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257A -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 Google Patents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257A
KR20050097257A KR1020040022505A KR20040022505A KR20050097257A KR 20050097257 A KR20050097257 A KR 20050097257A KR 1020040022505 A KR1020040022505 A KR 1020040022505A KR 20040022505 A KR20040022505 A KR 20040022505A KR 20050097257 A KR20050097257 A KR 20050097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modulation
path
power amplifier
synthes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518B1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518B1/ko
Priority to US11/081,931 priority patent/US7224223B2/en
Publication of KR2005009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 H03F1/3229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using a loop for error extraction and another loop for error subtr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2차 상호변조(intermodulation) 성분을 조절하여 선형적인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가 개시된다.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주 경로 및 주 경로에서 발생되는 상호변조 성분을 제어하는 에러 경로를 가진다. 에러 경로는 3차 상호변조 성분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2차 상호변조 성분의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여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가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게 한다. 에러 경로에서 조절된 상호변조 성분은 제1 합성기에 입력된다. 제1 합성기에 입력되는 주 경로상의 신호인 전향 경로 신호 및 에러 경로상의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합성된다. 제1 합성기에 입력되는 전향 경로 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 성분은 상호변조 보상신호에 의해 제거되고,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의 입력신호인 파일럿 톤만이 증폭되고 출력된다.

Description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Feed-forward Power Amplifier having linearity}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드 포워드 전력 증폭기(Feedforward power amplifier)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증폭기와는 달리 전력 증폭기는 출력단에 많은 전류를 흘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상의 증폭기가 입력 레벨을 증폭하며, 얼마나 높은 증폭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한데 반해, 전력 증폭기는 입력이나 출력단에 많은 전류를 필요로 하며, 높은 전력을 출력단으로부터 공급해주어야 한다. 또한 통상의 증폭기는 크기가 매우 작은 신호를 다루는데 반해, 전력 증폭기는 비교적 상당히 큰 신호를 다루게 된다. 그러나, 대전력이 증폭되는 전력 증폭기는 비선형성의 문제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전력증폭기는 통신 시스템의 최종단에 위치하여 입력신호를 원하는 수준의 높은 전력으로 증폭하여 안테나에 전송시키는 모듈로서 주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제작하며, 이동통신의 발전에 따라 출력이 높은 전력증폭기 뿐만 아니라 선형특성이 좋은 전력증폭기의 요구가 절실하며, 선형 전력증폭기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즉, 통신 시스템의 양방통신에 있어 기지국으로 필히 구비되는 대전력증폭기는 좋은 선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에 통상은 별도의 선형화 장치를 대전력증폭기에 부가하여 구성하며, 이를 통해 대전력 증폭기 자체가 가지는 비선형 특성을 일정정도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선형 전력증폭기를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피드포워드 방식과 피드백 방식이 있다. 피드백 방식은 신호가 광대역이 되면 발진 현상 등이 일어나기 쉬워 동작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사용예가 적다.
피드포워드 방식은 원리적으로는 동작의 불안정성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피드포워드 방식은 에러성분을 추출하여 에러증폭기에서 별개로 증폭한 후, 주 증폭기의 출력신호로부터 빼는 구성을 취하므로 회로가 복잡해짐과 동시에, 에러증폭기의 사용에 의해 전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력 증폭기의 이득은 공급 전압, 주위 온도 등의 환경 조건에 의해 변동하기 쉽고, 비선형 왜곡 특성도 변화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주 경로(111) 및 에러 경로(113)로 이루어진다.
주 경로(111) 상에는 주 증폭기(101)가 위치하며, 주 증폭기(101)는 입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주 증폭기(101)의 출력단에는 전력 증폭기가 가지는 비선형성에 의해 상호변조 신호들이 발생한다. 상호변조 신호들을 포함하는 주 증폭기의 출력 신호는 제1 감산기(109)로 입력된다.
에러 경로(113) 상에는 감쇄기(103), 제2 감산기(105) 및 에러 증폭기(107)가 배치된다. 상기 에러 경로(113)는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입력신호로부터 왜곡신호 또는 상호변조 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상기 도 1의 에러 경로(113)는 3차 상호변조 신호인 IM3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감쇄기(103)는 주 경로(111) 상의 주 증폭기(101)의 이득의 역수를 이득으로 가진다. 따라서 주 증폭기(101)의 전압이득이 Av인 경우, 감쇄기(103)의 전압이득은 1/Av이다. 주 증폭기에서 증폭된 반송파 및 상호변조 신호들은 감쇄기(103)에 의해 감쇄되며, 제2 감산기(105)로 입력된다.
