틸 케톤, 톨루엔, 카본 블랙 2.1
및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P 36640(메틸에틸 케톤, 톨루엔, 퀴나크리돈 레드 0.22
및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18977(메틸에틸 케톤, 톨루엔, R.S. 프탈로 블루 0.10
및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18980(메틸에틸 케톤, 톨루엔,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0.38
및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장식적인 층은 0.8gsm의 코트 중량으로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에 대응하는 상기 지시된 장식적인 층 위로 인쇄되고, 120℃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장식적인 층에 사용된 페인트 조성물은 다음 제형을 갖는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42.85
메틸 이소부틸 케톤 39.1
VYHH 16.0
DP 80110 1.71
DP 36640 0.18
18977 0.18
다음 페인트 조성물은 30-32gsm의 코트 중량으로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상기 지시된 장식적인 층 위로 코팅되고, 120℃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되어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을 제공한다. 다음 표에서,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34
톨루엔 16.7
VYHH 18.3
Edinol 9790 9
AVI-0301-3 오렌지 (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8.9
디아릴라이드 오렌지, VYHH 및 Edinol 9790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AVI-0301-5 마젠타 (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5.3
메탈 아조 레드, VYHH 및 Edinol 9790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AVI-0301-6 아이언 레드 (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3.7
산화철 레드, VYHH 및 Edinol 9790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AVI-0301-1 TiO2 화이트 (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3.52
이산화 티탄, VYHH 및 Edinol 9790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AVI-0301-2 카본 블랙 (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0.03
카본 블랙, VYHH 및 Edinol 9790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이어서, 착색된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17gsm의 코트 중량에서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 위로 전사 라미네이션을 사용하여 도포됨으로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을 제공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가교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비점착성 아크릴 에멀젼 96중량%, UCD 1106E 3.7중량% 및 UCD 1507E 0.3중량%.
실시예 5
뒤대기 라이너(132)에 대응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뒤대기 라이너는 제2 방출 코팅층(136)에 대응하는 실리콘 방출 코팅으로 하나의 측 상에 코팅된다. 방출 코팅된 라이너의 두께는 0.92밀이다.
제1 방출 코팅층(135)에 대응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는 4.4-4.6gsm의 코팅 중량에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의 다른 측에 도포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는 149℃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 이소부틸 케톤 52.54
Elvacite 4402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0.98
개질된 아크릴 수지로서 식별된 Lucite
인터내셔널사 제품)
VYNS 1.35
Microtalc 15-38 22.85
Byk 451(블록된 산 촉매로서 식별되는 2.2
Byk Chemie사가 공급하는 제품)
Cymel 303 6.38
투명한 층 또는 필름층(140)에 대응하는 투명층은 13gsm의 코팅 중량으로 역 롤 코터를 사용하여 무광택 방출 코트에 도포되고, 120℃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건조된 필름 두께는 0.4밀이다. 투명한 필름층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Rucothane CO-A-5002L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으로서 52.54
식별되는 Ruco Chemical사 제품)
톨루엔 18.75
이소프로판올 18.75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장식적인 층은 1gsm의 코트 중량으로 지시된 투명한 필름층 위로 인쇄되고, 120℃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장식적인 층에 사용된 페인트 조성물들은 다음 제형을 갖는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25.67
메틸 이소부틸 케톤 22.0
VYHH 9.17
18980 3.5
DP 37251(페릴렌 레드, 메틸에틸 케톤, 톨루엔, 0.99
및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P80110 1.0
DP39600(Ti2O, 메틸에틸 케톤, 톨루엔, 37.47
및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18977 0.20
다음 페인트 조성물은 66gsm의 코트 중량으로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상기 지시된 장식적인 층 위로 코팅되고, 138℃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되어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을 제공한다. 다음 표에서, 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 이소부틸 케톤 24.11
톨루엔 20.65
VYHH 11.54
R-900 38.4
Acroloid B-72 (아크릴 수지로서 식별된 3.86
Rohm & Haas사 제품)
18980 2.6
DP37251 0.21
DP80110 0.40
이어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15-20gsm의 코트 중량으로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 위로 전사 라미네이션을 사용하여 도포됨으로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을 제공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비점착성 아크릴 에멀젼이다. 이 압력 감응성 접착제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2-에틸헥살 아크릴레이트 70-90중량%, 아크릴산 1-10중량%,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 10-20중량%.
