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895A -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 - Google Patents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895A
KR20050098895A KR1020057014472A KR20057014472A KR20050098895A KR 20050098895 A KR20050098895 A KR 20050098895A KR 1020057014472 A KR1020057014472 A KR 1020057014472A KR 20057014472 A KR20057014472 A KR 20057014472A KR 20050098895 A KR20050098895 A KR 20050098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ment
blood
main body
connector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298B1 (ko
Inventor
쟈끄 시발레
자끄 뒤샹
아지즈 아베르칸
가브리엘 메이소니에르
아날리자 델네보
클라우디오 토넬리
마씨모 자카렐리
프란체스코 리볼지
빈센조 바랄디
도미니크 포우숄린
Original Assignee
감브로 룬디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브로 룬디아 아베 filed Critical 감브로 룬디아 아베
Publication of KR2005009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5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ow circuit for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fluid circuit or the treating gas circuit
    • A61M1/152Details related to the interface between cassette and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5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ow circuit for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fluid circuit or the treating gas circuit
    • A61M1/155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ow circuit for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fluid circuit or the treating gas circuit with treatment-fluid pumping means or compon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5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ow circuit for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fluid circuit or the treating gas circuit
    • A61M1/156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assette, e.g. specific details on material o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5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ow circuit for the treating fluid, e.g. the dialysate fluid circuit or the treating gas circuit
    • A61M1/156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assette, e.g. specific details on material or shape
    • A61M1/1563Details of incorporate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01Control or regulation
    • A61M1/1603Regulation parameters
    • A61M1/160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alysat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01Cass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61M1/3424Substitution fluid path
    • A61M1/3431Substitution fluid path upstream of the filter
    • A61M1/3434Substitution fluid path upstream of the filter with pre-dilution and post-di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61M1/3424Substitution fluid path
    • A61M1/3437Substitution fluid path downstream of the filter, e.g. post-dilution with filt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61M1/3441Substitution rate control as a function of the ultrafiltration rate
    • A61M1/3451Substitution rate control as a function of the ultrafiltration rate the difference in weight between both ultra-filtrate and substitution reservoir being used as control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61M1/3455Substitution fluids
    • A61M1/3465Substitution fluids using dialysate as substitution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2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blood circuit
    • A61M1/36222Details related to the interface between cassette and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2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blood circuit
    • A61M1/36225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blood circuit with blood pumping means or compon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2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blood circuit
    • A61M1/36226Constructional details of cassettes, e.g. specific details on material o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2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blood circuit
    • A61M1/36226Constructional details of cassettes, e.g. specific details on material or shape
    • A61M1/362263Details of incorporate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2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with a cassette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blood circuit
    • A61M1/36226Constructional details of cassettes, e.g. specific details on material or shape
    • A61M1/362265Details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 A61M2205/12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with incorporated filters
    • A61M2205/12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with incorporated filters with incorporated membran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93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by weighing the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벽(25)과 이 전방벽(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주벽(32)을 구비하는 주요 본체(6)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4)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방벽(25)과 외주벽(32)은 혈액 처리 집적 모듈을 형성하도록 처리 유닛과 협동하는 유체 분배 순환회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하우징 격실(33)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SUPPORT ELEMENT FOR AN INTEGRATED BLOOD TREATMENT MODULE}
본 발명은 지지 요소, 상기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혈액 처리 집적 모듈, 및 상기 집적 모듈이 구비된 체외 혈액 처리 장치(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혈액 투석, 혈액 여과, 혈액 여과 투석, 혈장 반출(plasmapheresis), 체외 혈액 산소 공급, 체외 혈액 여과 혹은 다른 처리 등의 혈액의 체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혈액이 처리 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통과하여 흐르게 될 적어도 체외 혈액 순환회로(extracorporeal blood circuit)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그 다음에 처리된 혈액은 그 다음 환자의 심장 혈관계로 되돌아 가도록 운반된다. 예로서 투석 처리를 참조하면, 사용된 체외 순환회로는 반투과성 막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적어도 제1 및 제2의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를 구성하는 투석 필터와, 투석 필터의 제1의 챔버로 향하는 혈액 인출 라인과, 상기 제1의 챔버로부터 나온 혈액을 수용하고 그것을 환자로 다시 운반하도록 설계된 혈액 복귀 라인을 포함한다. 그 다음, 투석 필터의 제2의 챔버는 혈액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과 환자의 혈액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초과분의 유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투석액의 순환을 위한 순환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현재, 혈액의 체외 처리를 위한 장치에서, 투석액의 순환을 위해 설계된 모든 라인들은 투석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반면, 체외 혈액 순환회로를 구성하는 라인들은 매번의 처리에서 교환되고 필요에 따라 매번 혹은 때때로 교환될 수 있는 투석 필터에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조적인 관점에 있어서, 투석 필터, 투석액 순환용 라인 및 혈액이 환자에게 되돌아 가도록 운반하는 인출 및 복귀 분기부를 구성하는 라인들은 적절한 조립 이후 수술중에 서로 연결되어 협동하게 될 별도의 부품들을 구성한다.
현재 시판되고, 특히 신장 기능 부전에 대한 강도 높은 처리를 위해 설계된 장치들이 또한 존재하는데, 이 장치는 환자로 향하는 혈액 인출 및 복귀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튜브와, 항응혈성 주입액 혹은 대체액을 위한 모든 라인들과, 투석액을 위한 유입 라인과, 투석기의 제2의 챔버에서 나온 액체를 위한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유압 순환회로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체, 상기 지지 구조체로부터 돌출하는 적절한 지지부에 의해 상기 지지 구조체에 맞물린 투석 필터를 포함하는 집적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집적 모듈은 처리 장치에 상기 라인들의 용이하고 직접적인 합체를 가능하게 해주며, 예컨대 투석 필터 등의 처리 유닛과, 혈액 및 다른 유체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여러 튜브 혹은 라인들간의 어떠한 연결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집적 모듈은 유체를 전달하는 튜브와 처리의 종반에 다른 유체를 전달하는 튜브 양자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다시 말해서, 단자들과 유체 전달 라인들을 백(bag)이나 다른 형태의 대응하는 공급원에 간단하게 로딩 및 연결하는 조작 덕분에, 사용자는 투석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일단 처리 단계가 끝나면, 집적 모듈을 몇 가지의 조작에 의해 혈액 처리 장치로부터 간단하게 분리 및 분해시킴으로써, 조작자들은 모든 주입액 및 투석액의 순환을 위한 튜브뿐만 아니라 체외 순환회로와 혈액 처리 유닛 양자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모듈의 용이한 설치는 혈액 처리 장치의 사용과 관련이 없는 사람도 신속하고 신뢰성 높게 조작할 수 있는 강도 높은 처리에 있어서 확실하게 유리한 효율과 속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구조적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유체 분배 회로와 유체 처리 유닛이 적절하게 체결될 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 요소는 집적 모듈의 형태와 모델에 따라 그 형상과 기하학적 모양이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지 요소가 사각형 플레이트에 의해 기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의 구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정 길이의 각각의 튜브가 적절한 맞물림 커넥터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보조 지지 구조체에 의해 필터를 그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에서 직접 지지한다.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측방향으로 맞물린 유체 순환회로의 튜브들은 기본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절한 소정의 길이의 튜브를 형성한다. 상기 소정 길이의 U자형의 튜브들은 유체를 그 내부에 전달하기 위한 각각의 연동 펌프에 합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지 요소가 소정의 위치에서 기본적으로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들을 유지하록 설계되어 있고 또 지지 요소에 적절하게 맞물려 있는 필터를 운반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 요소는 사각형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은 2개의 양측면 상에서 완전히 개방되어 상기 프레임 내에 수용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U자형의 튜브를 지닌 개개의 연속된 측면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집적 모듈과 오늘날 시장에서 널리 시판되고 있는 집적 모듈은 여러 가지로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특히, 개개의 연동 펌프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튜브가 조작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쉽게 이용될 수 있는가를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장치가 작동할 때, 움직이고 있는 여러 부품(일반적으로 연동 펌프)들은 상기 장치의 정면에 놓이기 때문에 우연히 일어날 수 있는 원하지 않는 신체가 상기 가동 부품에 근접하게 되어 상기 펌프의 양호한 작동을 간섭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자들은 가동 펌프와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 요소는 혈액 처리 장치의 전방 벽에 센터링 및 맞물림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구조적인 기하학적 모양에 관한 한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상기 지지 요소는 여러 구성 부품의 상대적인 특정 배열과 그들의 전체 치수와 소형화에 관한 한 또 다른 변형이 용이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집적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유압 순환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를 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접 모듈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 요소의 선 Ⅳ-Ⅳ을 따라 취한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Ⅴ-Ⅴ을 따라 취한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지지 요소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지지 요소의 제1 측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7의 지지 요소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 요소의 반대 측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8의 지지 요소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9의 집적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집적 모듈의 반대 측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0의 집적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혈액 처리 유닛이 합체될 수 있는 도 10의 집적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지지 요소의 커넥터와 혈액 처리 유닛의 카운터-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유압 순환회로가 설치된 머신에 합체될 수 있는 집적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집적 모듈이 합체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유압 순환 회로가 합체되어 있지 않은 집적 모듈을 구비하는 도 15의 머신의 정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지지 요소와, 설치가 쉽고, 머신이 작동할 때 펌프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머신의 가동 부품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상기 지지 요소에 상응하는 집적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명백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은 조립 작동을 극히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 상에 소정 길이의 튜브의 최적의 배치를 가능하게 해주고 또 상기 머신에 모듈이 최적인 동시에 견고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될 투석 유체의 양을 최소화시키고 환자 체외에서 순환하는 혈액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그러한 소정 길이의 튜브의 구성을 지닌 극히 소형의 집적 모듈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아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백해질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된 설명에 따른 지지 요소와, 집적 모듈 및 혈액 처리용 머신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와, 집적 모듈 및 이에 상응하는 혈액의 체외 처리용 머신의 양호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4"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를 가리킨다.
이에 반해,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2)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집적 모듈[지지 요소(4), 분배 순환회로(15) 및 혈액 처리 유닛(5)의 조합체]을 가리킨다.
첨부한 표 1에서 추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적 모듈과 상기 머신 간의 협동에 의해 실행된 전체적인 유압 회로는 혈액 라인, 즉 혈액 순환회로(4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혈액 순환회로는 예컨대 환자의 정맥 혹은 동맥에 주입된 카테터에 의해 환자로부터 혈액을 취하고 그리고 적어도 인출 분기부 혹은 유입 라인(46)을 통해 상기 혈액을 여과 유닛(5)으로, 예컨대 연속적으로 운반한다.
