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075A -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075A
KR20050095075A KR1020040020094A KR20040020094A KR20050095075A KR 20050095075 A KR20050095075 A KR 20050095075A KR 1020040020094 A KR1020040020094 A KR 1020040020094A KR 20040020094 A KR20040020094 A KR 20040020094A KR 20050095075 A KR20050095075 A KR 20050095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internet
internet service
short code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660B1 (ko
Inventor
이영선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랩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랩,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랩
Priority to KR102004002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6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3User authentication using a call-back technique via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4Types of notifications
    • H04M15/844Message, e.g. 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상에서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 및 빌링 시스템에 연결된 단축코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에 상응하여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상기 빌링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URL을 포함하는 callback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callback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hot numbe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상에서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단축코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 + 무선 인터넷 접속번호'로 구성된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으로 SMS URL 콜백 방식과 무선인터넷 접속키 방식이 있다. SMS URL 콜백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 + 무선 인터넷 접속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르면 요청 정보가 ARS 서버, 단축 코드 서버, SMSC를 거쳐 사용자에게 해당 무선인터넷 페이지의 URL이 담겨 있는 SMS이 전송된다(단계 100 내지 130). 사용자는 URL 콜백 SMS를 이용하여 응모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진행중인 서비스에 응모하게 된다(단계 140 및 150). 사용자가 응모 서비스를 신청한 이후 과금이 수행된다(단계 160). 그러나, 중간 과정의 시스템이나 망의 상황에 따라 URL 콜백 SMS이 사용자 단말기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무선페이지에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사용자는 응모 서비스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URL 콜백 SMS를 통해서 재차 접속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통신 요금을 중복하여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인기투표를 진행하고 투표 당 20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단축코드 시스템이나 망의 부하로 사용자에게 SMS가 도달하지 못하면 인기투표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P) 나 광고주 입장에서는 사용자를 놓치게 된다.
무선인터넷 접속키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 + 무선 인터넷 접속번호'를 입력하고 무선인터넷 접속키(예를 들어, MagicN 키)를 누르면, 요청 정보가 이동통신망을 거쳐 PAS(Portal Access Server)를 통해 단축코드 서버에 전달된다(단계 140). 여기서, PAS는 케이티프리텔의 포털 연결 장치로서, ME 기반의 게이트웨이이다. 이후 과정은 앞서 설명한 단계 150 및 160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정리하면, 기존의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페이지에 접속하는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 의사가 있어서 단축 코드를 전송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URL 콜백 SMS의 수신 후 재접속 및/또는 추가적인 메뉴 선택 과정과 같은 부수적인 행위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재접속에 따른 비용, 메뉴 선택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른 비용 등 불필요하게 통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CP나 광고주 입장에서는 서비스 이용 의사를 이미 표현한 사용자(즉,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무선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부담내지는 조작의 불편함을 발생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수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정보이용료를 부과하더라도 기존 정보이용료 과금 방식을 따르는 경우에는 무선페이지에 접속한 후 해당 무선페이지 메뉴에서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과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접속만 한 후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으면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CP나 광고주들은 사용자가 단축 코드를 누르는 순간 서비스 이용의사가 있다고 판단하여 과금되는 서비스모델을 원하지만, 현재까지는 이러한 서비스 모델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상응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과금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축 코드를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무선인터넷 서비스 신청과 동시에 접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 의사를 표시한 사용자에게 단축 코드를 통한 접속 직후 바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요금 징수 방식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 및 빌링 시스템에 연결된 단축코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에 상응하여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상기 빌링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URL을 포함하는 callback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callback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callback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단축코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고, 상기 호에 상응하여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기 단축 코드를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확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단축코드 서버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상기 호를 리다이렉션하며,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빌링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단축코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하는 호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며, 상기 단축 코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출력하는 ARS 서버,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를 식별하여 상기 단축 코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상기 식별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축코드 서버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C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축코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적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이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코드 시스템(50)은 ARS 서버(53), SMSC(56) 및 단축코드 서버(59)로 구성된다. 단축코드 시스템(50)은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과 빌링 시스템(30)에 각각 연결되며, 단축코드를 포함한 호를 처리한다. 도 2에 도시된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과 달리 사용자의 서비스 신청 즉시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의 증대와 불필요한 통신료 지출을 줄이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역시 서비스 신청 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확인 메시지 발송 이전에 처리함으로써 CP나 광고주의 손실을 줄이는 것에 특징이 있다.
