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927A -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 Google Patents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927A
KR20050093927A KR1020040018897A KR20040018897A KR20050093927A KR 20050093927 A KR20050093927 A KR 20050093927A KR 1020040018897 A KR1020040018897 A KR 1020040018897A KR 20040018897 A KR20040018897 A KR 20040018897A KR 20050093927 A KR20050093927 A KR 2005009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hermal printer
body frame
roll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353B1 (ko
Inventor
이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정밀
Priority to KR102004001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3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46B11/06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 A46B11/06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by means of a supply pipe with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e.g. soap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2Means for closing, sealing or controlling the flow using capillary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써멀프린터헤드, 이송롤러, 가이더, 구동모터 등이 결합 배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와 이송롤러 사이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용지를 안착 수용하는 용지자리부 및, 용지를 감아서 보관하는 스풀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대가 구비된 용지장착부를 포함하는 써멀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자리부에는 1종 또는 2종의 용지를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하도록 용지의 폭에 대응되는 자리를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라인이 형성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구획라인에 구획판이 끼움 조립되고, 상기 가이더는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곡면부의 곡면을 따라 안착 조립될 수 있는 단품으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용지의 갯수 및 폭에 대응되게 1종 또는 2종의 용지를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더의 폭이 일체 혹은 분할 가능한 구조로 각각 제작되며,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용지의 갯수 및 폭에 맞춰 각각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일직선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거나, 하나의 일체형 롤러가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써멀프린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Thermal printer exchange assembly parts according as a change of printing paper}
본 발명은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의 용지(영수지와 감사지)를 갖는 금전등록기에 적용되는 써멀프린터와, 1종의 용지(영수지)와 칩 형태의 회계메모리를 갖는 회계(fiscal)타입 금전등록기에 적용되는 써멀프린터를 조립 제조할 때, 필요로 하는 금전등록기의 종류에 따라 써멀프린터의 구성부품 중 몇 개의 부품 교체를 통해 두 종류의 써멀프린터로 상호 호환 조립이 가능한 써멀프린터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제조라인에서 각 국가별 세법 규정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두 가지 종류의 써멀프린터 생산 형태를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게 됨에 따라 금전등록기의 제조 비용 및 생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편의점, 슈퍼마켓, 식당, 백화점등에서는 거래내역, 판매액계산, 세금계산, 영수증(혹은 영수지) 발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전등록기(Electronic Cash Resister; ECR), 포스터미널(POS terminal), 신용카드단말기와 같은 영수증 등을 발생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금전등록기, 포스터미널, 신용카드단말기 등에서 영수증을 발생할 때, 영수내역을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는 기기 내부에 장착되는 소형 프린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소형 프린터는 그 인쇄방식에 따라 순환하는 리본에 충격을 가해 용지에 거래내역을 인쇄할 수 있는 도트(dot)프린터와, 열을 이용하여 용지에 거래내역을 인자하는 써멀(thermal)프린터로 구분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인쇄 소음이나 진동이 거의 없는 써멀프린터가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편의점, 슈퍼마켓, 식당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금전등록기는 키보드 또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품의 거래내역(혹은 금액)을 입력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품의 거래내역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출력된 거래내역은 금전등록기의 프린터에 의해서 두루마리 용지(통상, 금전등록기용 용지는 두루마리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하 "용지"라 한다.)에 인쇄된 후, 영수 측 용지(이하, "영수지"라 한다)가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금전등록기의 프린터 내부에는 감사 등을 위해 거래된 내역이 별도의 감사 측 용지(이하 "감사지"라 한다)에 인쇄되어 롤 형태로 감겨 금전등록기의 본체 내부에 보관되거나, 칩 형태의 회계메모리에 저장되어 금전등록기의 본체 내부에 보관되게 된다.
즉, 상기 금전등록기 내부에는 프린터에 영수지와 감사지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경우와, 영수지 하나와 거래내역이 저장되는 칩 형태의 회계메모리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는 데, 이는 국가별 세법(稅法)에 따라 금전등록기의 사용 형태가 규정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일부 국가에서는 세금 추징을 위한 판매 데이터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전등록기의 사용을 강제하고 있으며, 특히, 금전등록기의 판매 데이터를 훼손 없이 장기간 보존하기 위한 용도로 회계 전용의 메모리인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보통, 회계 메모리라 한다)을 사용할 것을 강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회계 기능이 구비된 금전등록기에서는 회계용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의 변조를 막기 위하여 금전등록기의 케이스 밑판에 회계용 메모리를 몰딩(Molding)시키거나 실링(Sealing)하고 도장을 각인하여 회계용 메모리 케이스의 개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회계용 메모리 케이스의 개봉을 방지하는 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선진국으로 갈수록 세법(稅法) 상에서 금전등록기의 사용 규정을 정할 때, 롤 형태로 감겨 보관되는 감사지 형태보다는 상품의 거래내역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칩 형태의 회계메모리를 사용할 것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 국가별 세법에 따라 사용하는 금전등록기의 종류를 달리하게 됨에 따라 금전등록기를 제조 판매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각 국가별 사용자가 요구하는 금전등록기 형태로 제조 생산하여 판매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종래 금전등록기를 제조하는 제조라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금전등록기에 내장되는 써멀프린터의 형태가 금전등록기의 종류에 맞춰 고정된 한가지 타입으로 조립 제작되도록 되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영수지와 감사지를 내장하는 타입의 써멀프린터와, 영수지만을 내장하고 별도의 회계메모리는 금전등록기의 본체에 내장되는 타입의 써멀프린터는 그 구조가 전혀 달라 몇 개의 부품 교체를 통한 상호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서로 조립라인을 달리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두 가지 타입의 금전등록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써멀 프린터의 제조 라인도 두 가지 타입을 각각 조립할 수 있는 조립 라인을 각각 마련해야만 하였다.
