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007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007A
KR20050097007A KR1020040021715A KR20040021715A KR20050097007A KR 20050097007 A KR20050097007 A KR 20050097007A KR 1020040021715 A KR1020040021715 A KR 1020040021715A KR 20040021715 A KR20040021715 A KR 20040021715A KR 20050097007 A KR20050097007 A KR 20050097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late
substrate
film
p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415B1 (ko
Inventor
윤성회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4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 방법으로 보상막을 형성할 수 있고, 보상막이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두 개의 보상막을 순차 도포함으로써 발생하는 스크래치와 같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충진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하부에 형성된 A-플레이트막과; 상기 제 2 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 1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 상부에 형성된 C-플레이트막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2 기판을 사이에 두고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도포하여 형성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원하는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A-플레이트를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액정층을 균일하게 배향함에 따라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대비비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분자의 광학적 이방성과 복굴절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의 배열이 달라지고 달라진 액정의 배열 방향에 따라 빛이 투과되는 특성 또한 달라진다.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컬러 액정표시장치(11)는 적, 녹, 청의 컬러필터층(8)과 컬러필터층(8) 사이에 구성된 블랙매트릭스(6) 및 컬러필터층(8)의 상부에 증착된 공통전극(18)이 형성된 상부기판(5)과, 화소영역(P)이 정의되고 화소영역(P)에는 화소전극(17)과 스위칭소자(T)가 구성되며, 화소영역(P)의 주변으로 어레이배선이 형성된 하부기판(22)을 포함하며, 상부기판(5)과 하부기판(22) 사이에는 액정(14)이 충진되어 있다.
하부기판(22)은 어레이기판(array substrate)이라고도 하며,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가 매트릭스형태(matrix type)로 위치하고, 이러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를 교차하여 지나가는 게이트배선(13)과 데이터배선(15)이 형성된다. 이때, 화소영역(P)은 게이트배선(13)과 데이터배선(15)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영역이며, 화소영역(P)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한 화소전극(17)이 형성된다.
화소전극(17)은 ITO(indium-tin-oxide)와 같이 빛의 투과율이 비교적 뛰어난 투명 도전성금속을 사용한다. 화소전극(17)과 병렬로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게이트 배선(13)의 상부에 구성되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 1 전극으로 게이트 배선(13)의 일부를 사용하고, 제 2 전극으로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된 아일랜드 형상의 소스/드레인 금속층(30)을 사용한다.
이때, 소스/드레인 금속층(30)은 화소전극(17)과 접촉되어 화소전극의 신호를 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및 하부 기판(5, 22)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는 편광판이 위치하게 된다. 편광판은 투과축과 일치하는 편광 성분의 빛을 투과시키게 되는데, 두 개의 편광판의 투과축의 배치와 액정의 배열 특성에 의해 액정표시장치는 온/오프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편광판의 투과축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온/오프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기판 면에 수직한 전계에 의해 구동하여 액정 분자의 배열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수직 전계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런데, 수직 전계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시야각이 협소한 문제를 갖게 됨에 따라, 기판 면에 평행한 횡전계를 이용하여 액정 분자의 배열을 조절하는 횡전계 방식이 사용된다.
횡전계 방식은 동일한 기판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 횡전계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횡전계 방식에서상하, 좌우 방향에서의 광시야각이 수직 전계 방식에 비해 향상된다. 그런데, 대각 방향에서 시야각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대각 방향에서의 시야각의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는 보상 필름을 사용하게 된다.
도 2a와 2b는 각각, 보상 필름으로서 이축성 보상 필름과,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사용한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와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10, 30)과, 두 기판(10, 30)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20)과, 제 1, 2 기판(10, 30) 각각의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 제 1, 2 편광판(41, 42)이 위치한다.
도 2a에 도시한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는 제 2 기판(30) 상부에 이축성(biaxial) 보상 필름(43)이 위치하고, 도 2b에 도시한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는 제 2 기판(30) 상부에 A-플레이트(44)와 C-플레이트(45)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접착제(50)는 이축성 보상 필름(43), A-플레이트(44), C-플레이트(45)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축성 보상 필름(43), A-플레이트(44), C-플레이트(45)는 보상을 위해 필름을 연신한 연신 필름으로서, 연신 공정이 어렵고 값이 비싸며 두께가 두꺼운 문제를 갖고 있다.