ARS 서버(53)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하는 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되거나 합성된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한다(단계 200).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는 기지국 또는 교환기에 의해 식별되어 상기 ARS 서버(53)로 연결된다. 단축 코드를 식별하여 호를 리다이렉션(Redirection)하는 과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는 음성 신호이며, 예를 들면, "요청이 접수되었습니다"라는 음성 안내이다.
ARS 서버(53)는 상기 호에서 단축 코드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함께 단축코드 서버(59)로 출력한다(단계 210). 다른 실시예에서, ARS 서버(53)는 상기 호를 단축코드 서버(59)로 리다이렉션함으로써 단말기 정보와 단축 코드만을 출력하는 동작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단축코드 서버(59)는 ARS 서버(53)로부터 단축 코드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또는 리다이렉션된 호를)를 수신한다. 단축코드 서버(59)는 수신된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를 식별하여 상기 단축 코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상기 식별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또는 상기 호를 리다이렉션)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220 및 230). 무선 인터넷 제공 시스템(20)은 단축코드 시스템(50)의 단축코드 서버(59)로부터 단축 코드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또는 리다이렉션된 호)를 수신하면,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단축코드 서버(59)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신청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의해서 청구될 수 있다(단계 225).
여기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는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 정보인 URL을 포함하는 URL 콜백 메시지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이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는 신청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URL 콜백 메시지의 경우는 사용자가 자신이 신청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세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신청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와 접속 정보는 하나의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통화 연결음 변경 서비스 또는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인 경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는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통화 연결음 또는 벨소리를 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한 후, 또는 변경/다운로드 신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통해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실시간 응모, 예를 들어, 화이트 데이 이벤트 또는 인기 가요의 순위 결정과 같이 비정기적으로 제공되는 응모 서비스인 경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는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대한 참가 신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통해 전달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단축 코드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특정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단축 코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단축 코드에 지나치게 많은 자리수의 숫자를 할당할 수는 없으므로,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특정은 비정기적이고 짧은 기간 동안만 제공하는 앙케이트 조사(예를 들어, 여론 조사 또는 가요 순위 결정 등)나 이벤트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MSC(56)는 상기 단축코드 서버(59)의 요청에 의해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240).
사용자가 신청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단축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는 ARS 서버(53), 단축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축코드 서버(59)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발송하는 SMSC(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 청구될 수 있다(단계 215). 상기 과금 청구는 사용자가 신청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된 이후 확인 메시지를 생성 또는 발송하는 단축코드 서버(59)나 SMSC(56)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실제 통신망의 이상으로 인해 단축코드 시스템(50)의 구성 요소간 메시지 유실 및 단축코드 시스템(50)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간 메시지 유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할 때 ARS 서버(53)에 의해 과금 청구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수신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단계 250).
사용자가 단축 코드를 입력한 후 무선인터넷 접속키를 누르는 경우는 도 2의 단계 250 내지 단계 27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 코드는 도 1의 PAS를 통해 단축코드 서버(59)로 전달되며(단계 250), 단축코드 서버(59)는 이를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리다이렉션한다(단계 260). 이후 사용자 단말기(10)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간에 연결이 설정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은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단계 270). 여기서, 단축코드 서버(59)는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빌링 시스템(30)에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CP나 광고주들은 TV, 신문 또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실시중인 응모 서비스를 광고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간 응모 서비스로서 TV 프로그램 진행 중 화면 하단에 노출된 앙케이트 조사가 있다(400). 앙케이트의 설문 및 복수개의 응답과 함께 노출된 단축 코드를 인지한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응답에 상응하는 단축 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앙케이트에 참가하게 된다(410). 단축 코드를 입력한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면, 단축 코드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ARS 서버(53)로 전달되며, 이후 처리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가 앙케이트 조사에 응모한 결과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된다(420).
