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706A -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706A
KR20050098706A KR1020040024234A KR20040024234A KR20050098706A KR 20050098706 A KR20050098706 A KR 20050098706A KR 1020040024234 A KR1020040024234 A KR 1020040024234A KR 20040024234 A KR20040024234 A KR 20040024234A KR 20050098706 A KR20050098706 A KR 2005009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coupler
communication lin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927B1 (ko
Inventor
이소영
강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싸이버트론
최준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싸이버트론, 최준국 filed Critical (주)싸이버트론
Priority to KR102004002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927B1/ko
Priority to US11/547,917 priority patent/US20070297800A1/en
Priority to PCT/KR2005/000970 priority patent/WO2005112308A1/en
Priority to EP05764924A priority patent/EP1756980A1/en
Priority to CNA2005800147147A priority patent/CN1977474A/zh
Priority to JP2007507239A priority patent/JP2007535237A/ja
Publication of KR2005009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87Protection in WD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5Ring-typ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광통신 선로와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하여 통신 품질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통신 선로상의 각종 기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야기되는 접속 노드 손실 등의 각종 손실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화(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은 중앙 기지국(CO : Central Office)에서 각 가입자에게 서로 다른 파장을 할당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각 가입자는 할당된 파장을 이용하여 항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각 가입자에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의 보안성이 뛰어나고 성능 향상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수동 광 네트워크(PON : Passive Optical Network)이란 광 가입자망 구축 방식의 하나로 광 케이블에 수동 광분배 소자를 사용해 하나의 OLT(Optical Line Termination)가 여러 ONU(Optical Network Unit)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수동 광 네트워크(PON)는 중앙 기지국(CO)에서 지역 기지국(RN : Remote Node)까지는 1개 광섬유로 전송되어와서 지역 기지국(RN)에 있는 수동 광분배 소자로 나누어져 각 가입자까지 광섬유로 전송된다. 즉, 수동 광 네트워크(PON)는 중앙 기지국(CO)에서 가입자들의 인접 지역에 설치된 지역 기지국(RN)까지는 단일 광섬유로 연결되고, 지역 기지국(RN)에서 각 가입자까지는 독립된 광섬유로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중앙 기지국(CO)에서 가입자까지 1대1로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케이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파장 분할 다중화(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과 수동 광 네트워크(PON : 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을 결합하여 하나의 파장 분할 다중화(WDM)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PON)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파장 분할 다중화(WDM)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PON)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파이버 절체나 특정 채널의 LD(광 송신부에 해당) 혹은 PD(광 수신부에 해당)의 고장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여분의 구성을 가지는 리던던시(Redundancy)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 출원인은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2003. 12. 29)에서 광원으로 유입 가능한 빛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광원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데이터 패킷의 전송 에러율을 낮출 수 있는 파장 분할 다중화(WDM)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PON)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에서 제시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링형의 광통신 선로(100)와, 중앙 기지국(200)과, 다수의 지역 기지국(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기지국(200)은 링형의 광통신 선로(100)를 통해 다수의 지역 기지국(300)들과 네트워크 연결된다.
상기 중앙 기지국(200)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광 송신부(210)와, 상기 각 광 송신부(210)와 쌍을 이루되 이 쌍을 이루는 광 송신부(210)와 동일한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광 수신부(2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광 송신부(210)가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단일의 광대역 파장을 발생시키고, 그레이팅 소자(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발생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중앙 기지국(200)은 후술하는 광 순환기(240)들을 통해 입력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를 통해 입력되는 다중화된 광 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상기 광 순환기(240)로 출력하는 다중화/역다중화기(2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 기지국(200)은 지정된 광 송신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출력하며,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서 역다중화되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지정된 광 수신부(220)로 출력하는 다수의 광 순환기(240)들을 포함한다.