실시예 6
뒤대기 라이너(132)에 대응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뒤대기 라이너는 제2 방출 코팅층(136)에 대응하는 실리콘 방출 코팅으로 하나의 측 상에 코팅된다. 방출 코팅된 라이너의 두께는 0.92밀이다.
방출 코팅층(135)에 대응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는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의 다른 측에 도포된다. 이 방출 코트는 148.9℃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는 4.0-5.0gsm의 코트 중량으로 도포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 이소부틸 케톤 42.03
이소프로판올 8.51
Microtalc 15-38 23.87
Cymel 303 7.36
Cycat 4040 1.8
VROH (OH 관능기를 갖는 염화 비닐/비닐 아세테이트 16.43
공중합체로서 식별된 Union Carbide사가 공급한 제품)
투명한 층 또는 필름층(140)에 대응하는 투명층은 30gsm의 코트 중량으로 2밀 byrd 바를 사용하여 무광택 방출 코트 제2호 위에 도포되고, 126.7℃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투명한 필름층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물 7.98
N-메틸 피롤리돈 4.79
Texanol(에스테르 알콜로서 식별되는 Eastman 4.79
Chemicals사 제품)
BYK 333 (보습제로서 식별되는 Byk Chemie사 제품) 0.4
Vycar 351(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79.81
에멀젼으로서 식별된 Noveon사 제품)
Antifoam PD-218 (거품 방지제로서 식별되는 0.32
Magrabar Chemical사 제품)
Rheolate 350 (증점제로서 식별되는 Rjeox, 1.92
Inc.사 제품)
다음 페인트 조성물은 96gsm의 코트 중량으로 상기 지시된 투명한 필름 위에 코팅되고, 126.7℃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되어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을 제공한다. 다음 표에서, 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물 18.28
Surfynol CT-324(계면활성제로서 식별되는 Air 0.98
Products사 제품)
R-900 32.88
Vycar 460x45(염화 비닐/아크릴 공중합체로서 34.72
식별되는 Noveon사 제품)
Vycar 460x46(염화 비닐/아크릴 공중합체로서 11.57
식별되는 Noveon사 제품)
Antifoam PD-218 0.19
Byk 333 0.23
Rheolate 350 1.2
이어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17gsm의 코트 중량에서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 필름층 위로 전사 라미네이션을 사용하여 도포됨으로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을 제공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가교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비점착성 에멀젼 96중량%, UCD 1106E 3.7중량% 및 UCD 1507E 0.3중량%.
실시예 7
뒤대기 라이너(132)에 대응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뒤대기 라이너는 제2 방출 코팅층(136)에 대응하는 실리콘 방출 코팅으로 하나의 측 상에 코팅된다. 방출 코팅된 라이너의 두께는 0.92밀이다.