앙케이트 조사와 같은 실시간 응모 서비스 이외의 다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는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 통화 연결음 변경 서비스, 배경 화면 다운로드 서비스 같은 컨텐츠 구입 서비스와 상품 구매, 티켓 예약 같은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단축 코드와 통화 버튼을 눌러 희망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즉시 제공받고 제공 결과를 단문 메시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단축 코드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신청한 이후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제공받을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으며, 통신망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이 이루어지므로 CP나 광고주들은 이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코드 시스템(50)은 ARS 서버(53), SMSC(56) 및 단축코드 서버(59)로 구성된다. 단축코드 시스템(50)은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과 빌링 시스템(30)에 각각 연결되며, 단축코드를 포함한 호를 처리한다. 도 3에 도시된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과 동일하며, 다만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확인 메시지 발송 이전에 처리함으로써 CP나 광고주의 손실을 줄이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2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단축코드 서버(59)는 ARS 서버(53)로부터 단축 코드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또는 리다이렉션된 호를)를 수신한다. 단축코드 서버(59)는 수신된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즉, URL 콜백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URL 콜백 메시지는 SMSC로 전송된다(단계 320). 단축코드 서버는 연결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접속 정보 및 상응하는 단축 코드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URL 콜백 메시지를 생성한다.
URL 콜백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통화 버튼을 눌러 단축코드 서버(59)에 접속한다(단계 34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URL 콜백 메시지에 의한 발신 호를 수신한 단축코드 서버(59)는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상기 호를 리다이렉션한다(단계 350). 본 과정에서 단축코드 서버(59)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과금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 과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과금을 빌링 시스템(30)에 요청할 수 있다(단계 345).
사용자가 신청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단축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는 ARS 서버(53), 단축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축코드 서버(59)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발송하는 SMSC(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 청구될 수 있다(단계 315, 325, 335).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한 사용자는 제공된 메뉴를 통해 제공받고자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360).
사용자가 단축 코드를 입력한 후 무선인터넷 접속키를 누르는 경우는 도 3의 단계 340 내지 단계 36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 코드는 도 1의 PAS를 통해 단축코드 서버(59)로 전달되며(단계 340), 단축코드 서버(59)는 이를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리다이렉션한다(단계 350). 이후 사용자 단말기(10)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간에 연결이 설정되며, 사용자는 단말기 상에 출력된 메뉴를 통해 신청할 서비스를 선택한다(단계 360). 여기서, 단축코드 서버(59)는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빌링 시스템(30)에 요청한다(단계 345).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벤트 서비스가 있다(500). 이벤트에 대한 내용과 단축 코드를 인지한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응답에 상응하는 단축 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벤트에 참가하게 된다. 단축 코드를 입력한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면, 단축 코드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ARS 서버(53)로 전달되며, URL 콜백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510). 사용자는 수신한 메시지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하여 이벤트 참가 등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530). 단축 코드를 입력한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누른 경우에는 URL 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20)로 접속하게 된다(53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해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단축 코드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상응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과금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을 단축 코드를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인터넷 서비스 신청과 동시에 접수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조작의 불편함과 불필요한 통신 요금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 의사를 표시한 사용자에게 단축 코드를 통한 접속 직후 바로 과금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CP 또는 광고주의 이용 요금 징수가 용이해졌다.