이 광 순환기(240)는 구조상 입력 포트를 통해 입사된 빛이 절대로 다시 동일한 포트로 되돌아가지 못하도록 설계된 광 소자이다. 이러한 의미는 곧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빛은 어떤 경로를 타고 오더라도 다시 광원으로 유입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 순환기(240)의 동작에 관해 도 2 에 도시하였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Port) 1을 통해 입력된 광 신호는 포트 2를 통해 출력되고, 포트 2를 통해 입사된 광 신호는 포트 3을 통해 출력된다. 포트 3과 포트 1의 연결은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포트 1을 광 송신부(210)에 연결하고 포트 2와 포트 3을 각각 다중화/역다중화기(230), 광 수신부(220)에 연결하게 되면 각각의 광 송신부(210)에서 발생된 광 신호는 포트 2를 통해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서 다중화되어 광통신 선로(100)를 통해 각 지역 기지국(300)으로 전송되며, 링 타입의 광통신 선로(100)를 통해 순환된 광 신호는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서 역 다중화된후 각각의 광 순환기(240)의 포트 2로 유입됨에 따라 각 광 수신부(220)는 포트 3을 통해 광 신호를 전송 받게 되는 것이다. 이때 포트 2를 통해 유입된 광 신호는 포트 1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포트 3만을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광 신호가 광원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저속은 물론 고속 데이터 전송시에도 패킷 전송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역 기지국(300)은 상기 광통신 선로(100)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중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신호만을 드롭시켜 가입자 장치(도면 도시 생략)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출력하는 광 분기/결합기(310)와, 상기 광 분기/결합기(310)를 통해 드롭된 광 신호를 가입자 장치의 광 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의 광 송신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 분기/결합기(310)로 출력하는 다수의 광 순환기(321a)(321b)를 포함한다.
도 3 은 양방향 광 분기/결합기(310)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양방향 광 분기/결합기(310)는 링을 형성하는 광통신 선로(100)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신호 흐름을 가지되, 도시한 바와 같이 Com IN Prot를 통해 광통신 선로(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중 특정 대역의 파장 신호만을 가입자 장치의 광 수신부로 출력하고, 이 신호와 동일 파장의 신호를 가입자 장치의 광 송신부로부터 전송받아 광통신 선로(100)로 반사시키는 제 1 WDM 박막필터와, Com out Port를 통해 광통신 선로(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중 특정 대역의 파장 신호만을 가입자 장치의 리던던시를 위한 또 다른 광 수신부로 출력하고, 이 신호와 동일 파장의 신호를 리던던시를 위한 또 다른 광 송신부로부터 전송받아 광통신 선로(100)로 반사시키는 제 2 WDM 박막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기(310)에 의해서 각 지역 기지국(300)은 가입자 장치(도면 도시 생략)로부터 전송된 광신호를 링 타입의 분배망에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각 지역 기지국(300)은 도 2 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상기한 광 순환기(321a)(321b)에 의해 각 가입자 장치의 광 송신부로 광 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에서는 또 다른 실시예로 미디어 변환기를 채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 기지국(200)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광 송신부(210)와 상기 광 송신부(210)와 쌍을 이루되 쌍을 이루는 광 송신부(210)와 동일한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수신부(2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미디어 변환기(General MC)와, 상기 미디어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통신 선로로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를 통해 입력되는 다중화된 광 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변환기로 출력하는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상기 미디어 변환기의 광 송신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출력하며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서 역다중화되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미디어 변환기의 광 수신부(220)로 출력하는 다수의 광 순환기(240)를 포함한다.
