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971A -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 Google Patents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971A
KR20050095971A KR1020040021196A KR20040021196A KR20050095971A KR 20050095971 A KR20050095971 A KR 20050095971A KR 1020040021196 A KR1020040021196 A KR 1020040021196A KR 20040021196 A KR20040021196 A KR 20040021196A KR 20050095971 A KR20050095971 A KR 20050095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blade
le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5297B1 (en
Inventor
조용월
Original Assignee
조용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월 filed Critical 조용월
Priority to KR102004002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297B1/en
Publication of KR2005009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29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E04F21/241Elongated smoothing blades or plates, e.g. screed apparatus
    • E04F21/244Elongated smoothing blades or plates, e.g. screed apparatus with means to adjust the working angle of the leveling blade or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천장에 형성된 미장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기 위한 천장마감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된 날지지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날지지부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날지지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날가압부와, 상기 날지지부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갖는 지지체와; 고정날을 가지고, 상기 고정날의 날면이 상기 천장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날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미장층(모르타르층)의 표면을 자동으로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finishing device,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for smoothly finishing the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med on the ceiling, the base support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blad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support having a branch portion, a blade pressing portio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etween the base and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and a lifting por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It has a fixed bla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blade portion fixed to the blad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blade surface of the fixed blad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Thereby, the surface of a plastering layer (mortar layer) can be automatically smoothed and finished.

Description

천장마감장치{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Ceiling Finishing Device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본 발명은 천장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천장에 형성된 모르타르등의 미장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fini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smoothly finishing the surface of a plaster layer such as mortar formed from the ceiling supplied from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천장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미장 처리된다.In general, the ceiling of a concrete building is plastered with mortar.

이와 같은 천장의 마감처리는 모르타르를 천장에 부착하여 미장층을 형성한 후 그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방법으로 실시된다.Such finishing of the ceiling is performed by attaching mortar to the ceiling to form a plaster layer and then smoothing the surface thereof.

종래 천장의 마감처리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nishing the ceiling as follows.

먼저 모르타르분사장치를 사용하여 모르타르를 천장에 골고루 도포하여 모르타르층을 형성한다.First, mortar is applied evenly to the ceiling using mortar spraying to form a mortar layer.

즉, 모르타르를 호스를 이용하여 작업 층으로 펌핑한 후, 분사노즐을 통해 천장에 골고루 분사시켜 모르타르층을 형성한다.That is, the mortar is pumped to the working layer using a hose, and then sprayed evenly on the ceiling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to form a mortar layer.

다음에 흙손을 사용하여 천장에 형성된 모르타르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한다.Next, use a trowel to smoothly finish the surface of the mortar layer formed on the ceiling.

그런데 종래의 천장의 마감처리방법에 따르면, 천장에 형성된 미장층(모르타르층)의 표면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마무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마감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건축공기가 길어지고 건축비용이 증가하게 된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inishing method of the ceiling, the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mortar layer) formed on the ceiling has a problem that the finishing work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it must be finished by the operator's manual work.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air is long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형성된 미장층의 표면을 자동으로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 천장마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iling finish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smoothly finishing the surface of a plastering layer formed on a ceiling.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천장에 형성된 미장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기 위한 천장마감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날지지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날지지부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날지지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날가압부와, 상기 날지지부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갖는 지지체와; 고정날을 가지고, 상기 고정날의 날면이 상기 천장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날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for smoothly finishing the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med on the ceiling, the base support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blade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 support having a blade pressing portio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etween the base and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and a lifting por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It has a fixed blade, and the blade surface of the fixed blade is achieved by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blade portion fixed to the blade support portion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여기서 미장층과 천장면사이의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날지지부는 상기 고정날의 전방에 형성된 안내레일을 가지고; 이동날을 가지고 상기 이동날의 날면이 상기 고정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천장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기 이동날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날지지부에 설치되는 이동날부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날을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blade support has a guide rail formed in front of the fixed blade so as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plaster layer and the ceiling surface; A moving blade part installed on the blade support part to have a moving blad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xed blade and allowing the moving blade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iv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the moving blades along the guide rail.

그리고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날지지부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가압부는 상기 고정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되어 배치되고, 각각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되는 메인스프링과 하단영역이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스프링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날지지부의 저면에 기립 설치된 메인플런저와 한 쌍의 메인결합패드와 상기 각 메인결합패드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결합패드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메인이반레버와 상기 각 메인이반레버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이반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메인접근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메인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메인결합패드를 통해 상기 메인실린더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실린더의 상단영역에 결합된 메인원동레버부와, 상기 메인파지부를 상기 메인플런지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메인플런지가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기 메인파지부를 상기 메인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메인플런지가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상기 메인이반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메인플런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종동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and to stably support the blade support part, the blade pressing parts are dispos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lade, and each of the main cylinder and the main cylinder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respectively. Main plunger and a lower main area mounted in the main cylind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main plunger and a pair of main coupling pads and the main plunger standing up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ade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main spring A pair of main access levers which are bent in a plate direction of the main coupling pad and a pair of main access levers which are ben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Ivan lever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main lever Main gripping part which connects free end of main access lever integrally And a main driving lever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cylinder so that the main cylinder rotates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main coupling pad, and the main holding part rotates toward the main plunger. When the main plunge rises inside the main cylinder and the main grip part rotates toward the main cylinder so that the main plunge descends inside the main cylinder, among the main Ivan lever and the main approach lev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main driven lever connecting any one and the main plunger.

또한 미장층의 성질(점성 등)에 적응하여 미장층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가압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날가압부의 사이영역에 설치되고, 각각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보조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되는 보조스프링과 하단영역이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스프링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보조플런저와 한 쌍의 보조결합패드와 상기 각 보조결합패드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결합패드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각 보조이반레버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이반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조접근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조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보조결합패드를 통해 상기 보조실린더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실린더의 상단영역에 결합된 보조원동레버부와 상기 보조파지부를 상기 보조플런지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보조플런지가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기 보조파지부를 상기 보조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보조플런지가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상기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플런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종동레버와 상기 보조플런지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판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inish the plastering layer by adapting the properties (viscosity, etc.) of the plastering layer, the blad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region between the pair of the main blade pressing portion, the auxiliary cylinder and the standing stan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respectively; The auxiliary spring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ylinder and the lower region of the auxiliary plunger and the pair of auxiliary coupling pads and the auxiliary coupling pads installed so as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spring in the auxiliary cylind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 pair of auxiliary levers formed by bending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coupling pad and a pair of auxiliary access levers formed by ben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levers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f the auxiliary levers and the auxiliary approach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which connects the free end of the lever integrally has an auxiliary gripping pad. When the auxiliary driving lever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auxiliary cylinder and the auxiliary gripping part are rotated toward the auxiliary plunger so that the auxiliary cylinder can be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the auxiliary plunge becomes the auxiliary cylinder. The auxiliary Ivan lever and any one of the auxiliary access lever and the auxiliary plunger are connected so that the auxiliary plunger descends from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ylinder when ascending in the interior and pivoting the auxiliary gripping part toward the auxiliary cylinder.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auxiliary driven lever and the pressure plat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plunge.

또한 날지지부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메인종동레버는 상기 메인파지부를 상기 메인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메인 이반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점이 상기 메인결합패드와 상기 메인실린더와의 결합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메인이반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메인플런지를 연결하고, 상기 각 보조종동레버는 상기 보조파지부를 상기 보조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점이 상기 보조결합패드와 상기 보조실린더와의 결합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플런지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driven lever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main Ivan lever and the main approach lever when the main gripper rotates the main gripper toward the main cylinder so as to maintain the support state of the blade support part stably. The main Ivan lever and any one of the main approach lever and the main plung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point between the coupling pad and the main cylinder, and each of the auxiliary driven levers has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toward the auxiliary cylinder. Any one of the auxiliary lever and the auxiliary access lever and the auxiliary flap so th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any one of the auxiliary Ivan lever and the auxiliary access lever passes through the coupling point between the auxiliary coupling pad and the auxiliary cylinder when rotating. It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lunges.

또한 천장 높이에 적응하여 미장층을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는 상기 건물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중간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중간베이스를 상기 하부베이스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base support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an intermediate base coupled to the lower base to move along the height in order to adapt the ceiling layer to finish the plastering layer. The suppor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portion for elevating the intermediate base with respect to the lower base.

또한 고정날과 이동날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는 상기 중간베이스의 높이방향에 가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베이스의 상면에 탑재되는 상부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상부베이스를 상기 건물의 바닥면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includes an upper bas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ase to be able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xed blade and the moving bla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base; The suppor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ot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upper base about an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하부베이스 및 승강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6은 도1의 중간베이스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7은 도1의 중간베이스와 하부베이스사이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8과 도9는 각각 도1의 상부베이스, 구동부, 회전부, 날지지부, 고정날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11은 도1의 날가압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12a 및 도12b는 각각 도11의 메인날가압부와 보조날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13은 도11의 메인날가압부와 보조날가압부의 부분절개도이며, 도15는 도1의 이동날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6은 도9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por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base and the lifting area of Figure 1, Figure 6 is a main por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mediate base region of Figure 1 7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method between the intermediate base and the lower base of FIG. 1, and FIGS. 8 and 9 are main parts of the upper base, the driving unit, the rotating unit, the blade support unit, and the fixed blade region of FIG. 1, respectively.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blade pressing portion shown in FIG. 1, and FIGS. 12A and 1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ain blade press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blade pressing portion of FIG. 11, respectively, and FIG.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blade portion region of Fig. 1, and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portion of Fig.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지지체(10)와, 지지체(10)의 상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이동날부(140) 및 고정날부(150)를 갖고 있다.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upport 1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the movable blade 140 and fixed side by sid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0 It has the blade part 150.