제2 감산기(105)에는 반송파인 피드포워드 증폭기의 입력신호와 감쇄기(103)의 출력신호가 입력된다. 제2 감산기(105)에서 반송파 성분은 제거되고 상호변조 성분들만이 남는 에러 신호가 생성된다.
에러 신호는 에러 증폭기(107)로 입력되며, 에러 증폭기(107)의 전압 이득은 Av이다. 증폭된 에러 신호는 제1 감산기(109)로 입력된다.
제1 감산기(109)에는 주 증폭기(101)의 출력 신호와 에러 증폭기(107)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며, 주 증폭기(101)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호 변조 성분 또는 왜곡 신호들은 제거되어 원래의 반송파가 선형적으로 증폭되게 된다.
이러한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의 문제점은 주 경로상의 신호의 주파수가 높고, 에러 경로 상의 에러 신호의 주파수가 높으므로, 이득 또는 위상의 제어에 한계를 가진다는 데 있다. 또한, 각각의 경로상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지연등을 보상하여야 한다. 신호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서 에러 경로 상에 별도의 지연 선로를 구비하는 방법이 가능한데, 지연 선로 상에서 지연을 보상하는 방법은 3차 상호변조 성분을 제어하여야 하므로 정확한 지연 시간의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에러 경로 상에서 2차 상호변조 신호의 이득 또는 위상을 조절하여 선형성을 얻기 위한 피드-포워드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에러 경로 상에서 2차 상호변조 신호의 이득 또는 위상을 조절하여 선형성을 얻기 위한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전향 경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경로; 상기 전향 경로 신호의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의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여 상호변조 보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에러경로; 및 상기 주경로의 전향 경로 신호와 상기 상호변조 보상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된 신호를 얻기 위한 제1 합성기를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전향 경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전향 경로 신호로부터 2차 상호변조 성분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과 상기 입력 신호를 합성하여 제1 합성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합성 신호로부터 3차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상호변조 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향 경로 신호와 상기 상호변조 보상 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주 경로(200), 에러 경로(210) 및 제1 합성기(220)를 포함한다. 주 경로(200)는 입력 신호 Vi의 전력을 증폭하여 전향 경로 신호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 w1 및 w2를 가진 2개의 톤(tone)을 입력신호로 한다. 이를 통상 투-톤 테스트(two tone test)라 한다.
상기 주 경로(200)는 주 전력 증폭기(201)를 가진다. 주 전력 증폭기(201)는 입력 신호 Vi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전향 경로 신호를 발생한다. 즉, 주 전력 증폭기(201)는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진다.
에러 경로(210)는 제1 부 경로(211), 제2 부 경로(213), 제2 합성기(215) 및 제3 부 경로(2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 경로(211)에서는 주 전력 증폭기(201)의 출력인 전향 경로 신호로부터 2차 상호변조 성분이 추출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전향 경로 신호로부터 2차 상호변조 성분만이 추출된다. 2차 상호변조 성분의 추출을 위해 상기 제1 부 경로(211)는 필터링 수단(2111,2113), 제3 합성기(2115) 및 이득/위상 제어부(2117)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링 수단은 바람직하게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톤 테스트가 실시되므로, 병렬로 배치된 2개의 대역 통과 필터(2111, 2113)가 요구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 Vi에 포함된 톤의 개수에 따라 대역 통과 필터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w1 및 w2는 파일럿 톤이고 w2가 w1보다 큰 각주파수인 경우, 제1 대역 통과 필터는 2차 상호변조 성분 중 w2 -w1을 통과시키고, 제2 대역 통과 필터는 2차 상호변조 성분 중 w2 +w1를 통과시킨다. 상기 필터링 수단에 의해 추출된 2차 상호 변조 성분은 제3 합성기(2115)에 의해 합성된다.
상기 제3 합성기(2115)에 의해 합성된 2차 상호변조 성분은 이득/위상 제어부(2117)로 입력된다. 입력된 2차 상호변조 성분은 이득 또는 위상이 조절되어 제2 합성기(215)로 입력된다. 이득/위상 제어부(215)의 이득 제어는 에러 경로의 상호변조 성분들이 전향 경로 신호의 상호변조 성분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위상 제어는 제2 합성기(215)에 입력되는 입력신호 Vi와 위상이 일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부 경로(213)는 입력신호 Vi를 상기 제2 합성기(215)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2 합성기(215)는 입력신호 Vi와 이득/위상 제어부(2117)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2 합성기(215)의 출력신호는 w1및 w2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파일럿 톤과 2차 상호변조 성분인 w2 +w1 및 w2 -w 1의 주파수 성분을 가진다.