그 다음, 혈액은 상기 여과 유닛(5)의 주요 챔버를 통과하고, 처리된 혈액은 배출 라인(47)을 통해 환자에게로 다시 운반된다.
보조 사전 주입 라인(50)과의 연결부는 출구 라인(46) 상의 혈액 수집 영역 바로 하류에 제공된다.
특히, 상기 머신에는 사전 주입 라인(50)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제2의 유체 컨테이너 혹은 백(87)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 사전 주입 펌프(3e), 예컨대 연동 펌프를 포함하는 도시된 예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대응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유입 라인(46)으로의 직접 연결에 의해 직접 상기 유체를 혈액에 주입시킴으로써 상기 라인 내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2의 유체 컨테이너(87)는 예비 주입용의 적절한 생물학적 유체를 내장할 수 있지만, 상기 백(87)은 또한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머신의 특별한 작동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국소적인 성질을 지닌 항응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라인(46)으로부터 여과 유닛을 향해, 그리고 배출 라인(47)을 통해 여과 유닛으로부터 환자를 향한 혈액 순환(88)의 방향을 결정한 이후,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는 공지의 혈압 센서(89)는 보조 예비 주입 라인(50)으로부터 바로 하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혈액 순환회로(44)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 즉, 상기 특별한 경우 에는 상기 혈액 순환회로 내에서 적절한 혈액 흐름을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한 혈액 펌프(3a)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혈액 펌프(3a)는 일반적으로 연동 펌프이다.
혈액 순환(88)의 방향을 따라 항응고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90), 예컨대 적절한 복용량의 헤파린을 포함하는 주사기가 존재한다.
그 다음, 혈액은 혈액 순환회로 내에서 정확한 흐름을 제어하는 또 다른 압력 센서(91)를 통과한다.
처리된 혈액은 반투과성 막에 의해 물질, 미립자 및 유체의 적절한 교환이 일어나는 여과 유닛(5)의 주요 챔버를 통과한 후, 먼저 배출 라인(47)으로 들어가서 혈액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처리 도중에 혈액으로 주입된 공기 기포의 제거를 보장하도록 설계된 "버블 트랩(bubble trap)"으로 널리 알려진 가스(일반적으로 공기) 분리 장치(52)를 통과한다.
상기 분리 장치(52)로부터 빠져 나오는 처리된 혈액은 그 다음에 환자의 혈액 순환계로 다시 주입되어야 하는 처리된 혈액 내에서 상기 위험한 생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공기 버블 센서(92)를 통과한다.
버블 센서(92) 바로 하류에는, 비상시에 환자로 향하는 혈액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요소(93)가 존재한다.
특히, 상기 버블 센서(92)가 혈액 흐름 내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감지할 경우, 상기 장치는 환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상기 요소(93)(탭, 클램프 혹은 이와 유사한 것)를 통한 혈액의 통과를 즉시 차단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차단 요소(93)의 하류에서는 처리된 혈액이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로 다시 운반된다.
상기 도시된 체외 혈액 처리 장치에는 적어도 여과 유닛(5)으로 이르는 유입 라인(48)과 여과 유닛으로부터의 배출 라인(45b)이 또한 마련되어 있는 유체 순환회로(94)가 설치되어 있다.
적어도 주요 유체 컨테이너(95)는 유체 순환회로(94)의 유입 라인(48)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일반적으로 주요 유체 컨테이너(95)는 적절한 투석액을 포함하는 백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 다음에 유입 라인(48)은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백(95)으로부터 나온 액체 흐름을 제어하고 순환 방향(96)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펌프(3c)(도시된 실시예의에서 연동 펌프)를 포함한다.
순환 방향(96)에서, 펌프(3c)로부터 하류에는 유체 순환회로(94)를 유입 분기부(76)와 주입 분기부(77)로 분기시키는 분기부(85)가 존재한다.
특히, 주입 분기구(77)는 혈액 순환회로(44)의 배출 라인(47)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주입 분기부(77)에 의해, 주요 유체 컨테이너(95)의 내용물을 이용하여 혈액 라인에 직접 사후 주입(post-infusion)을 획득할 수 있다.
반대로, 유입 분기부(76)는 유체를 직접 여과 유닛과, 특히 상기 유닛의 제2의 챔버로 전달한다.
상기 유체 순환회로(94)에는 주입 분기부(77)와 유입 분기부(76) 내에 유체 흐름의 백분율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수단(97)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항시 분기부(85)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선택 수단(97)은 이 수단이 유입 분기부(76)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주입 분기부(77)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차단하는 제1의 작동 조건과, 이 수단이 주입 분기구(77)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유입 분기부(76)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차단하는 제2의 작동 조건 사이에서 적어도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선택 수단(97)은 어느 하나의 분기부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교대로 차단함으로써 유체 순환회로(94) 상에서 작동하는 밸브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 분기부를 동시에 통과해야 하는 사전의 액체 양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선택기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명백하다.
시간과 미리 달성된 치료의 함수로서 어느 한 분기부 내의 유체의 백분율을 변화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투석액은 유입 분기부(76)를 통과하여 여과 유닛(5)의 제2의 챔버로 들어간다.
특히, 혈액 흐름이 통과하게 될 주요 챔버는 반투과성 막에 의해 투석액이 통과하게 될 제2의 챔버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반투과성 막은 주로 대류 및 확산 프로세스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투석액을 향한 위험한 물질/미립자 및 유체의 적절한 통과를 보장하고 또 동일한 원리에 의해 투석액으로부터 혈액을 향해 물질/미분자의 통과를 보장한다.
그 다음에 투석액은 배출 라인(45)으로 들어가고, 상기 배출 라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적절한 압력 센서(98)를 통과한다.
그 다음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 예컨대 유체 순환회로(94) 내에서 배출 라인(45) 내에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흡입 펌프(3b)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펌프는 일반적으로 연동 펌프이다.
그 다음에 제거될 유체는 혈액 검출기를 통과하여 수집 컨테이너 혹은 백(99)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이한 순환회로를 더 분석했을 때, 혈액 순환회로(44)의 배출 라인(47) 상에서 작동하는 적어도 또 다른 주입 라인(51)이 존재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주입액은 적어도 보조 컨테이너(200)로부터 취출되고 유체 전달 수단, 즉 일반적으로 그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입 펌프(3d)(예컨대 연동 펌프)를 통해 직접 혈액 순환회로(44)의 배출 라인(47)으로 직접 송출된다.
특히,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입액은 가스 분리 장치(52)로 직접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추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순환회로(94)의 주입 분기부(77)와 주입 라인(51)에는 혈액 순환회로(44)로의 유입을 허용하는 소정 길이의 공통 단부(20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정 길이의 유입 단부(201)는 주입 방향(202)에 대해 주입 펌프(3d)로부터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유체를 직접 버블 트랩 장치(52; bubble trap device)로 운반한다.
도 1을 더욱 참조하면, 주입 라인(51) 내에는 혈액 순환회로(44)의 유입 라인(4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전 주입 분기부(79)의 주입 라인(51)이 존재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주입 방향(202)에 대해 주입 펌프(3d)로부터 하류에는, 상기 주입 라인(51)을 사전 주입 분기부(79)와 사후 주입 분기부(80)로 분기시키는 분기부(86)가 존재한다.
상기 사전 주입 분기부(79)는 특히 순환 방향(88)에 대해 혈액 펌프(3a)로부터 하류에 혈액 순환회로의 유입 라인(46) 상에 있는 백(200)에서 취출한 유체를 운반한다.
반대로, 사후 주입 분기부(80)는 소정 길이의 공통의 단부(201)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입 라인(51)은 사후 주입 분기부(80)와 사전 주입 분기부(79)로 전송될 액체 흐름의 백분율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수단(203)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기부(86) 근처에 배치된 상기 선택 수단(203)은 이 수단이 사전 주입 분기부(79)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사후 주입 분기부(80)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차단하는 제1의 작동 조건과, 이 수단이 사후 주입 분기구(80)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고 사전 주입 분기부(79) 내에서 유체의 통과를 차단하는 제2의 작동 조건 사이에서 적어도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명백하게는, 유체 순환회로(94) 상에 존재하는 선택 수단(9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선택 수단(203)이 또한 양 분기부의 각각으로 통과되어야 하는 유체의 백분율을 결정하고 그것을 계획된 치료에 따라 시간에 맞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선택 수단(97)과 다른 선택 수단(203)은 일반적으로 반드시 동일한 성질일 필요는 없다.
그 다음에 상기 장치에는 주요 유체 컨테이너(95) 및/또는 보조 유체 컨테이너(200) 및/또는 제2의 유체 컨테이너(87) 및/또는 수집 컨테이너(99)의 중량을 적어도 결정하기 위한 중량 결정 수단 (204)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중량 결정 수단(204)은 중량 센서, 예컨대 개개의 저울(205, 206, 207, 208)(적어도 상기 장치와 관련된 각각의 유체 백을 위한 독립적인 저울)을 포함한다.
특히, 적어도 4개의 상기 저울이 존재할 것이며, 그 각각은 다른 것과 독립적이고 백의 개개의 중량을 측정한다.
그 다음, 혈액 순환회로(44) 상에서 특히 압력 센서(89), 혈액 펌프(3a), 헤파린 주입용 장치(90), 다른 압력 센서(91), 및 공기 기포(92)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의 개개의 폐쇄 요소(93) 상에서 작동하는 프로세싱 유닛 혹은 CPU(209)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CPU(209)는 또한 유체 순환회로(94)를 제어해야 하며, 특히 상기 저울(205)에 의해 검출된 백(95)의 중량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되어야 하고, 상기 펌프(3c), 선택 수단(97), 압력 센서(98), 그 다음에 흡입 펌프(3b) 상에서 작동해야 하고, 그리고 그 기능이 수집 컨테이너(99)의 중량을 결정하는 것인 저울(208)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를 궁극적으로 수신해야 한다.