지지체(10)는 건물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베이스(30)와 하부베이스(30)에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중간베이스(40) 및 상부베이스(60)를 구비한 베이스(20)와, 고정날부(150)와 이동날부(140)를 지지하는 날지지부(80)와, 날지지부(80)를 하부베이스(30)에 대하여 승강시키도록 중간베이스(40)와 하부베이스(30)에 분산 설치된 승강부(70)와, 날지지부(80)를 상부베이스(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부베이스(60)와 날지지부(80)사이에 개재하는 날가압부(90)와, 상부베이스(60)를 중간베이스(40)에 대하여 건물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120)를 갖고 있다.The support 10 is fixed with a base 20 having an intermediate base 40 and an upper base 60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base 30 and the lower base 30 support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The blade support part 80 which supports the blade part 150 and the moving blade part 140, and the blade support part 80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base 40 and the lower base 30 so that the blade support part 80 may be elev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base 30. A blade pressing portion 90 interposed between the elevating portion 70 and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80 so as to elastically press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8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pper base 60; It has a rotating part 120 for rotating the upper base 60 about the intermediate base 40 about the axis line perpendicular to the floor surface of a building.

하부베이스(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이 대략 장방형상단면을 형성하도록 기립 설치된 4개의 하부지주프레임(31)과, 인접하는 하부지주프레임(31)의 상단과 하부 영역을 각각 연결하는 두 쌍의 하부가로프레임(32) 및 두 쌍의 하부세로프레임(33)과, 하부지주프레임(31)이 형성하는 장방형의 대각선방향을 따라 하부지주프레임(31)에 결합된 하부보강프레임(34)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ower base 30 connects four lower support frames 31 that are erected so that connecting lines form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upper and lower regions of adjacent lower support frames 31, respectively. Two pairs of lower horizontal frame 32 and two pairs of the lower vertical frame 33, and the lower reinforcing frame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frame 31 along the diagonal direction formed by the lower support frame 31 ( Has 34).

각 하부지주프레임(31)은 정방형상단면의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영역에는 고정핀공(31a)이 동일높이를 갖도록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지주프레임(31)의 하단에는 각각 바닥이동활차(35)가 하나씩 장착되어 있다.Each lower support frame 3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of a square cross-section, and is formed one by one in the upper region so that the fixing pin hole 31a has the same height. And one bottom movable pulley 35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frame 31, respectively.

중간베이스(40)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이 대략 장방형상단면을 형성하도록 기립 설치된 한 쌍의 좌측 중간지주프레임(41) 및 한 쌍의 우측 중간지주프레임(42)과, 한 쌍의 좌측 중간지주프레임(41)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는 좌측 중간세로프레임(43)과, 한 쌍의 우측 중간지주프레임(42)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는 우측 중간세로프레임(44)과, 좌측 중간세로프레임(43)과 우측 중간세로프레임(44)의 중앙영역을 하부가로프레임(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는 3개의 중간가로프레임(45)과, 중간가로프레임(45) 상호간을 좌측 중간세로프레임(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도록 중간가로프레임(45)의 상면에 결합된 좌측 구름판(46), 중앙 구름판(47) 및 우측 구름판(48)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intermediate base 40 includes a pair of left intermediate support frames 41 and a pair of right intermediate support frames 42 that are erected so that the connecting line form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left middle vertical frame 43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left middle support frames 41, respectively, and the right middle vertical frame 44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right middle supporting frames 42, respectively. And, the three middle horizontal frame 45 and the middle horizontal frame 45 which interconnects the central region of the left middle vertical frame 43 and the right middle vertical frame 4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32, The left cloud plate 46, the center cloud plate 47, and the right cloud plate 48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horizontal frame 45 so as to connect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middle vertical frame 43.

좌측 중간지주프레임(41)에는 하부지주프레임(31)에 형성된 고정핀공(31a)에 대응하는 고정핀공(4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우측 중간지주프레임(42)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핀공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left middle holding frame 41, a fixing pin hole 41a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in hole 31a formed in the lower holding frame 3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pin hole is formed in the same way on the right middle support frame 42.

전방에 위치하는 중간가로프레임(45a)의 전면 양단에는 고정조작부(50)가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operation part 50 is formed in the front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horizontal frame 45a located in front.

고정조작부(50)는 대략 디귿자형상단면의 고정브라켓(51)과, 고정브라켓(5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고정파지부(52)와, 고정파지부(52)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회동축(54)을 통해 결합된 대략 디귿자형상의 걸림부(53)를 갖고 있다.The fixed operation unit 50 has a fixed bracket 51 having a substantially Di-shaped cross section, a fixed grip portion 52 axially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51 so as to be rota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grip portion 52. It has a locking part 53 of the substantially de-shaped shape couple | bond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54 horizontally to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조작부(50)의 고정동작과 해제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ixing operation and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fixed control unit 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고정파지부(52)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다.First, the holding grip unit 52 is rotated upward.

다음에 걸림부(53)를 후술하는 상부베이스(60)의 고정편(68)에 형성된 개구부(68a)에 삽입되도록 상방향으로 회동시킨다.Next, the locking portion 53 is rotated up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68a formed in the fixing piece 68 of the upper base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에 고정파지부(52)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고정파지부(52)가 하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걸림부(53)는 고정편(68)의 개구부(68a)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베이스(60)는 중간베이스(40)에 고정된다.Next, the fixed gripping portion 52 is rotated downward. As the fixing grip portion 52 rotates downward, the locking portion 5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68a of the fixing piece 68. Accordingly, the upper base 60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base 40.

다음에 고정파지부(52)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걸림부(53)를 상부베이스(60)의 고정편(68)의 개구부(68a)로부터 이탈시킨다.Next, after the holding portion 52 is rotated upward, the locking portion 53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portion 68a of the fixing piece 68 of the upper base 60.

다음에 걸림부(53)가 고정편(68)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고정파지부(52)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부베이스(60)는 중간베이스(4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Next, the fixed grip portion 52 is rotated downward while the locking portion 53 is separated from the fixed piece 68. Accordingly, the upper base 60 is separated from the intermediate base 40.

중앙 구름판(47)의 중앙영역에는 축하부지지공(47a)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entral rolling plate 47, a swash part supporting hole 47a is form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간베이스(4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지주프레임(41, 42)이 하부지주프레임(31)에 삽입되도록 하부베이스(30)에 장착된다.The intermediate base 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mounted on the lower base 30 so that the intermediate holding frames 41 and 42 are inserted into the lower holding frame 31 as shown in FIG.

상부베이스(60)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중간가로프레임(4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상부가로프레임(61)과, 한 쌍의 상부가로프레임(61)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좌측 상부세로프레임(62) 및 우측 상부세로프레임(63)과, 상부가로프레임(61)의 중앙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과,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의 양측에서 각각 상부가로프레임(61)을 상호 연결하는 좌측 보강세로프레임(64a) 및 우측 보강세로프레임(64b)과, 좌측 상부세로프레임(62)의 저면에 한 쌍의 상부가로프레임(6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좌측 지지판(65)과, 우측 상부세로프레임(63)의 저면에 한 쌍의 상부가로프레임(6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우측 지지판(66)과, 좌측 보강세로프레임(64a),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 및 우측 보강세로프레임(64b)의 저면에 한 쌍의 상부가로프레임(6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앙 지지판(67)을 갖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the upper base 60 includes a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 61 and a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s 61 formed to correspond to a pair of intermediate horizontal frames 45 located outside. A left upper vertical frame 62 and a right upper vertical frame 63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61, and a central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interconnecting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A pair of left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4a and right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4b and a bottom surface of the left upper vertical frame 62 which interconnect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respectively. A left support plate 65 coupled to connect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of the upper and right support plates 66 coupled to connect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 61 to the bottom of the right upper vertical frame 63; Left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4a, center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and right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4b Has a central support plate 67 is coupled to connect the pair of upper horizontal frame 61 on the bottom surface.

상부가로프레임(61)은 정방형상단면의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가로프레임(61)의 전면 중간베이스(40)의 고정브라켓(51)의 대향영역에는 상향 개구부(68a)를 갖는 각각 대략 다귿자 형상단면의 고정편(68)이 결합되어 있다.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ular square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fixing pieces 68 of approximately multi-shaped cross-sections each having an upward opening 68a are coupled to the opposing area of the fixing bracket 51 of the front middle base 40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좌측 상부세로프레임(62) 및 우측 상부세로프레임(63)은 상부가로프레임(61)의 양단 개구부가 폐쇄되지 않도록 상부가로프레임(61)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The left upper vertical frame 62 and the right upper vertical frame 6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so that openings at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are not closed.

중앙 지지판(67)에는 중앙구름판(47)의 축하부지지공(47a)에 대향하도록 축중간지지공(67a)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The intermediate support plate 67 is formed in the center support plate 67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so as to face the axial support hole 47a of the central cloud plate 47.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에는 중앙 지지판(67)의 축중간지지공(67a)에 대향하도록 축상부지지공(68a)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ral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an axial support hole 68a is form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so as to face the intermediate shaft support hole 67a of the central support plate 67.

