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942A - 수동식 와이어 윈치 - Google Patents

수동식 와이어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942A
KR20050095942A KR1020040021161A KR20040021161A KR20050095942A KR 20050095942 A KR20050095942 A KR 20050095942A KR 1020040021161 A KR1020040021161 A KR 1020040021161A KR 20040021161 A KR20040021161 A KR 20040021161A KR 20050095942 A KR20050095942 A KR 20050095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over
wire
hook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667B1 (ko
Inventor
천효민
Original Assignee
천효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효민 filed Critical 천효민
Priority to KR102004002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6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2Manually-operated, e.g. lever-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16Manually or spring operated wi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와이어 윈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별도의 동력없이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물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어가 감기는 각종 풀리와 상기 풀리에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치차를 마련하되, 비교적 간단하고 가벼운 구조로 개선하여 휴대성이 양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중앙에 개구부(17)를 가진 전방 플레이트(11)와 후방 플레이트(12),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사이에 조립된 내측전방커버(13)와, 내측후방커버(14), 그리고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외측에 조립된 외측전방커버(15)와 외측후방커버(16)로 이루어진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전, 후방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동가능 하도록 고정후크축부(21)로써 연결된 고정후크(20); 상기 바디부(10)의 전, 후방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입시켜 메인풀리(31)의 회전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 유성기어 어셈블리(30); 상기 유성기어 어셈블리(3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전방커버(15)의 바깥쪽에 축설하되, 래칫기구(70)를 포함하는 조작핸들(40); 상기 바디부(10)의 전, 후방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별도의 전, 후방 풀리 플레이트(51)(52)와, 그 하단의 풀리축부(53)로써 연결된 가이드풀리(50); 상기한 메인풀리(31)와, 가이드풀리(50)를 거쳐 연결되는 와이어(W)를 임의의 거리를 두고 순환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되, ㄷ자형 후크커버(61)와, 상기 후크커버 사이에서 종동축핀(62)에 축설된 종동풀리(63) 및 피동풀리(64), 그리고 상기 후크커버(61)의 하단에서 연결된 견인후크(60)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동식 와이어 윈치{HAND WIRE WINCH}
본 발명은 수동식 와이어 윈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버의 회동조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레버휠과, 그 동축상에 연결된 원동치차와, 상기 원동치차에 의해 회전하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로서 감속을 발생시키면서 와이어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간단하게 구성하여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면서 동력이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 수동으로 견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치는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의 물체를 견인하거나 옮기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와이어 권취용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력수단을 가진 윈치는 동력수단으로 인해 부피가 크고, 미리 준비해두지 않는 한 특정장소(예컨대 재난 발생의 장소 등)에 빠르게 이동시켜 사용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동력이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동력없이 무거운 물건을 높은 곳에 매 달거나 견인하기 위한 장비로 체인블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체인블록은 동력없이 사람의 힘으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체인의 회전/권취를 위한 부품들이 매우 크고 무겁기 때문에 역시 휴대성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별도의 동력없이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물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어가 감기는 각종 풀리와 상기 풀리에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치차를 마련하되, 비교적 간단하고 가벼운 구조로 개선하여 휴대성이 양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중앙에 개구부를 가진 전방 플레이트와 후방 플레이트,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사이에 조립된 내측전방커버와, 내측후방커버, 그리고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외측에 조립된 외측전방커버와 외측후방커버로 이루어진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 후방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동가능 하도록 고정후크축부로써 연결된 고정후크; 상기 바디부의 전,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개입시켜 메인풀리의 회전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 유성기어 어셈블리; 상기 유성기어 어셈블리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전방커버의 바깥쪽에 축설하되, 래칫기구를 포함하는 조작핸들; 상기 바디부의 전, 후방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별도의 전, 후방 풀리 플레이트와, 그 하단의 풀리축부로써 연결된 가이드풀리; 상기한 메인풀리와, 가이드풀리를 거쳐 연결되는 와이어를 임의의 거리를 두고 순환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되, ㄷ자형 후크커버와, 상기 후크커버 사이에서 종동축핀에 축설된 종동풀리 및 피동풀리, 그리고 상기 후크커버의 하단에서 연결된 견인후크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상기 유성기어 어셈블리는 상기한 전, 후방 플레이트의 개구부 안쪽에 축설한 치차하우징, 상기 치차하우징의 중앙에 관통하되 상기 조작핸들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면서 원동치차를 가진 원동축, 이 원동축의 둘레에서 상기 원동치차와 치합되도록 치차하우징에 기어핀으로 축설된 2개 이상의 유성치차, 상기 유성치차들의 둘레에서 그 치차들과 내접치로 치합되고 그 외주면에 와이어 권선용 요홈테가 형성된 메인풀리로 구성한다.