상기 CPU(290)는 또한 보조 컨테이너(200)의 중량을 점검[저울(206)에 의해 점검]하는 주입 라인(51) 상에서 작동해야 하고, 주입 펌프(3d)와 다른 선택 수단(203)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상기 CPU(209)는 또한 상기 저울(207)에 의해 제2의 유체 컨테이너(87)의 중량을 검출하고 실행될 처리에 따라 펌프(3e)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보조 사전 주입 라인(50) 상에서 작동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체외 혈액 처리 장치의 유압 순환회로 전체에 관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체의 유압 순환회로와 여과 유닛(5)이 정확하게 상기 장치에 결합되어 다양한 연동 펌프가 각각의 소정 길이의 튜브와 맞물리고 모든 센서들이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며, 다양한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다양한 백들이 대응하는 액체 유입/흡입 라인에 설치되고, 그리고 혈액 순환회로가 환자의 동맥/정맥에 연결되었을 경우, 그 순환회로 내에서의 유체의 초기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설정되었던 치료의 종류에 따라 체외 혈액 처리 장치는 자동적으로 개시되어 프로세싱 유닛(209)에 의해 제어된다.
만약 환자가 한외 여과 처리(ultrafiltration treatment)를 받을 경우, 혈액 순환회로 넘어서, 여과 유닛을 통한 대류에 의해 환자에 과잉의 유체(넘치는 위험한 물질/미립자)를 취출하도록 유체 순환회로(94)의 배출 라인에 연결된 흡입 펌프(3b)가 시동된다.
반대로, 만약 설정된 치료가 혈액 여과 처리를 포함할 경우, 혈액 순환회로와, 대류에 의한 유체 취출용 흡입 펌프(3b)를 넘어서, 또한 유체 순환회로(94)의 유입 라인 상의 펌프(3c)와 사후 주입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선택 수단(97)이 시동된다.
또한, 주입 라인(51)은 사후 주입에 액체의 추가 첨가가 가능하도록 혹은 적절한 사전 주입이 가능하도록 사용되어야 한다.
반대로, 상기 처리가 혈액 투석을 포함할 경우, 유체 순환회로(94)의 펌프(3c, 3b)는 시동될 것이고, 상기 선택 수단(97)은 여과 유닛을 통한 막 횡단 압력이 제로가 아닐 경우, 확산 및 가능하다면 대류에 의해 물질 및/또는 미립자 및/또는 액체를 취출하도록 단지 여과 유닛(5)을 향해서만 투석액의 통과를 확보하기 위해 위치 설정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만약 혈액 여과 투과가 실행되어야 할 경우, 혈액 순환회로 넘어서 유체 순환회로와 이에 따라 펌프(3c, 3b)는 여과 유닛(5) 내에서 액체의 순환을 확보하기 위해 시동될 것이고, 주입 라인(51)의 펌프(3d)는 또한 사전 혹은 사후 주입을 보장하기 위해 시동될 것이다.
명백하게는, 전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를 포함하는 상이한 치료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처리에서, 아마 한외 여과 처리를 제외하고, 혈액 속으로 항응고제 및/또는 적절한 주입액을 주입하기 위한 보조의 예비 주입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명백하게는, 상기 항응고제는 또한 헤파린을 혈액 속으로 주입하도록 설계된 적절한 장치(9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머신은 조절될 항응고제의 양에 따라 여러 종류의 주사기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명백하게는, 다양한 장치, 센서, 펌프에 연결되고 다양한 저울로부터 중량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어 유닛(209)은 그것이 일단 설정되면 장치의 전체 작동을 제어 및 자동화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치료 혹은 시작될 처리에 따라 머신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펌프의 흐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명백하게는, 상기 흐름의 적절한 설정은 백(99) 내에 수집되었던 액체의 중량과 주요 유체 컨테이너(95), 보조 유체 컨테이너(200) 및 제2의 유체 컨테이너(87)를 통해 순환회로에서 순환된 액체의 중량 간의 차이에 의해 일반적으로 주어지게 될 환자로부터 취출한 유체의 양(중량 손실)으로 될 것이다.
특히, 다양한 저울로부터 유래하고, 제어 유닛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그리고 실행된 각각의 치료/처리 펌프에 정해지는 이론상의 흐름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209)은 다양한 펌프(3a, 3b, 3c, 3d, 3e)에 의해 인가되는 추력을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라인들에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어할 것이다.
특히, 전술한 저울(205, 206, 207, 208)로부터의 신호는 제어 유닛(209)에 의해 사용되어 상기 라인 속으로 주입된 혹은 수집된 특이한 유체의 중량을 결정한다.
특정의 백 혹은 컨테이너에 방출 혹은 수집된 유체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 유닛(209)은 규칙적인 간격(흐름이 클수록 간격은 좁아짐)으로 컨테이너의 실제 중량을 희망하는 중량(이 중량은 각각의 펌프에 대해 소망하는 흐름과 각각의 제어 단계 사이의 시간 간격에 대한 직접적인 함수관계, ΔW = Q Δt)과 비교한다.
상기 희망하는 중량은 (컴퓨터의 적절한 저장 유닛에 저장된) 요구된 흐름의 함수와 처리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의 함수로서 계산될 수 있다.
만약 실제 중량과 희망하는 중량이 서로 상이할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차이를 줄이거나 가능하다면 없애기 위해 해당하는 펌프를 작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사이클 동안, 절대 중량 변화뿐만 아니라 시간 간격의 변화도 실제 중량을 교정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최종 비교로부터 시작하는 차이에서의 변동을 고려하여 희망하는 흐름 주위에 실제 흐름의 변동을 방지한다.
유압 순환회로와 이 순환회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가능한 작동에 대한 전술한 설명에 후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4)의 상세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8a에 도시된 지지 요소는 일반적으로 주요 본체(6)와, 이 주요 본체(6)에 결합되어 그것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된 지지 구조체(64)로 구성된다.
상기 주요 본체(6)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평면인 전방벽(25)을 구비하며, 이 전방벽과 함께 상기 지지 요소에 결합될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하우징 격실(33)을 형성하도록 전방벽(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주벽(32)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25)은 주어진 개수의 측면(53, 54, 55, 56)과 이 측면들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외주벽(32)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전술한 측면들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일반적으로 적어도 제1의 측면(55, 56)과 적어도 제2의 측면(53, 54)은 동일할 수 있고, 이들은 기본적으로 평행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요소(4)는 대략 사변형의 형상을 지니며, 그것의 전방벽(25)은 기본적으로 직선형태로 전개되면서 그들의 캐비티가 각각의 양측면을 향하는 2개의 곡선 부분(55a, 55b; 56a, 56b)을 지닌 제1의 대향하는 긴 측면(55, 56)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곡선 부분(55a, 55b; 56a, 56b)들 각각은 원호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기본적으로 또한 직선 형태로 전개되는 제2의 대향하는 짧은 측면(53, 54)이 존재하며, 상기 제2의 측면(53, 54)들 중 적어도 하나는 양측으로 향하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소정 길이의 직선부(53b, 53c) 사이에 배치된 곡선 부분(53a)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곡선 부분(53a)은 원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간단히 관찰함으로써 더 주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곡선 부분(53a)을 형성하는 원호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의 대향하는 긴 측면(55, 56) 상에 형성된 곡선 부분(55a, 55b, 56a, 56b)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지닌다.
상기 외주벽(32)(도 7 및 도 8 참조)을 참조하면, 이 외주벽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요소(4)의 측면들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일반적으로, 제1의 양측면(55, 56)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제2의 양측면(53, 54)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의 부분이 존재한다.
상기 외주벽(32)은 또한 불연속일 수 있는데, 즉 그것이 전술한 하우징 격실(33)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캐비티 혹은 가로막힌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벽(32)은 전방벽(25)의 모든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하우징 격실(33)의 경계를 정하는 기본적으로 연속한 표면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하우징 격실(33)은 어떤 종류의 폐쇄 벽을 구비하지 않는 접근 개구(57)를 구비하며, 이 접근 개구는 지지 요소(4)가 사용될 때에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2)과 대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욱이, 도 3 내지 도 5의 도면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면에 대해 횡단하는 평면에 따른 영역, 특히 상기 전방벽(25)에 수직인 평면에 따른 영역들은 주요 본체가 실질적으로 C자형의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외주벽(32)은 상기 C자형의 프로파일의 소정 길이의 2개의 단부를 형성하는 반면에, 상기 전방벽(25)은 상기 2개의 소정 길이의 단부들 사이에 가늘고 긴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벽(25)과 상기 외주벽(32)은 6개의 면들 중에서 5개가 기본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박스 형태의 구조를 지닌 주요 본체(6)를 형성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의해,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수직이면서 전방면(25)을 횡단하는 2개의 평면에 따라 지지 요소(4)를 분할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상기 주요 본체(6)는 또한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수직인 C자형의 섹션들을 갖게 된다.
특히,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영역을 예로 참조하기 바란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 요소(4)는 전방벽(25)으로부터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양측의 외주벽들을 연결시킬 수 있는 전방벽(25)을 포함한다.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벽(25)은 지지 요소가 사용되는 동안에 하우징 격실(33)을 외부의 환경과 소통시키는 주어진 개수의 관통 개구(58)를 구비한다.
특히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면, 곡선 부분(53a, 55a, 55b, 56a, 56b)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8)가 존재하며, 상기 개구는 곡선 부분을 형성하는 각각의 원호와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 동심의 원형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사용되는 물질에 있어서, 주요 본체는 소정 길이의 다양한 튜브 및/또는 그 내부에 담긴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지지 요소 전체 혹은 단지 그 일부는 하우징 격실(33)에 대한 시각적인 접근을 얻기 위해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여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박스 모양의 본체의 각 측면에 체결된 여러 개의 맞물림 커넥터들이 구비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상기 제2의 측면(53)들 중 하나의 소정 길이의 곡선 부분(53a)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의 맞물림 커넥터(59a, 59b)가 존재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소정 길이의 직선 부분(53b, 53c)과 결합되고 일반적으로 그것과 일체형으로 작용한다.
또한, 제1의 긴 측면(55, 56)의 각각의 곡선 부분(55a, 55b, 56a, 56b)에 인접하게 각각 맞물려 있는 맞물림 커넥터(60a, 60b, 61a, 61b, 62a, 62b, 63a, 63b)의 쌍들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넥터들 중 2개는 곡선 부분들 각 양단부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전의 커넥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맞물림 커넥터(60a, 60b, 61a, 61b, 62a, 62b, 63a, 63b)들은 또한 주요 본체(6)와 일체형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전술한 모든 커넥터들은, 예컨대 상기 외주벽의 자유 엣지 상에서 외주벽(32)에 체결되어 있다.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맞물림 커넥터는 하우징 격실(33)로 향하는 간극을 형성한다.