제1 방출 코팅층(135)에 대응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는 4.4-4.6gsm의 코트 중량에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의 다른 측에 도포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메틸이소부틸 케톤 50.54중량%, 이소프로판올 7.84중량%, Lankyd 13-1425 8.93중량%, VAGH(히드록시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서 식별되는 Union Carbide사 제품) 10.68중량%, Microtalc MP 15-38 22중량%, Cycat4040 2중량%, 및 Cymel 303 6.8중량%. 무광택 방출 코트는 149℃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투명한 층 또는 필름층(140)에 대응하는 투명층은 12-16gsm의 코트 중량으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무광택 방출 코트에 도포되고, 165℃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건조 필름 두께는 0.35-0.5밀이다. 이러한 투명한 필름층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시클로헥사논 69.3
Elvacite 2042 10.5
Solsperse 17000(보습제로서 식별되는 0.1
Avecia사 제품)
Tinuvin 234 (광 안정제로서 식별되는 Ciba사 제품) 0.6
Kynar 301F(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단독중합체로서 27.0
식별되는 Atofina사 제품)
N-메틸-2-피롤리돈 2.5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에 대응하는 장식적인 층은 0.3-1.2gsm의 코트 중량으로 투명한 코팅층 위로 인쇄되고, 105℃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장식적인 층에 사용된 페인트 조성물들은 다음 제형을 갖는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36.0
메틸 프로필 케톤 35.1
Kynar 7201(SL)(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로서 27.0
식별되는 Atofina사 제품)
Elvacite 2010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서 3.4
식별되는 Lucite 인터내셔널사 제품)
Tinuvin 234 0.27
DP 35740(담황색 혼성 금속 산화물 안료 0.10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P 35820(갈색 혼성 금속 산화물 안료 11.7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P 39040(흑색 혼성 금속 산화물 안료 3.3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장식적인 층은 0.3-1.2gsm의 코트 중량으로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에 대응하는 상기 지시된 장식적인 층 위로 인쇄되고, 105℃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장식적인 층에 사용된 페인트 조성물은 다음 제형을 갖는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34.0
메틸 프로필 케톤 33.0
Kynar 7201(SL) 9.6
Elvacite 2010 3.2
Tinuvin 234 0.25
DP 35740 14.4
DP 35820 5.0
DP 39040 3.2
다음 페인트 조성물은 6-10gsm의 코트 중량으로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상기 지시된 장식적인 층 위로 코팅되고, 105℃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되어 건조 페인트층 또는 필름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층을 제공한다. 다음 표에서, 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 에틸 케톤 27.6
메틸 프로필 케톤 26.3
Kynar 7201(SL) 7.4
Elvacite 2010 2.5
Tinuvin 234 0.2
DP 35740 4.1
DP 35820 7.8
DP 39040 0.6
DP39600 (백색 이산화티탄 안료 농축물로서 23.6
식별되는 Gibralter Chemical Works사 제품)
이어서, 착색된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17gsm의 코트 중량에서 건조 페인트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 필름층 위로 전사 라미네이션을 사용하여 도포됨으로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을 제공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가교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비점착성 아크릴 에멀젼 96중량%, UCD 1106E 3.7중량% 및 UCD 1507E 0.3중량%.
실시예 8
뒤대기 라이너(132)에 대응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뒤대기 라이너는 제2 방출 코팅층(136)에 대응하는 실리콘 방출 코팅으로 하나의 측 상에 코팅된다. 방출 코팅층의 두께는 0.92밀이다.
