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323A -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 Google Patents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323A
KR20050097323A KR1020040022600A KR20040022600A KR20050097323A KR 20050097323 A KR20050097323 A KR 20050097323A KR 1020040022600 A KR1020040022600 A KR 1020040022600A KR 20040022600 A KR20040022600 A KR 20040022600A KR 20050097323 A KR20050097323 A KR 20050097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data
edit
editing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7323A/en
Publication of KR2005009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32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저장한 인쇄 데이터들 중 편집하여 출력할 인쇄 데이터를 선택한다. 선택한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편집을 지시하는 편집정보를 전달하고, 전달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편집한다. 편집이 수행된 인쇄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서 화상형성장치에서도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outputting print data transmitted from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this purpose, the received print data is stored, and the print data to be edited and output is selected from the stored print data. The editing information instructing the editing is transferred to edit the selected print data, and the printing data is edited using the transferred editing information. By outputting the edited print data, the document can be edit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scription

편집기능이 부가된 영상형성장치 및 편집 방법{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diting function and editing method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문서의 출력 양식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두 곳에서 변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the output form of a document output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at least two plac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화상형성장치는 모니터나 텔레비전, 기타 화면 출력 장치들의 화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출력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1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출력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images of monitors, televisions, and other screen output devices. 1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n output operation instructed by a user in a general image forming apparatus. 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an output operation instructed by a user in a general image form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S100단 계에서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한글, 마이크로 워드, 훈민정음 등이 포함된다. S10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작성한 문서에 대한 편집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편집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출력형식으로 상기 문서를 편집한다. 상기 문서 작성 과정과 편집 과정을 별개의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는 하나의 과정으로 상기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출력형식으로 문서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100, the user performs a process for creating a desired document by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The application includes Hangul, micro word, Hunminjeongeum and the like. In step S102, the user performs an editing process on the created document. Through the editing process, the user edits the document in a desired output format. Although the document creation process and the editing process are shown as being performed as separate processes, the user may perform the processes as one process. That is, the user can work on the document in a desired output format.

S104단계에서 편집 과정을 수행한 사용자는 작업한 문서에 대한 인쇄 작업을 지시한다. 상기 인쇄 작업에 대한 지시는 인쇄 매수, 인쇄 방법등에 관한 것이 포함된다. 상기 사용자는 인쇄 작업 지시를 통해 작업한 모든 문서를 인쇄하거나, 일부만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작성한 문서를 축소하여 인쇄하거나, 확대하여 인쇄할 수 있다.The user who has performed the editing process in step S104 instructs a print job for the worked document. Instructions for the print job include a number of prints, a printing method, and the like. The user can print all the documents worked through the print job instruction or only a part of them. In addition, the created document can be reduced in size and printed or enlarged in size.

S106단계에서 프린터 드라이버는 작성한 문서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인쇄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화상 출력장치에서 해석 가능한 언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108단계에서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를 도트 데이터(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한다. S110단계에서 상기 과정들을 수행한 문서에 대한 출력 과정을 수행한다. In step S106, the printer driver converts the created document into print data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is, the printer driver converts a document created by an application program into a language that can be interpreted by the image output apparatus. In step S108, the print data received from the printer driver is converted into dot data (bitmap) data. In operation S110, an output process for a document in which the above processes are performed is performed.