도 7a 및 도 8a를 참조하면, 주요 본체(6)에 결합된 지지 구조체(64)가 어떻게 주요 본체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주요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주요 본체와 일체형으로 작용한다.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제1의 긴 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제1의 긴 측면(55)의 곡선 부분(55a, 55b) 상에서 주요 본체(6)와 맞물려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지지 구조체(64)에는 지지 요소(4)에 결합된 유체 부재 순환회로(15)의 각각의 튜브들이 그 내부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적절하게 배치된 주어진 수의 주요 시트(66a, 66b, 66c, 66d, 66e)를 구비하는 위치 설정 핀(65)(도 7a와 도 8a 및 도 6의 단면도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구조체(64)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상대 위치를 참조하면, 상기 주요 시트(66a, 66c, 66d)들 중 적어도 2개 혹은 주로 3개가 어떻게 제1의 긴 측면(55)들 중 하나의 곡선 부분(55a, 55b)에 근접하게 배치된 그들 각각의 맞물림 커넥터(60a, 60b, 61a) 상에 배치되는가를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3개의 주요 시트(66a, 66c, 66d)와 이들 각각의 커넥터(60a, 60b, 61a)는 평행한 소정 길이의 튜브를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도 9 및 도 9a 참조).
도 6, 도 7a 및 도 8a를 다시 참조하면, 위치 설정 핀(65)은 2개의 추가의 주요 시트(66b, 66e)를 포함하는 것과, 지지 구조체(64)에는 2개의 보조 부분(67, 68)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보조 부분에는 각각의 보조 시트(67a, 68a)가 마련되어 있어 이 보조 부분은 서로 협동하여 소정 길이의 튜브의 위치가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평행하게 그리고 일반적으로 3개의 주요 시트와 전술한 3개의 맞물림 커넥터 상에 존재하는 튜브에 평행하게 설정되도록 해준다(도 9 및 도 9a 참조).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그 다음에 이 지지 요소가 상기 머신에 맞물리게 되는 작동 조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행한 소정 길이의 튜브를 덮도록 전방벽(25)의 평면에 평행한 소정의 평면 상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1의 덮개 벽(69)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도 9 및 도 16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를 고려하면,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이것이 다시 작동 조건에 있을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추가의 평행한 소정 길이의 튜브를 덮도록 전방벽(25)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다시 놓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의 덮개 벽(70)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요소(64)는 주요 본체의 외주벽(32)보다 더 낮은 높이(혹은 최대한 그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지닌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상기 지지 요소(64)가 전체 지지 요소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 그리고 일반적으로 2개의 위치 설정 돌출부(72, 73)가 주요 본체(6)에 결합되는 동시에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에 결합될 소정 길이의 튜브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위치 설정 돌출부(72, 73)는 하우징 격실(33) 내측에 배치되어 주로 전방벽(25)과 결합(혹은 일체형으로 작동)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지지 요소(4)는 서로에 대해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커넥터(7, 8)를 구비하는 주요 본체(6)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에는 처리 유닛(5)의 대응하는 카운터-커넥터(9, 10)들이 맞물려 있다(도 11 참조).
상기 혈액 처리 유닛(5)은 예컨대 혈장 필터, 혈액 투석 필터, 혈액 여과 필터, 혈액 여과 투석 필터 혹은 다른 형태의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커넥터(7, 8)는 주요 본체(6)에 직접 맞물려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커넥터가 주요 본체와 일체형으로 강성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요소(4)는 커넥터(7, 8)로부터 이격되고 주요 본체(6)에 직접 맞물린 제3의 커넥터(11)를 구비하며, 도시된 예에서는 또한 상기 제3의 커넥터는 주요 본체와 일체형으로 강성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커넥터들은 상기 지지 요소 상에 장착될 수 있는 다른 혈액 처리 유닛과 결합된 대응하는 쌍의 카운터-커넥터와 맞물리도록 하나에 대한 다른 하나의 차별화된 중앙 축을 지닌 커넥터 쌍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주요 본체(6)는 상이한 막뿐만 아니라 상이한 전체 크기를 지닌 처리 유닛(5)을 대응하는 카운터-커넥터의 중앙 축 사이에 상이한 거리를 두고 맞물릴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집적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커넥터(7, 8, 11)들은 강성 지지부이며, 처리 유닛(5)에 내장된 각각의 카운터-커넥터(9, 10) 내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채널(13)과 유체 연통 상태로 삽입되도록 설계된 제1 단부(12)를 지닌 유체 통로를 형성하며(도 12 및 도 13의 단면도 참조), 각각의 커넥터(7, 8, 11)는 또한 주요 본체(6)에 결합될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와 유체 연통 상태로 삽입되도록 설계된 제2의 단부(14)를 구비한다.
구조적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커넥터(7, 8, 11) 각각은 상기 제1의 부분을 형성하는 관형 채널(16)과, 상기 관형 채널의 외측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밀봉 칼라(17)와, 관형 채널의 외측면(19)과 상기 칼라의 내측면(20) 사이에서 방해물 없이 전개되는 연결 벽(18)을 포함한다.
실제로, 상기 관형 채널의 외측면, 밀봉 칼라의 내측면 및 연결 벽은 링 형상의 맞물림 시트(21)를 형성하며, 그 시트의 바닥은 상기 연결 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동시에 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기 처리 유닛의 대응하는 카운터-커넥터는 그 내부에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관형 채널(16)은 밀봉 칼라(17)에 대해 동일 축상에 배열되어 있고, 양자는 공동의 대칭 축 둘레에 감겨져 있다.
상기 링 형상의 시트(21)는 바닥의 벽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크기가 증가하는 반경을 지니고, 바닥 근처에서 일정한 반경을 지닌 제1의 영역(22)과, 바닥에 대해 말단에서 상기 제1의 영역의 반경 크기보다 더 큰 일정한 반경을 지닌 제2의 영역(23)과, 바닥 벽(18)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1의 영역과 제2의 영역 사이에 있는 제3의 영역(24)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커넥터(7, 8, 11)의 관형 채널과 밀봉 칼라는 처리 유닛(5)의 대응하는 카운터-커넥터와의 일방향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주요 본체(6)로부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예들에서, 다양한 커넥터들은 지지 요소(4)의 전방면(25)에 대해 기본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구비한다.
도시된 지지 요소는 또한 제1, 제2 및 제3의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제4의 커넥터(26)를 포함하며, 상기 제4의 커넥터는 지지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4의 커넥터는 주요 본체(6)와 일체형으로서 강성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른 커넥터와 함께 지지 요소 상으로 장착될 혈액 처리 유닛에 결합된 추가의 쌍의 커넥터를 형성한다.
상기 제4의 커넥터는 중앙의 위치 설정 원통형 본체(27)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측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밀봉 칼라(28)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측면(30)과 상기 칼라의 내측면(31) 사이에서 방해물 없이 전개되는 연결 벽 혹은 바닥 벽(29)을 포함한다.
실제로, 상기 제4의 커넥터는 처리 유닛(5)의 카운터-커넥터를 위한 맞물림 및 흐름 폐쇄 본체를 형성한다.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커넥터들은 처리 유닛의 기계적인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필요에 따라 카운터-커넥터(9, 10)를 통해 들어가는 유체를 위한 통로 혹은 차단 부재를 형성하도록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요소 내에 존재하는 4개의 커넥터들은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정렬되어 있고, 상기 주요 본체의 일측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도시된 지지 요소의 주요 본체는 전술한 하우징 격실(33)을 형성하며, 이 격실은 지지 요소(4)에 결합되도록 설계된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하우징 시트는 상기 머신(2) 상에 집적 모듈(1)을 적절하게 장착하고, 위치 설정을 보장하는 개방 측면(57)을 구비한다.
그 다음, 상기 지지 요소는 외주벽(32)의 기저 영역(36)으로부터 작동 시트에 대해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구조체(35)를 구비한다.
4개의 커넥터들은 보조 구조체로부터 돌출하며, 제1, 제2 및 제4의 커넥터(7, 8, 26)들은 앞뒤로 배치되어 보조 구조체의 제1의 단부 영역(37) 상에 배열되는 반면에 제3의 커넥터(11)는 제1의 영역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의 단부 영역(38)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는 도 9 내지 도 11에 하나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집적 모듈을 실행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도면에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지지 요소가 예로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 유닛(5)은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쌍에서 지지 요소(4)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 유닛은 하우징 본체(40)와 이 하우징 본체 내측에서 작동하면서 제1의 챔버 및 제2의 챔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투과성 막(41)(예컨대 평행한 중공의 섬유 혹은 플레이트를 구비함)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의 카운터-커넥터들은 하우징 본체에 결합되어 주요 본체(6)에 수납된 그들 각각의 커넥터에 고정되어 있다(도 11을 예로서 참조).
상기 제1 및 제2의 카운터-커넥터(9, 10)는 관 형상을 취하며 처리 유닛의 제2의 챔버 및 상기 커넥터 각각의 단부(12)와 유체 연통 상태로 삽입된다.
그 다음, 상기 처리 유닛은 제1의 챔버로 이르는 접근 도어(42)와, 혈액 혹은 다른 생리학적 유체를 위한 체외의 순환 라인(44)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의 챔버로부터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어(43)를 구비한다.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지지 요소(4)에 맞물리고 처리 유닛(5)과 협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순환회로는 제2의 측면(53, 54)들 중 하나에서 지지 요소(4)에 체결되는 동시에 곡선 부분(53a)을 구비하는 전술한 혈액 라인(44)을 포함한다.
상기 혈액 라인(44)은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44a)으로서 기본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지지 요소에 고정된다.
상기 구조는 집적 모듈을 상기 머신(2) 상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소정 길이의 튜브(44a)와 각각의 펌프(3a) 간의 협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과 관련이 있다.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4)는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에 대해 내측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상기 위치 설정 돌출부(72, 73)는 상기 U자형의 튜브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그 위에서 작용한다.
도 1 및 도 9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에 고정된 혈액 라인(44)의 소정 길이의 부분(44a)은 인출 분기부(4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분배 순환회로(15)는 신규의 투석액을 공급하는 전술한 유입 라인(48)을 구비한다.
상기 유입 라인은 도 9, 도 9a, 도 10 및 도 10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긴 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지지 요소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유입 라인(48)은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48a)으로서 기본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소정 길이의 튜브(48)는 각각의 펌프(3c)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요소의 외주벽(32)에 대해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유입 라인(48)이 어떻게 지지 구조체(64) 상에서 고정되는가, 그리고 유입 라인(48)의 소정 길이의 입구(74)가 어떻게 맞물림 커넥터(60b) 뿐만 아니라 위치 설정 핀(65)의 주요 시트(66c)로 맞물리는가를 알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소정 길이의 출구(75)는 위치 설정 핀(65)의 주요 시트(66a) 내에, 그리고 각각의 맞물림 커넥터(60a)에 맞물린다.