한편, 지역 기지국(300)은 도 10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광통신 선로(100)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중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신호만을 드롭시켜 가입자 장치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출력하는 광 분기/결합기(310)와, 상기 광 분기/결합기(310)의 마스터 채널과 슬레이브 채널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광 순환기(321a)(321b)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 순환기(321a)(321b)중 어느 하나로 광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고 상기 광 순환기(321a)(321b)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가입자 장치로 출력하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광 송수신부(322a)(322b)와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광 송수신부(322a)(322b)의 상태 및 회선 절체상태를 검출하여 어느 하나의 광 송수신부(322a)(322b)만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323)와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광 송수신부(322a)(322b) 각각에 연결되어 가입자 장치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324a)(324b)를 포함하는 리던던시 미디어 변환기(320)를 포함한다. 이들의 동작에 대해서는 선출원 명세서상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에서 제시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광 커플러(400)를 채용하여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다중화신호를 서로 다른 광통신 선로(100)로 분기 전송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중 어느 하나의 선로로부터 전송되는 광 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에서 제시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링형의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에 없었으므로 품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링형의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링형의 광통신 선로와;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광 송신부와, 상기 광 송신부와 쌍을 이루되 쌍을 이루는 광 송신부와 동일한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수신부와, 입력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통신 선로로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다중화된 광 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지정된 광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출력하며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에서 역다중화되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지정된 광 수신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광 순환기를 포함하는 중앙 기지국과; 상기 광통신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중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신호만을 드롭시켜 가입자 장치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통신 선로로 출력하는 광 분기/결합기와, 상기 광 분기/결합기를 통해 드롭된 광 신호를 가입자 장치의 광 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의 광 송신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 분기/결합기로 출력하는 광 순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지역 기지국을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PON : Passive Optical Network)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이 상기 광통신 선로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보상하는 신호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신호 보상부를 통해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한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에서 제시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접속되는 광 커플러(400) 대신 신호 보상부(500)를 채용하여 광통신 선로(100)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2 실시예의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3 실시예의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4 실시예의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5 실시예의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6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보상부(500)가 제 1 의 광 순환기(510)와, 1 ×2 커플러(520)와, 제 2 의 광 순환기(530)와, 한쌍의 증폭기(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의 광 순환기(510)는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1 ×2 커플러(520)는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2 의 광 순환기(530)는 상기 1 ×2 커플러(5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1 ×2 커플러(520)로 출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증폭기(540)는 상기 제 1 의 광 순환기(510)와 제 2 의 광 순환기(530)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한다.
즉, 이 제 1 실시예는 2개의 광 순환기(510)(530)를 사용해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 및 광통신 선로(100)로 반사된 광신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제 1 의 광 순환기(510)의 하나의 포트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 연결되고 나머지 두개의 포트는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540) 일측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540) 타측엔 제 2 의 광 순환기(530)의 두 포트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2 의 광 순환기(530)의 나머지 한 포트는 상기 1 ×2 커플러(520)의 일측 단과 연결된다.
상기 1 ×2 커플러(520)의 분기된 두 타 측단은 각각 광통신 선로(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상기 2개의 광 순환기(510)(530)에 의해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가지며, 두 전송 경로상에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540)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적절하게 증폭되어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하게 된다.
이후 설명될 제 2 내지 4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2개의 광 순환기를 채용함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 순환기의 갯수를 줄이고 커플러를 사용한 구조이다. 광 순환기에 비해 커플러는 안정성 측면에서는 유리하진 않지만 손실 보상 측면에서는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보상부(500)가 광 순환기(610)와, 2 ×2 커플러(620)와, 한쌍의 증폭기(630)를 포함한다.
상기 광 순환기(610)는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2 ×2 커플러(620)는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630)는 상기 광 순환기(610)와 2 ×2 커플러(620)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한다.
즉, 이 제 2 실시예는 1개의 광 순환기(610)를 사용해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반사된 광신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광 순환기(610)의 하나의 포트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 연결되고 나머지 두개의 포트는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630) 일측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630) 타측엔 2 ×2 커플러(620)의 분기된 일측단 각각이 연결되며, 상기 2 ×2 커플러(620)의 분기된 타측단 각각은 광통신 선로(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상기 광 순환기(610)와 2 ×2 커플러(620)에 의해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가지며, 두 전송 경로상에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630)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적절하게 증폭되어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보상부(500)가 1 ×2 커플러(710)와, 2 ×2 커플러(720)와, 한쌍의 증폭기(730)를 포함한다.
상기 1 ×2 커플러(710)는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2 ×2 커플러(720)는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730)는 상기 1 ×2 커플러(710)와 2 ×2 커플러(720)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한다.
즉, 이 제 3 실시예는 광 순환기를 채용하지 않아 반사되는 신호 차단 효율은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비해 우수하지 못하나 비용을 더 최소화 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1 ×2 커플러(710)의 일측단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 연결되고 분기된 타측단 각각은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730) 일측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730) 타측엔 2 ×2 커플러(720)의 분기된 일측단 각각이 연결되며, 상기 2 ×2 커플러(720)의 분기된 타측단 각각은 광통신 선로(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상기 1 ×2 커플러(710)와 2 ×2 커플러(720)에 의해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가지며, 두 전송 경로상에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730)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적절하게 증폭되어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보상부(500)가 제 1 의 1 ×2 커플러(810)와, 제 2 의 1 ×2 커플러(820)와, 광 순환기(830)와, 한쌍의 증폭기(8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810)는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820)는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광 순환기(830)는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8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820)로 출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증폭기(840)는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810)와 광 순환기(830)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한다.