제3 부 경로(217)는 3차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상호변조 보상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부경로는 자승부(Square Function Block)(2171)를 가진다. 상기 자승부(217)는 제2 합성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가지며, 제2 합성기(215)의 출력을 제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승부(2171)는 믹서(mixer)로 구성된다. 상기 믹서는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수동 믹서 또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능동 믹서로 구성될 수 있다. 믹서가 수신기에 이용되는 경우, 두 주파수의 차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추출해내고, 송신기에 이용되는 경우, 두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신호를 얻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합성기(215)의 출력을 제곱하여 3차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상호변조 보상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w1 및 w2의 주파수를 가진 파일럿 톤, w2-w 1 및 w1+w2의 주파수를 가진 2차 상호변조 성분 및 2w2-w1 및 2w 1-w2의 주파수를 가진 3차 상호변조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제1 합성기(22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1 합성기(220)는 주 전력 증폭기(201)에 의해 발생된 전향 경로 신호를 입력으로 가진다. 상기 제1 합성기(220)는 2개의 입력, 즉 전향 경로 신호 및 상호변조 보상신호를 합성하고, 전향 경로 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을 제거하여 소정의 진폭을 가지는 출력신호 Vo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출력신호 Vo는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되고, 파일럿 톤에 비해 소정의 이득을 가지게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3 부경로(217)는 제3 대역 통과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대역 통과 필터는 자승부(2171)의 출력 신호로부터 파일럿 톤 및 3차 상호변조 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3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생성된 상호변조 보상신호에는 파일럿 톤 및 3차 상호변조 성분만이 포함된다. 파일럿 톤 및 3차 상호변조 성분을 가지는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상기 제1 합성기(220)에 입력되고, 제1 합성기(220)의 또다른 입력신호인 전향 경로 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을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특성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투-톤 테스트인 경우, 입력신호 Vi는 w1 및 w2의 주파수들을 포함한 신호를 가진다. 즉, Vi는 E1cos w1 + E1cos w2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b는 본 실시예의 도 2의 A노드 상의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3b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력신호 Vi는 주 전력 증폭기(201)로 입력되어 전력이 증폭되어 출력된다. 주 전력 증폭기(201)의 출력신호는 전향 경로 신호이다. 주 전력 증폭기(201)는 비선형 시변 특성을 가지므로 다음의 함수식으로 그 특성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Vi가 E1cos w1 + E1cos w2로 설정된 경우, 노드 A에서의 신호 y1(t)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즉, 주파수 w1 및 w2를 가진 파일럿 톤들 주변에 3차 상호변조 성분인 IM3가 존재한다. 3차 상호변조 성분 IM3는 2w2-w1 및 2w1-w2의 주파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파일럿 톤들과 다소 먼 거리에 2차 상호변조 성분 IM2가 존재한다. 2차 상호변조 성분 IM2는 w1+w2 및 w2-w1의 주파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출력인 전향 경로 신호는 인접 채널 사이의 신호 누설에 기인한 스퓨어리스(spurious) 성분을 가질 수도 있으며, 혼변조 왜곡에 기인한 왜곡 신호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일반화하여 상호변조 신호로 통칭한다.
도 3c는 본 실시예의 도 2의 B노드 상의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3c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부 경로(211) 상의 제1 대역 통과 필터(2111)는 cos (w2-w1)을 통과시키고, 제2 대역 통과 필터(2113)는 cos (w1+w 2)를 통과시킨다.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들은 제3 합성기(2115)에 입력되어 합성되고 이득/위상 제어부(2117)로 입력된다. 상기 이득/위상 제어부(2117)로 입력되는 신호 y2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상기 이득/위상 제어부(2117)에 입력된 신호 y2는 이득 또는 위상이 제어된다. 이득 또는 위상의 제어는 상기 제1 합성기(220)에서 전향 경로 신호의 상호변조 성분들이 제거되도록 한다.