맞물릴 때, 상기 각각의 커넥터와 입구 및 출구(74, 75)는 직선 배열로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된다(도 9a 참조).
또한 도면을 더 참조하면(특히, 도 10a 참조), 소정 길이의 출구(75)는 유체를 혈액 처리 유닛(5)으로 전달하는 유입 분기부(76)와, 유체를 혈액 라인(44)으로 전달하는 주입 분기부(77)로 분기시키는 분기부(85)를 구비한다.
상기 분기부(85)는 입구와 2개의 출구를 구비하는 T자형 부분을 구비하는 맞물림 커넥터(6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입 분기부(77)는 주요 시트(66b)와 보조 시트(67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주입 분기부(77)와 유입 분기부(76)는 지지 구조체(64)에 맞물릴 때, 직선 배열로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된다.
상기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제1의 긴 대향 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 체결되어 있는 적어도 주입 라인(51)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 라인은 사용시 개개의 펌프(3d)와 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요소(4)에 대해 "U자형" 부분(51a)으로서 배열된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한다.
또한,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51a)는 상기 지지 요소의 외주벽(32)에 대해 내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주입 라인은 지지 구조체(64) 상에 고정되고, 주입 라인(71)의 적어도 하나의 소정 길이의 출구(78)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대응하는 맞물림 커넥터(61a)에 위치 설정 핀(65)의 주요 시트(66d) 내에 맞물려 있다.
유입 라인 전체를 고려하면, 소정 길이의 출구(78)는 혈액 라인(44)의 인출 분기부(46)에 유체를 전달하는 사전 주입 분기부(79)와, 혈액 라인(44)의 혈액 복귀 분기부(47)에 유체를 전달하는 사후 주입 분기부(80)로 분리시키는 분기부(86)를 구비한다.
여기서 T자형 부분을 지닌 맞물림 커넥터(61a)가 마련되어 있어 사전 주입 분기부(79)로, 그리고 사후 주입 분기부(80)로 분리시키는 분기부(86)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정확하게 형성된다.
그 다음, 사전 주입 분기부(79)는 보조 시트(68a)와 위치 설정 핀(65)의 추가의 주요 시트(66e)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분기부(79, 80)가 지지 구조체에 맞물릴 때, 직선 배열로 배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된다.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그 다음에 또한 상기 제1의 긴 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지지 요소에 고정된 배출 라인(45)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 라인(55)은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45a)으로서 배치된 적어도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며, 이 소정 길이의 튜브는 또한 개개의 펌프(3b)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지지 요소의 외주벽(32)에 대해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 라인(45)은 지지 구조체(64)에 대해 양측면 상에서 주요 본체(6)에 고정되어 있으며 개개의 소정 길이의 입구(81)와 소정 길이의 출구(82)는 대응하는 맞물림 커넥터(62b, 62a)와 맞물려 있다.
결국, 분배 순환회로(15)는 보조 사전 주입 라인(50)을 구비한다.
상기 사전 주입 라인(50)은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50a)으로서 배열된 적어도 추가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의 긴 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지지 요소(4)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길이의 튜브(50a)는 사용시 개개의 펌프(3e)와 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지지 요소의 외주벽(32)에 대해 내측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 격실(33)은 분배 순환회로(15)의 다양한 라인의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모두 수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조 사전 주입 라인(50)은 지지 구조체(64)에 대해 반대 측면에서 주요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개개의 소정 길이의 입구(83)와 소정 길이의 출구(84)는 맞물림 커넥터(63b, 63a)에 맞물려 있다.
아치형의 부분을 형성하는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의 특별한 형상과 다양한 튜브의 맞물림 커넥터의 특정 위치로 인하여, 자유로운 U자형 튜브 부분(44a, 45a, 48a, 50a, 51a)의 길이는 πR+2R 미만(여기서 R은 튜브 길이의 곡률 반경)인 것에 주목해야 한다.
집적 모듈의 특정 형상은 하우징 격실(33) 내의 자유 길이가 상기 튜브 내에 흐름을 발생시켜야 하는 각각의 펌프의 반경 크기에 따라 가능한 한 짧게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혈액 라인의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4a)가 실제로 긴 곡률 반경을 지닌 추가의 유체 라인에 의해 형성된 소정 길이의 튜브(45a, 48a, 50a, 51a)보다 더 길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혈액 라인의 소정 길이의 튜브는 필요에 따라 다른 튜브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그것은 다른 튜브와 상이한 유체의 통로를 위한 구역들을 지닐 수 있다.
지지 요소의 다양한 소정 길이의 튜브의 기하학적 위치를 고려하면 다음의 사항에 주목해야 한다.
먼저, 상기 지지 요소는 이론적으로 머신(2)에 맞물린 모듈(1)의 작동 조건에서 상기 모듈의 하부 영역에 의해 형성되어야 할 혈액 라인(44)의 일부에 고정된 제1의 영역(274)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추가의 유체 라인(45, 48, 50, 51)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의 영역의 반대편에 제2의 영역(275)이 존재할 것이다.
상기 제2의 영역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이상형인 절반부(275a, 275b)의 만곡부 내에 존재한다.
배출 라인(45)의 소정 길이의 튜브(45a)와 보조 사전-주입 라인(50)의 소정 길이의 튜브(50a)는 제1의 절반부(275b)에 체결될 것이다.
역으로, 유입 라인의 소정 길이의 튜브(48)와 주입 라인의 소정 길이의 튜브(51a)는 제1의 절반부(275a)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영역(274, 275)과 제2의 영역의 2개의 절반부(275a, 275b)의 분리는 도 9에서 일점쇄선으로 이론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의 영역(275)의 제1 및 제2의 절반부(275a, 275b)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주요 본체(6)의 종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상기 제1의 영역(274)이 기하학적 모양으로 경계가 정해질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된 부분을 구비하고 혈액 라인이 고정될) 제2의 측면(53)과 상기 제2의 측면(53) 근처의 제1의 긴 대향 측면(55, 56) 길이의 거의 절반에 의해 한정된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의 영역(275)은 굴곡이 없는 상기 제2 측면(54)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2의 측면(54) 근처의 제1의 긴 양측면(55, 56)의 일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집적 유체 처리 모듈의 조립 절차는 예컨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4)의 설치 단계와, 지지 요소에 결합될 처리 유닛(5)의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 상기 혈액 처리 유닛이 상기 지지 요소에 체결된다.
궁극적으로, 유체 분배 회로(15)는 가능한 대체액 및 투석액의 혈액 순환, 배출, 주입을 위한 필요한 라인들을 생성하기 위해 지지 요소와 처리 유닛에 결합되어 있다.
유체 순환회로(15)를 처리 유닛에 연결하는 것은 유체 순환회로를 지지 요소에 체결하는 단계 이전, 동시 혹은 이후에 실행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처리 유닛을 지지 요소에 연결하는 단계는 혈액 처리 유닛에 의해 에워싸인 카운터-커넥터(9, 10)가 체결될 한 쌍의 커넥터를 선택하는 부속 단계를 포함하며, 이 부속 단계에서는, 보통 폴리머 수지를 기초로 하여 주어진 양의 아교가 선택된 각각의 커넥터의 링 모양의 시트(21)에 배치되고, 기계적 차단과 액체 밀봉 커플링을 얻기 위해 각각의 카운터-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것의 개개의 링 모양의 시트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끼우기 단계 동안, 링 모양의 시트에 배치된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링 모양의 시트의 제2의 영역(23)에 도달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카운터-커넥터가 각각의 링 모양의 시트 내로 끼워지는 상기 단계의 말기에, 이전에 이미 배치된 접착제의 체적에 링 모양의 시트 내에 에워싸인 카운터-커넥터 일부의 체적을 더한 체적은 상기 링 모양의 시트의 총 체적보다 더 작다. 따라서 상기 시트의 부분적인 혹은 전체적인 폐쇄 원인을 제공하게 될 접착제가 관형 채널(16)로 퍼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유체 분배 회로(15)가 지지 요소(4)에, 그리고 처리 유닛(5)에 결합되는 상기 단계는 소모된 유체를 위한 배출 라인(45)의 단부가 상기 커넥터들 중 하나의 제2의 단부(14)와 유체 밀봉적으로 체결되고, 그리고 새로운 투석액을 위한 유입 라인(48)의 단부가 상기 커넥터의 다른 제2의 단부와 밀봉적으로 체결되는 부속 단계를 포함한다.
유체 분배 회로를 결합시키는 상기 단계는, 또한 입구 도어를 이용하여 제1의 챔버에 혈액 인출 분기부(46)의 단부의 밀봉적인 체결과, 출구 도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의 챔버로부터 혈액 복귀 라인(47)의 단부의 밀봉적인 체결을 포함한다.
전술한 다양한 단부들의 체결은 접착, 강제 접합 혹은 열간 커플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적 모듈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2)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상기 머신(2)은 그 전방면(101)에 사용시 집적 모듈 상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각각의 U자형의 튜브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주어진 개수의 연동 펌프(3a, 3b, 3c, 3d, 3e)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신 본체(11)는 그것이 결합되어야 할 지지 요소의 외주벽(32)에 정확하게 반대되는 형상의 표면(101)으로부터 돌출하는 안내 및 위치 설정 돌출부(102)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내 및 위치 설정 돌출부(102)는 집적 모듈과 맞물릴 때, 상기 외주벽(3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측면(103)을 지닌다.
또한, 연동 펌프는 머신 본체(100)의 표면(101)으로부터 돌출하고 이들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요소의 외주벽(32)에 반대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그것은 정확히 상기 펌프(3)의 돌출하는 측면 부분과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전방벽(25)의 만곡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만곡 부분이다.
돌출하는 연동 펌프와 안내 및 위치 설정 돌출부(102)는 함께 기본적으로 반원형 혹은 U자형을 취하면서 대응하는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4a, 45a, 48a, 50a, 51a)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적절한 시트(104a, 104b, 104c, 104d, 104e)를 형성한다.