승강부(7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세로프레임(33)의 내표면과 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세로프레임(33)의 내표면에 하부지주프레임(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씩 설치된 승강레일(71)과, 하부지주프레임(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하는 하부지주프레임(31)의 후면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승강지지프레임(73)과, 각 승강지지프레임(73)에 결합된 한 쌍의 승강조작레버부(75)와, 각 승강조작레버부(75)의 우측단에 결합된 한 쌍의 승강안내부(74)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ifting unit 70 is lower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33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lower vertical frames 33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A pair of lifting rails 71 provided in pai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31 and one pai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frame 31 positioned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frame 31. The elevating support frame 73, a pair of elevating operation lever portions 75 coupled to each elevating support frame 73, and a pair of elevating guide portions coupled to the right end of each elevating operation lever portion 75. Has 74.

각 승강레일(71)에는 두 쌍의 승강활차(72)가 높이차를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Two lifting pulleys 72 are mounted on each lifting rail 71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a height difference.

각 승강조작레버부(75)는 중간승강지지프레임(74b)의 중앙영역에 결합에 승강구동레버(76)와, 승강구동레버(76)의 좌측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압레버(77)를 갖고 있다.Each lifting operation lever portion 75 is the lifting lever 76 and the pressure lever 77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lifting driving lever 76 to be coupled to the center area of the intermediate lifting support frame 74b. Have

가압레버(77)는 180도의 회동영역을 갖도록 승강구동레버(76)에 결합되어 있다.The pressure lever 77 is coupled to the elevating drive lever 76 to have a rotational region of 180 degrees.

각 승강안내부(74)는 하부지주프레임(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승강안내프레임(74a)과, 한 쌍의 승강안내프레임(74a)의 사이영역에서 승강안내프레임(74a)과 나란하게 배치된 중간승강지지프레임(74b)과, 중간승강지지프레임(74b)의 하단, 상단 및 중앙을 각각 한 쌍의 승강안내프레임(74a)에 연결하는 3개의 연결프레임(74c)을 갖고 있다.Each lifting guide portion 74 is a lifting guide frame (74a) in the area between the pair of lifting guide frame (74a)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frame (31), and the pair of lifting guide frame (74a) ) And three connecting frames 74c for connecting the middle elevating support frame 74b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elevating guide frames 74a respectively connecting the lower end, the upper end, and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elevating support frame 74b. Hav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승강안내부(74)는 승강안내프레임(74a)이 승강활차(72)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각 승강조작레버부(75)에 결합되어 있다.The elevating guide portion 74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upled to each elevating operation lever portion 75 so that the elevating guide frame 74a is inserted into the recess of the elevating pulley 72.

승강구동레버(76)는 중간승강지지프레임(74b)와의 결합영역에 결합축 안내를 위한 장공(76a)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지지프레임(73)과의 사이영역에는 간격유지프레임(78)이 개재되어 있다(도4c 참조).The elevating drive lever 76 is formed with a long hole 76a for guiding the coupling shaft in an engaging region with the intermediate elevating support frame 74b, and a space maintaining frame 78 is provided between the elevating support frame 73 and the elevating drive lever 76. It is interposed (refer FIG. 4C).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승강부(70)의 동작을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7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4, and 5 as follows.

먼저 고정핀(36)을 고정핀공(31a, 41a)으로부터 분리시킨다.First, the fixing pin 36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in holes 31a and 41a.

다음에 가압레버(77)를 구동승강레버(76)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도4a 및 도4b 참조).Next, the pressure lever 77 is rotated downward to be in line with the drive lift lever 76 (see FIGS. 4A and 4B).

다음에 가압레버(77)를 바닥면을 향해 가압한다. 가압레버(77)가 바닥면을 향해 가압됨에 따라 중간베이스(40)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승한다(도4c 및 도4d 참조). 중간베이스(40)가 상승하는 동안 승강구동레버(76)와 승강안내부(74)와의 결합축은, 도 5a, 도5b 및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76a)의 길이방향을 따라 1회 왕복 이동하게 된다.Next, the pressure lever 77 is pres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As the pressure lever 77 is pres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the intermediate base 40 is rais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see FIGS. 4C and 4D). The coupling shaft of the elevating driving lever 76 and the elevating guide portion 74 while the intermediate base 40 is raised is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76a, as shown in FIGS. 5A, 5B, and 5C. It will move back and forth.

중간베이스(40)가 상승한 후, 고정핀(36)을 고정핀공(31a, 41a)에 삽입하여 상승상태를 유지시킨다(도4d 참조). 그리고 가압레버(77)를 원위치로 회동시킨다.After the intermediate base 40 is raised, the fixing pin 36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s 31a and 41a to maintain the rising state (see FIG. 4D). Then, the pressure lever 77 is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날지지부(80)는, 도8, 도9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베이스(60)의 상부가로프레임(6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가로프레임(81)과, 한 쌍의 지지가로프레임(81)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좌측 지지세로프레임(82a) 및 우측 지지세로프레임(82b)과, 지지가로프레임(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 지지세로프레임(82a)과 우측 지지세로프레임(82b)을 연결하는 지지중앙가로프레임(83)과, 지지가로프레임(8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한 쌍의 지지가로프레임(81)과 지지중앙가로프레임(83)을 연결하는 좌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c) 및 우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d)과, 좌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c)의 전방영역과 좌측 지지세로프레임(82a)의 전방영역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좌측 메인안내레일(84a)과, 우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d)의 전방영역과 우측 지지세로프레임(82b)의 전방영역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우측 메인안내레일(84b)을 갖고 있다.8, 9 and 15,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is a pair of support horizontal frame 81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of the upper base 60, a pair The left support vertical frame 82a and the right support vertical frame 82b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of the left support vertical frame 82a and the 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A support center horizontal frame (83) connecting the support vertical frame (82b), and a pair of support horizontal frame (81) and a support central horizontal frame (83)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A pair formed along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left supporting central vertical frame 82c and the right supporting central vertical frame 82d with the front region of the left supporting central vertical frame 82c and the left supporting vertical vertical frame 82c. The left main guide rail (84a) and the front area of the right support central vertical frame (82d) Side support has a vertical frame with a pair of right main guide rail (84b) formed along a direction connecting the front area of (82b).

지지가로프레임(81)은 상부가로프레임(61)보다 짧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한 쌍의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은 좌측 지지세로프레임(8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있고,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은 삼각형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은 좌측 지지세로프레임(82a)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의 좌측단에는 보강연결부재(86)가 결합되어 있다.The pair of left main guide rails 84a are separ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support vertical frame 82a and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Each left main guide rail 84a is formed to have a triangular upper section. Each left main guide rail 84a is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left support vertical frame 82a. A reinforcing connection member 86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pair of left main guide rails 84a.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은 한 쌍의 고정브라켓(87)을 통해 좌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c)과 좌측 지지세로프레임(82a)에 결합된다.The left main guide rail 84a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upled to the left support center vertical frame 82c and the left support vertical frame 82a through a pair of fixing brackets 87.

한 쌍의 우측 메인안내레일(84b)은 한 쌍의 좌측 메인안내레일(84a)과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고 동일한 방법으로 우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d)과 우측 지지세로프레임(82b)에 결합된다.The pair of right main guide rails 84b has the same shape as the pair of left main guide rails 84a and is coupled to the right support central vertical frame 82d and the right support vertical frame 82b in the same manner.

그리고 날지지부(80)는 한 쌍의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의 중앙영역 사이공간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삼각형상단면의 좌측 보조안내레일(85a)과 한 쌍의 우측 메인안내레일(84b)의 중앙영역 사이공간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삼각형상단면의 우측 보조안내레일(85b)을 갖고 있다.And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is a left auxiliary guide rail (85a) and a pair of right main guide rail (84b) of the triangular upper end projecting downward in the space between the central region of the pair of left main guide rail (84a) It has a right side auxiliary guide rail 85b of the triangular cross-sec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center area | regions of this.

좌측 보조안내레일(85a)은 한 쌍의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을 상호 연결하도록 좌측 메인안내레일(84a)에 용접 결합되어 있고, 우측 보조안내레일(85b)은 한 쌍의 우측 메인안내레일(84b)을 상호 연결하도록 우측 메인안내레일(84b)에 용접 결합되어 있다.The left auxiliary guide rail 85a is welded to the left main guide rail 84a to interconnect a pair of left main guide rails 84a, and the right auxiliary guide rail 85b is a pair of right main guide rails. It is welded to the right main guide rail 84b to interconnect 84b.

날가압부(9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가로프레임(81)의 저면 양단과 상부가로프레임(61)의 양단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 4개의 메인날가압부(100)와, 좌측 보강세로프레임(64a) 및 우측 보강세로프레임(64b)으로부터 날지지부(80)를 향해 설치된 2개의 보조날가압부(110)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blade pressing unit 90 includes four main blade pressing units 100 installed along a direction connecting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of each support horizontal frame 81 and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 And two auxiliary blade pressing portions 110 provided toward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from the left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4a and the right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4b.

각 메인날가압부(100)는, 도12a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로프레임(6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메인실린더(101)와, 메인실린더(101)의 내부에 장착된 메인스프링(103)과, 하단영역이 메인실린더(101)의 내부에서 메인스프링(103)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지지가로프레임(81)의 저면에 기립 설치된 메인플런저(102)와, 메인실린더(101)의 상단에 메인실린더(101)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메인원동레버부(104)와, 메인원동레버부(104)의 회동동작에 따라 메인플런저(102)가 메인실린더(10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메인플런저(102)와 메인원동레버부(104) 상호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종동레버(105)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S. 12A and 13, each main blade pressing unit 100 includes a main cylinder 101 standing up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and a main mounted in the main cylinder 101. The main plunger 102 and the main cylinder 101 are erect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so that the spring 103 and the lower region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main spring 103 in the main cylinder 101. The main plunger 102 is connected to the main driving lever part 104 and the main driving lever part 104 so as to rotat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main cylinder 101 at an upper end thereof. It has a pair of main driven levers 105 which connect the main plunger 102 and the main driving lever part 104 mutually to raise and lower in the cylinder 101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메인실린더(101)는 실린더지지프레임(107)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The main cylinders 10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ylinder support frame 107.