도 3d는 본 실시예의 도 2의 C노드 상의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3d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득/위상 제어부(2117)의 출력신호 및 입력신호 Vi를 합성하는 제2 합성기(215)의 출력신호 y3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상기 수학식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합성기(215)의 출력신호는 파일럿 톤 및 2차 상호변조 성분들로 구성된다. 또한, 제3 부 경로 상(217)의 자승부(2171)는 입력신호 y3제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승부(2171)는 믹서를 통해 실현되는데, 상기 믹서의 스위칭 제어신호 및 RF 입력 신호를 입력신호 y3으로 구성하여 실현한다.
도 3e는 본 실시예의 도 2의 D노드 상의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3e 및 도2를 참조하면, 자승부(2171)의 출력은 입력신호 y3이 제곱된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자승부(2171)의 출력신호를 y4로 정의하면, 출력신호 y4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상기 수학식 5에서 자승부(2171)의 출력신호 y4에는 2차 상호변조 성분, 3차 상호변조 성분 및 4차 상호변조 성분등이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출력신호 y4와 주 전력 증폭기(201)의 출력신호 y1이 제1 합성기(220)에 입력되면, 상기 주 전력 증폭기(201)의 출력신호 y1에서 상호변조 성분들은 제거되고, 파일럿 톤의 증폭된 신호 Vo만이 출력된다.
도 3f는 본 실시예의 도 2의 Vo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3f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득/위상 제어부(2117)의 제어에 따라 제1 합성기(220)에 입력되는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상기 전향 경로 신호의 상호변조 성분과 크기가 동일하며, 위상은 동일하거나 180°차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합성기(220)에서 전향 경로 신호의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되도록 이득/위상 제어부(2117)가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전향 경로 신호에서 상호변조 성분들이 제거되면, 출력신호 Vo에는 원래의 입력신호가 가지는 파일럿 톤이 남게되며,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는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부 경로(217)가 제3 대역 통과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파일럿 톤 및 3차 상호변조 성분만을 가지게 된다. 즉, 이 경우,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상기 수학식 6을 살펴보면, 제1 합성기(220)에 입력되는 제3 부 경로(217) 상의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파일럿 톤 및 3차 상호변조 성분을 가진다. 이러한 상호변조 보상신호는 제1 합성기(220)로 입력되고, 상기 제1 합성기(220)의 또 다른 입력인 전향 경로 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즉,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가진 3차 상호변조 성분을 제어하지 않고,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가진 2차 상호변조 성분을 제어하여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의 에러 경로 상에서 2차 상호변조 성분의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여 주 경로 상의 전향 경로 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 성분들을 제거하고, 증폭된 파일럿 톤으로 구성된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3차 상호변조 성분을 제어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2차 상호변조 성분을 제어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호변조 보상 신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향 경로 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 성분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피드포워드 증폭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특성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200 : 주 경로 113, 210 : 에러 경로
201 : 주 전력 증폭기 211 : 제1 부 경로
217 : 제3 부 경로 2117 : 이득/위상 제어부
2171 : 자승부

Claims (14)

  1. 입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전향 경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경로;
    상기 전향 경로 신호의 2차 상호변조 성분의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여 상호변조 보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에러경로; 및
    상기 주경로의 상기 전향 경로 신호와 상기 상호변조 보상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된 신호를 얻기 위한 제1 합성기를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경로는 상기 입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주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경로는,
    상기 주전력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제1 부경로;
    상기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제2 부경로;
    상기 제1 부경로의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과 상기 제2 부경로의 상기 입력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제2 합성기; 및
    상기 제2 합성기의 출력신호로부터 3차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상기 상호변조 보상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3 부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경로는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의 출력신호의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위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위상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의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제1 합성기에서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되도록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경로는 상기 제2 합성기의 출력신호를 제곱하기 위한 자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승부는 믹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동 믹서 또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능동 믹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경로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대역 통과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자승부의 출력 신호중 3차 상호변조 성분을 통과시킴에 따라 상기 3차 상호변조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상호변조 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11. 입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전향 경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 전력 증폭기;
    상기 전향 경로 신호의 2차 상호변조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
    상기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의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위상 제어부;
    상기 이득/위상 제어부에서 출력된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과 상기 입력 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제1 합성기;
    상기 제1 합성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3차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상호변조 보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자승부; 및
    상기 전향 경로 신호와 상기 상호변조 보상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된 출력신호를 얻기 위한 제2 합성기을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는 상기 자승부의 출력 신호중 상기 3차 상호 변조 성분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자승부와 상기 제2 합성기 사이에 대역 통과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13.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전향 경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전향 경로 신호로부터 2차 상호변조 성분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과 상기 입력 신호를 합성하여 제1 합성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합성 신호로부터 3차 상호변조 성분이 포함된 상호변조 보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향 경로 신호와 상기 상호변조 보상 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성분이 제거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상호변조 성분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향 경로 신호의 2차 상호변조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2차 상호변조 성분의 이득 또는 위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 방법.