또, 상기 래칫기구는 상기한 조작핸들 상에 구비하되, 상기한 원동축의 노출단에 나사조립한 채 조작핸들 안에서 회전 가능한 래칫기어,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핸들 내부에 매설하되, 그 후방의 탄성핀을 포함하는 양방향 래칫폴, 상기 래칫폴의 탄성핀의 작용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등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 상기한 래칫기구는 상기한 조작핸들 상에 구비하되, 상기한 원동축의 노출단에 나사조립한 채 조작핸들 안에서 회전 가능한 래칫기어,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핸들 내부에 매설하되, 그 후방의 탄성핀을 포함하는 양방향 래칫폴, 상기 래칫폴의 탄성핀의 작용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윈치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크게 바디부(10)와, 고정후크(20)와, 유성기어 어셈블리(30), 래칫기구(70)를 가진 조작핸들(40), 가이드풀리(50), 견인후크(6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한 바디부(10)는 중앙에 개구부(17)를 가진 전방 플레이트(11)와 후방 플레이트(12), 그리고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사이에 조립된 내측전방커버(13)와, 내측후방커버(14), 그리고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외측에 조립된 외측전방커버(15)와 외측후방커버(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12)의 일측에는 와이어(W)의 일측 끝단을 결속할 수 있는 결속부(18)가 구비된다.
또, 고정후크(20)는 상기 바디부(10)의 전, 후방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이들 사이에 가로로 개입시킨 고정후크축부(21)를 마련한 후, 이 고정후크축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성기어 어셈블리(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전, 후방 플레이트(12)의 개구부(17) 안쪽에 축설한 치차하우징(32), 상기 치차하우징의 중앙에 관통하되 상기 조작핸들(40)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면서 원동치차(33a)를 가진 원동축(33), 이 원동축(33)의 둘레에서 상기 원동치차(33a)와 치합되도록 치차하우징(32)에 기어핀(34a)으로 축설된 2개 이상의 유성치차(34), 상기 유성치차(34)들의 둘레에서 그 치차들과 내접치(31a)로 치합되고 그 외주면에 와이어 권선용 요홈테(31b)가 형성된 메인풀리(31)로 이루어진다.
이때의 상기 메인풀리(31)는 회전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치차하우징(32)과의 사이에 베어링(31c)을 개입하고, 외주면의 요홈테(31b) 둘레에는 그 요홈테(31b)에 권선된 와이어가 요홈테(31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원주둘레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다수의 구름롤러(35a)를 가진 체인형 와이어 가이드(35)를 구비한다.
그리고 또, 상기한 래칫기구(70)는 상기한 조작핸들(40) 상에 구비하되, 상기한 원동축(33)의 노출단에 나사조립한 채 조작핸들(40) 안에서 회전 가능한 래칫기어(71), 상기 래칫기어(7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핸들 내부에 매설하되, 그 후방의 탄성핀(72a)을 포함하는 양방향 래칫폴(72), 상기 래칫폴의 탄성핀(72a)의 작용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7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래칫기어(71)는 원동축(33)의 노출단에 나사조립하되, 나사부(71a)는 사각나사로 하여 힘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하고, 나사의 방향은 왼나사로 하여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윈치에서 와이어(W)의 진행은 바디부(10)의 결속부(18)에 일측 끝단을 매듭지어 고정한 후, 견인후크(60)에 있는 종동풀리(63)에 걸어서 방향전환한 후, 가이드풀리(50)에 걸고, 가이드풀리에서 다시 견인후크(60)에 있는 피동풀리(64)에 걸어준 후, 메인풀리(31)에 걸어서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다.
이때, 메인풀리(31)에 걸어서 밖으로 인출한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은 둥글게 말아서 풀리기 쉽도록 배려해 둔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2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칫기구(70)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조작핸들(40)을 계속 돌리면 원동축(33)이 회전하고, 원동축의 회전력은 그 원동치차(33a)에 치합된 한 쌍의 유성치차(34)가 회전한다.