제1 방출 코팅층(135)에 대응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는 4.4-4.6gsm의 코팅 중량에서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뒤대기 라이너의 다른 측에 도포된다. 무광택 방출 코트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메틸이소부틸 케톤 50.54중량%, 이소프로판올 7.84중량%, Lankyd 13-1425 8.93중량%, VAGH(히드록시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서 식별되는 Union Carbide사 제품) 10.68중량%, Microtalc MP 15-38 22중량%, Cycat4040 2중량%, 및 Cymel 303 6.8중량%. 무광택 방출 코트는 149℃의 온도에서 강제된 고온 공기를 사용하여 건조된다.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에 대응하는 장식적인 층은 0.3-1.2gsm의 코트 중량으로 무광택 방출 코트 위로 인쇄되고, 105℃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장식적인 층에 사용된 페인트 조성물들은 다음 제형을 갖는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36.0
메틸 프로필 케톤 35.1
Kynar 7201(SL)(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로서 10.2
식별되는 Atofina사 제품)
Elvacite 2010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서 3.4
식별되는 Lucite 인터내셔널사 제품)
Tinuvin 234 0.27
DP 35740(담황색 혼성 금속 산화물 안료 0.10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P 35820(갈색 혼성 금속 산화물 안료 11.7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P 39040(흑색 혼성 금속 산화물 안료 3.3
농축물로서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장식적인 층은 0.3-1.2gsm의 코트 중량으로 제2 인쇄된 장식적인 층(160)에 대응하는 상기 지시된 장식적인 층 위로 인쇄되고, 105℃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장식적인 층에 사용된 페인트 조성물은 다음 제형을 갖는다(모든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메틸에틸 케톤 34.0
메틸 프로필 케톤 33.0
Kynar 7201(SL) 9.6
Elvacite 2010 3.2
Tinuvin 234 0.25
DP 35740 14.4
DP 35820 5.0
DP 39040 3.2
다음 페인트 조성물은 5-16gsm의 코트 중량으로 인쇄된 장식적인 층(150)에 대응하는 상기 지시된 장식적인 층 위로 로토그라비어를 사용하여 코팅되고, 105℃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되어 건조 페인트층(110)에 대응하는 건조 페인트 필름층을 제공한다. 다음 표에서,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톨루엔 19.0
메틸에틸 케톤 23.6
VYHH 5.8
Edinol 9790 2.9
DV39600(산화철 레드 안료 분산액으로서 48.6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V39420(카본 블랙 안료 분산액으로서 0.07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V36500(안료 레드 178 안료 분산액으로서 0.03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DV34130(프탈로 블루 RS 안료 분산액으로서 0.10
식별되는 Gibraltar Chemical Works사 제품)
다음 코팅 조성물은 20-30gsm의 코트 중량으로 롤 코팅을 사용하여 상기 지시된 건조 페인트 필름층 위로 코팅되고, 105℃의 온도에서 고온 공기 중에서 건조되어 지지체층(180)에 대응하는 지지체층을 제공한다. 다음 표에서, 수치 값들은 중량부이다.
톨루엔 14.1
메틸에틸 케톤 21.1
VYHH 13.2
Edinol 9790 6.6
DV39600 44.96
DV39420 0.04
이어서, 착색된 압력 감응성 접착제는 17gsm의 코트 중량에서 지지체층(180)에 대응하는 코팅된 층 위로 전사 라미네이션을 사용하여 도포됨으로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120)에 대응하는 접착제층을 제공한다. 압력 감응성 접착제에 대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가교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비점착성 아크릴 에멀젼 96중량%, UCD 1106E 3.7중량% 및 UCD 1507E 0.3중량%.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의 여러 가지 변형들이 본원 명세서를 판독함에 따라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35)

  1. 이형 라이너 상으로 페인트 필름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인트 필름층 상으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뒤대기 라이너; 상기 뒤대기 라이너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인, 뒤대기 라이너에 결합하여 뒤대기 라이너로부터 공간 분리된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도록 경질화 또는 경화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방출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무광택 방출 표면이 압출된 페인트 필름층과 접촉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페인트 필름층에 무광택 마무리를 전사시키도록 페인트 필름층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상기 이형 라이너의 무광택 방출 표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방출 코팅층이 자체-감김 형태의 라미네이트 내의 접착제층과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뒤대기 라이너의 하부 표면 위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필름층은 투명한 필름층 위에 컬러층을 도포하기 전에 이형 라이너 위로 압출되는 투명한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필름층은 이형 라이너 위에 도포된 인쇄된 장식적인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필름층은 투명한 필름층 위로 인쇄된 장식적인 층을 도포하기 전에 이형 라이너 위로 압출된 투명한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고무 기재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비닐 에테르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고온 용융 접착제, 용매 기재 접착제 또는 물 기재 접착제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가교된 아크릴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대기 라이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출 코팅층은 멜라민 수지에 의해 가교된 알키드 수지 및/또는 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출 코팅은 무광택 방출 표면을 생산하기 위해 1개 이상의 고형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출 