위와 같이 연신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도포 방법으로 순차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가 도포 방법으로 순차 형성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 기판(30) 상부에 순차 형성된 A-플레이트(46)와 C-플레이트(47)는 반응성 액정으로 이루어지며, 액정 분자의 배열은 수직하게 된다. 즉, A-플레이트(46)의 액정분자는 기판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C-플레이트(47)의 액정분자는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된다.
그런데, A-플레이트(46)와 C-플레이트(47)를 순차적으로 형성함에 따라 두 플레이트에는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C-플레이트 액정분자의 배향을 제어하는 것이 어렵고, 두 플레이트의 액정분자의 배열 방향이 직교함으로써 발생하는 힘의 방향의 차이로 인해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 방법으로 보상막을 형성할 수 있고, 보상막이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두 개의 보상막을 순차 도포함으로써 발생하는 스크래치와 같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충진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하부에 형성된 A-플레이트막과; 상기 제 2 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 1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 상부에 형성된 C-플레이트막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 하부에 형성된 제 1 편광판과, 상기 C-플레이트막 상부에 형성된 제 2 접착재와, 상기 제 2 접착재 상부에 형성된 제 2 편광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플레이트막와 상기 C-플레이트막은 각각, 액정상을 갖는 분자에 반응성기가 붙은 반응성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정상을 갖는 분자는 바이페닐(biphenyl)기와 상기 바이페닐기 사이의 알킬 체인(alkyl chain)을 갖는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성기는 아크릴(acryl)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플레이트막과 상기 C-플레이트막은 수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 1 기판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기판의 일면에 A-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기판의 타면에 C-플레이트막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A-플레이트막과 상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액정 용액을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성 액정 용액을 제 3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양생하여 C-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에 제 1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C-플레이트막에 제 2 편광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플레이트막에 제 2 편광판을 접착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 3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C-플레이트막에 접착물질이 형성된 보호필름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100)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200, 300)과, 제 1, 2 기판(200, 300)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4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기판(300)의 하부와 상부 각각에는 A-플레이트막(370)과 C-플레이트막(380)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기판(200) 하부 및 C-플레이트막(380) 상부 각각에는 제 1, 2 편광판(410, 42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기판(200)은 어레이기판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250)과 공통 전극(260)이 횡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층(도 4의 400 참조)을 구동하게 된다.
제 1 기판(200)에는 서로 직교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210, 220)과,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210, 220)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와,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된 화소 전극(250) 및 화소 전극(250)과 평행하게 이격된 공통 전극(260)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데이터 배선(220)과 연결된 소스 전극(221) 및 소스 전극(2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드레인 전극(223)과, 게이트 전극(211)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250)은 드레인 전극(223)과 연결되고, 공통 전극(260)은 화소 전극(250)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횡전계를 형성하게 된다.
제 2 기판(300)은 컬러필터기판으로서, 그 하부 및 상부 각각에 위치하는 A-플레이트막(370)과 C-플레이트막(380)은 도포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A-플레이트막(370)과 C-플레이트막(380)은 시야각에 따른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필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A-플레이트막(370)과 C-플레이트막(380)은 반응성 액정 용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반응성 액정 용액은 반응성 액정을 크실렌(xylene), 톨루엔(tolene), PGMEA 등의 용제에 녹여 0.2 ㎛ 이하의 필터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준비된다. 반응성 액정은 액정상을 갖는 분자에 반응성 기, 예를 들면 아크릴(acryl) 기를 붙여 합성되며, 액정상을 갖는 분자는, 예를 들면 고정부(rigid part)로서 바이페닐(biphenyl) 기를 갖고 곁 가지는 없으며, 고정부 사이가 알킬 체인(alkyl chain) 등의 유연한(flexible) 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A-플레이트막(370)은 반응성 액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액정층(400)을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A-플레이트막(370)와 C-플레이트막(380)은 수 ㎛의 두께, 예를 들면 1 ~ 2 ㎛의 두께로 형성되어, 보상막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a와 6b는 각각, A-플레이트막과 C-플레이트막의 액정 분자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플레이트막의 액정 분자(371)는 기판 면과 평행하게 일렬로 누워 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A-플레이트막은 굴절률이 nx>ny=nz의 관계,즉 ne=nx, no=ny=nz의 관계를 갖게 되는 일축성 보상막이다. 한편, 기판 면에 평행한 방향의 위상차 Re = (nx-ny)×d > 0 (d는 막 두께)의 값을 갖게 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플레이트막의 액정 분자(381)는 기판 면과 수직하게 서 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C-플레이트막(381)은 굴절률이 nx=ny<nz의 관계,즉 ne=nz, no=nx=ny의 관계를 갖게 되는 일축성 보상막, 즉 파지티브(positive) C-플레이트막이다. 한편, 기판 면에 수직한 방향의 위상차 Rth = (nx-ny)×d < 0 (d는 막 두께)의 값을 갖게 된다.