KR1020040022505A 2004-04-01 2004-04-01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KR10058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505A KR100584518B1 (ko) 2004-04-01 2004-04-01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US11/081,931 US7224223B2 (en) 2004-04-01 2005-03-16 Feed-forward power ampl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505A KR100584518B1 (ko) 2004-04-01 2004-04-01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257A true KR20050097257A (ko) 2005-10-07
KR100584518B1 KR100584518B1 (ko) 2006-05-29

Family

ID=3505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505A KR100584518B1 (ko) 2004-04-01 2004-04-01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24223B2 (ko)
KR (1) KR100584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51B1 (ko) * 2006-05-23 2007-05-02 엘지노텔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신호 지연 보상 방법 및 이를위한 기지국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22B1 (ko) * 2006-11-15 2007-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1866385B1 (ko) 2016-07-29 2018-06-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폭기의 선형성 향상을 위해 개량된 피드-포워드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2630A1 (en) * 1995-09-08 1997-03-12 AT&T IPM Corp. Low distortion amplifier circuit with improved output power
US5781069A (en) * 1996-05-16 1998-07-14 Xemod, Inc. Pre-post distortion amplifier
US5867064A (en) * 1996-08-19 1999-02-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intermodulation in a feed-forward amplifier
US5808512A (en) * 1997-01-31 1998-09-15 Ophir Rf, Inc. Feed forward amplifiers and methods
GB9926886D0 (en) * 1999-11-12 2000-01-12 Nokia Networks Oy Linerisation of an amplifier
KR100311956B1 (ko) 1999-11-18 2001-11-05 서평원 피드포워드 선형전력증폭기의 디시 오프셋 제거장치
US6320461B1 (en) 2000-05-12 2001-11-20 Jhong Sam Lee Ultra-linear feedforward RF power amplifier
KR20020070572A (ko) 2001-03-02 2002-09-10 (주)알에프씨씨 지연선로를 이용한 선형화기를 갖는 선형전력증폭기
US6794938B2 (en) * 2002-03-19 2004-09-2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lation of thir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and other nonlineari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51B1 (ko) * 2006-05-23 2007-05-02 엘지노텔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신호 지연 보상 방법 및 이를위한 기지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24223B2 (en) 2007-05-29
US20050218979A1 (en) 2005-10-06
KR100584518B1 (ko)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4192B2 (en) Amplifier linearization in a radio frequency system
US7042283B2 (en) High-efficiency linear power amplifier
JP4280787B2 (ja) プリディストータ
Cai et al. A simplified transistor-based analog predistorter for a GaN power amplifier
Faulkn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RF feedback and feedforward techniques
JPH0923119A (ja) 先行歪み回路及びこの回路を使用する移動機
US9596120B2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distortion compensation apparatus,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10326482B2 (en) Linearization of a radiofrequency-signal transmission chain
WO2008110396A1 (en) Predistortion with asymmetric usage of available bandwidth
JP4425630B2 (ja) 通信ビルディングブロックのための適応線形化技法
JPH09246873A (ja) 歪み補償回路
GB2339354A (en) A predistorter for an amplifier in which a pilot signal is supplied to the amplifier via the predistorter
KR20010032280A (ko) 증폭기 및 전력 증폭 방법
JP2002506305A (ja) 前置補償器
KR100584518B1 (ko) 선형성을 가지는 피드-포워드 전력 증폭기
KR20000069397A (ko)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 루프에서의 지연에 대한 보상
JP2000261252A (ja) 歪補償電力増幅回路
KR101374855B1 (ko) 증폭기에서의 고조파 및 혼변조 왜곡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371531B1 (ko) 에러 피드백을 이용한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KR20030085900A (ko) 이중 변환을 이용한 무선 통신기기의 다채널 선형 증폭기
JPH09232901A (ja) 歪補償回路
US20230179222A1 (en) Radio transmitter providing an analog signal with both radio frequency and baseband frequency information
JPH05129845A (ja) 線形化電力増幅器
Suzuki et al. IMD components compensation Conditions for dual-band feed-forward power amplifier
US20030058042A1 (en) Feedforward amplifier, feedforward amplif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