집적 모듈(1)에 대해 설명했던 것과 유사하게, 또한 머신의 전방벽 상에, 특히 제1의 영역(174)이 혈액 펌프(3a)를 포함하는 반면 제2의 대응하는 영역은 다른 펌프(3b, 3c, 3d, 3e)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특별한 2개의 영역(174, 175) 내에는 주어진 수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의 영역(1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175a, 175b)를 포함하며, 유입 펌프(3c)와 주입 펌프(3d)는 상기 제1의 절반부에 배치되는 반면, 보조 사전 주입 펌프(3e)와 흡입 펌프(3b)는 제2의 절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의 절반부는 대칭적으로 되고 머신의 전방벽 상에 그리고 제1의 영역(174) 위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결국, 실질적으로 동일하면서 머신 본체에 의해 직접 에워싸인 적어도 제1의 가동 요소(105)와 제2의 가동 요소(106)가 존재하며, 후자는 주입 분기부(77) 상에 및/또는 주입 분기부(76)[제1의 가동 요소(105)], 그리고 사전 주입 분기부(79) 상에 및/또는 사후 주입 분기부(80)[제2의 가동 요소(106)]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전술한 선택 수단(97, 203)은 어느 한 분기부에서 유체의 차단 혹은 통과를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CPU(209)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계된 상기 가동 요소(105, 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요소와 협동하기 위해 집적 모듈에는 모두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주입, 유입, 사후 주입 및 사전 주입 분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주요한 장점을 지닌다.
먼저, 지지 요소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모듈이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에 맞물릴 때, 소정 길이의 다양한 튜브들이 그들의 위치에 유지되도록 해준다.
상기 지지 요소의 특이한 C자형의 섹션은 머신의 전방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요소들과 최적으로 협동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집적 모듈이 머신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맞물리는 것을 보장해준다.
더욱이 소정 길이의 U자형의 튜브에 반대되는 형상을 지닌 적절한 시트가 존재함으로써 연동 펌프 둘레에 순환회로의 최적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유닛을 작동시키는 조작자에 의한 실수 발생률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박스 모양으로 만듦으로써 머신의 모든 가동 부품들(즉, 연동 펌프와 각각의 튜브 내에서 유체 흐름을 차단/허용하는 선택 요소로 칭함)을 실질적으로 보호 및 덮는 수단을 제공하게 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상기 지지 요소를 시각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투명한 재질로 만듦으로써 상기 부품들의 직접 접근을 방지함에 따라 머신을 양호하게 작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 길이의 튜브를 이들의 대응하는 펌프에 대해 정확한 위치 설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허용해준다.
결국, 다양한 펌프와 소정 길이의 튜브의 상대적인 배열은 혈액 처리 요소에 효율적이고 용이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고, 혈액의 체외 순환 길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6)

  1.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에 있어서,
    전방벽(25)과 이 전방벽(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주벽(32)을 구비하는 주요 본체(6)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벽(25)과 상기 외주벽(32)은 하우징 격실(3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은 기본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은 주어진 개수의 측면(53, 54, 55, 56)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외주벽(32)은 상기 측면들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53, 54, 55, 56)들은 기본적으로 직선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은 적어도 기본적으로 평행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제1의 측면(55, 56)과 제2의 측면(53, 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은 기본적으로 직선형태로 전개되면서 그들의 캐비티가 각각의 양측면을 향하는 2개의 곡선 부분(55a, 55b, 56a, 56b)을 지닌 제1의 대향하는 긴 측면(55, 56)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분(55a, 55b; 56a, 56b)들 각각은 원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은 기본적으로 직선 형태로 전개되는 제2의 대향하는 짧은 측면(53, 54)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측면(53, 54)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소정 길이의 직선부(53b, 53c) 사이에 배치된 곡선 부분(53a)을 구비하며, 상기 곡선 부분(53a)의 캐비티는 반대편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분(53a)은 원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1.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분(53a)을 형성하는 상기 원호는 제1의 대향하는 긴 측면(55, 56) 상에 형성된 곡선 부분(55a, 55b, 56a, 56b)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32)은 상기 제1의 대향 측면(55, 56)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32)은 상기 제2의 대향 측면(53, 54)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32)은 전방벽(25)의 모든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하우징 격실(33)의 경계를 정하는 기본적으로 연속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격실(33)은 지지 요소(4)가 사용될 때에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2)과 대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폐쇄 벽을 구비하지 않는 접근 개구(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6)는 전방면(25)에 대해 횡단하는 평면을 분할하는 실질적으로 C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은 하우징 격실(33)을 외부의 환경에 통하도록 하는 주어진 개수의 관통 개구(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8. 제6항, 제9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58)가 상기 곡선 부분(53a, 55a, 55b, 56a, 56b) 각각에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9. 제7항, 제10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분들 각각에 배치된 상기 개구(58)는 각각의 원호와 동일 중심선 상에 있는 원형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0.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 혹은 전체의 주요 본체(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1.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6)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2.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25)과 상기 외주벽(32)은 그것의 6개의 면들 중에서 5개가 기본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박스 형태의 구조를 지닌 주요 본체(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측면(53)들 중 하나의 상기 소정 길이의 직선 부분(53b, 53c)에 각각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의 맞물림 커넥터(59a, 59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대향하는 긴 측면(55, 56)의 상기 곡선 부분(55a, 55b, 56a, 56b) 각각에 인접하게 각각 맞물려 있는 맞물림 커넥터(60a, 60b; 61a, 61b; 62a, 62b; 63a, 63b)의 쌍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커넥터(59a, 59b. 60a, 60b, 61a, 61b, 62a, 62b, 63a, 63b)들은 주요 본체(6)와 일체형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6.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9a, 59b. 60a, 60b, 61a, 61b, 62a, 62b, 63a, 63b)들은 외주벽(32), 예컨대 외주벽(32)의 자유 가장자리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7.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맞물림 커넥터(59a, 59b. 60a, 60b, 61a, 61b, 62a, 62b, 63a, 63b)는 하우징 격실(33)을 향하는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 본체(6)에 결합되는 동시에 이 주요 본체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된 지지 구조체(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주요 본체(6)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주요 본체(6)와 함께 일체형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1. 제6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상기 긴 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주요 본체(6)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상기 긴 측면(55, 56)들 중 하나의 상기 곡선 부분(55a, 55b) 상에서 주요 본체(6)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지지 요소(4)에 결합될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의 각각의 튜브들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된 주어진 개수의 주요 시트(66a, 66b, 66c, 66d, 66e)구비하는 위치 설정 핀(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시트(66a, 66c, 66d)들 중 적어도 2개 혹은 주로 3개는 제1의 긴 측면(55)들 중 하나의 곡선 부분(55a, 55b)에 근접하게 배치된 그들 각각의 맞물림 커넥터(60a, 60b, 61a)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주요 시트(66a, 66c, 66d)와 이들 각각의 커넥터(60a, 60b, 61a)는 평행한 소정 길이의 튜브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핀(65)은 2개의 추가의 주요 시트(66b, 66e)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각각의 보조 시트(67a, 68a)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2개의 보조 부분(67, 68)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추가의 주요 시트(66b, 66e)는 소정 길이의 튜브를 서로에 대해 그리고 일반적으로 3개의 주요 시트(66a, 66c, 66d)에 지지된 것과 평행하게 위치 설정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보조 시트(67a, 68a)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지지 요소의 작동 조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행한 소정 길이의 튜브를 덮도록 전방벽(25)의 평면에 평행한 소정의 평면 상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1의 덮개 벽(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64)는 지지 요소의 작동 조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평행한 추가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덮도록 전방벽(25)의 평면에 평행한 소정의 평면 상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2의 덮개 벽(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9.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격실(33)은 지지 요소(4)에 결합되도록 설계된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본체(6)는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수직이면서 전방면(25)에 횡단하는 2개의 평면을 분할하는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수직인 C형상의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64)는 주요 본체(6)의 외주벽(32)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 혹은 그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지닌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2.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 본체(6)에 결합되는 동시에 지지 요소(4)에 결합될 소정 길이의 튜브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 그리고 일반적으로 2개의 위치 설정 돌출부(72, 7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위치 설정 돌출부(72, 73)는 하우징 격실(33) 내측에 배치되어 주로 전방벽(25)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 본체(6)에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에 대해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커넥터(7, 8)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에는 지지 요소(4) 상에 장착될 혈액 처리 유닛(5)의 대응하는 카운터-커넥터(9, 10)들이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커넥터(7, 8)는 주요 본체(6)에 직접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커넥터(7, 8)는 주요 본체(6)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7.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커넥터(7, 8)로부터 이격되고 주요 본체(6)에 직접 맞물린 제3의 커넥터(11)를 구비하며, 상기 3개의 커넥터들은 지지 요소 상에 장착될 다른 혈액 처리 유닛과 결합된 대응하는 쌍의 카운터-커넥터와 맞물리도록 중앙 축들 사이에 상이한 간격을 지닌 커넥터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커넥터(11)는 주요 본체(6)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9.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넥터(7, 8, 11)들은 처리 유닛(5)에 내장된 각각의 카운터-커넥터 내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채널(13)과 유체 연통 상태로 삽입되도록 설계된 제1 단부(12)와, 주요 본체(6)에 결합될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와 유체 연통 상태로 삽입되도록 설계된 제2의 단부(14)를 지닌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7, 8, 11) 각각은:
    - 상기 제1의 부분(12)을 형성하는 관형 채널(16)과,
    - 상기 관형 채널의 외측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밀봉 칼라(17)와,
    - 상기 카운터-커넥터 각각을 위한 링 모양의 맞물림 시트를 형성하도록 관형 채널(16)의 외측면(19)과 상기 칼라(17)의 내측면(20) 사이에서 방해물 없이 전개되는 연결 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부분(12)을 형성하는 상기 관형 채널(16)은 밀봉 칼라(17)에 대해 동일 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링 형상의 시트(21)의 바닥은 상기 연결 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시트(21)는 바닥 벽(18)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크기가 증가하는 반경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시트(21)는 상기 바닥 근처에서 일정한 반경을 지닌 제1의 영역(22)과, 바닥에 대해 말단에서 상기 제1의 영역(22)의 반경 크기보다 더 큰 일정한 반경을 지닌 제2의 영역(23)과, 바닥 벽(18)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제1의 영역과 제2의 영역 사이에 있는 제3의 영역(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넥터(7, 8, 11)의 관형 채널(16)과 밀봉 칼라(17)는 처리 유닛(5)의 대응하는 카운터-커넥터(9, 10)와의 일방향 커플링을 형성하도록 주요 본체(6)로부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5.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제4의 커넥터(26)를 포함하며, 상기 제4의 커넥터는 주요 본체(6)와 일체형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커넥터들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지지 요소(4) 상으로 장착될 혈액 처리 유닛(5)에 결합된 대응하는 쌍의 커넥터에 결합될 또 다른 쌍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커넥터(26)는:
    - 중앙의 위치 설정 원통형 본체(27)와,
    -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측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밀봉 칼라(28)와,
    - 상기 원통형 본체(27)의 외측면(30)과 상기 칼라(28)의 내측면(31) 사이에서 방해물 없이 전개되는 연결 벽(29)