이들 유성치차(34)는 서로 대칭되는 2쌍 이상으로 써, 그 외측에서 메인풀리(31)의 내접치(31a)가 치접되므로 회전비 감속을 통해 메인풀리(31)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메인풀리(31)는 상기 치차하우징(32)과의 사이에 개입설치한 베어링(31c)에 의해 회전이 원할하게 되며, 그 둘레의 요홈테(31b)에 감긴 와이어(W)를 회전 방향으로 진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와이어의 진향 방향을 정하는 것은 조작핸들(40)에 포함된 래칫기구(70)인 바, 이는 도 3과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칫폴(72)의 조작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작노브(73)를 수직의 상태로 두면 래칫폴(72)의 어느쪽도 래칫기어(71)와 치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메인풀리(31)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신속히 와이어(W)를 진행시킬 때 유용하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조작노브(73)를 도면상 우측으로 돌리면, 그 아래의 탄성핀(72a)이 우측으로 향하게 되고, 따라서 래칫폴(72)은 좌측이 들리고 우측이 래칫기어(71)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이는 래칫폴(72)이 래칫기어(71)를 밀어서 돌리되,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고, 시계방향으로는 제쳐지면서 복귀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조작노브(73)를 도면상 좌측으로 돌리면, 그 아래의 탄성핀(72a)이 좌측으로 향하게 되고, 따라서 래칫폴(72)은 우측이 들리고 좌측이 래칫기어(71)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이는 래칫폴(72)이 래칫기어(71)를 밀어서 돌리되,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고, 반시계방향으로는 제쳐지면서 복귀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과 같이 작동하는 조작핸들(40)의 래칫기구(70)를 사용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풀리(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한정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어느 방향이던지 조작핸들(40)을 놓더라도 래칫기구에 의해 역회전하지는 않게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예컨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언덕 아래로 조난된 차량을 끌어올리고자 할 때는 고정후크(20)를 나무등의 견고한 지지물에 걸고, 래칫기구(70)의 조작노브(73)를 수직이 되도록 조작하여 메인풀리(31)가 자유회전상태가 되면, 이 메인풀리(31)를 통해 와이어(W)가 걸린 견인후크(60)를 당겨서 차체까지 끌고 간 후, 차체의 적당한 부분에 걸어준다.
이제 다시 래칫기구(70)의 조작노브(73)를 좌측(또는 우측)으로 돌리면 래칫폴(72)이 래칫기어(71)에 치합되는 바, 그 방향에 따라 조작핸들(40)을 좌, 우로 반복하여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하면 래칫폴(72)이 래칫기어(71)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므로 그 힘이 원동치차(33a)를 통해 유성치차(34)를 돌리고, 유성치차(34)를 통해 감속이 되면서 메인풀리(31)를 회전시키게 되고, 메인풀리(31)에 감겨진 와이어(W)는 점차 당겨지게 되며, 그 와이어(W)의 길이가 점차 당겨지는데 따라서 견인후크(60)가 걸린 차체가 당겨져 오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상태의 예는 본 발명의 와이어 윈치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로서, 그 외에도 전신주 세우기, 고압선을 당기는 작업, 열차 응급견인, 철도차량 견인, 철골구조물 견인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상기한 고정고리를 고압선에 걸고, 견인고리를 신체에 걸어 송전탑과 송전탑 사이를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없이 조작핸들을 반복하여 회동시키는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권취하여 물체를 견인할 수 있는 바, 동력이 불필요하므로 긴급히 동력이 제공되지 않는 각종 재난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감기는 각종 풀리와 상기 풀리에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치차를 마련하고, 비교적 간단하고 가벼운 구조로 개선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체인블록 등과 달리 휴대성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각종 크고 작은 일에 다용도의 견인 기구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윈치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래칫기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래칫기구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바디부 11, 12 : 전, 후방 플레이트
13, 14 : 내측 전, 후방커버 15, 16 : 외측 전, 후방커버
17 : 개구부 18 : 결속부
20 : 고정후크 21 : 고정후크축부
30 : 유성기어 어셈블리 31 : 메인풀리
32 : 치차하우징 33 : 원동축
34 : 유성치차 35 : 체인형 와이어 가이드
40 : 조작핸들 50 : 가이드풀리
51, 52 : 전, 후방 풀리플레이트 53 : 풀리축부
60 : 견인후크 61 : 후크커버
62 : 종동축핀 63 : 종동풀리
64 : 피동풀리 70 : 래칫기구
71 : 래칫기어 72 : 래칫폴
73 : 조작노브

Claims (6)

  1. 중앙에 개구부(17)를 가진 전방 플레이트(11)와 후방 플레이트(12),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사이에 조립된 내측전방커버(13)와, 내측후방커버(14), 그리고 상기 전, 후방 플레이트의 외측에 조립된 외측전방커버(15)와 외측후방커버(16)로 이루어진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전, 후방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회동가능 하도록 고정후크축부(21)로써 연결된 고정후크(20);
    상기 바디부(10)의 전, 후방 플레이트(12) 사이에 개입시켜 메인풀리(31)의 회전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마련한 유성기어 어셈블리(30);
    상기 유성기어 어셈블리(3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전방커버(15)의 바깥쪽에 축설하되, 래칫기구(70)를 포함하는 조작핸들(40);
    상기 바디부(10)의 전, 후방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별도의 전, 후방 풀리 플레이트(51)(52)와, 그 하단의 풀리축부(53)로써 연결된 가이드풀리(50);