제 1, 2 편광판(410, 420)은 투과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되어 편광의 통과 여부에 따라 블랙과 화이트 상태를 표현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플레이트막(380)을 제 2 기판(300)에 접착하기 위한 제 1 접착제(451)와, C-플레이트막(380)을 제 2 편광판(420)에 접착하기 위한 제 2 접착제(452)가 C-플레이트(380)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100)는, 백라이트(미도시)로부터 빛이 입사되고, 입사된 빛은 제 1 편광판(410)의 투과축에 평행한 편광 성분이 제 1 편광판(410)을 통과하게 된다. 제 1 편광판(410)을 통과한 편광은 액정층(400)을 통과한 후 보상막인 A-플레이트막(370)과 C-플레이트막(380)을 통과하여 보상되고, 제 2 편광판(420)의 투과축에 평행한 편광 성분이 방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A-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7d는 제 2 기판에 A-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기판(300) 상에 차광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블랙매트릭스(310)를 형성한다. 블랙매트릭스(310)는 제 1 기판(도 4의 200 참조) 상의 금속 패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연속하여, 블랙매트릭스(310)가 형성된 제 2 기판(300)에 컬러필터층(320)을 형성한다. 컬러필터층(320)은 레드(R), 그린(G), 블루(B) 컬러필터층(320a, 320b, 320c)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레드 색의 컬러 수지를 전면에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레드 컬러필터층(320a)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린, 블루 컬러필터층(320b, 320c)을 형성하게 된다.
연속하여, 오버코트층(330)을 컬러필터층(320) 상에 형성한다. 오버코트층(330)은 컬러필터층(320)이 형성된 제 2 기판을 평탄화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330)에 대해 러빙 공정을 진행한다. 러빙 공정은 러빙포(321) 등을 이용하여 진행된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A-플레이트막(도 4의 370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러빙된 오버코트층(330) 상에 반응성 액정 용액(368)을 도포한다. 도포된 반응성 액정(368)은 오버코트층(330)의 러빙 방향을 따라 배향된다. 여기서, 반응성 액정(368)의 선경사각(pre-tilt)은 상당히 낮은 값, 즉 반응성 액정의 디렉터는 기판면과 거의 평행한 정도가 된다.
한편, 반응성 액정(368)은 다양한 도포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슬릿-다이 코팅(slit-die coating) 방법이 사용된다. 슬릿-다이 코팅 방법은 공정성과 배향성을 위해 고려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된 반응성 액정(도 7c의 368 참조)에 대해 건조 및 경화 공정을 진행한다. 경화 공정은 자외선(UV) 경화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고, 또한 반응성 액정이 열경화성 반응기를 갖는 경우에 열경화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경화 공정이 진행되면, 제 2 기판(300)에 A-플레이트막(370)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공정에 의해, A-플레이트막(370)은 수 ㎛의 막 두께, 예를 들면 1 ~ 2 ㎛의 막 두께를 갖게 된다.
한편, 경화 공정 후에 미반응 물질 등의 불순물이 잔존하는 경우에 A-플레이트막와 접촉하여 액정층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오버코트층을 이온 포획(ion capture) 기능을 갖는 유기-무기 혼성(hybrid)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 2 기판에 A-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A-플레이트는 액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균일하게 효과적으로 배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A-플레이트에 대해서는 러빙 공정이 진행되지 않아, 러빙 스크래치에 의해 액정층의 배향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A-플레이트 상에 액정셀 갭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하, B-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2 기판에 C-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기판(500) 상에 C-플레이트막(380)을 형성하기 위해 반응성 액정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공정과 양생(curing)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 ㎛의 막 두께, 예를 들면 1 ~ 2 ㎛의 막 두께를 갖는 C-플레이트막(380)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편광판(420)을 C-플레이트막(380) 상에 접착하게 된다. 제 2 편광판(420)을 C-플레이트막(380)에 접착하기 위해, 제 2 편광판(420)에는 제 1 접착제(451)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기판(도 8b의 500 참조)을 제거하게 된다. 제 3 기판을 제거하게 되면, C-플레이트막(380)은 제 1 접착제(451)를 통해 제 2 편광판(420)에 접착된 구조를 갖게 된다.