즉, 이 제 4 실시예는 1개의 광 순환기(830)를 사용해 광통신 경로(100)로 반사된 광신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810)의 일측단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 연결되고 분기된 타측단은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840) 일측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840) 타측엔 광 순환기(830)의 두 포트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광 순환기(830)의 나머지 한 포트는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820) 일측 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820)의 분기된 두 타 측단은 각각 광통신 선로(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810)와 광 순환기(830)에 의해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가지며, 두 전송 경로상에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840)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적절하게 증폭되어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보상부(500)가 제 1 의 1 ×2 커플러(910)와, 한쌍의 광 순환기(920a)(920b)와,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930a)(930b)와, 증폭기쌍(940a)(940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910)는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한쌍의 광 순환기(920a)(920b)는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910)의 분기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910)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신호와 이로 입력되는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930a)(930b)는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송신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각각 분기하여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쌍(940a)(940b)은 상기 한쌍의 광 순환기(920a)(920b)와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930a)(930b)간에 각각 형성된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를 각각 구비하여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한다.
즉, 이 제 5 실시예는 한쌍의 광 순환기(920a)(920b)를 사용해 광통신 경로(100)로로부터 분기된 두 경로를 통해 각각 유입되는 반사된 광신호를 차단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910)의 일측단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 연결되고 분기된 타측단 각각은 한쌍의 광 순환기(920a)(920b)의 일측 포트와 연결된다.
상기 한쌍의 광 순환기(920a)(920b)의 타측 포트 각각은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쌍(940a)(940b) 일측에 각각 연결된다.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쌍(940a)(940b)의 타측 각각엔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930a)(930b) 일측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930a)(930b) 타측 각각은 광통신 선로(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910)에 의해 분기된 두 경로를 통해 광 신호가 송수신되며, 이 각각의 경로는 상기 한쌍의 광 순환기(920a)(920b)와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930a)(930b)에 의해 서로 다른 하위적인 전송 경로를 가지며, 두 전송 경로상에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쌍(940a)(940b)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적절하게 증폭되어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보상부(500)가 1 ×2 커플러(1010)와,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1020a)(1020b)와, 한쌍의 제 2 의 광순환기(1030a)(1030b)와, 증폭기쌍(1040a)(1040b)을 포함한다.
상기 1 ×2 커플러(1010)는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1020a)(1020b)는 상기 1 ×2 커플러(1010)의 분기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1 ×2 커플러(1010)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신호와 이로 입력되는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한쌍의 제 2 의 광순환기(1030a)(1030b)는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 송신되는 신호와, 상기 광통신 선로(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쌍(1040a)(1040b)은 상기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1020a)(1020b)와 한쌍의 제 2 의 광 순환기(1030a)(1030b)간에 각각 형성된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를 각각 구비하여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한다.
즉, 이 제 6 실시예는 두쌍의 광 순환기(1020a)(1020b)(1030a)(1030b)를 사용해 광통신 경로(100)로로부터 분기된 두 경로를 통해 각각 유입되는 반사된 광신호를 차단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1 ×2 커플러(1010)의 일측단은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에 연결되고 분기된 타측단 각각은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1020a)(1020b)의 일측 포트와 연결된다.