    을 포함하며, 상기 제4의 커넥터(26)는 처리 유닛(5)의 카운터-커넥터를 위한 맞물림 및 흐름 폐쇄 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7. 제45항, 제47항 또는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과 상기 본체(6)는 상기 처리 유닛(15)의 기계적인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8. 제47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은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9. 제47항, 제47항 또는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주요 본체(6)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60. 제5항, 제28항 또는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지지 구조체(64)는 상기 제1의 긴 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주요 본체(6)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32)의 기저 영역(36)으로부터 작동 시트에 대해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보조 구조체(35)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7, 8, 11, 26)들은 보조 구조체(35)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6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정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63.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2)에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64. 집적 유체 처리 모듈로서:
    -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 요소(4)와;
    - 상기 지지 요소(4)에 맞물린 적어도 하나의 혈액 처리 유닛(5)과;
    - 상기 지지 요소(4)에 결합되어 상기 처리 유닛(5)과 협동하는 유체 분배 순환회로(15)
    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회로(15)는 혈액 인출 분기부(46)와 혈액 복귀 분기구(47)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혈액 라인(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66. 제9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라인(44)은 곡선 부분(53a)을 구비하는 상기 제2의 측면(53, 54)들 중 하나에서 지지 요소(4)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6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라인(44)은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44a)으로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길이의 튜브는 각각의 펌프(3a)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6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4a)는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 내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69. 제42항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돌출부(72, 73)는 혈액 라인(44)의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그 위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4)에 고정된 혈액 라인(44)의 소정 길이의 부분(44a)은 인출 분기부(4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1.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순환회로(15)는 신규의 투석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라인(4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2. 제6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신규의 투석액을 위한 상기 유입 라인(48)은 제1의 긴 양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지지 요소(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라인(48)은 상기 지지 요소(4)에 대해 U자형 부분(48a)으로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 요소(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길이의 튜브(48a)는 각각의 펌프(3c)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8a)는 상기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에 내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5. 제33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라인(48)은 지지 구조체(64) 상에서 주요 본체(6)에 고정되고, 유입 라인(48)의 적어도 소정 길이의 입구(74)는 위치 설정 핀(65)의 주요 시트(66c) 속으로 그리고 맞물림 커넥터(60b)에 맞물리며, 유입 라인(48)의 적어도 소정 길이의 출구(75)는 위치 설정 핀(65)의 주요 시트(66a) 속으로 그리고 각각의 맞물림 커넥터(60a)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b, 60a)와 맞물린 소정 길이의 입구 및 출구(74, 75)는 직선 배열로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7.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의 출구(75)는 유체를 혈액 처리 유닛(5)으로 전달하는 유입 분기부(76)와, 유체를 혈액 라인(44)으로 전달하는 주입 분기부(77)로 분기시키는 분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8. 제77항에 있어서, 주입 분기부(77)와 유입 분기부(76)로 분기시키는 분기부는 맞물림 커넥터(60a)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분기부(77)는 보조 시트(67a)와 다른 주요 시트(66b)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0.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분기부(77)와 유입 분기부(76)는 지지 구조체(64)에 맞물릴 때에 직선 배열로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1. 제64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적어도 주입 라인(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2. 제6항 또는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라인(51)은 상기 제1의 긴 양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라인은 상기 지지 요소(4)에 대해 U자형 부분(51a)으로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 요소(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길이의 튜브(51a)는 사용시 각각의 펌프(3d)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51a)는 상기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 내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5. 제33항 또는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라인(51)은 지지 구조체(64) 상에서 주요 본체(6)에 고정되고, 유입 라인(51)의 적어도 소정 길이의 입구(78)는 위치 설정 핀(65)의 주요 시트(66d) 속으로 그리고 맞물림 커넥터(61a)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의 출구(78)는 혈액 라인(44)의 인출 분기부(46)로 유체를 전달하는 사전 주입 분기부(79)와, 혈액 라인(44)의 혈액 복귀 분기부(47)로 유체를 전달하는 사후 주입 분기부(80)로 분리시키는 분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 주입 분기부(79)와 사후 주입 분기부(80)로 분리시키는 상기 분기부는 맞물림 커넥터(61a)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주입 분기부(79)는 보조 시트(68a)와 위치 설정 핀(65)의 추가의 주요 시트(66e)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9.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주입 분기부(79)와 사후 주입 분기부(80)는 지지 구조체(64)에 맞물릴 때 직선 배열로 배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0. 제64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적어도 배출 라인(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1. 제6항 또는 제90항에 있어서, 폐기 유체를 위한 상기 배출 라인(45)은 상기 제1의 긴 측면(55, 56)들 하나 상에서 지지 요소(4)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45)은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45a)으로서 배치된 적어도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지지 요소(4)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소정 길이의 튜브(45a)는 사용시 각각의 펌프(3b)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5a)는 상기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에 내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4. 제33항 또는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라인(45)은 지지 구조체(64)에 대해 양측면 상에서 주요 본체(6)에 고정되어 있으며, 배출 라인의 소정 길이의 입구(81)와 소정 길이의 출구(82)는 대응하는 맞물림 커넥터(62b, 62a)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5. 제64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의 사전 주입 라인(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6. 제6항 또는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주입 라인(50)은 상기 제1의 긴 양측면(55, 56)들 중 하나 상에서 지지 요소(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7.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주입 라인(51)은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50a)으로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튜브를 형성하도록 지지 요소(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길이의 튜브(50a)는 사용시 개개의 펌프(3e)와 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U자형 튜브(50a)는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에 내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9. 제33항 또는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사전 주입 라인(50)은 지지 구조체(64)에 대해 양측면 상에서 주요 본체(6)에 고정되어 있고, 보조 사전 주입 라인(51)의 적어도 하나의 소정 길이의 입구(83)와 적어도 하나의 소정 길이의 출구(84)는 대응하는 맞물림 커넥터(63b, 63a)에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0. 제67항, 제73항, 제83항, 제92항 또는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자형 튜브 부분(44a, 45a, 48a, 50a, 51a) 마다의 길이는 πR+2R 이하(여기서 R은 튜브 길이의 곡률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지지 요소에 고정된 유체 라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라인은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U자형 부분(45a, 48a, 50a, 51a)으로서 배열된 적어도 소정 길이의 튜브를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라인은 사용시 개개의 펌프(3b, 3c, 3d, 3e)와 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지지 요소(4)는 혈액 라인(44)의 일부가 체결될 제1의 영역(274)과 상기 제1의 영역 반대의 제2의 영역(275)을 구비하며, 다른 유체 라인(45, 48, 50, 51)들은 모두 상기 제2의 영역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2. 제101항에 있어서, 혈액 라인(44)의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4a)는 다른 유체 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소정 길이의 튜브(45a, 48a, 50a, 51a)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3. 제64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라인의 상기 U자형의 소정 길이의 튜브(44a)는 다른 유체 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소정 길이의 튜브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4. 제92항 또는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2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275a, 275b)를 포함하며, 폐기 유체의 배출 라인(45)의 적어도 소정 길이의 튜브(45a)는 제2의 절반부(275b)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5. 제73항 또는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2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275a, 275b)를 포함하며, 새로운 액체를 위한 유입 라인(48)의 적어도 소정 길이의 튜브(48a)는 제1의 절반부(275a)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6. 제83항 또는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2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275a, 275b)를 포함하며, 주입 라인(51)의 적어도 소정 길이의 튜브(51a)는 제2의 절반부(275b)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7. 제97항 또는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2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275a, 275b)를 포함하며, 보조 사전 주입 라인(50)의 적어도 소정 길이의 튜브(51a)는 제2의 절반부(275b)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8. 제9항 또는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274)은 곡선 부분(53a)을 구비하는 상기 제2의 측면(53)과 곡선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제2의 측면(53) 옆의 제1의 긴 양측면(55, 56)의 일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09. 제9항 또는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275)은 곡선 부분을 구비하지 않은 상기 제2의 측면(54)들 중 하나와 곡선 부분을 구비하지 않은 상기 제2의 측면(54) 옆의 제1의 긴 양측면(55, 56)의 일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0. 제101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2)에 결합될 때, 지지 요소(4)의 제1의 영역(274)은 지지 요소의 제2의 영역(275) 아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1.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이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2)에 결합될 때, 지지 요소(4)의 제2의 영역(274)의 제1 및 제2의 절반부(275a, 275b)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2. 제5항 또는 제101항에 있어서, 곡선 부분을 구비하지 않은 상기 제2의 측면(54)들 중 하나는 그것에 직접 체결된 소정 길이의 튜브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3.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절반부(275a, 275b)는 주요 본체(6)의 종축에 대해 거울상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4. 제64항 내지 제113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5)은 적어도 한 쌍의 커넥터(7,8) 상에서 주요 본체(6)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5.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7, 8)의 쌍은 카운터-커넥터(9, 10)와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의 일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 하우징 본체(40)와;
    - 제1 및 제2의 챔버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 내부에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투과성 막(41)과;
    - 상기 하우징 본체(40)에 결합되는 동시에 주요 본체(6)에 결합된 각각의 커넥터(7, 8)에 체결된 제1 및 제2의 카운터-커넥터(9, 10)와, 제1 및 제2의 카운터-커넥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처리 유닛의 제2의 챔버와 상기 커넥터(7, 8)의 각각의 제1의 단부(12, 14)와 연통되며;
    - 상기 제1의 챔버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 도어(42)와;
    - 상기 제1의 챔버로부터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어(43)