다음으로,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접착제(452)를 갖는 보호필름(460)을 C-플레이트막(380)의 하부에 접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호필름(460)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제 2 접착제(452)가 C-플레이트막(380) 하부에 남겨진다.
다음으로,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접착제(452)를 이용하여 C-플레이트막(380)을 제 2 기판(300)에 접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C-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제 3 기판을 이용하게 되며, C-플레이트를 제 2 기판과 제 2 편광판에 접착하기 위해, 제 1, 2 접착제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기판은 이미 A-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거나, A-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편광판은 C-플레이트가 제 2 기판에 접착된 후에 C-플레이트에 접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제 2 기판에 형성하고,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을 합착하고 액정층을 두 기판 사이에 충진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2 기판을 사이에 두고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연신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도포하여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두께로 보상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1 ~ 2 ㎛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A-플레이트를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액정층을 균일하게 배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대비비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 기판을 사이에 두고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도포하여 형성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도포하여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정도의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A-플레이트를 배향막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액정층을 균일하게 배향함에 따라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대비비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와 2b는 각각, 보상 필름으로서 이축성 보상 필름과,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를 사용한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A-플레이트와 C-플레이트가 도포 방법으로 순차 형성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a와 6b는 각각, A-플레이트막과 C-플레이트막의 액정 분자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200 : 제 1 기판
300 : 제 2 기판 370 : A-플레이트막
380 : C-플레이트막 400 : 액정층
410 : 제 1 편광판 420 : 제 2 편광판
451 : 제 1 접착제 452 : 제 2 접착제

Claims (10)

  1.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충진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하부에 형성된 A-플레이트막과;
    상기 제 2 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 1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 상부에 형성된 C-플레이트막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하부에 형성된 제 1 편광판과, 상기 C-플레이트막 상부에 형성된 제 2 접착재와, 상기 제 2 접착재 상부에 형성된 제 2 편광판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플레이트막와 상기 C-플레이트막은 각각, 액정상을 갖는 분자에 반응성기가 붙은 반응성 액정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상을 갖는 분자는 바이페닐(biphenyl)기와 상기 바이페닐기 사이의 알킬 체인(alkyl chain)을 갖는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성기는 아크릴(acryl)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플레이트막과 상기 C-플레이트막은 수 ㎛의 두께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기판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기판의 일면에 A-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기판의 타면에 C-플레이트막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A-플레이트막과 상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액정 용액을 상기 제 2 기판의 일면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반응성 액정 용액을 제 3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반응성 액정 용액을 양생하여 C-플레이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에 제 1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C-플레이트막에 제 2 편광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플레이트막에 제 2 편광판을 접착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 3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C-플레이트막에 접착물질이 형성된 보호필름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40021715A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715A KR101019415B1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715A KR101019415B1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007A true KR20050097007A (ko) 2005-10-07
KR101019415B1 KR101019415B1 (ko) 2011-03-07

Family

ID=3727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715A KR101019415B1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4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054B1 (ko) * 1997-06-27 2000-09-01 윤종용 보상 필름을 이용한 광시야각 액정 표시 장치
US6995816B2 (en) 2002-04-12 2006-02-07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devices comprising high performance polarizer package
TWI284230B (en) * 2002-05-17 2007-07-21 Merck Patent Gmbh Compensator comprising a positive and a negative birefringent retardation film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415B1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38B1 (ko) Ips 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114712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390306B (zh) 穿透型液晶顯示裝置
US2005019535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40102A (ja) 位相差制御機能を有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用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KR10135087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1752B1 (ko) 광학 필름
KR20070068772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US76232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mprising internal biaxial cholesteric retardation layer
US777784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50157234A1 (en) LCD employing coated compensate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05006953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00572A (ko)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0635305B1 (ko)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KR10101941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5996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8167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36870A (ko) 액정표시장치
KR10100772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82414A (ko) 와이드 뷰 액정 표시 패널
KR2006008940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113782B1 (ko) 액정표시장치용 광보상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6065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95920A (ko) 면내 스위칭 모드의 액정표시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062696B1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