상기 도 1과 같이 응용 프로그램에서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로 화상 출력을 지시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지시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출력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화상 인쇄를 지시한 문서에 대해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호스트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를 편집하여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문서에 대한 편집 과정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된다.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document as shown in FIG. 1, the printer driver instructs the image output apparatus to use the informa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s image output using the instructed information. However, if the user needs to correct the document instructing image printing, the document must be edited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If the user is in a location where an application program is not available, the editing process for the document cannot be performed.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can use the application, if the user is far from where the application can be used, the user may cause inconvenience in using the application. 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cussed.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출력하고자 하는 문서에 대한 편집을 PC 이외의 장소에서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pos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moothly editing a document to be output by a user at a place other than a PC.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출력하고자 하는 문서에 대한 편집을 호스트 컴퓨터 이외의 장소에서 원할하게 수행함으로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convenience of a user by smoothly editing a document to be output by a user at a place other than a host computer.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인쇄 데이터들 중 편집하여 출력할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편집을 지시하는 편집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달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이 수행된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outputting print data transmitted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to achieve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the received print data and selecting print data to be edited and output from the stored print data; Delivering editing information instructing editing to edit the selected print data; Editing the print data using the transferred edit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print data on which the editing is per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편집 정보는 줄 간격, 폰트 크기, 선 굵기 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diting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line spacing, font size, and line thickness.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새로운 인쇄 데이터가 전달되면 저장된 인쇄데이터들에 대한 편집일시가 있는 경우에는 편집일시를, 상기 편집일시가 없는 경우에는 저장일시를 상호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가장 일시가 빠른 인쇄 데이터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new print data is deliver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edit date and tim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when there is an edit date and time when the edit date and time are stored. And delete the print data.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한 인쇄 데이터들 중 편집하여 출력할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편집을 지시하는 편집정보를 전달하는 입력부; 상기 전달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는 제어부; 및 상기 편집이 수행된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엔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outputting print data received from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print data; An input unit which selects print data to be edited and output from the stored print data and delivers edit information indicating editing to edit the selected print data; A controller configured to edit the print data by using the transferred edit information; And an engine unit for outputting the print data on which the editing is performed.

이하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외부기기인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를 비트맵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부(210)와, 비디오부(21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엔진부(2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제어부(230)를 구비한다.2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unit 210 and a video unit 210 for converting print data transmitted from a host computer, which is an external device, into image data in a bitmap form. The engin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ngine unit 240 that performs a print job o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먼저, 비디오부(210)는 조작패널(214), PC 인터페이스부(220), 메모리부(222) 및 메인제어부(212)를 구비한다.First, the video unit 210 includes an operation panel 214, a PC interface unit 220, a memory unit 222, and a main controller 212.

상기 조작패널(214)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키가 마련된 입력부(216)와, 메인제어부(212)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입력부(216)의 입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18)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조작패널(214)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panel 214 may include an input unit 216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and setting a function support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00, and the control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212. A display unit 218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r displaying input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216 is provided. The operation panel 214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PC 인터페이스부(220)는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이러한, PC 인터페이스부(220)로는 IEEE1284, USB, 및 RS232C 인터페이스 모듈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PC 인터페이스부(220)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제어부(212)에 인가한다.The PC interface unit 220 is provided to be connectable with the host computer and supports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host computer. The PC interface unit 220 may be an IEEE1284, a USB, and an RS232C interface module and a network interface module. The PC interface unit 220 receives the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computer and applies it to the main controller 212.

메모리부(222)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메인제어부(212)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ROM)(224)과, 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PC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인쇄데이터 및 메인제어부(212)의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RAM)(226), 그리고 본 발명을 위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28)로 구성된다. The memory unit 222 i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includes a ROM 224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driving the main controller 212 is stored, and a host computer through the PC interface 220 as a volatile memory device. RAM (226) for temporarily storing the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gram and various data generated during the program execution of the main controller 212, and a storage unit 228 for storing the print data for the present invention.

메인제어부(212)는 메모리부(22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비디오부(210) 및 엔진제어부(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메인제어부(212)는 PC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 받은 인쇄데이터를 엔진부(240)에서 인식 가능한 비트맵 데이터로 생성하여 엔진제어부(230)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제어부(212)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엔진제어부(230)에 소정의 정보를 라이트(write) 하거나, 엔진제어부(23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리드(read) 한다. 예컨대, 메인제어부(212)가 엔진제어부(23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리드하는 경우는 엔진제어부(23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엔진부(240)의 상태정보를 리드하며, 소정의 정보를 라이트 하는 경우는 엔진제어부(230)에 인쇄대상 이미지 데이터 및 커맨드 정보를 라이트 한다.The main controller 212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video unit 210 and the engine controller 230 according to a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222. For example, the main controller 212 generates the print data received from the host computer through the PC interface 220 as bitmap data recognizable by the engine 24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bitmap data to the engine controller 230.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212 writ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engine controller 230 through the system bus or read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engine controller 230. For example, when the main controller 212 read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engine controller 230, the main controller 212 reads state information of the engine 240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of the engine controller 230, and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ad. In the case of writing, the print target image data and command information are written to the engine controller 230.

