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943A - 광학 지문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지문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943A
KR20050095943A KR1020040021162A KR20040021162A KR20050095943A KR 20050095943 A KR20050095943 A KR 20050095943A KR 1020040021162 A KR1020040021162 A KR 1020040021162A KR 20040021162 A KR20040021162 A KR 20040021162A KR 20050095943 A KR20050095943 A KR 20050095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prism
image
lens
identification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524B1 (ko
Inventor
김현
서영진
안종우
이승민
홍사향
이태헌
곽병기
Original Assignee
씨큐트로닉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큐트로닉스 (주) filed Critical 씨큐트로닉스 (주)
Priority to KR102004002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524B1/ko
Priority to EP04774587A priority patent/EP1738299A4/en
Priority to JP2007501701A priority patent/JP4315459B2/ja
Priority to US10/593,373 priority patent/US20070196003A1/en
Priority to CNB2004800425311A priority patent/CN100449566C/zh
Priority to PCT/KR2004/002328 priority patent/WO2005093639A1/en
Publication of KR2005009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40Spoof detection, e.g. liveness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리즘의 일측면에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로 입사될 수 있는 식별표시를 함으로써,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에 남아 있는 물이나 땀 또는 기름 등에 의한 지문 잔상에 의한 지문의 오류인식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프리즘의 일측면에 광고나 홍보용의 로고를 이용하여 식별표시를 할 경우, 시각적인 광고나 홍보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광학 지문입력 장치 {An optical type fingerprint input device}
본 발명은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문인식 후에 지문접촉면에 남겨진 지문 잔상에 따른 자연적인 오류인식과 지문 잔상을 인위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오류인식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 지문입력 장치는 손에 땀이나 기름이 묻은 상태에서 지문을 찍게 되면 지문접촉면에 잔상이 남게 되고, 이 잔상은 다음 지문을 찍을 때에 노이즈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 잔상은 외부광원 또는 내부광원에 의해 손가락을 접촉하지 않아도 접촉한 것으로 인식이 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은, 2001년 2월 2일자로 특허출원 제 2001-0005036 호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출원하여 2004년 3월 5일자로 특허 제453255호로 등록받은 바 있습니다.
상기 본 출원인의 특허는, 도 1과 같이, 광원(1)과 프리즘(2)과 렌즈(3) 및 이미지센서(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리즘(2)의 지문부위가 접촉되는 면(2a)으로부터 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모서리(2-1)로 이어지는 수선(PL)과 프리즘(2)으로부터 렌즈(3) 및 이미지센서(4)까지의 빛의 입사 경로(이하, "광축"라 한다)(OA) 간에 설정각도(α)만큼 기울기를 주었다.
이 경우, 지문접촉면에 땀(물)이나 기름 등이 묻어있는 경우도 실제 지문이미지만을 받아들이므로 잔상과 실제지문의 겹쳐짐에 따른 오류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작용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빛이 입사되는 매질의 굴절률이 투과되는 매질의 굴절률보다 클 경우, 도 2에서 광경로 ① 을 따라 굴절되어 나아간다. 그러나, 입사각 θi가 임의의 각 이후는 매질 밖으로 굴절되어 투과되는 빛이 없어진다.
이 현상을 내부전반사가 되었다고 하고, 이때의 각도를 임계각이라고 하며 경계면을 이루는 두 매질의 굴절률에 의해 결정된다.
임계각은 굴절각인 θt = 90°일 때의 입사각 θi를 말하며, 하기의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한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1에서 ni는 입사되는 매질의 굴절률, nt는 투과되는 매질의 굴절률, θi는 입사각, 그리고 θt는 투과각(또는 굴절각이라고도 함)이다. 즉, 굴절률이 다른 매질 내에서 빛의 진행은 스넬의 법칙에 의해 그 최대각도가 결정된다.
