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465A -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465A
KR20050097465A KR1020050078080A KR20050078080A KR20050097465A KR 20050097465 A KR20050097465 A KR 20050097465A KR 1020050078080 A KR1020050078080 A KR 1020050078080A KR 20050078080 A KR20050078080 A KR 20050078080A KR 20050097465 A KR20050097465 A KR 2005009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ngover
liver function
alcoho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 익 이
종 철 박
영 석 이
Original Assignee
(주)케어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메딕스 filed Critical (주)케어메딕스
Priority to KR102005007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7465A/ko
Publication of KR2005009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4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의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 indica)을 추출물 및 50 % 알코올 추출 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을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손바닥선인장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으로 부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을 개선시키고 세포 독성이 낮으므로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 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Extracts from Opuntia ficus having the effect on eliminating a hangover and improving the liver function}
본 발명은 손바닥선인장 (Opuntia ficus indica) 추출물 및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이용하여 숙취해소제 및 알콜성 간손상의 간기능개선제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알코올의 과소비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일시적인 음주는 중추신경계에 영항을 미치며 계속적인 음주는 간조직의 손상, 체중손실, 면역성의 결핍 등의 심각한 건강상의 손상을 받게 된다 (MacGregor. 1986 ; Ewald and Frost. 1987 ; Roselle and Mendenhall. 1984 ; Adams and Jordan. 1984 ; Dehne et all. 1987 ; Kaplan. 1986 ; Caizza and Ovary. 1976). 또한 알콜은 기형발생원인으로(tetratogen)으로 작용하며 모성 알콜중독(maternal alcoholism)환자는 태아성 알콜증(fetal alcoholic syndrome) 아이를 분만하게 될 확률이 높다. 알콜 소비시 결핵균, 폐렴균등 병원균에 대하여 숙주감수성이 증가한다 (Adams and Jordan. 1984), 이와같이 알콜이 숙주보호면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Ewald and Frost. 1987). 동물에 에탄올을 투여하거나 에탄올 남용환자는 비장 및 흉선 무게의 감소와 여러 가지 면역이상(immunological abnormalities)이 일어난다. 즉 백혈구 수의 감소, 항체반응의 장애, 림프구 증식반응의 감소, 세포성 면역 반응 장애, 자연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의 기능 억제에 의한 종양 발생 촉진(MacGregor. 1986; Dehne et all. 1987 ; Kaplan. 1986 ; Abel. 1985). HLA class 1 항원의 표현 증가시켜 간장 질환이 병인 (pathogenesis)이 된다. 최소한 한달에 1번이상의 과음으로 인한 숙취를 경험한 중년 남자들은 심장혈관 사망률이 2.36배나 높다 (Kauhanen et al. 1997). 알콜이 혈관-뇌 장벽(blood-brain barrier)를 통과하여 대뇌피질(cerebral cortex)로 들어가 뇌 위축증(brain atrophy)를 일으키며 이는 알콜중독의 주된 결과이다. 이외에도 지나는 음주는 지방간(fatty liver), 간염(hepatitis), 간경변(hepato cirrhosis), 내분비계, 심액관계, 소화기계 에서도 여러 가지 손상을 야기시킨다 ( Parent et all. 1987 ; 정용구. 1993 ; 대한병리학회. 1991 ; Ramzi et all. 1989).
숙취는 음주자에게 자주 경험한 불쾌한 경험이다. 그러나 숙취의 원인에 대하여 과학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숙취는 알콜에 의하여 요의 생성, 소화기 계통, 혈액의 당 농도, 수면상태, 생물학 리듬등에 영향을 미쳐 일어난다고 설명된다. 알콜은 알콜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Acet aldehyde)도 간에서 전환된다. 다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초산으로 전환된다. 초산은 물과 이산화 탄소로 바뀌게 된다. ALDH의 한 종류인 ALDH2에 의하여 아세트 알데히드 대부분이 처리되는데 ALDH2가 결핍된 사람은 음주 후 아세트 알데하이드의 농도가 높으며 얼굴이 빨개지며 맥박이 빨라지는 등의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아시안 중에 일부는 ALDH2 유전자에 돌연변이로 술 분해 능력이 떨어지며 이들 아시안은 알콜에 대하여 심각한 숙취현상을 보인다 (Wall et all. 2000).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물은 칡, 순채, 여주, 콩나물국(아스파라긴산), 팥, 무, 연근, 감, 생다시마, 무화과, 결명자, bacillus natto, Opuntia ficus indica(손바닥선인장), Ficus hispida등이 있다. 이들 식물들 중 무화과(fig tree, Ficua carica)의 열매에서 숙취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분리하였다. Opuntia ficus의 추출물이 inflammatory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Wiese J et al. 2004). Artichoke(Cynara scolymus)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믿어져 왔다. 그러나 실험결과 artichoke의 추출물은 숙취해소에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ittler et al. 2003).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 중 항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물질을 선별하여 연구한 결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이 숙취해소 및 알콜로 인한 간기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키며 세포 독성 및 급성독성 실험결과 독성이 적으므로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을 위한 식품 첨가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에는 음료 조성물 등이 포함된다.