메인원동레버부(104)는 메인실린더(101)의 상단 외표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결합패드(104a)와, 각 메인결합패드(104a)로부터 메인결합패드(104a)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메인이반레버(104b)와, 각 메인이반레버(104b)로부터 메인이반레버(104b)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메인접근레버(104c)와, 한 쌍의 메인접근레버(104c)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일자형의 메인파지부(104d)를 갖고 있다.The main driving lever portion 104 is a pair of main coupling pads 104a coupled to face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main cylinder 101, and the plate coupling direction of the main coupling pads 104a from the main coupling pads 104a. A pair of main Ivan levers 104b which are bent and extend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main access levers 104c which are bent and extended from the main Ivan lever 104b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Ivan lever 104b and And a straight main gripping portion 104d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free ends of the pair of main approach levers 104c.

한 쌍의 메인이반레버(104b)는 각 메인결합패드(104a)로부터 메인접근레버(104c)를 향해 갈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main Ivan levers 104b are formed to be farther from each other toward the main approach lever 104c from each main engagement pad 104a.

한 쌍의 메인접근레버(104c)는 각 메인이반레버(104b)로부터 메인파지부(104d)를 향해 갈수록 상호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main approach lever 104c is formed so that it may mutually approach toward each main hold part 104d from each main half lever 104b.

각 메인종동레버(105)는 양단에 걸고리(105a, 105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메인종동레버(105)는 걸고리(105a, 105b)를 통해 메인플런저(102)의 상단 및 메인접근레버(104c)와 메인이반레버(104b)의 접촉영역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각 메인종동레버(105)는 메인파지부(104d)를 메인실린더(101)를 향해 회동시킬 때 메인접근레버(104c)와의 연결점(B)이 메인결합패드(104a)와 메인실린더(101)와의 결합점(A)을 통과하도록 메인접근레버(104c)와 메인플런저(102)를 연결하고 있다. Each main driven lever 105 has hooks 105a and 105b formed at both ends thereof. Each main driven lever 10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lunger 102 and the contact area of the main access lever 104c and the main Ivan lever 104b via hooks 105a and 105b. Here, each main driven lever 105 has a connection point (B) with the main approach lever (104c) is the main coupling pad (104a) and the main cylinder 101 when the main holding portion 104d is rotated toward the main cylinder (101) The main approach lever 104c and the main plunger 1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point A.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메인날가압부(100)의 동작을 도14a, 14b 및 1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파지부(104d)는 하측으로 회동되어 있다고 가정한다.The operation of each main blade pressing unit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A, 14B, and 14C.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main gripping portion 104d is rotated downward.

메인파지부(104d)가 하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메인플런저(102)는 메인실린더(101)의 내부에서 최대로 진입되어 있다(도14a 참조). 이에 따라 날지지부(80)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메인스프링(103)은 최대로 수축되어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main holding part 104d is rotated downward, the main plunger 102 enters the inside of the main cylinder 101 to the maximum (see Fig. 14A). Accordingly,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maintains the lowered state and the main spring 103 is contracted to the maximum.

메인파지부(104d)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메인종동레버(105)를 통해 메인플런저(102)에 인가된 하방향의 인장력은 해제된다. 메인플런저(102)에 인가된 인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메인스프링(10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메인플런저(102)는 메인실린더(101)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날지지부(80)도 상승한다(도14b 참조).When the main holding part 104d is rotated upward, the downward tension force applied to the main plunger 102 through the main driven lever 105 is released. As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main plunger 102 is released, the main plunger 102 is raised inside the main cylinder 101 by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main spring 103, and thus the blade support part 80 is also raised. Rise (see Fig. 14B).

다음에 메인파지부(104d)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메인종동레버(105)를 통해 메인플런저(102)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된다. 메인플런저(102)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됨에 따라 메인플런저(102)는 메인실린더(101)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날지지부(80)도 하강한다. 그리고 메인플런저(102)가 하강하는 동안 메인스프링(103)은 수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된다(도14a 참조). 여기서 각 메인종동레버(105)는 메인파지부(104d)를 메인실린더(101)를 향해 회동시킬 때 메인접근레버(104c)와의 연결점(B)이 메인결합패드(104a)와 메인실린더(101)와의 결합점(A)을 통과하도록 메인접근레버(104c)와 메인플런저(102)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유지수단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메인파지부(104d)의 하방향회동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Next, when the main holding part 104d is rotated downward, a downward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plunger 102 through the main driven lever 105. As the downward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plunger 102, the main plunger 102 is lowered inside the main cylinder 101, and thus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is lowered. And while the main plunger 102 is lowered, the main spring 103 is contracted so that an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see Fig. 14A). Here, each main driven lever 105 has a connection point (B) with the main approach lever (104c) is the main coupling pad (104a) and the main cylinder 101 when the main holding portion 104d is rotated toward the main cylinder (101) Since the main approach lever 104c and the main plunger 102 are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point A with each other, the downward rotation state of the main holding part 104d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without a separate holding means. Will be.

좌측에 위치하는 보조날가압부(110)는 좌측 보강세로프레임(64a)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보조실린더(111)와, 보조실린더(111)의 내부에 장착된 보조스프링(113)과, 하단영역이 보조실린더(111)의 내부에서 보조스프링(113)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보조플런저(112)와, 보조실린더(111)의 상단에 보조실린더(111)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보조원동레버부(114)와, 보조원동레버부(114)의 회동동작에 따라 보조플런저(112)가 보조실린더(11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보조플런저(112)와 보조원동레버부(114) 상호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종동레버(115)와, 보조플런저(112)의 상면에 결합된 가압판(116)을 갖고 있다.The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110 positioned on the left side includes an auxiliary cylinder 111 standing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4a, an auxiliary spring 113 mounted inside the auxiliary cylinder 111, and a lower region. The auxiliary plunger 112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spring 113 in the auxiliary cylinder 111 a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ylinder 111 o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ylinder 111 can be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auxiliary plunger 112 and the auxiliary plunger 112 ar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auxiliary cylinder 11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driving lever 114 and the auxiliary driving lever 114. And the auxiliary driving lever section 114 has a pair of auxiliary driven levers 115 connecting to each other, and a pressure plate 116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lunger 112.

보조원동레버부(114)는 보조실린더(111)의 상단 외표면에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결합패드(114a)와, 각 보조결합패드(114a)로부터 보조결합패드(114a)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조이반레버(114b)와, 각 보조이반레버(114b)로부터 보조이반레버(114b)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조접근레버(114c)와, 한 쌍의 보조접근레버(114c)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삼각형의 보조파지부(114d)를 갖고 있다.The auxiliary driving lever part 114 is a pair of auxiliary coupling pads 114a coupled to face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cylinder 111, and the plate coupl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pads 114a from the respective auxiliary coupling pads 114a. A pair of auxiliary levers 114b formed by bend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a pair of auxiliary access levers 114c formed by bending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Ivan levers 114b from each auxiliary Ivan lever 114b, and a A triangular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free ends of the pair of auxiliary access levers 114c is provided.

한 쌍의 보조이반레버(114b)는 각 보조결합패드(114a)로부터 보조접근레버(114c)를 향해 갈수록 상호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auxiliary levers 114b are formed to be farther from each other toward the auxiliary access lever 114c from each of the auxiliary coupling pads 114a.

한 쌍의 보조접근레버(114c)는 각 보조이반레버(114b)로부터 보조파지부(114d)를 향해 갈수록 상호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auxiliary access levers 114c are formed to approach each other gradually toward each of the auxiliary holding portions 114b toward the auxiliary holding part 114d.

각 보조종동레버(115)는 양단에 걸고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조종동레버(115)는 걸고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보조플런저(112) 및 보조접근레버(114c)와 보조이반레버(114b)의 접촉영역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각 보조종동레버(115)는 보조파지부(114d)를 보조실린더(111)를 향해 회동시킬 때 보조접근레버(114c)와의 연결점(B')이 보조결합패드(114a)와 보조실린더(111)와의 결합점(A')을 통과하도록 보조접근레버(114c)와 보조플런저(112)를 연결하고 있다.Each auxiliary driven lever 115 has hooks (not shown) formed at both ends thereof. Each auxiliary driven lever 115 is rotatably coupled to a contact region of the auxiliary plunger 112 and the auxiliary access lever 114c and the auxiliary Ivan lever 114b through a hook (not shown). Here, each auxiliary driven lever 115 has a connection point (B ') of the auxiliary access lever 114c and the auxiliary coupling pad 114a and the auxiliary cylinder 111 when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is rotated toward the auxiliary cylinder (111). The auxiliary access lever 114c and the auxiliary plunger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point A '.

우측에 위치하는 보조날가압부(110)는 좌측에 위치하는 보조날가압부(100)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The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110 located on the right side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100 located on the left side.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보조날가압부(100)의 동작을 도14a, 14b 및 1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파지부(114d)는 하측으로 회동되어 있고 메인날가압부(100)에 의해 날지지부(80)는 상승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ures 14a, 14b and 14c the operation of each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is rotated downward and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80 is raised by the main blade pressing portion 100.