상기 한쌍의 광 순환기(1020a)(1020b)의 타측 포트 각각은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쌍(1040a)(1040b) 일측에 각각 연결된다.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쌍(1040a)(1040b)의 타측 각각엔 한쌍의 제 2 의 광 순환기(1030a)(1030b) 일측 두 포트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제 2 의 광 순환기(1030a)(1030b)의 타측의 하나의 포트 각각은 광통신 선로(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기지국(200)의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광통신 선로(100)간에 송수신되는 광신호는 상기 1 ×2 커플러(1010)에 의해 분기된 두 경로를 통해 광 신호가 송수신되며, 이 각각의 경로는 상기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1020a)(1020b)와 한쌍의 제 2 의 광 순환기(1030a)(1030b)에 의해 서로 다른 하위적인 전송 경로를 가지며, 두 전송 경로상에 각각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쌍(1040a)(1040b)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적절하게 증폭되어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에서 충분히 설명된 기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원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상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핵심 구성인 신호보상부(5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기 선특허 출원번호 제 2003-98904 호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함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은 광통신 선로상에 각종 기기를 인터페이스함에 의해 발생하는 삽입 손실, 광케이블 열화 등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들을 적절하게 보상함으로써 통신 품질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요도
도 2 는 광 순환기의 동작 예시도
도 3 은 광 분기/결합기의 동작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2 실시예의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3 실시예의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4 실시예의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5 실시예의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 보상부의 제 6 실시예의 구성도
도 10 은 리던던시 미디어 변환기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통신 선로 200 : 중앙 기지국
210 : 광 송신부 220 : 광 수신부
230 : 다중화/역다중화기 240 : 광 순환기
300 : 지역 기지국 310 : 광 분기/결합기
320 : 미디어 변환기 321a, 321b : 광 순환기
400 : 광 커플러 500 : 신호 보상부
510, 530, 610, 830 : 광 순환기 520, 710, 810, 820 : 1 ×2 커플러
540, 630, 730, 840 : 증폭기 620, 720 : 2 ×2 커플러

Claims (14)

  1. 링형의 광통신 선로와;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광 송신부와, 상기 광 송신부와 쌍을 이루되 쌍을 이루는 광 송신부와 동일한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수신부와, 입력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통신 선로로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다중화된 광 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지정된 광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출력하며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에서 역다중화되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지정된 광 수신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광 순환기를 포함하는 중앙 기지국과;
    상기 광통신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중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신호만을 드롭시켜 가입자 장치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통신 선로로 출력하는 광 분기/결합기와, 상기 광 분기/결합기를 통해 드롭된 광 신호를 가입자 장치의 광 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의 광 송신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 분기/결합기로 출력하는 광 순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지역 기지국을;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PON : Passive Optical Network)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이:
    상기 광통신 선로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보상하는 신호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 1 의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1 ×2 커플러와;
    상기 1 ×2 커플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1 ×2 커플러로 출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 2 의 광 순환기와;
    상기 제 1 의 광 순환기와 제 2 의 광 순환기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2 ×2 커플러와;
    상기 광 순환기와 2 ×2 커플러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1 ×2 커플러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2 ×2 커플러와;
    상기 1 ×2 커플러와 2 ×2 커플러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의 1 ×2 커플러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의 1 ×2 커플러와;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로 출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광 순환기와;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와 광 순환기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의 1 ×2 커플러와;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의 분기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신호와 이로 입력되는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한쌍의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각각 분기하여 출력하는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와;
    상기 한쌍의 광 순환기와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간에 각각 형성된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를 각각 구비하여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증폭기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1 ×2 커플러와;
    상기 1 ×2 커플러의 분기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1 ×2 커플러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신호와 이로 입력되는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각각 출력하는 한쌍의 제 2 의 광순환기와;
    상기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와 한쌍의 제 2 의 광 순환기간에 각각 형성된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를 각각 구비하여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증폭기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8. 링형의 광통신 선로와;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광 송신부와 상기 광 송신부와 쌍을 이루되 쌍을 이루는 광 송신부와 동일한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미디어 변환기와, 상기 미디어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통신 선로로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다중화된 광 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상기 미디어 변환기로 출력하는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상기 미디어 변환기의 광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출력하며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에서 역다중화되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상기 미디어 변환기의 광 수신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광 순환기를 포함하는 중앙 기지국과;