도 1은 단축코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실시간 응모 서비스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3)

  1.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 및 빌링 시스템에 연결된 단축코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에 상응하여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상기 빌링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의 URL을 포함하는 callback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callback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callback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코드 시스템은 ARS 서버, 단축코드 서버 및 SMSC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ARS 서버에 접속하는 시점, 상기 단축코드 서버에 접속하는 시점 및 상기 SMSC에 접속하는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시점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callback 메시지에 의한 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이미 과금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미과금되었으면 과금을 요청한 후 상기 호를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리다이렉션(redirection)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과금되었으면 상기 호를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리다이렉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5.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단축코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에 상응하여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기 단축 코드를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확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는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기 단축 코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상기 단축코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빌링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상기 단축 코드에 의해 선택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9.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단축코드 서버에서 실행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상기 호를 리다이렉션하는 단계; 및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빌링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10.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단축코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축 코드를 포함하는 호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며, 상기 단축 코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출력하는 ARS 서버;
    상기 단축 코드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를 식별하여 상기 단축 코드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상기 식별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축코드 서버;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C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축코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RS 서버, 상기 단축코드 서버 및 상기 SMS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빌링 시스템에 요청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축코드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는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축코드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수 메시지는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축코드 시스템.
KR1020040020094A 2004-03-24 2004-03-24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9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94A KR100692660B1 (ko) 2004-03-24 2004-03-24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94A KR100692660B1 (ko) 2004-03-24 2004-03-24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75A true KR20050095075A (ko) 2005-09-29
KR100692660B1 KR100692660B1 (ko) 2007-03-13

Family

ID=3730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94A KR100692660B1 (ko) 2004-03-24 2004-03-24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6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6714A1 (en) * 2006-01-27 2007-08-02 Hee Ha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simple code of off-line contents
KR100793424B1 (ko) * 2006-02-16 2008-01-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간편 접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41318B1 (ko) * 2006-08-11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효율 개선 필터가 부착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티브이 수신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222B1 (ko) * 2001-02-08 2005-04-20 이재원 전화접속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방법
KR100368926B1 (en) * 2001-12-12 2003-01-24 Eznego Co Ltd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method by using telephone number
KR100393048B1 (ko) * 2001-12-15 2003-07-28 (주)이지네고 전화번호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6714A1 (en) * 2006-01-27 2007-08-02 Hee Ha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simple code of off-line contents
KR100793424B1 (ko) * 2006-02-16 2008-01-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간편 접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41318B1 (ko) * 2006-08-11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효율 개선 필터가 부착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티브이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660B1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50837A1 (en) Method and system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tone of ringing sounds of mobile phone and commerical transaction service in association with the same
US20060253294A1 (en)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10013020A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ed therefor
KR20070045990A (ko)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26376A1 (e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RU2357298C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целевой рекламы и/ил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2006268641A (ja)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KR20010093612A (ko) 휴대폰의 초기화면을 통한 광고서비스 시스템
FI109386B (fi) Menetelmä maksullisen internet-sisällön tai -palvelun veloituksen suorittamiseksi
US8315372B2 (en) Unified call centre system for multiple service providers
KR20070047022A (ko) 통화 중 콘텐츠 공유 및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자료 공유형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통신 사업자 서버및 ip 단말
KR100692660B1 (ko)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103128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선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79690B1 (ko) 양방향 방송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0071A (ko) 무선 휴대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040052132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가맹점 멤버쉽 프로그램 다운로드방법 및 시스템
KR20020012704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 보험 가입 시스템 및 방법
JP200223790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顧客サポート実施方法、情報提供方法、広告提供方法および情報登録方法
KR100676515B1 (ko) 이용자와 업체간의 콜중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10015973A1 (en) Connection control technique providing toll free calls
KR20020007650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
KR20020089820A (ko) 디지털 컨텐츠 고유번호 부여를 통한 결제 방법 및시스템
KR10067239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KR2005001193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요금 제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70660A (ko) 웹투폰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