도 3의 (a)와 같이 지문접촉 매질(5)에 땀이나 기름(M)이 묻은 손가락(F)을 접촉시 지문의 골(V)부분에서는 빛이 반사가 없고, 융선(R)에서는 반사가 되어 광경로 ③을 따라 지문정보가 진행한다. 하지만, 손가락(F)의 땀 또는 기름(M)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한 스넬의 법칙에 의해 광경로 ②로 진행하며, 이때 광경로 ②보다 큰 각도로는 진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광경로 ③을 따르는 지문정보만을 받아들인다면 땀 또는 기름에 의한 잔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2)에 기울기가 없다면, 지문의 융선(R)에서 나오는 지문정보(③)와 땀 또는 기름에서 나오는 잔상(②)이 겹쳐져서 렌즈(3) 및 이미지센서(4)로 입사하게 된다.
하지만, 도 3의 (c)와 같이, 프리즘(2)의 지문부위가 접촉되는 면(2a)으로부터 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모서리(2-1)로 이어지는 수선(PL)과 프리즘(2)으로부터 렌즈(3) 및 이미지센서(4)까지의 광축(OA) 간에 설정각도(α)만큼 기울기를 주면, 융선(R)에 의한 지문정보(③)는 렌즈(3)로 입사하나 땀 또는 기름에 의한 잔상(②)은 렌즈(3)로 들어가지 못한다.
따라서, 지문접촉면에 땀이나 기름 등의 잔상이 남아있어도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실제 지문정보만이 렌즈(3)를 통해 이미지센서(4)로 입사하게 되므로 잔상지문과 실제지문이 겹쳐짐에 따라 생기는 오류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본 출원인의 특허는, 지문입력 장치의 내부 광원만이 이용되는 경우, 즉,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을 통해 외부의 빛이 입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유효하지만,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으로 외부 광원(예컨대, 손전등 등)의 빛이 입사될 경우에는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에 남아있는 손가락의 지문 잔상(땀이나 물, 기름기 등에 의해 생성되는)에 대한 이미지가 프리즘과 렌즈를 통해 이미지센서로 입사되어 지문인식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에 정상적인 인증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잔상이 선명하게 남아 있는 상태에서, 지문입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빛이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으로 적절한 각도로 입사될 경우나, 불법 침입을 시도하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으로 손전등과 같은 외부 광원을 적절한 각도로 비출 경우에, 지문접촉면에 남아있는 정상 인증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잔상이 이미지센서로 입사되면서 정상 사용자의 지문이 접촉된 것으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외부 광원과 지문접촉면에 남은 지문 잔상에 의한 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지문입력 장치는, 삼각형의 프리즘과 렌즈 및 이미지센서와, 상기 프리즘의 3면 중 지문부위가 접촉되는 면에 대해 지문의 바닥면을 비출 수 있는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광원과, 상기 프리즘의 지문부위가 접촉되지 않는 나머지 2면 중 상기 렌즈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의 식별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식별표시가, 상기 렌즈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프리즘의 면에 부착되고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의 필름 상에 기입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의 빛과 상기 필름의 식별표시의 색상이 상호간에 보색관계를 갖도록 설정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이미지센서로 입력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입력 이미지에 상기 필름의 식별표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 식별표시 이미지가 포함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입력 이미지를 잔상으로 식별하여 에러코드를 발생하는 연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동도면들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지문입력 장치는, 광원(11)과 프리즘(12)과 렌즈(13)와 이미지센서(14)와 필름(20)과 신호 처리부(30)와 제어연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1)은 프리즘(12)의 3면 중 지문부위가 접촉되는 면(이하, "지문접촉면"이라 한다)(12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모서리(12-1)를 향해 빛을 방사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광원(11)은, a) 항상 점등되어 있도록 설정되거나, b) 제어연산부(40)나 별도의 광원제어용 제어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점등되거나, c)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통상의 접촉 감지수단(접촉감지센서나 근접센서 등)에 의해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에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등, 통상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내장되는 광원과 같이 점등 제어된다.
상기 프리즘(12)은 빛의 입사와 반사, 투과 등 광학적으로 이용되는 3개의 면을 갖는(광학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측면은 제외) 삼각형의 프리즘으로서, 지문접촉면(12a)에 접촉하는 손가락(F)의 지문부위로부터 반사되어 입사하는 빛을 투과 및 굴절시켜 렌즈(13)로 전달한다.