    상기 광통신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중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신호만을 드롭시켜 가입자 장치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 장치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광 신호를 상기 광통신 선로로 출력하는 광 분기/결합기와, 상기 광 분기/결합기의 마스터 채널과 슬레이브 채널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광 순환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 순환기중 어느 하나로 광 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고 상기 광 순환기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가입자 장치로 출력하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광 송수신부와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광 송수신부의 상태 및 회선 절체상태를 검출하여 어느 하나의 광 송수신부만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광 송수신부 각각에 연결되어 가입자 장치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리던던시 미디어 변환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1 이상의 지역 기지국을;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PON : Passive Optical Network)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이:
    상기 광통신 선로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보상하는 신호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 1 의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1 ×2 커플러와;
    상기 1 ×2 커플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1 ×2 커플러로 출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 2 의 광 순환기와;
    상기 제 1 의 광 순환기와 제 2 의 광 순환기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입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2 ×2 커플러와;
    상기 광 순환기와 2 ×2 커플러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1 ×2 커플러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2 ×2 커플러와;
    상기 1 ×2 커플러와 2 ×2 커플러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의 1 ×2 커플러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의 1 ×2 커플러와;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 2 의 1 ×2 커플러로 출력되는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광 순환기와;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와 광 순환기간의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한쌍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의 1 ×2 커플러와;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의 분기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의 1 ×2 커플러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신호와 이로 입력되는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한쌍의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광통신 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각각 분기하여 출력하는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와;
    상기 한쌍의 광 순환기와 한쌍의 제 2 의 1 ×2 커플러간에 각각 형성된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를 각각 구비하여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증폭기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보상부가: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고, 상기 중앙 기지국의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1 ×2 커플러와;
    상기 1 ×2 커플러의 분기측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1 ×2 커플러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신호와 이로 입력되는 신호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 송신되는 신호와, 상기 광통신 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각각 출력하는 한쌍의 제 2 의 광순환기와;
    상기 한쌍의 제 1 의 광 순환기와 한쌍의 제 2 의 광 순환기간에 각각 형성된 두 경로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증폭기를 각각 구비하여 이 두 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하는 증폭기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40024234A 2004-04-08 2004-04-08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손실 보상장치 KR10062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34A KR100628927B1 (ko) 2004-04-08 2004-04-08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손실 보상장치
US11/547,917 US20070297800A1 (en) 2004-04-08 2005-04-04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PCT/KR2005/000970 WO2005112308A1 (en) 2004-04-08 2005-04-04 Wavelenght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EP05764924A EP1756980A1 (en) 2004-04-08 2005-04-04 Wavelenght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CNA2005800147147A CN1977474A (zh) 2004-04-08 2005-04-04 波分复用无源光学网络系统
JP2007507239A JP2007535237A (ja) 2004-04-08 2005-04-04 波長分割多重化方式の受動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34A KR100628927B1 (ko) 2004-04-08 2004-04-08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손실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706A true KR20050098706A (ko) 2005-10-12
KR100628927B1 KR100628927B1 (ko) 2006-09-27

Family

ID=3727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234A KR100628927B1 (ko) 2004-04-08 2004-04-08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손실 보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8927B1 (ko)
CN (1) CN19774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2066A (zh) * 2011-04-22 2012-10-24 苏州海光芯创光电科技有限公司 无缝融合多种拓朴网络架构的基于wdm的环形p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4884A (ja) 2000-02-28 2001-09-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波長多重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リング型ネットワーク
JP3683791B2 (ja) 2000-08-25 2005-08-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7474A (zh) 2007-06-06
KR100628927B1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2407B2 (ja) 波長分割多重方式手動型光加入者網システム(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passiveopticalnetwork)
US10038946B2 (en)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n optical network
US8238750B2 (en) Split/smart channel allocated WDM-PON architecture
WO2005098994A1 (en) Thread-type flexible battery
JP2008517529A (ja) ファイバの使用、距離、および帯域の改善を伴うトランク保護を提供する電気通信事業者クラスのwdmpon用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070006767A (ko) 다중 서비스 또는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반송파류 파장 분할다중방식 수동 광통신망 시스템 및 장치
US9042728B2 (en) Optical line termination node and passive optical network
US20080019696A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Ring Type
KR100678024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복합 수동형 광가입자망
US8600240B2 (en) Optical network element, optical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ng an optical network
JP2007535237A (ja) 波長分割多重化方式の受動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594900B1 (ko) 다중링 구조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시스템
KR100628927B1 (ko)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손실 보상장치
KR100594901B1 (ko) 센터 이중화 구조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광 네트워크시스템
KR101145500B1 (ko)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KR100602951B1 (ko) 광 순환기를 채용한 wdm pon 시스템
KR100509819B1 (ko) 링형 wdm pon 시스템
KR20040088893A (ko) 광 증폭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 전송 시스템
KR20170129903A (ko) 광 신호 증폭
KR20090043144A (ko) 광순환기와 방향성광결합기를 구성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