    상기한 메인풀리(31)와, 가이드풀리(50)를 거쳐 연결되는 와이어(W)를 임의의 거리를 두고 순환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되, ㄷ자형 후크커버(61)와, 상기 후크커버 사이에서 종동축핀(62)에 축설된 종동풀리(63) 및 피동풀리(64), 그리고 상기 후크커버(61)의 하단에서 연결된 견인후크(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와이어 윈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부(10)의 유성기어 어셈블리(30)는 상기한 전, 후방 플레이트(12)의 개구부(17) 안쪽에 축설한 치차하우징(32), 상기 치차하우징의 중앙에 관통하되 상기 조작핸들(40)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면서 원동치차(33a)를 가진 원동축(33), 이 원동축(33)의 둘레에서 상기 원동치차(33a)와 치합되도록 치차하우징(32)에 기어핀(34a)으로 축설된 2개 이상의 유성치차(34), 상기 유성치차(34)들의 둘레에서 그 치차들과 내접치(31a)로 치합되고 그 외주면에 와이어 권선용 요홈테(31b)가 형성된 메인풀리(31)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와이어 윈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풀리(31)는 회전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치차하우징(32)과의 사이에 베어링(31c)을 개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와이어 윈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풀리(31)는 그 외주면의 요홈테(31b) 둘레에 권선된 와이어가 요홈테(31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원주둘레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다수의 구름롤러(35a)를 가진 체인형 와이어 가이드(35)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와이어 윈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래칫기구(70)는 상기한 조작핸들(40) 상에 구비하되, 상기한 원동축(33)의 노출단에 나사조립한 채 조작핸들(40) 안에서 회전 가능한 래칫기어(71), 상기 래칫기어(7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핸들 내부에 매설하되, 그 후방의 탄성핀(72a)을 포함하는 양방향 래칫폴(72), 상기 래칫폴의 탄성핀(72a)의 작용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73)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와이어 윈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래칫기구(70)의 래칫기어(71)는 원동축(33)의 노출단에 나사조립하되, 그 나사부(71a)는 왼방향 사각나사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와이어 윈치.
KR1020040021161A 2004-03-29 2004-03-29 수동식 와이어 윈치 KR100567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61A KR100567667B1 (ko) 2004-03-29 2004-03-29 수동식 와이어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161A KR100567667B1 (ko) 2004-03-29 2004-03-29 수동식 와이어 윈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942A true KR20050095942A (ko) 2005-10-05
KR100567667B1 KR100567667B1 (ko) 2006-04-05

Family

ID=3727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161A KR100567667B1 (ko) 2004-03-29 2004-03-29 수동식 와이어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13B1 (ko) * 2008-05-09 2008-09-08 제너럴로터(주) 자전거 수직 보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36B1 (ko) * 2012-04-09 2013-05-30 (주)동우금속 기어 내장식 체인블럭
SE543179C2 (en) * 2019-04-09 2020-10-20 Actsafe Systems AB A portable power-drive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551A (en) 1974-03-22 1977-01-18 B. E. Wallace Products Corporation Winch-hoist
JPH0743115Y2 (ja) * 1993-07-12 1995-10-04 直光 石塚 ウインチ
KR200182236Y1 (ko) 1999-07-20 2000-05-15 주식회사삼주기계 차동유성기어 감속구조를 이용한 권상기
KR100352178B1 (ko) 2000-10-14 2002-09-12 국열 남 휴대용 권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13B1 (ko) * 2008-05-09 2008-09-08 제너럴로터(주) 자전거 수직 보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667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742B2 (en) Gas powered self contained portable winch
CN105398983B (zh) 便携式绞机
US9908757B2 (en) Gas powered self contained portable winch
TW466210B (en) Hoist
US3799005A (en) Drum winch
US4196889A (en) Hand-held powered portable winch
US3944185A (en) Hoist apparatus
GB2398054A (en) Powered rope climbing apparatus
WO2009152666A1 (zh) 动力绞车变速控制装置
AU2015341616A1 (en) Lifting mechanism for an apparatus for lifting construction plates, lifting apparatus comprising this mechanism, and lifting method using this apparatus
US6070858A (en) Single loop tractioned winch-like device
KR100567667B1 (ko) 수동식 와이어 윈치
CN201873483U (zh) 绞盘自动刹车装置
US20130240811A1 (en) Rope grip apparatus
US4576363A (en) Lever-operated hoist or puller
US20230135307A1 (en) Winch
US1328678A (en) Cable-pulling device
JP2005145699A (ja) ウインチ装置
CN202072421U (zh) 一种实用汽车自救绞盘
CN110510066B (zh) 一种永磁电动卧式锚机
WO2014175966A1 (en) Gas powered self contained portable winch
CN206783209U (zh) 一种手动绳索葫芦
CN110654951A (zh) 电梯平衡救援装置及电梯平衡救援系统
KR100686582B1 (ko) 정, 역회전이 자유로운 윈치장치
CN210559066U (zh) 一种千斤顶手动绞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