한편, 엔진제어부(230)는 메인제어부(212)의 제어에 따라 엔진부(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ngin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ngine unit 24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212.

엔진제어부(230)의 메인제어부(212)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부(242)를 제어하여 인쇄대상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 처리하며, 센서부(244)를 통해 엔진부(240)의 각 부분의 동작상태 등을 감시한다. 여기서, 화상형성부(242)는 급지장치, 감광매체, 대전장치, 광주사장치, 전사장치 및 정착기 등을 구비한다.The image forming unit 242 is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212 of the engine control unit 230 to print the image data to be printed on the printing paper, and the sensor unit 244 controls each of the engine units 240.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art. Here, the image forming unit 242 includes a paper feeding device, a photosensitive medium, a charging device, a light scanning device, a transfer device, and a fixing device.

센서부(244)는 엔진부(240)의 각 동작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각 센서들을 구동하며, 각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엔진제어부(230)로 제공한다.The sensor unit 244 drives each sensor for detecting each operation state of the engine unit 240, and provides a detection signal of each sensor to the engine controller 230.

도 3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패널의 입력부로 입력되는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패널의 입력부로 입력되는 정보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3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of the operation panel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of the oper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300단계에서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편집할 문서를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저장부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화상형성이 요청된 문서들을 인쇄 데이터형식으로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인쇄 데이터는 설정된 시간동안만 저장된다. 또는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을 고려하여 일정한 용량의 인쇄 데이터들이 저장된 후, 새로운 인쇄 데이터가 전달되면 가장 먼저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언제나 일정한 용량의 인쇄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In step S300 the user selects a document to be edited through the input unit. In general, the storage unit stores documents requested for image formation from a host computer in a print data format. The pri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stored only for a set time. Alternatively, the storage unit stores print data of a predetermined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and then deletes the stored print data first when new print data is transferred. By doing so, the storage unit can always store a certain amount of print data.

S30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선택한 문서에 대해 편집할 영역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선택한 문서 전체를 편집하거나, 선택한 문서 중 일부만을 편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는 선택한 문서의 특정 데이터만을 편집할 수 있다. 상기 편집할 문서의 영역을 선택은 문서의 페이지를 지정함으로서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302, the user selects an area to edit the selected document. The user can edit all of the selected documents or only some of the selected documents. Alternatively, the user may edit only specific data of the selected document. The selection of the area of the document to be edited can be performed by designating a page of the document.

S30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선택할 영역에 대한 편집 내용을 선택한다. 상기 편집 내용은 줄 간격, 폰트 크기, 선 굵기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선택할 수 있는 편집 내용에 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선택할 수 있는 편집 내용은 다양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이 발전함에 따라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정보의 양도 증가할 것이다. S306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들을 메인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도 3의 입력부는 키 패드를 이용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In step S304, the user selects the edited content for the area to be selected. The edited content includes line spacing, font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In general, the editable content selectable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not vary as compared with the editable content selectable by the application program. However, as the fun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will increase. In step S306,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transferred to the main controller. It is apparent that the input unit of FIG. 3 may use a keypad or a touch scre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비디오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비디오부는 상기 구성이외에 다른 구성들이 추가될 수 있는 상기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다. 4 shows a video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shows only the configuration necessar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저장부(228)는 PC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된 인쇄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하기 〈표 1〉은 상기 저장부(228)에 저장되는 인쇄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The storage unit 228 stores prin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C interface unit. 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pri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8.