<화학식 1>
본 발명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을 이용하여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추출물의 알콜 분해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가지는 쥐를 이용한 혈중 알콜농도의 감소속도를 측정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호흡을 통한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들이 혈중알콜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페루릭산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이 더 효과적으로 혈중알콜 농도를 감소시킨다. (도 1 도 2 참조). 쥐의 간을 적출한 후 간의 cytol 부분에 ADH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섭취는 ADH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켰으며 추출물의 알콜 분해가 빠른 이유의 하나는 ADH 효소 활성 증진에 기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도 3 참조). 알콜에 의해 증가된 간수치효소 (liver marker enzyme)인 AST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에 의하여 정상에 가깝게 돌아 왔다. 이것은 이들 물질에 의해 알콜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다 (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을 이용하여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및 치료를 위하여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이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면 이들 숙취의 예방, 간기능개선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제, 트로치제 (troches), 로젠지 (lozenge),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독성실험 결과 이들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은 10 g/㎏의 용량으로 쥐에게 경구투여하였을 때 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 간을 비롯한 장기의 기능에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세포독성 및 경구투여 급성독성 실험을 통하여, 이들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은 안전함이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화학식 1의 화합물을 0.1~500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1~100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손바닥선인장에 존재하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효과를 가진 식품 첨가물 또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랫트에서 급성 독성실험을 행한 결과 10 g/㎏/일의 경구 투여량에서는 어떠한 죽음도 관찰되지 않음이 증명되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시럽제, 정제, 식품 및 음료등으로 개발될 수 있다.
< 실험예 1> 알콜 분해능 실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Opuntia ficus indica)의 알코올 분해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쥐, 인간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호흡을 통한 알콜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용 쥐(Spargue-Dawley)각 10마리를 한군으로 하여 1일간 절식 후 실험개시 30분전에 Urethane(30mg/kg)을 복강 투여하여 마취시켰다. 추출 농축된 샘플분말 5g을 0.1% CMC 10ml에 현탁된 시료를 경구 투여하였다. 30분후 희석시킨 에탄올(8mg/ml)을 실험군에 경구투여(4g/kg)시켰다. 에탄올 투여 후 1시간, 4, 5시간 후에 안와정맥으로부터 2ml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4℃, 3000rpm, 10min)하여 혈청의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에탄올 분석 Kit, Sigma, USA). 알콜분해효소 활성화 실험을 위하여 간을 적출해 균질화(4℃, 5배 0,25M sucrose)시킨 후 -20℃에 보관하였다. 인간의 실험에서는 알콜측정기(Alcon, Korea)를 사용하였다. 성인남자(20~40세) 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양주 (43℃, 3ml/kg)를 섭취하게 한 후 매 시간 마다 호흡기를 이용해 혈 중 알콜양을 평균하여 기록하였다. 일주일 후 동일한 20인을 2군으로 나누어 시료 50g을 100ml의 증류수에 용해시켜 1.5ml/kg의 양으로 음주 1시간 전에 마시게 하였다. 시료 섭취 후 양주(3ml/kg)을 마시게 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호흡측정기를 이용해 알코올 양을 측정해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실험군은 알콜이외에 아무것도 마시지 않은 대조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Opuntia ficus indica)을 마신 경우,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을 마신 경우로 선정하였다.
< 실험예 2> 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측정
시료를 처리한 쥐의 간을 적출하여 균질화 시켰다 (0.25M sucrose, 4℃, homogenizer). 600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다시 1500g에서 20분간, 130,000g에서 45분간 원심 분리 하여 간의 Cytosol부분을 분리하였다. 이 시료 0.1ml을 반응액(0.2ml ethanol, 0.5M semicarbazide 0.02ml, 0.1M NAD) 2.0ml에 혼합해 37℃에서 반응시켜 340nm에서 10분간 흡광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 실험예 3> AST 측정
각 그룹마다 5마리의 쥐가 사용되었다. 쥐는 20% 알콜 (8g/kg)을 경구투여하였다. 손바닥선인장 추출물과 페루릭산 (Ferulic acid) 강화 선인장 추출물을 투여하였다. 투여 40일 후에 쥐의 피를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간수치를 알기위하여 Reitman and Frankel (1957)의 방법으로 asparate transaminase (AST)를 조사하였다.