보조파지부(114d)가 하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보조플런저(112)는 보조실린더(111)의 내부에서 최대로 진입되어 있다(도14a 및 14b 참조). 이 때 보조스프링(113)은 최대로 수축되고, 날지지부(80)는 메인날가압부(100)에 의해 상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is rotated downward, the auxiliary plunger 112 is maximally entered inside the auxiliary cylinder 111 (see Figs. 14A and 14B). At this time, the auxiliary spring 113 is contracted to the maximum,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is maintained in a raised state by the main blade pressing portion 100.

보조파지부(114d)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보조종동레버(115)를 통해 보조플런저(112)에 인가된 하방향의 인장력은 해제된다. 보조플런저(112)에 인가된 인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보조스프링(11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플런저(112)는 보조실린더(111)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고, 가압판(116)은 날지지부(80)의 지지중앙가로프레임(83a)의 저면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날지지부(80)에 인가되는 상방향의 압력은 메인날가압부(100)를 단독으로 동작시킨 경우보다 증가한다(도 14c 참조).When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rotates upward, the downward tension applied to the auxiliary plunger 112 through the auxiliary driven lever 115 is released. As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auxiliary plunger 112 is released, the auxiliary plunger 112 is raised inside the auxiliary cylinder 1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uxiliary spring 113, and the pressure plate 116 is blade-supported part 80. Press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central horizontal frame (83a). Accordingly, the upward pressure applied to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increases when the main blade pressing portion 100 is operated alone (see FIG. 14C).

다음에 보조파지부(114d)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보조종동레버(115)를 통해 보조플런저(112)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된다. 보조플런저(112)에 하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됨에 따라 보조플런저(112)는 보조실린더(111)의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가압판(116)은 날지지부(80)의 지지중앙가로프레임(83a)의 저면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도14a 및 14b 참조). 이에 따라 날지지부(80)에 인가되는 상방향의 압력은 메인날가압부(100)를 단독으로 동작시킨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플런저(112)가 하강하는 동안 보조스프링(113)은 수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각 보조종동레버(115)는 보조파지부(114d)를 보조실린더(111)를 향해 회동시킬 때 보조접근레버(114c)와의 연결점(B')이 보조결합패드(114a)와 보조실린더(101)와의 결합점(A')을 통과하도록 보조접근레버(104c)와 보조플런저(102)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유지수단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보조파지부(114d)의 하방향회동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Next, when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is rotated downward, a downward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auxiliary plunger 112 through the auxiliary driven lever 115. As the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auxiliary plunger 112, the auxiliary plunger 112 is lowered inside the auxiliary cylinder 111, and the pressure plate 116 is supported by the support center horizontal frame frame 83a of the blade support 8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see FIGS. 14A and 14B). Accordingly, the upward pressure applied to the blade support unit 80 is the same as when the main blade press unit 100 is operated alone. And while the auxiliary plunger 112 is lowered, the auxiliary spring 113 is contracted and the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Here, each auxiliary driven lever 115 has a connection point (B ') of the auxiliary access lever 114c and the auxiliary coupling pad 114a and the auxiliary cylinder 101 when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rotates toward the auxiliary cylinder 111. Since the auxiliary access lever 104c and the auxiliary plunger 102 are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point A ', the down-turning state of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without a separate holding means. It can be maintained.

회전부(120)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베이스(60)의 좌측 지지판(65) 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좌측 구름바퀴(121)와, 우측 지지판(66)의 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우측 구름바퀴(122)와, 중앙 지지판(67)의 저면에 결합된 두 쌍의 중앙 구름바퀴(123)와, 상부가로프레임(61)의 양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회전조작부(124)와, 상부베이스(60)의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의 중앙영역에 설치된 지지축부(130)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rotating part 120 includes a pair of left wheels 121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eft support plate 65 of the upper base 60, and a bottom of the right support plate 66. A pair of right wheels 122 coupled to the two, two pairs of central wheels 123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entral support plate 67,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respectively. It has a pair of rotation operation part 124 provided so that a movement was possible, and the support shaft part 130 provided in the center area | region of the center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of the upper base 60 is carried out.

좌측 구름바퀴(121), 우측 구름바퀴(122) 및 중앙 구름바퀴(123)는 원만한 곡선궤적을 이루면서 굴러갈 수 있도록 좌측 지지판(65), 우측 지지판(66) 및 중앙 지지판(67)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The left wheel 121, the right wheel 122, and the center wheel 123 are coupled to the left support plate 65, the right support plate 66, and the central support plate 67 so as to roll while forming a smooth curve trajectory. It is.

각 회전조작부(124)는 디귿자형상의 슬라이딩부(124a)와, 슬라이딩부(124a)의 상면 전단영역에 상부가로프레임(6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결합된 회전파지부(124b)를 갖고 있다.Each rotary manipulator 124 has a depression-shaped sliding part 124a and a rotary gripping part 124b horizontally coupl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in the front end region of the sliding part 124a. .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전조작부(124)는 슬라이딩부(124a)가 상부가로프레임(61)의 홈에 삽입되도록 상부가로프레임(61)에 설치되어 있다.The rotary manipulator 124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so that the sliding portion 124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지지축부(130)는 상단에 나사부(131a)가 형성되고 중앙영역에 반경방향을 따라 지지플랜지(131b)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축(131)과, 지지플랜지(131b)의 상측에서 지지축(131)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132)을 갖고 있다.The support shaft 130 includes a support shaft 131 having a threaded portion 131a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upport flange 131b formed along a radial direction in a central region thereof, and a support shaft 131 disposed above the support flange 131b. It has a compression spring 132 attached to.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축(131)은 지지플랜지(131b)의 상부영역이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의 축상부지지공(68a) 및 중앙 지지판(67)의 축중간지지공(67a)에 삽입되고 지지플랜지(131b)의 하부영역이 중앙구름판(47)의 축하부지지공(47a)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부(131a)에 너트(133)를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에 결합된다.The support shaft 13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the axial support hole 68a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and the interaxial support hole 67a of the central support plate 67 with the upper region of the support flange 131b. The lower region of the support flange 131b is inserted into the axial support hole 47a of the central cloud plate 47, and is coupled to the central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by engaging and tightening the nut 133 to the screw portion 131a. do.

지지축(131)은 중앙보강세로프레임(68)에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스프링(13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플랜지(131b)의 상면이 중앙 지지판(67)의 저면에 가압 접촉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shaft 131 is coupled to the central reinforcement vertical frame 68,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lange 131b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support plate 67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32.

이동날부(14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날(141)에 더하여 지지가로프레임(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된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 및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과,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의 저면 우측단 및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의 저면 좌측단에 각각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구동접촉세로프레임(143)과,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의 저면에 분산 결합된 3개의 좌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a)과,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의 저면에 분산 결합된 3개의 우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b)과, 각 좌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a) 및 각 우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b)에 한 쌍씩 결합된 메인날이동활차(146)와, 장볼트(149)를 통해 내측에 있는 두개의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a, 145b)에 좌측 보조안내레일(85a)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좌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a)과, 장볼트(149)를 통해 내측에 있는 두개의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a, 145b)에 우측 보조안내레일(85b)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우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b)과, 좌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a) 및 우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b)에 각각 한 쌍식 결합된 보조날이동활차(148)를 갖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5, the moving blade unit 140 includes a left moving edge frame 142a and a right moving blad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in addition to the moving blade 141. A pair of drive contact length frames 143 and one left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42b, the bottom right end of the left moving edge frame 142a, and the bottom left end of the right moving edge frame 142b, respectively, Three left main pulley vertical frames 145a distribut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ving edge frame 142a, and three right main pulley vertical frames 145b distribut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ight moving edge frame 142b; Main blade moving pulley 146 coupled to each left main pulley vertical frame 145a and each right main pulley vertical frame 145b, and two main pulley vertical frames inward through the long bolt 149 Left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uxiliary guide rail (85a) to (145a, 145b) The right side auxiliary pulley side coupled to the side auxiliary pulley horizontal frame 147a and the two main pulley vertical frames 145a and 145b inwardly through the long bolt 149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side guide rail 85b. The auxiliary blade moving pulley 148, which is coupled to the frame 147b, the left side pulley frame 147a and the right side pulley frame 147b, is provided in a pair.

이동날(141)은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 및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The moving blade 14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moving edge frame 142a and the right moving edge frame 142b.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과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에는 각각 접촉보강프레임(144)이 한 쌍씩 구동접촉세로프레임(143)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과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다. The left moving edge frame 142a and the right moving edge frame 142b respectively have a pair of reinforcing frame 144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riving contact vertical frame 143, respectively. It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edge frame 142b.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의 후방영역과 좌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a)사이 및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의 후방영역과 우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b)사이에는 봉상의 경사부재(181)가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동날(141)은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게 된다.A bar-shaped inclined member 181 between the rear region of the left moving edge frame 142a and the left main pulley vertical frame 145a and between the rear region of the right moving edge frame 142b and the right main pulley vertical frame 145b. ) Is intervened. Accordingly, the moving blade 141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메인날이동활차(146)는 좌측 메인안내레일(84a) 및 우측 메인안내레일(84b)에 상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좌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a) 및 우측 메인활차세로프레임(145b)에 결합되어 있다.The main blade moving pulley 146 is coupled to the left main pulley vertical frame 145a and the right main pulley vertical frame 145b to contact the left main guide rail 84a and the right main guide rail 84b from above. .

좌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a) 및 우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b)은 각각 좌측 보조안내레일(85a) 및 우측 보조안내레일(85b)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좌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a) 및 우측 이동날가로프레임(142b)에 결합되어 있다.The left auxiliary pulley horizontal frame 147a and the right side auxiliary pulley horizontal frame 147b are positioned to move below the left auxiliary guide rail 85a and the right auxiliary guide rail 85b, respectively. It is coupled to the narrow frame 142b.