여기서, 프리즘(12)은 지문접촉면(12a)으로부터 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모서리(12-1)로 이어지는 수선(PL)과 프리즘(12)으로부터 렌즈(13) 및 이미지센서(14)를 연결하는 광축(OA) 간에 기울임 각도(α)가, 지문접촉면(12a)에 접촉하는 손가락(F)의 지문에 뭍은 물이나 기름 등의 이물질에 대한 이미지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실험값에 의해 구해지는 특정한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의 광원(11)을 사용하는 경우에,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에 땀(물)이나 기름 등이 묻어있는 경우도 실제 지문이미지만을 받아들여 잔상과 실제지문의 겹쳐짐에 따른 오류인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렌즈(13)는 프리즘(12)으로부터 투과 및 굴절되어 나오는 빛을 결상하고, 상기 이미지센서(14)는 렌즈(13)에 의해 결상된 빛에 의해 이미지를 받아들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필름(20)은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서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을 제외한 나머지 2면 중 렌즈(13)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에 부착되고 로고(Logo)와 같은 특정의 식별표시가 되어 있다.
이때, 필름(20)의 식별표시 색상은 광원(11)의 색상과 보색관계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문입력 장치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아닌, 내부의 광원(11)에서 발생하는 빛이 필름(20)의 식별표시 부분에서 반사하여 지문 이미지와 겹쳐진 상태로 이미지센서(14)로 입사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적으로, 필름(20)의 식별표시 색상과 광원(11)의 색상과 보색관계를 갖을 경우, 광원(11)의 빛에 대한 필름(20)의 식별표시 부분의 광 흡수율은 높아지고 반사율은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한 필름(20)의 식별표시는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을 통해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필름(20)의 식별표시 부분에 광고용의 로고 등을 기입할 경우, 광고나 홍보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30)는 이미지센서(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미지프로세싱에 적합한 형태로 신호처리하여 제어 연산부(40)로 입력한다.
상기 제어 연산부(40)는 이미지센서(14)로부터 신호 처리부(30)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이미지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지문영상을 획득 및 인식하여 그 인식결과를 출력하되, 입력된 지문 영상을 분석하여 필름(20)의 식별표시 이미지가 포함되어있는 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 필름(20)의 식별표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인식된 지문을 잔상으로 식별하고 에러코드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에 실제 손가락(F)은 접촉하지 않고, 물이나 땀 또는 기름 등에 의한 지문 잔상(50)이 남아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1)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대부분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을 통해 외부로 투과되고 일부 지문 잔상(50)에 의해 반사되는 빛은 그 양이 미미하고, 프리즘(12)의 기울임 각도(α)로 인해 렌즈(13)에 결상되지 않는다.
하지만, 외부의 광원(예컨대, 지문입력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조명등, 손전등 등)으로부터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으로 빛이 적절한 각도로 입사될 경우 지문 잔상(50)의 이미지가 렌즈(13)를 통해 이미지센서(14)로 입사되게 된다.
이때,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으로 입사되는 빛의 일부가 필름(20)의 식별표시 부분에 반사되어 광축(OA)을 따라 진행하므로, 필름(20)의 식별표시 이미지가 지문 잔상(50)의 이미지와 겹쳐진 상태로 렌즈(13)를 통해 이미지센서(14)로 입사된다.
이에, 제어 연산부(40)는 이미지센서(14)로부터 신호 처리부(30)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이미지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지문영상을 획득 및 인식하되, 인식된 지문 영상에 식별표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지문에 대한 인증을거부하고 에러코드를 발생한다.