코팅층은 실리콘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필름층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염화 비닐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층이 페인트 필름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도포되고, 상기 지지체층은 페인트 필름층보다 큰 인장 강도를 갖는 중합성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이오노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2 이상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이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배리어층 위로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페인트 필름층의 상부 표면 위로 배리어층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아크릴레이트 함유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 알콜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 또는 폴리비닐 알콜 및 우레탄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출 코팅층은 수지 및 고형 입자들을 포함하고, 수지에 대한 입자들의 중량비는 약 1.1:1에 이르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택 방출 코트로부터 건조 페인트층으로 전사된 광택 레벨은 85˚에서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대기 라이너의 무광택 방출 표면은 압출된 건조 페인트층에 무광택 마무리를 전사시키기 위해 미세한-거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페인트 필름층 및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이형 라이너 위로 동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페인트 필름층은 이형 라이너 위에 놓이고,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은 페인트 필름층 위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23. 이형 라이너 위로 투명한 필름층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투명한 필름층 위로 페인트 필름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인트 필름층 위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뒤대기 라이너; 상기 뒤대기 라이너의 상부 표면 위에 놓인, 뒤대기 라이너에 결합하여 뒤대기 라이너로부터 공간 분리된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도록 경질화 또는 경화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방출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무광택 방출 표면이 압출된 투명한 필름층과 접촉하고,
    상기 이형 라이너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투명한 필름층에 무광택 마무리를 전사시키도록 투명한 필름층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상기 이형 라이너의 무광택 방출 표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이 이형 라이너에 결합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고,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는 고형 입자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은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압출하기 전에 페인트 필름층 위로 압출되고, 상기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은 상기 지지체층 위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이형 라이너 위로 투명한 필름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한 필름층 위로 페인트 필름층 및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동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 필름층은 상기 투명한 필름층 위에 놓이고, 상기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은 상기 페인트 필름층 위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이 이형 라이너가 페인트 필름층으로부터 제거될 때 페인트 필름층에 무광택 표면 마무리를 전사시키기 위한 무광택 방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이 이형 라이너에 결합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고,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는 고체 입자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이형 라이너 위로 장식적인 건조 페인트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 페인트 필름층 위로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 및 중합성 지지체층을 동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층은 상기 건조 페인트 필름층 위에 놓이고, 상기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은 상기 지지체층 위에 놓이고;
    이형 라이너는 건조 페인트 필름층에 탈착 가능하게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페인트 필름은 상기 이형 라이너 위에 놓인 압출된 투명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이 이형 라이너가 페인트 필름층으로부터 제거될 때 페인트 필름층에 무광택 표면 마무리를 전사시키기 위한 무광택 방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이 이형 라이너에 결합된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고, 무광택 방출 표면을 형성하는 고체 입자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라이너는 무광택 이형 라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박막의 가요성 중합체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이형 라이너의 측측 상으로 페인트층을 도포하고, 건조 페인트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형 라이너 상의 페인트층을 경질화시키되, 상기 이형 라이너가 건조 페인트층과 접촉하는 방출 표면을 갖는), 단계; 상기 이형 라이너 맞은편 페인트층 측에 압력 감응성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하는 다중층 라미네이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형 라이너에 분산된 입자 충전재 물질을 가지며 무광택 표면을 형성하는 실온에서 경질된 상태를 갖는 수지질 물질을 포함하는, 무광택 방출 코트를 도포하고, 는 단계; 무광택 방출 코트의 무광택 표면 상으로 페인트층을 압출시키고, 라미네이트가 압력 감응성 접착제를 통해 기판에 접착되고 이형 라이너가 그로부터 제거될 때 건조 페인트층의 노출된 표면에 무광택 표면 마무리를 전사시키기 위해 실온에서 건조 페인트층으로부터 방출되도록 채택된, 무광택 표면에 건조 페인트층을 탈착 가능하게 접착시키기 위해 무광택 표면과 접촉하는 페인트층을 경질화 시키는 단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층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페인트층의 무광택 표면은 85˚에서 30% 미만의 광택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15042A 2003-02-14 2004-02-11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압출 제조 방법 KR200500989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67,611 2003-02-14