< 실험예 4> 식물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 검사
상기한 실험예들로부터 식물복합추출물의 활성을 검증하여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CC50를 측정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2 ×104 개의 HepG2 세포를 100 ㎕ 부피로 첨가하고 37 ℃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여러 가지 농도의 식물복합추출물 시료를 3일 동안 처리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20 ㎕의 염색 용액 (테트라졸리윰 화합물 (tetrazolium compound), 염 (inner salt) 및 페나진에톨설페이트 (phenazine ethosulfate)을 분주하고 1시간 동안 배양기에 두었다. 다음 인산 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여 여분의 염색 용액을 제거하고 20 ㎕의 정착 용액 (50 % 에탄올, 1 % 차가운 아세트산 [glacial acetic acid])을 가하여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510 nm에서의 흡광도를 스펙트로포토메터로 읽었으며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세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50 %의 흡광도 감소를 유발하는 추출물의 농도를 CC50 (50 % 세포독성 농도; cytotoxic concentration)으로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물질 CC50 (μg/ml)
복합 추출물 2000
< 실험예 6>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은 식물복합추출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추출물을 각각 0.5 %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현탁하여 10 g/㎏/15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및 화학식 1의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랫트에서 10 g/㎏까지 독성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 치사량 (LD50)은 10 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손바닥선인장추출물 및 선인장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 또는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을 개선시키고 세포 독성이 낮으므로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바닥선인장 (Opuntia ficus indica)추출물 및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선인장추출물은 혈중알콜의 농도를 낮추며 알콜 소비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키므로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 개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손바닥선인장 (Opuntia ficus indica)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추출물이 실험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혈중알콜농도를 낮춘다는 도면이고,
도 2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Opuntia ficus indica) 및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추출물이 성인남자를 대상으로한 시험에서 혈중알콜농도를 낮춘다는 도면이고,
도 3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Opuntia ficus indica) 및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추출물이 체내알콜분해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킨다는 도면이고,
도 4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Opuntia ficus indica) 및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손바닥선인장추출물이 알콜에 의해 높아진 간의 지표 효소 (liver marker enzyme)인 AST (aspartate transaminase) 를 낮춘다는 도면이다.

Claims (4)

  1.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
  2. 제 1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시럽제, 정제, 식품 및 음료등 경구투여물.
  3. 손바닥선인장에서 페루릭산 (Ferulic acid)의 농도를 높인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하는 숙취해소제 및 간기능개선제.
  4. 제 3의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시럽제, 정제, 식품 및 음료등 경구투여물.
KR1020050078080A 2005-08-25 2005-08-25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KR20050097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080A KR20050097465A (ko) 2005-08-25 2005-08-25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080A KR20050097465A (ko) 2005-08-25 2005-08-25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465A true KR20050097465A (ko) 2005-10-07

Family

ID=3727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080A KR20050097465A (ko) 2005-08-25 2005-08-25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74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643B1 (ko) * 2008-02-11 2010-06-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열매의 종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118405A2 (en) * 2009-04-10 2010-10-14 Belli Bevi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angover symptoms
KR101139262B1 (ko) * 2008-12-19 2012-05-14 영농조합법인 선인장연구회 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독성,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건강식품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T507988B1 (de) * 2009-01-15 2012-06-15 Kaahee Res And Dev Gmbh Kaktusfruchtextrak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643B1 (ko) * 2008-02-11 2010-06-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바닥선인장 열매의 종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9262B1 (ko) * 2008-12-19 2012-05-14 영농조합법인 선인장연구회 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독성,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건강식품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T507988B1 (de) * 2009-01-15 2012-06-15 Kaahee Res And Dev Gmbh Kaktusfruchtextrakt
WO2010118405A2 (en) * 2009-04-10 2010-10-14 Belli Bevi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angover symptoms
WO2010118405A3 (en) * 2009-04-10 2011-03-31 Belli Bevi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angover sympto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RU2569360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похмельного синдрома
CN110621311A (zh) 淀粉样蛋白β分解排出促进剂
US20120269913A1 (en) Crude caffeine complex, improved food products using the crude caffeine complex,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60117034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4002654B2 (ja)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肥満の予防・解消剤、並びに飲食品及び皮膚外用剤
JP4119629B2 (ja) 高血圧症予防・改善・治療剤
KR20050097465A (ko) 숙취해소 및 알콜성 간손상 회복에 유효한 간기능 개선손바닥 선인장 식물추출물
KR101596728B1 (ko) 아연/홍삼, 옥타코사놀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82719B1 (ko)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504351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Dusemund et al. Undesired plant-derived components in food
KR100570959B1 (ko)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456356B1 (ko) 락토바실러스 혼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US11844762B2 (en) Fat absorption inhibiting agent, food and defatted sesame seeds, and method for inhibiting obesity
KR20150092400A (ko) 곤드레 추출물 또는 참취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빵과 이의 제조방법
JP4224593B2 (ja) ワサビ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20070033236A (ko) 엘라그산, 엘라지탄닌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KR100872310B1 (ko) 숙취 해소 및 흡연으로 인한 코티닌 대사 향상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 그를 함유한 식품 및 식품 첨가제
KR100416650B1 (ko) 둥굴레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장 지질 및 혈당 강하용조성물
JP2019073476A (ja) Atp産生促進用剤
KR20130031560A (ko)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줄기새순 및 갈화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7311492B2 (ja) 精神機能の低下抑制用組成物
Attiya et al. Spirulina platensis and alpha lipoic acid are protective against the deleterious effects of aspartame on the liver and kidneys of rabbits
JP2002029984A (ja) 経口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