저장 일시Save date and time 용량Volume 편집 일시Edit date and time 인쇄 데이터 1Print data 1 20040301.12243620040301.122436 100100 인쇄 데이터 2Print data 2 20040305.15211220040305.152112 6060 ........ ........ 인쇄 데이터 nPrint data n 20040304. 09235420040304. 092354 3030 20040306. 12434320040306. 124343

상기 〈표 1〉에 의하면 상기 각 인쇄 데이터는 저장 일시와 용량 편집 일시를 갖는다. 상기 저장 일시는 상기 PC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된 인쇄 데이터를 최초로 저장한 일시를 의미하며, 상기 편집 일시는 입력부(214)를 통해 해당 문서에 대한 편집 작업을 수행한 일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저장부(228)는 새로운 인쇄 데이터가 전달되면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 일시를 고려하여 기존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삭제한다. 즉,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 일시가 있을 경우에는 편집 일시를 이용하여, 편집 일시가 없을 경우에는 저장일시를 이용하여 삭제할 인쇄 데이터을 선택한다.According to the <Table 1>, each print data has a storage date and time and a capacity editing date and time. The storage date and time refer to the date and time at which the prin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C interface is initially stored, and the editing date and time refer to the date and time when the editing operation on the docu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input unit 214. In general, when the new print data is transferred, the storage unit 228 deletes the previously stored print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edit date and time of the stored print data. In other words, when there is an edit date and time for the print data, the edit date and time are selected, and when there is no edit date and time, the print date and time are selected for deletion.

상기 입력부(214)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집할 문서와 편집 내용을 입력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212)는 입력부(214)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문서에 대한 편집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편집 과정은 메인 제어부(212)를 구성하고 있는 이미지 처리부에서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렌더링(Rendering) 과정, 하프토닝(Halftoning) 과정, 컬러 매칭(Color Matching) 과정으로 구성된다. The input unit 214 inputs the document to be edited and the edited conte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main controller 212 performs an editing process on the document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214. The edit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constituting the main control unit 212.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rendering process, halftoning process, and color matching process.

상기 렌더링 과정은 수신된 명령에 따라 해당 그래픽 데이터에 대해 밴드 단위로 렌더링한다. 상기 렌더링 과정은 모니터의 해상도를 화상 인쇄 장치의 화상도로 보상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화상 인쇄 장치의 해상도는 모니터의 해상도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갖는 모니터의 화상을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를 갖는 화상 인쇄 장치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해상도를 보상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The rendering process renders the graphic data in band units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The rend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compensating for the resolution of the monitor to the image degree of the image printing apparatus. In general, the resolution of the image printing apparatu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monitor. Therefore, in order to output an image of a monitor having a relatively low resolution to an image printing apparatus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lution, a process of compensating for the resolution should be performed.

상기 하프토닝 과정은 출력하고자 하는 픽셀 데이터를 이진화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각 픽셀을 화상 인쇄하기 위해서는 픽셀 데이터를 0 내지 255의 256레벨을 갖는 0 또는 1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컬러 매칭 과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설정한 방식에 컬러 매칭을 수행한다.The half toning process is a process of binarizing pixel data to be output. In general, in order to print each pixel, a process of converting pixel data into 0 or 1 having 256 levels of 0 to 255 is required. The color matching process performs color matching in a manner set by the host computer.

도 5는 본 발명에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5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5 illustrates an operation perform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peration perform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S500단계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에 대한 편집과정을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과정을 수행하면 S502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수행하지 않으면 S500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한 편집과정을 수행할 지 여부는 입력부를 통해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을 요구하는 키 버튼이 조작되는 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한다.In operation S50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an editing process on the print dat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diting process for the print data is perform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0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diting process for the print data is not performed, the process moves to step S500.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editing process for the print data is determined using whether or not a key button requesting editing of the print data is operated through an input unit.

S502단계에서 상기 화성형성장치는 편집할 인쇄 데이터, 편집할 인쇄 데이터의 편집 범위, 편집 내용들을 설정한다. 상기 편집할 인쇄 데이터, 편집할 인쇄 데이터의 편집 범위, 편집 내용들의 설정은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S504단계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상기 S502단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해당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수행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해당 인쇄 데이터에 대한 편집일시를 갱신한다. S506단계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편집 과정을 수행한 인쇄 데이터를 출력한다.In step S502, the chemical forming apparatus sets the print data to be edited, the edit range of the print data to be edited, and the edited contents. The setting of the print data to be edited, the edit range of the print data to be edited, and the edited contents is made through an input unit. In operation S504,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s an editing process on the corresponding print data by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502.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has performed the editing process for the print data, updates the edit date and time for the print data. In operation S506,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utputs print data on which an editing process is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문서에 대한 편집 과정을 호스트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에서 뿐만 아나라 화상형성장치에서도 수행함으로서 사용자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해당 문서에 대한 편집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diting process for a specific document is performed not only in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host computer but also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o that the editing process for the document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user is far from the host comput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키 조작으로 영상 재생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부들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모두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 재생시스템의 사용자는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ll of the languages used by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reproducing system with one key operation. Therefore, the user of the image reproducing system can minimize unnecessary operations.