보조날이동활차(148)는 좌측 보조안내레일(85a) 및 우측 보조안내레일(85b)에 하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좌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a) 및 우측 보조활차가로프레임(147b)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The auxiliary blade moving pulley 148 is coupled to the left auxiliary pulley horizontal frame 147a and the right auxiliary pulley horizontal frame 147b so as to contact the left auxiliary guide rail 85a and the right auxiliary guide rail 85b from the downward direction, respectively. have.

고정날부(150)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날(151)에 더하여 이동날부(140)의 후방에서 날지지부(80)의 지지세로프레임(82a, 82b)의 상면에 결합된 기역자형상단면의 고정날브라켓(152)과, 고정날브라켓(152)에 높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기둥부(153)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ixed blade part 15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upport vertical frames 82a and 82b of the blade support part 80 in the rear of the movable blade 140 in addition to the fixed blade 151. It has a fixed blade bracket 152 of the coupled cross-section cross-s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53 coupled to the fixed blade bracket 152 along the height direction.

고정날(151)은 이동날(141)의 왕복이동영역에 대응하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지지기둥부(153)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The fixed blade 151 is formed to have a length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area of the moving blade 141,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53.

각 지지기둥부(153)의 상면은 이동날부(140)를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날(151)은 이동날(141)과 같은 방향으로 즉,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게 된다.The upper surface of each support pillar 153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moving blade 140. Accordingly, the fixed blade 151 is inclined downwar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blade 141, that is, forward.

구동부(160)는, 도8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1)과, 하우징(161)의 상부로 구동축이 노출되도록 하우징(161)의 내부에 설치된 감속기(도시되지 않음) 및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구동축에 결합된 날접촉부(170)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6, the driving unit 160 includes a housing 161, a speed reducer (not shown), and a motor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61 so that the driving shaft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61. (Not shown) and the blade contact portion 170 coupled to the drive shaft.

하우징(161)은 전방에 위치하는 지지가로프레임(81), 지지중앙가로프레임(83), 좌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c) 및 우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d)에 고정판(162)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The housing 161 is coupled to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the support central horizontal frame 83, the left support central vertical frame 82c, and the right support central vertical frame 82d, which are positioned at the front, through the fixing plate 162. have.

날접촉부(170)는 편심축(172)이 상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전동체(171)와, 전동체(171)의 편심축(172)에 결합된 원통형상의 가압체(173)와, 편심축(172)의 상단에 결합된 고정링(174)을 갖고 있다.The blade contact portion 170 has a cylindrical rolling member 171 having an eccentric shaft 172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cylindrical pressing member 173 coupled to an eccentric shaft 172 of the rolling member 171, and an eccentric shaft ( 172 has a retaining ring 174 coupled to the top.

가압체(173)는 전동체(17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전동체(171)에 요철 결합되어 있다.The pressing body 173 is unevenly coupled to the rolling element 171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lling element 171.

고정링(174)에 의해 가압체(17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ressing body 173 by the fixing ring 174.

날접촉부(170)는 전방에 위치하는 지지가로프레임(81), 지지중앙가로프레임(83), 좌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c) 및 우측 지지중앙세로프레임(82d)이 형성하는 공간과 한 쌍의 구동접촉세로프레임(143)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있다.The blade contact portion 170 is a pair of the space formed by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the support central horizontal frame 83, the left support central vertical frame 82c and the right support central vertical frame 82d It is arranged in the space between the drive contact vertical frame 143.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구동부(160)의 동작을 도17a, 도17b, 도18a 및 도1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7A, 17B, 18A, and 18B.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면, 전동체(171)는 감속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속도로 회전한다.When the driv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motor (not shown), the rolling element 171 rotates at the output speed of the speed reducer (not shown).

전동체(171)가 회전함에 따라 가압체(173)는 한 쌍의 구동접촉세로프레임(143)의 사이공간에서 편심원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체(173)는 한 쌍의 구동접촉세로프레임(143)을 교대로 가압하게 된다(도17a 및 도17b 참조). 이 때 한 쌍의 구동접촉세로프레임(143)에 가해지는 충격은 접촉보강프레임(144)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된다. As the rolling member 171 rotates, the pressing member 173 moves while drawing an eccentric circular locus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driving contact vertical frames 143. Accordingly, the press body 173 alternately presses the pair of drive contact vertical frames 143 (see Figs. 17A and 17B). At this time, the impact applied to the pair of driving contact vertical frames 143 is partially absorbed by the contact reinforcing frame 144.

한 쌍의 구동접촉세로프레임(143)이 교대로 가압되면 이동날(141)은 메인날이동활차(146)와 보조날이동활차(148)가 각각 좌측 메인안내레일(84a), 우측 메인안내레일(84b), 좌측 보조안내레일 (85a) 및 우측 보조안내레일(85b)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날(141)은 왕복 이동한다(도18a 및 도18b 참조).When the pair of drive contact vertical frames 143 are alternately pressurized, the moving blade 141 has a main blade moving pulley 146 and an auxiliary blade moving pulley 148 on the left main guide rail 84a and the right main guide rail, respectively. 84b, along the left auxiliary guide rail 85a and the right auxiliary guide rail 85b, whereby the moving blade 141 reciprocates (see FIGS. 18A and 18B).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보사이영역의 천장을 마감하는 방법을 도10, 도19a 내지 도19j 및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finishing the ceiling of a pair of interpolation areas using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9A to 19J, and FIG. 20 as follow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천장에는 모르타르 압송기 등을 사용하여 모르타르층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보(183)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바닥면에 설치된 이동레일(182)상에 바닥이동활차(35)가 위치하고, 상부베이스(60)는 고정조작부(50)의 고정조작에 의해 중간베이스(40)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mortar layer is formed on the ceiling by using a mortar presser or the like, and a floor moving pulley on a moving rail 182 installed on the floor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pair of beams 183 vertically. The 35 is positioned, and the upper base 60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base 40 by the fixing operation of the fixing operation unit 50.

먼저 고정날(151)이 좌측 보(183)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각 가압레버(77)를 조작하여 중간베이스(40)를 상승시키고, 메인파지부(104d)를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메인플런저(102)가 날지지부(8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각 메인날가압부(100)를 조작한다(도19a 및 도19b 참조).First, the fixed blade 151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left beam 183, and then each of the pressure levers 77 is operated to raise the intermediate base 40, and the main gripper 104d is rotated upwards to maintain the main plunger. Each main blade pressing portion 100 is operated so that 102 presses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80 upward (see Figs. 19A and 19B).

이러한 각 메인날가압부(100)의 가압조작에 이어 필요한 경우 보조파지부(114d)를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보조플런저(112)가 날지지부(8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각 보조날가압부(110)를 조작할 수 있다.Subsequent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each of the main blade pressing unit 100, if necessary,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114d is rotated upwards so that the auxiliary plunger 112 presses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80 upward. 110 can be manipulated.

다음에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여 구동부(160)를 구동시킨 후 하부베이스(30)를 우측으로 밀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를 이동레일(182)을 따라 천천히 이동시킨다(도19c 및 도19d 참조). 구동부(160)를 구동시키는 동작과 하부베이스(30)를 우측으로 미는 동작은 이동날(141)이 한 쌍의 보(183)사이의 중앙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Next, the driving unit 160 is driven by supplying a driving voltage to a motor (not shown), and then the lower base 30 is pushed to the right to slowly move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moving rail 182. Move (see Figs. 19C and 19D).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60 and the pushing of the lower base 30 to the right continue until the moving blade 141 reaches the center region between the pair of beams 183.

구동부(160)가 구동되면 이동날(141)은 지지가로프레임(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적을 그리게 된다. 이동날(141)이 왕복 이동하는 영역에 있는 모르타르층은 메인프플런저(102)와 보조플런저(112)의 가압동작에 의해 천장면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날(151)이 통과하는 영역에 있는 모르타르층의 외표면은 메인플런저(102)와 보조플런저(112)의 가압동작에 의해 매끈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unit 160 is driven, the moving blade 141 reciproc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horizontal frame 81, thereby drawing a trajectory as shown in FIG. 20. The mortar layer in the region where the moving blade 141 reciprocates is more firmly attached to the ceiling surface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main plunger 102 and the auxiliary plunger 112. The outer surface of the mortar layer in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fixed blade 151 passes is smoothed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main plunger 102 and the auxiliary plunger 112.

다음에 이동날(141)이 한 쌍의 보(183)사이의 중앙영역에 도달하면, 구동부(160)에 공급된 구동전압을 차단한다. 그리고 메인파지부(104d)와 보조파지부(114d)를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메인날가압부(100)와 보조날가압부(110)에 의한 날지지부(80)의 가압동작을 해제시키고, 각 가압레버(77)를 조작하여 중간베이스(40)를 하강시킨다(도19e 및 도19f 참조).Next, when the moving blade 141 reaches the center region between the pair of beams 183, the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160 is cut off. Then, the main holding part 104d and the auxiliary holding part 114d are rotated downward to release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lade supporting part 80 by the main blade pressing part 100 and the auxiliary blade pressing part 110. The pressure lever 77 is operated to lower the intermediate base 40 (see Figs. 19E and 19F).

다음에 고정조작부(50)를 고정해제조작하여 상부베이스(60)를 중간베이스(40)로부터 분리시킨다.Next, the fixing operation unit 50 is fixed to release the upper base 60 from the intermediate base 40.