반면, 프리즘(12)의 지문접촉면(12a)에 실제 손가락(F)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이 손가락(F)에 의해 외부의 광원이 차단되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수하게 내부의 광원(11)로부터 방사되어 손가락(F)의 지문부위 중 융선(R) 부분에서 반사되는 빛만이 렌즈(13)를 통해 이미지센서(14)로 입사되므로, 제어연산부(40)를 통해 실제 손가락(F)의 지문 영상만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리즘의 일면에 식별표시를 하기 위해 필름을 부착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일 뿐, 프리즘의 일면에 프린팅이나 도포 또는 음각/양각 등의 방법으로 직접 식별표시를 기입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즘의 일측면에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로 입사될 수 있는 식별표시를 함으로써,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에 남아 있는 물이나 땀 또는 기름 등에 의한 지문 잔상에 의한 지문의 오류인식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의 일측면에 광고나 홍보용의 로고를 이용하여 식별표시를 할 경우, 시간적인 광고나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매질 경계면에서의 빛의 굴절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의 (a) 내지 (c)는 도 1에서 프리즘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손가락의 지문 부위에 뭍은 수분(땀, 물 등) 또는 기름의 영상이 구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광원 12: 프리즘
12a: 지문접촉면 13: 렌즈
14: 이미지센서 20: 필름
30: 신호 처리부 40: 제어 연산부

Claims (5)

  1. 삼각형의 프리즘과 렌즈 및 이미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3면 중 지문부위가 접촉되는 면에 대해 지문의 바닥면을 비출 수 있는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광원과,
    상기 프리즘의 지문부위가 접촉되지 않는 나머지 2면 중 상기 렌즈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의 식별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지문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는, 상기 렌즈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프리즘의 면에 부착되고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의 필름 상에 기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지문입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빛과 상기 필름의 식별표시의 색상은 상호간에 보색관계를 갖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지문입력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로 입력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입력 이미지에 상기 필름의 식별표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 식별표시 이미지가 포함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입력 이미지를 잔상으로 식별하여 에러코드를 발생하는 연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지문입력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지문부위가 접촉되는 면으로부터 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모서리로 이어지는 수선(PL)과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상기 렌즈 및 상기 이미지센서를 연결하는 광축(OA) 간에 각도가, 상기 지문부위가 접촉되는 면에 접촉하는 지문에 뭍은 물이나 기름 등의 이물질에 대한 이미지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실험값에 의해 구해지는 특정한 각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20040021162A 2004-03-29 2004-03-29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057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62A KR100575524B1 (ko) 2004-03-29 2004-03-29 광학 지문입력 장치
EP04774587A EP1738299A4 (en) 2004-03-29 2004-09-14 OPTICAL FINGERPRINT INPUT DEVICE
JP2007501701A JP4315459B2 (ja) 2004-03-29 2004-09-14 光学指紋入力装置
US10/593,373 US20070196003A1 (en) 2004-03-29 2004-09-14 Optical finger print input device
CNB2004800425311A CN100449566C (zh) 2004-03-29 2004-09-14 光学指纹输入装置
PCT/KR2004/002328 WO2005093639A1 (en) 2004-03-29 2004-09-14 Optical finger print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62A KR100575524B1 (ko) 2004-03-29 2004-03-29 광학 지문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43A true KR20050095943A (ko) 2005-10-05
KR100575524B1 KR100575524B1 (ko) 2006-05-03

Family

ID=3505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62A KR100575524B1 (ko) 2004-03-29 2004-03-29 광학 지문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96003A1 (ko)
EP (1) EP1738299A4 (ko)
JP (1) JP4315459B2 (ko)
KR (1) KR100575524B1 (ko)
CN (1) CN100449566C (ko)
WO (1) WO2005093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2729B2 (en) 2010-08-06 2016-05-17 Secugen Corporation Fake fingerprint detection system
US8666127B1 (en) * 2010-08-06 2014-03-04 Secuge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ke fingerprint detection
US9292916B2 (en) * 2011-08-09 2016-03-22 Hid Glob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ng genetic characteristics from biometric measurements
US20150022635A1 (en) * 2013-07-19 2015-01-22 Blackberry Limited Using multiple flashes when obtaining a biometric image
KR101479609B1 (ko) * 2014-02-26 2015-01-12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KR102403009B1 (ko) 2017-04-28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이용한 지문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2163A (en) * 1977-10-25 1982-03-30 Fingermatrix Inc. Finger identification
KR930005570B1 (ko) * 1989-11-13 1993-06-23 주식회사 금성사 홀로그램(hologram)을 이용한 지문인식장치
EP0640933A3 (de) * 1993-08-23 1995-09-13 Gim Ges Fuer Innovation Und Ma Verfahren und Anordnung zur Mustererkennung.