도 1은 영상형성장치에서 문서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document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영상형성장치의 입력부에서 문서의 편집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editing information of a document in an input un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편집 과정에 참여하는 영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participating in a document edi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달된 문서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 delivered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화상형성장치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outputting the print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인쇄 데이터들 중 편집하여 출력할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Storing the received print data and selecting the print data to be edited and output from the stored print data; 상기 선택한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편집을 지시하는 편집정보를 전달하는 단계;Delivering editing information instructing editing to edit the selected print data; 상기 전달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는 단계; 및Editing the print data using the transferred edit information; And 상기 편집이 수행된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outputting the print data on which the editing is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는 줄 간격, 폰트 크기, 선 굵기 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editing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line spacing, font size, and line thickn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새로운 인쇄 데이터가 전달되면 저장된 인쇄데이터들에 대한 편집일시가 있는 경우에는 편집일시를, 상기 편집일시가 없는 경우에는 저장일시를 상호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가장 일시가 빠른 인쇄 데이터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new print data is transferr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edit date and time are compared with the edit date and time when the edit date and time are stored, and the storage date and tim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arliest date and time print data is deleted. 화상형성장치에서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outputting print data received from an image forming apparatus,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print data; 상기 저장한 인쇄 데이터들 중 편집하여 출력할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편집을 지시하는 편집정보를 전달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which selects print data to be edited and output from the stored print data and delivers edit information indicating editing to edit the selected print data; 상기 전달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edit the print data by using the transferred edit information; And 상기 편집이 수행된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엔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n engine unit for outputting print data on which the editing is perform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화상형성장치로 새로운 인쇄 데이터가 전달되면 저장된 인쇄데이터들에 대한 편집일시가 있는 경우에는 편집일시를, 상기 편집일시가 없는 경우에는 저장일시를 상호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가장 일시가 빠른 인쇄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When new print data is transferr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edit date and time are compared with the edit date and time if the edit date and time are stored. Instructing the device to delete.
KR1020040022600A 2004-04-01 2004-04-01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KR200500973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600A KR20050097323A (en) 2004-04-01 2004-04-01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600A KR20050097323A (en) 2004-04-01 2004-04-01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323A true KR20050097323A (en) 2005-10-07

Family

ID=3727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600A KR20050097323A (en) 2004-04-01 2004-04-01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732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1061B2 (en) 2006-08-01 2013-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editing printing data, and a printing method for use with the prin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1061B2 (en) 2006-08-01 2013-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editing printing data, and a printing method for use with the printing apparatus
US8947709B2 (en) 2006-08-01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editing printing data, and a printing method for use with the prin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245B2 (en) Device to edit documents for printout and method thereof
US20060053370A1 (en) Electronic album edi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80201378A1 (en) Image processor, preview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7498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07259352A (en) Printing or displaying apparatus
US662199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job linking method
EP2230630A2 (en) Printer, and program for its operation screen.
JPH05242216A (en) Picture processor
JP4675861B2 (en) Print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US20060164685A1 (en) Print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display, and printer
US6851875B2 (en) Printer and print image reference system
JPH0616280B2 (en) Document processor
KR20050097323A (en) The image formation device added the edit function and the edit method
JP2000071547A (en) Print information setter and setting method
JP2005018708A (en) Image forming device
KR100654791B1 (en) System,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cessing character information
KR10057195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ly printing file
JP2020009292A (en)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100389858B1 (en) Printer and method of processing print data by the same
JP31617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H06243225A (en) Image editing method
KR20010018571A (en) Printer and method of processing print data thereof
JP2011101085A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275671A (en) Printing controller, printing control method and printing control program-recorded medium
JPH08164658A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aratus and manual outputting method for the sam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