다음에 각 회전조작부(124)의 회전파지부(124b)를 잡고 슬라이딩부(124a)를 상부가로프레임(61)의 외측으로 인출한 후, 동일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도10 참조). 회전조작부(124)가 180도 회전하는 동안 지지축(131)을 중심으로 상부베이스(60)도 함께 180도 회전한다. 상부베이스(60)의 회전은 좌측 구름바퀴(121), 우측 구름바퀴(122) 및 중앙 구름바퀴(123)의 좌측 구름판(46), 우측구름판(48) 및 중앙 구름판(47)상에서의 구름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Next, holding the rotary gripping portion 124b of each rotary operation portion 124, the sliding portion 124a is pulled out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61, and then rotated 180 degrees in the same direction (see FIG. 10). While the rotation manipulation unit 124 rotates 180 degrees, the upper base 60 also rotates 180 degrees around the support shaft 131. The rotation of the upper base 60 is rolling on the left wheel 121, the right wheel 122, and the left wheel 46, the right cloud 48, and the center cloud 47 of the center wheel 123. It is easily achieved by

다음에 고정조작부(50)를 고정조작하여 상부베이스(60)를 중간베이스(40)에 결합시킨다.Next, the fixed operation unit 50 is fixed and operated to couple the upper base 60 to the intermediate base 40.

다음에 하부베이스(30)를 밀어 고정날(151)이 우측의 보(183)에 인접할 때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를 이동레일(182)을 따라 이동시킨다.Next, the lower base 30 is pushed to move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moving rail 182 until the fixing blade 151 is adjacent to the beam 183 on the right side.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플런저(102)와 보조플런저(112)가 날지지부(8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각 메인날가압부(100)와 각 보조날가압부(110)를 조작한다(도19g 및 도19h 참조).Next, as described above, the main plunger 102 and the auxiliary plunger 112 operate the main blade pressurizing portion 100 and the subsidiary blade pressurizing portion 110 so as to press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upwards ( 19G and 19H).

다음에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여 구동부(160)를 구동시킨 후, 하부베이스(30)를 좌측으로 밀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를 이동레일(182)을 따라 천천히 이동시킨다(도19g 및 도19h 참조). 구동부(160)를 구동시키는 동작과 하부베이스(30)를 좌측으로 미는 동작은 이동날(141)이 한 쌍의 보(183)사이의 중앙영역(정확하게는 고정날에 의해 매끄럽게 된 모르타르층을 침범하지 않는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Next, after driving the driving unit 160 by supplying a driving voltage to a motor (not shown), the lower base 30 is pushed to the left to move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moving rail 182. Move slowly (see FIGS. 19G and 19H).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driving unit 160 and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lower base 30 to the left involve the moving blade 141 invading the central region (preferably, the mortar layer smoothed by the fixed blade) between the pair of beams 183. Until it reaches an area that does not).

구동부(160)가 구동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183)사이의 우측영역에 위치하는 모르타르층은 천장면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하게 되고, 외표면은 매끈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unit 160 is driven, the mortar layer positioned in the right region between the pair of beams 183 is more firmly attached to the ceiling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s smooth as described above.

다음에 구동부(160)에 공급된 구동전압을 차단한 다음 메인파지부(104d)와 보조파지부(114d)를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메인날가압부(100)와 보조날가압부(110)에 의한 날지지부(80)의 가압동작을 해제시키고, 각 가압레버(77)를 조작하여 중간베이스(40)를 하강시킨다(도19i 및 도19j 참조).Next, the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160 is cut off, and then the main holding unit 104d and the auxiliary holding unit 114d are rotated downwards to the main blade pressing unit 100 and the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110.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lade support portion 80 is canceled, and each of the pressing levers 77 is operated to lower the intermediate base 40 (see FIGS. 19I and 19J).

마지막으로 이동날(141)과 고정날(151)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지 않은 영역 즉, 한 쌍의 보(183)사이의 중앙영역, 좌측단영역 및 우측단영역의 모르타르층(도19i의 C)을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마감한다.Finally, the mortar layer of the center region, the left end region and the right end region between one of the moving blades 141 and the fixed blade 151 that do not pass through, namely, the pair of beams 183 (C in Fig. 19i). ) In the same way as befo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에 형성된 모르타르층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날(15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장층(모르타르층)의 표면을 자동으로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fixed blade 151 to be moved to continuously press the mortar layer formed on the ceiling,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moothly finish the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mortar layer) It becomes possible.

그리고 고정날(151)의 전방에서 모르타르층과 천장면사이를 가압할 수 있는 이동날(141)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미장층(모르타르층과)의 천장면에 대한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And by further configuring a moving blade 141 that can press between the mortar layer and the ceiling surface in front of the fixed blade 15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with the mortar layer). .

또한 승강부(70)를 추가로 구성하여 고정날(151)과 이동날(141)의 건물 바닥면에 대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장 높이에 적응하여 미장층(모르타르층)을 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elevating unit 7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xed floor 151 and the moving floor 141 of the building floor, by adapting to the ceiling height can finish the plastering layer (mortar floor). Will be.

또한 회전부(120)를 추가로 구성하여 고정날(151)과 이동날(141)의 건물 천장면에 대한 상대위치를 180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날(151)과 이동날(141)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urther configuring the rotating unit 120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xed blade 151 and the moving blade 141 with respect to the building ceiling surface 180 degrees, the progress of the fixed blade 151 and the moving blade 141 The direction can be easily changed.

또한 보조날가압부(110)를 추가로 구성하여 고정날(151)과 이동날(141)의 천장면에 대한 가압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장층의 성질(점성 등)에 적응하여 미장층(모르타르층)을 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110 to select the pressing force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fixed blade 151 and the moving blade 141, by adapting to the properties (viscosity, etc.) of the plastering layer ( Mortar layer).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날(151)과 이동날(141)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2개로 분할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xed blade 151 and the moving blade 141 ar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two.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메인종동레버(105)를 메인플런저(102) 및 메인접근레버(104c)와 메인이반레버(104b)의 접촉영역에 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나, 메인플런저의 상단과 메인이반레버의 하단영역, 메인플런지의 상단과 메인접근레버의 상단영역 등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각 보조종동레버(11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ain driven lever 105 is coupled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ain plunger 102 and the main approach lever 104c and the main Ivan lever 104b, but the upper end of the main plunger and the main Ivan lever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ying the coupling position, such as the lower region,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flange and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access lever. The same can be applied to each auxiliary driven lever 11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형성된 미장층(모르타르층)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장층(모르타르층)의 표면을 자동으로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finish the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mortar layer) by allowing the fixed blade to be moved to continuously press the plastering layer (mortar layer) formed on the ceiling.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하부베이스 및 승강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base and the lift area of FIG. 1; FIG.

도3은 도1의 승강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unit of FIG.

도4a, 4b, 4c 및 4d는 도1의 승강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4A, 4B, 4C, and 4D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unit of FIG. 1;

도5a, 5b 및 5c는 도1의 승강부의 승강구동레버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5A, 5B, and 5C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ft drive lever of the lift unit of FIG. 1;

도6은 도1의 중간베이스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base region of FIG. 1;

도7은 도1의 중간베이스와 하부베이스사이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method between the intermediate base and the lower base of FIG.

도8과 도9는 각각 도1의 상부베이스, 구동부, 회전부, 날지지부, 고정날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8 and 9 are each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ase, a driving part, a rotating part, a blade support part, and a fixed blade part area of FIG. 1, respectively;

도10은 도1의 회전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ng part of FIG.

도11은 도1의 날가압부 영역을 도시한 요부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rp pressing part region of FIG. 1; FIG.

도12a 및 도12b는 각각 도11의 메인날가압부와 보조날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12A and 1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ain blade pressing unit and the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of FIG. 11, respectively;

도13은 도11의 메인날가압부와 보조날가압부의 부분절개도,13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main blade press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blade pressing portion of FIG.

도14a, 14b 및 14c는 도11의 메인날가압부와 보조날가압부의 동작상태도,14A, 14B and 14C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of the main blade pressurizing unit and the auxiliary blade pressurizing unit of FIG.

도15는 도1의 이동날부 영역의 분해사시도,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blade region of FIG. 1;

도16은 도9의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of FIG. 9;

도17a 및 도17b는 도9의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평면도,17A and 17B are plan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riving unit of Fig. 9;

도18a 및 18b는 도9의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18A and 18B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rive unit of FIG. 9;

도19a 내지 19j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장치를 사용하여 천장을 마감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19A to 19J illustrate a method of finishing a ceiling using a ceiling fin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은 이동날의 궤적도이다.20 is a trajectory diagram of a moving blad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0 : 지지체 20 : 베이스10: support 20: base

30 : 하부베이스 31 : 하부지주프레임30: lower base 31: lower support frame

32 : 하부가로프레임 33 : 하부세로프레임32: lower horizontal frame 33: lower vertical frame

40 : 중간베이스 41, 42 : 중간지주프레임40: middle base 41, 42: middle holding frame

43, 44 : 중간세로프레임 50 : 고정조작부43, 44: middle vertical frame 50: fixed control unit

60 : 상부베이스 61 : 상부가로프레임60: upper base 61: upper horizontal frame

62, 63 : 상부세로프레임 70 : 승강부62, 63: upper vertical frame 70: lifting unit

71 : 승강레일 72 : 승강활차71: lifting rail 72: lifting pulley

73 : 승강지지프레임 74 : 승강안내부73: lifting support frame 74: lifting guide

75 : 승강조작레버부 80 : 날지지부75: lifting operation lever portion 80: blade support portion

81 : 지지가로프레임 82a, 82b : 지지세로프레임81: support horizontal frame 82a, 82b: support vertical frame