    를 포함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7.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상기 커넥터(7, 8)들 중 하나의 제2의 단부(14)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기 유체용 배출 라인(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상기 커넥터(7, 8)들 중 하나의 제2의 단부(14)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투석액용 유입 라인(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19. 제64항 또는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 순환회로(15)는 제1의 챔버로 향하는 접근 도어(42)와 연통된 혈액 인출 분기부(46)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혈액 라인(44)과, 제1의 챔버로부터 출구 도어(43)와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혈액 복귀 라인(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20.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라인(44)은 다른 유체 라인(45, 48, 50, 51)에 대해 상이한 물질을 실어 나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121.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와 결합하도록 설계된 주어진 수의 펌프(3a, 3b, 3c, 3d, 3e)를 그 표면(101) 상에 구비하는 본체(100)를 포함하는 혈액의 체외 처리 머신에 있어서, 상기 머신 본체(100)는 사용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 요소(4)의 각각의 외주벽(32)에 결합되도록 설계된 표면(101)으로부터 돌출하는 안내 및 위치 설정 돌출부(10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2.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및 위치 설정 돌출부(102)는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의 프로파일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측면(1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3.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a, 3b, 3c, 3d, 3e)는 머신 본체(100)의 표면(101)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펌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요소(4)의 외주벽(32)에 반대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4)가 상기 머신(2)에 맞물릴 때, 지지 요소(4)의 외벽(32)은 상기 펌프(3a, 3b, 3c, 3d, 3e)의 측면과 상기 안내 및 위치 설정 돌출부(102)의 측면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5. 제121항 내지 제124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펌프(3a, 3b, 3c, 3d, 3e)와 상기 안내 및 위치 설정 돌출부(102)는 대응하는 소정 길이의 U자형 튜브(44a, 45a, 48a, 50a, 51a)가 맞물리게 될 예컨대 기본적으로 반원형의 시트(104a, 104b, 104c, 104d, 104e)를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6. 제121항 내지 제1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펌프는 분배 순환 회로(15)의 각각의 혈액 펌프(44)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혈액 펌프(3a)이며, 상기 머신 본체(100)는 그 표면(101) 상에서 상기 혈액 펌프(3a)를 지닌 제1의 영역(174)과 다른 펌프(3b, 3c, 3d, 3e)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1의 영역 반대편의 적어도 하나의 2개의 영역(17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7. 12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유입 펌프(3c)이며, 분배 순환회로(15)의 새로운 투석액을 위한 각각의 유입 라인(48)과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8.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1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175a, 175b)를 포함하며, 유입 펌프(3c)는 상기 제1의 절반부(175a)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29. 제126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조건에서 상기 머신 본체(100)의 제1의 영역(174)은 상기 본체의 제2의 영역(175)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0. 제128항에 있어서, 작동 조건에서 상기 머신 본체(100)의 제2의 영역(175)의 제1 및 제2의 절반부(175a, 175b)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1.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절반부(175a, 175b)는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2. 제126항 내지 제1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분배 순환회로(15)의 각각의 배출 라인(45)과 협동하도록 설계된 흡입 펌프(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3. 제1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1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175a, 175b)를 포함하며, 흡입 펌프(3b)는 상기 제2의 절반부(175b)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4. 제126항 내지 제1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분배 순환회로(15)의 각각의 주입 라인(51)과 협동하도록 설계된 주입 펌프(3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5. 제1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1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175a, 175b)를 포함하며, 주입 펌프(3d)는 상기 제1의 절반부(175a)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6. 제126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분배 순환회로(15)의 각각의 보조 사전 주입 라인(50)과 협동하도록 설계된 사전 주입 펌프(3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7. 제1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영역(175)은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절반부(175a, 175b)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사전 주입 펌프(3e)는 상기 제2의 절반부(175b)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8. 제127항, 제132항, 제134항 또는 제136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유입, 배출, 주입 및 보조 사전 주입 펌프들은 연동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39. 제138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동 펌프는 지점(支點) 둘레를 회전하는 가동 아암과, 이 가동 아암과 함께 회전하면서 그것에 체결되고 그것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소정 길이의 튜브 상에서 작동하는 작동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40. 제139항에 있어서, 혈액 펌프의 가동 아암은 다른 펌프의 가동 아암보다 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41. 제132항 내지 제1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64항 내지 제1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집적 유체 처리 모듈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42. 제64항 내지 제121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집적 모듈을 포함하는 제121항 내지 제1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분기부(77) 혹은 유입 분기부(76)에서 유체의 차단 혹은 통과를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주입 분기부(77) 상에 및/또는 주요 본체(52)에 맞물린 지지 구조체(64) 상의 주입 분기부(76) 상에서 작동하는 가동 요소(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43.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요소(105)는 머신 본체(100) 상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44. 제64항에 따른 집적 모듈을 포함하는 제121항 내지 제1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주입 분기부(79) 혹은 상기 사후 주입 분기부(80) 내의 유체의 차단 혹은 통과를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주입 분기부(79) 상에 및/또는 상기 사후 주입 분기부(80) 상에서 작동하는 가동 요소(1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45. 제14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요소(106)는 상기 머신 본체(100) 상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146.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에 있어서, 전방벽(25)과 이 전방벽(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주벽(32)을 구비하는 주요 본체(6)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벽(32)과 상기 전방벽(25)은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가 수직이면서 전방면(25)에 횡단하는 2개의 평면을 분할하는 지지 요소(4)에 결합되도록 설계된 유체 분배 순환회로(15)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도록 하우징 본체(33)를 함께 형성하며, 상기 주요 본체(6)는 서로 수직인 기본적으로 C형상의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KR1020057014472A 2003-02-07 2004-01-19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 KR101044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213A ITMI20030213A1 (it) 2003-02-07 2003-02-07 Elemento di supporto per un modulo integrato di trattamento sangue,modulo integrato di trattamento sangue ed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extracorporeo di sangue dotata di detto modulo integrato.
ITMI2003A000213 2003-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895A true KR20050098895A (ko) 2005-10-12
KR101044298B1 KR101044298B1 (ko) 2011-06-28

Family

ID=3284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472A KR101044298B1 (ko) 2003-02-07 2004-01-19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590013B1 (ko)
JP (1) JP4540662B2 (ko)
KR (1) KR101044298B1 (ko)
CN (1) CN100579590C (ko)
AT (1) ATE495772T1 (ko)
AU (1) AU2004210213B8 (ko)
CA (1) CA2514970C (ko)
DE (1) DE602004031080D1 (ko)
ES (1) ES2358593T3 (ko)
IT (1) ITMI20030213A1 (ko)
WO (1) WO20040692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8461B2 (ja) * 2004-10-05 2011-11-02 日機装株式会社 生体成分測定ユニット、生体成分測定ユニット包装体、医療支援器具キット及び医療支援器具キット包装体
FR2881116A1 (fr) * 2005-01-21 2006-07-28 Gambro Lundia Ab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our article medical
US8110104B2 (en) * 2007-09-19 2012-02-07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Dialysis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FR2925341A1 (fr) * 2007-12-20 2009-06-26 Gambro Lundia Ab Appareil pour le traitement extracorporel de sang ou plasma recevant plusieurs articles a usage unique
DE102008026916A1 (de) * 2008-06-05 2009-12-1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Organizer zum lösbaren Aufnehmen von Komponenten von Blutschlauchsätz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sowie zum Vorbereiten desselben
JP5316089B2 (ja) * 2009-03-02 2013-10-1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循環回路の保持部材と包装部材との組み合わせ
US9220832B2 (en) 2010-01-07 2015-12-29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Dialysis systems and methods
US8500994B2 (en) 2010-01-07 2013-08-06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Dialysis systems and methods
USD759821S1 (en) 2014-06-10 2016-06-21 Gambro Lundia Ab Cassette housing for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apparatus
USD759822S1 (en) 2015-04-15 2016-06-21 Gambro Lundia Ab Cassette housing for dialysis machine tubing
CN112870467A (zh) * 2021-01-13 2021-06-01 沈阳精渡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负压离心注胶灌封工艺及装置
US11986584B1 (en) 2023-02-20 2024-05-21 Nuwellis, Inc. Extracorporeal blood filtering machine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64001A0 (en) * 1981-10-06 1982-01-31 Elmar Medical Systems Ltd Blood treatment system
US5273517A (en) 1991-07-09 1993-12-28 Haemonetics Corporation Bloo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disposable cassette
US5441636A (en) * 1993-02-12 1995-08-15 Cobe Laboratories, Inc. Integrated blood treatment fluid module
US5482440A (en) * 1993-12-22 1996-01-09 Baxter Int Blood processing systems using a peristaltic pump module with valve and sensing station for operating a peristaltic pump tube cassette
JP3817079B2 (ja) * 1998-10-05 2006-08-30 テルモ株式会社 血液成分採取装置
EP0941132A2 (en) * 1997-09-12 1999-09-15 COBE Laboratories,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system
US6280406B1 (en) * 1997-09-12 2001-08-28 Gambro,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system
FR2779964B1 (fr) * 1998-06-17 2000-09-15 Internova International Innova Machine de dialyse, en particulier pour une utilisation a domicile
CN2386827Y (zh) * 1998-09-11 2000-07-12 彭罗民 自动血透滤过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14970C (en) 2011-03-29
AU2004210213B2 (en) 2009-10-29
DE602004031080D1 (de) 2011-03-03
JP2006523469A (ja) 2006-10-19
ATE495772T1 (de) 2011-02-15
WO2004069299A3 (en) 2006-08-31
ITMI20030213A1 (it) 2004-08-08
EP1590013B1 (en) 2011-01-19
KR101044298B1 (ko) 2011-06-28
ES2358593T3 (es) 2011-05-12
CA2514970A1 (en) 2004-08-19
EP1590013A2 (en) 2005-11-02
JP4540662B2 (ja) 2010-09-08
WO2004069299A2 (en) 2004-08-19
AU2004210213A1 (en) 2004-08-19
AU2004210213B8 (en) 2010-04-22
CN100579590C (zh) 2010-01-13
CN1909937A (zh)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7146B2 (en) Support element for an integrated blood treatment module, integrated blood treatment module and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said integrated module
US7993516B2 (en) Integrated blood treatment module and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US7867393B2 (en) Integrated module for blood treatment
JPH09276398A (ja) 医療処理装置用の、種々の液体を均衡化する使い捨て型均衡化装置及びこのような使い捨て型均衡化装置を収容する差込みユニットを有する医療処理装置
KR101044300B1 (ko) 통합형 혈액 처리 모듈 및 체외 혈액 처리 장치
KR101044298B1 (ko) 혈액 처리 집적 모듈용 지지 요소
US20160310656A1 (e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system, disposable set and valve unit for pre/post infusion
CA2514974C (en) A support element for an integrated module for blood treatment
AU2004210213A2 (en) Support element for an integrated blood treatment module
CN109069723B (zh) 血液净化系统和其启动加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