JP3012138B2 (ja) * 1994-02-04 2000-02-21 富士通株式会社 凹凸面読み取り装置
US5629764A (en) * 1995-07-07 1997-05-13 Advanced Precision Technology, Inc. Prism fingerprint sensor using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JPH10149448A (ja) * 1996-11-20 1998-06-02 Sony Corp 指紋照合装置の光学補正方法
FR2763720B1 (fr) * 1997-05-21 1999-07-16 Sagem Capteur optique d'empreinte digitale a eclairage impulsionnel
US6381347B1 (en) * 1998-11-12 2002-04-30 Secugen High contrast, low distortion optical acquistion system for image capturing
WO2000070544A1 (en) * 1999-05-14 2000-11-23 Biolink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Biometric system for biometric input, comparison,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and method therefor
AU5766700A (en) * 1999-06-23 2001-01-09 Neldon P Johnson Fingerprint sensing device and method
KR100316026B1 (ko) 1999-06-30 2001-12-20 박종섭 멀티 레벨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심볼 타이밍 에러의 판별 및 복원 장치
JP2001167258A (ja) * 1999-11-01 2001-06-22 Trw Inc 可変照明による擬似指紋の排除方法及び装置
KR200182615Y1 (ko) * 1999-12-08 2000-05-15 김승택 초소형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0333138B1 (ko) * 2000-04-29 2002-04-19 안준영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의 잔류지문 판별방법
KR100402700B1 (ko) * 2000-12-28 2003-10-22 씨큐트로닉스 (주)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0423522B1 (ko) 2001-02-02 2004-03-18 씨큐트로닉스 (주) 광학 지문입력 장치
CN2473636Y (zh) * 2001-04-24 2002-01-23 深圳市汉马科技开发有限公司 小型指纹输入仪的光学系统
US6954260B2 (en) * 2002-01-17 2005-10-11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 platen in a print scanner
CN2548559Y (zh) * 2002-04-05 2003-05-07 西安青松科技股份有限公司 活体指纹采集板
US7212279B1 (en) * 2002-05-20 2007-05-01 Magna Chip Semiconductor Ltd. Biometric identity verifiers and methods
KR20040025968A (ko) * 2002-09-17 2004-03-27 주식회사 휴노테크놀로지 잔상 입력 방지가 가능한 광학식 지문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524B1 (ko) 2006-05-03
JP4315459B2 (ja) 2009-08-19
CN1926557A (zh) 2007-03-07
WO2005093639A1 (en) 2005-10-06
EP1738299A1 (en) 2007-01-03
US20070196003A1 (en) 2007-08-23
CN100449566C (zh) 2009-01-07
EP1738299A4 (en) 2007-12-26
JP2007527070A (ja)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1540B (zh) 光學指紋感測器
US8300902B2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orged fingerprint and method thereof
KR0155034B1 (ko) 요철면 판독장치
JP4258393B2 (ja) 個人識別装置および指紋画像撮像装置、指紋画像取得方法
KR920010481B1 (ko) 요철 표면 데이타 검출장치
US91418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fake fingerprint
KR101179559B1 (ko) 모조지문을 판별할 수 있는 지문인식장치 및 그 판단방법
US5822445A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fingerprints
US9342729B2 (en) Fake fingerprint detection system
TWI630502B (zh) 取像裝置
US10356296B2 (en) Light guide for finger print reader
TWI646473B (zh) 生物辨識裝置
KR20050095943A (ko) 광학 지문입력 장치
TWM555505U (zh) 生物辨識裝置
KR100874688B1 (ko) 모조지문을 판별할 수 있는 모조지문판단장치 및 그판단방법
KR20210040897A (ko) 모바일 장치용 광학식 지문센서, 광학식 지문센서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지문센서의 지문 이미지 획득방법
WO2021012259A1 (zh) 屏下指纹识别模组、lcd光学指纹识别系统及电子设备
KR100575526B1 (ko)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20050095944A (ko)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0607577B1 (ko) 광학식 지문취득 장치의 모조지문 판별방법 및 장치
KR100967655B1 (ko) 광학 지문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인식방법
US11574498B2 (en) Biometric capture device
KR20200137777A (ko) 모바일 장치용 광학식 지문센서, 광학식 지문센서를 구비한 모바일 장치 및 그 지문센서의 지문 이미지 획득방법
KR100760061B1 (ko) 지문 패턴을 인식하도록 전반사를 이용하는 지문 인식조립체
RU860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папиллярного уз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