84 : 메인안내레일 85 : 보조안내레일84: main guide rail 85: auxiliary guide rail

90 : 날가압부 100 : 메인날가압부90: blade pressing unit 100: main blade pressing unit

101 : 메인실린더 102 : 메인플런저101: main cylinder 102: main plunger

103 : 메인스프링 104 : 메인원동레버103: main spring 104: main driving lever

105 : 메인종동레버 110 : 보조날가압부105: main driven lever 110: auxiliary blade pressing unit

111 : 보조실린더 112 : 보조플런저111: auxiliary cylinder 112: auxiliary plunger

113 : 보조스프링 114 : 보조원동레버113: auxiliary spring 114: auxiliary driving lever

116 : 가압판 120 : 회전부116: pressure plate 120: rotating part

121, 122, 123 : 구름바퀴 124 : 회전조작부121, 122, 123: wheel 124: rotation control unit

130 : 지지축부 131 : 지지축130: support shaft portion 131: support shaft

140 : 이동날부 141 : 이동날140: moving blade 141: moving blade

142a, 142b : 이동날가로프레임142a, 142b: Moving edge frame

143 : 구동접촉세로프레임 146 : 메인날이동활차143: drive contact length frame 146: main blade pulley

148 : 보조날이동활차 150 : 고정날부148: auxiliary blade moving pulley 150: fixed blade portion

151 : 고정날 153 : 지지기둥부151: fixed blade 153: support pillar

160 : 구동부 170 : 날접촉부160: drive unit 170: blade contact unit

171 : 전동체 172 : 가압체171: rolling element 172: pressing body

Claims (7)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천장에 형성된 미장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기 위한 천장마감장치에 있어서,In the ceiling finishing device for smoothly finishing the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med on the ceiling, 건물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날지지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날지지부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날지지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날가압부와, 상기 날지지부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갖는 지지체와;A base supported on a floor of a building, a blade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a blade press portion elastically urging the blade suppo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etween the base and the blade support; A support having an elevating portion for elevating the blade suppor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고정날을 가지고, 상기 고정날의 날면이 상기 천장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날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Ceiling fixing device comprising a fixed blade having a fixed blade, which is fixed to the blad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blade surface of the fixed blad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날지지부는 상기 고정날의 전방에 형성된 안내레일을 가지고;The blade support portion has a guide rail formed in front of the fixed blade; 이동날을 가지고 상기 이동날의 날면이 상기 고정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천장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기 이동날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날지지부에 설치되는 이동날부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날을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A moving blade part installed on the blade support part to have a moving blad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xed blade and allowing the moving blade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Ceiling install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driv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the moving blades along the guide rai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날가압부는 상기 고정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되어 배치되고, 각각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되는 메인스프링과 하단영역이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스프링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날지지부의 저면에 기립 설치된 메인플런저와 한 쌍의 메인결합패드와 상기 각 메인결합패드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결합패드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메인이반레버와, 상기 각 메인이반레버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이반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메인접근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메인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메인결합패드를 통해 상기 메인실린더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실린더의 상단영역에 결합된 메인원동레버부와 상기 메인파지부를 상기 메인플런지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메인플런지가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기 메인파지부를 상기 메인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메인플런지가 상기 메인실린더의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상기 메인이반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메인플런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종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The blade pressing parts are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lade, and the main spring and the lower end area mounted inside the main cylinder and the main cylinder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respectively, the inside of the main cylinder; A pair of main plungers er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ade supporter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main spring, and a pair of main coupling pads and a pair of main coupling pads that are bent relative to the plate direction of the main coupling pad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main coupling pad Main hold lever and a pair of main access lever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Ivan lever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f the main Ivan lever and the main gripp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ing the free ends of the main access lever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ain cylinder through the main coupling pad When the main drive lever and the main gripper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cylinder to rotate toward the main flange toward the main plunge, the main flange rises inside the main cylinder and the main A pair of main driven levers connecting one of the main Ivan lever and the main approach lever and the main plunge such that the main flange descends from the inside of the main cylinder when the grip part rotates toward the main cylinder. Ceiling finishing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날가압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날가압부의 사이영역에 설치되고, 각각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기립 설치된 보조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되는 보조스프링과 하단영역이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스프링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보조플런저와 한 쌍의 보조결합패드와 상기 각 보조결합패드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결합패드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각 보조이반레버로부터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이반레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보조접근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의 자유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조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보조결합패드를 통해 상기 보조실린더의 반경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실린더의 상단영역에 결합된 보조원동레버부와 상기 보조파지부를 상기 보조플런지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보조플런지가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서 상승하고 상기 보조파지부를 상기 보조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보조플런지가 상기 보조실린더의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상기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플런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종동레버와 상기 보조플런지의 상단에 결합된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The blade pressing part is installed in an area between the pair of main blade pressing parts, and an auxiliary spring and a lower end area mounted in the auxiliary cylinder and the auxiliary cylinder, which are respectively erec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auxiliary cylinder. The auxiliary plunger and the pair of auxiliary coupling pads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ends of the auxiliary springs and a pair of auxiliary lever levers formed by bending the plate coupl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pad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f the auxiliary coupling pads. Through the auxiliary coupling pad having a pair of auxiliary access lever and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auxiliary access lever formed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Ivan lever in a direction approaching from the Ivan lever.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cylinder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auxiliary driving lever part and the auxiliary gripp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auxiliary cylinder are rotated toward the auxiliary plunge, the auxiliary plunge rises inside the auxiliary cylinder and the auxiliary gripping part is directed toward the auxiliary cylinder. On the top of the pair of auxiliary driven lever and the auxiliary flange connecting the auxiliary flange and any one of the auxiliary lever and the auxiliary access lever so that the auxiliary flange descends inside the auxiliary cylinder when rotating. Ceiling finishing device comprising a combined pressure plat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각 메인종동레버는 상기 메인파지부를 상기 메인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메인이반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점이 상기 메인결합패드와 상기 메인실린더와의 결합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메인이반레버와 상기 메인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메인플런지를 연결하고, 상기 각 보조종동레버는 상기 보조파지부를 상기 보조실린더를 향해 회동시킬 때 상기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점이 상기 보조결합패드와 상기 보조실린더와의 결합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보조이반레버와 상기 보조접근레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보조플런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When the main driven lever rotates the main gripping part toward the main cylinder, a connection point between any one of the main Ivan lever and the main access lever passes through a coupling point between the main coupling pad and the main cylinder. The main Ivan lever and any one of the main approach lever and the main plunger, and each of the auxiliary driven lever of the auxiliary lever lever and the auxiliary access lever when rotating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toward the auxiliary cylinder A ceiling finishing device connecting any one of the auxiliary Ivan lever and the auxiliary access lever and the auxiliary plunger such that a connection point with any one passes through a coupling point between the auxiliary coupling pad and the auxiliary cylind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베이스는 상기 건물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에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중간베이스를 포함하고;The base includes a lower base support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an intermediate base coupled to the lower bas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지지체는 상기 중간베이스를 상기 하부베이스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The support further includes a lifting unit for elevating the intermediate base with respect to the lower bas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베이스는 상기 중간베이스의 높이방향에 가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베이스의 상면에 탑재되는 상부베이스를 포함하고;The base includes an upper bas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ase to rotate horizontally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base;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상부베이스를 상기 건물의 바닥면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장치.The suppor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upper base about an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KR1020040021196A 2004-03-29 2004-03-29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KR100605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96A KR100605297B1 (en) 2004-03-29 2004-03-29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96A KR100605297B1 (en) 2004-03-29 2004-03-29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71A true KR20050095971A (en) 2005-10-05
KR100605297B1 KR100605297B1 (en) 2006-07-26

Family

ID=3727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96A KR100605297B1 (en) 2004-03-29 2004-03-29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2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1082A (en) * 2016-05-20 2016-07-20 陈少坤 Ceiling putty powder co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1082A (en) * 2016-05-20 2016-07-20 陈少坤 Ceiling putty powder coater
CN105781082B (en) * 2016-05-20 2017-12-08 陈少坤 A kind of ceiling powder of lacquer putty for use on doctor knife co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297B1 (en)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8327A (en) Plastering machine
CN102359282A (en) Wall building and painting device
CN105401734A (en) Automatic wall board installing vehicle
CN108019033A (en) A kind of automatic construction equipment of construction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3463943B (en) High-rise cast-in-place concrete building demolition construction method
KR100605297B1 (en) Ceiling Surface Finishing Device
CN110528837A (en) A kind of building wall spray equipment
CN111794477A (en) Auxiliary device for mounting large decorative plate for home decoration
CN207267290U (en) Compressor wire tensioning equipment
JP5033393B2 (en) Wall body raising device and wall body rais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1042545B (en) Assembled wall body processing equipment
KR20090032308A (en) A device for cutting of constructure
JPH10110526A (en) Elevating scaffold
KR20220126404A (en) Assist Apparatus for Wall Panel Attachment
CN202248945U (en) Wall constructing and whitewashing device
CN111236592A (en) Bracket telescopic mortar centrifugal spraying device
CN219561007U (en) Steel beam stretch bender
KR100402150B1 (en) Plane cutting machine of Oil Pressure going up and down system
CN111287433A (en) Connecting support and ground leveling robot
CN215167801U (en) Scaffold for industrial and civil buildings
CN219923538U (en) New energy automobile motor stator rubber coating device
CN112079022A (en) Lifting workbench for warehousing
CN214575445U (en) Mounting equipment for white hole stone wall panel
CN215331247U (en) Guniting and leveling device
KR102450348B1 (en) Temporary pole apparatus and scaffold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