US10/367,611 US20040161564A1 (en) 2003-02-14 2003-02-14 Dry paint transfer laminate
US10/457,806 US20040159969A1 (en) 2003-02-14 2003-06-09 Extrusion method of making a dry paint transfer laminate
US10/457,806 2003-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939A true KR20050098939A (ko) 2005-10-12

Family

ID=3291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042A KR20050098939A (ko) 2003-02-14 2004-02-11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압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594626A4 (ko)
JP (1) JP2006520260A (ko)
KR (1) KR20050098939A (ko)
AU (1) AU2004213765B2 (ko)
BR (1) BRPI0407509A (ko)
CA (1) CA2516026A1 (ko)
MX (1) MXPA05008565A (ko)
WO (1) WO20040743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1564A1 (en) 2003-02-14 2004-08-19 Truog Keith L. Dry paint transfer laminate
US20090274922A1 (en) * 2006-01-06 2009-11-05 Roys John E High Gloss Laminates for Decorative Automotive Parts
JP4799205B2 (ja) * 2006-02-16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活性面貼付ダイシング用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被加工物の切断片のピックアップ方法
DE102006047738A1 (de) 2006-10-06 2008-04-10 Tesa Ag Hitzeaktivierbares Klebeband insbesondere für die Verklebung von elektronischen Bauteilen und Leiterbahnen
EP2268486A2 (en) 2008-03-25 2011-0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09120547A2 (en) 2008-03-25 2009-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int film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102010008854A1 (de) * 2010-02-22 2011-08-25 IKA Innovative Kunststoffaufbereitung GmbH & Co. KG, 06766 Stabilisatorsystem für verschäumbare halogenhaltige Polymere
US9212299B2 (en) * 2010-11-12 2015-12-15 Newpage Corporation Coated release liner substrate
US20210246332A1 (en) * 2018-06-11 2021-08-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es for making coated films and solventless polyurethane precursors that may be used to make coated films
MX2020012521A (es) * 2018-06-11 2021-02-1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liculas recubierta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5651C (en) * 1989-10-19 1997-03-18 Patrick Leon Spain Process for manufacturing plastic siding panels with outdoor weatherable embossed surface
DE69327611T2 (de) * 1992-05-14 2000-07-13 Decora Inc Selbstklebendes, dekoratives Oberflächenbelagmaterial
JP3419886B2 (ja) * 1994-05-02 2003-06-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シート
US5750234A (en) * 1996-06-07 1998-05-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Interior automotive laminate with thermoplastic low gloss coating
ZA964731B (en) * 1995-06-07 1997-01-07 Avery Dennison Corp A Legal Bo Extrusion coating process for mak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films
JP2000246859A (ja) * 1999-02-26 2000-09-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4626A4 (en) 2008-02-20
JP2006520260A (ja) 2006-09-07
WO2004074386A2 (en) 2004-09-02
BRPI0407509A (pt) 2006-02-14
MXPA05008565A (es) 2005-11-04
AU2004213765B2 (en) 2008-01-31
CA2516026A1 (en) 2004-09-02
AU2004213765A1 (en) 2004-09-02
WO2004074386A3 (en) 2004-12-09
EP1594626A2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981B2 (en) Method of making a dry paint transfer laminate
CN1802255B (zh) 多层膜
US7842363B2 (en) Differential release system for a self-wound multilayer dry paint decorative laminate hav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KR20050098939A (ko)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의 압출 제조 방법
KR20050098938A (ko) 건조 페인트 전사 라미네이트
AU2007216951A1 (en) Differential release system for a self-wound multilayer dry paint decorative laminate hav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U2007216952A1 (en) Differential release system for a self-wound multilayer dry paint decorative laminate hav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