그로 인해 각각의 써멀프린터 타입에 맞는 부품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별도의 조립 라인에서 각각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라인 구성에 따른 비용 및 조립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생산 원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써멀프린터의 경우, 용지의 가변 즉, 용지의 크기(폭)에 따라 관련된 부품들을 별도로 제작해야하기 때문에 제조 및 개발비용이 상승하여 원가가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전등록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금전등록기에 내장되는 써멀프린터를 조립 제조할 때, 필요로 하는 금전등록기의 종류에 따라 써멀프린터의 구성부품 중 몇 개만을 교체하여 영수지와 감사지를 갖는 금전등록기에 적용되는 써멀프린터와, 영수지와 칩 형태의 회계메모리를 갖는 회계(fiscal)타입 금전등록기에 적용되는 써멀프린터 중 어느 하나로 상호 병행 조립이 가능한 써멀프린터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제조라인에서 각 국가별 세법 규정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써멀프린터의 생산 형태를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게 됨에 따라 금전등록기의 제조 비용 절감에 따른 생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지에 상품의 거래내역을 인자하는 써멀프린터헤드, 상기 써멀프린터헤드와 밀착된 상태에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로 용지를 안내하는 가이더,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등의 구성부품이 유기적으로 결합 배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써멀프린터헤드와 이송롤러 사이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용지를 안착 수용하는 용지자리부 및, 상품의 거래내역을 인자된 용지를 감아서 보관 할 수 있도록 스풀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대가 구비된 용지장착부를 포함하는 써멀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자리부의 바닥면에는 1종 또는 2종의 용지를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하도록 용지의 폭에 대응되는 자리를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라인이 형성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구획라인에 구획판이 끼움 조립되어 용지의 폭에 맞게 용지자리부가 구획되고, 상기 가이더는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곡면부의 곡면을 따라 안착 조립될 수 있는 단품으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용지자리부에 안착되는 용지의 갯수 및 폭에 맞춰 1종 또는 2종의 용지를 안내할 수 있게 가이더의 폭이 일체 혹은 분할 가능한 구조로 각각 제작되며,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용지자리부에 안착되는 용지의 갯수 및 폭에 맞춰 각각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일직선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거나, 하나의 일체형 롤러가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1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로 조립 제작되는 경우, 상기 용지자리부의 좌우 가장자리 쪽에 형성된 구획라인에는 복수개의 구획판이 각각 끼움 삽입되어 1종 용지의 규격에 맞게 용지자리부가 구획되고, 상기 가이더는 1종의 용지 폭에 맞는 일체형 가이더가 조립되며, 상기 이송롤러는 1종의 용지 폭에 맞춰 하나의 일체형 롤러가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조립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2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로 조립 제작되는 경우, 상기 용지자리부의 중앙부 형성된 구획라인에는 하나의 구획판이 끼움 삽입되어 구획판을 기준으로 좌우 측에 2종의 용지가 각각 장착 가능하게 용지자리부가 구획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용지자리부에 안착된 2종의 용지 폭에 각각 맞도록 가이더의 중앙부위에 분할판이 체결 조립되며, 상기 이송롤러는 2종의 용지 폭에 각각 맞춰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구조를 갖으며, 분리된 이송롤러의 일단이 상기 가이더의 분할판에 지지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본체프레임의 양쪽 측벽에 마련된 이송롤러용 장착공에 삽입 고정되어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일직선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써멀프린터의 분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써멀프린터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써멀프린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써멀프린터의 요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좌, 우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예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전등록기에 내장되는 써멀프린터는, 구성 부품이 내재되는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이 안착 설치되는 프린터홀더부(20)와, 상기 프린터홀더부(20)에 연결 설치되어 본체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용지(50)를 안착 수용하여 공급할 수 있는 용지장착부(30)와, 상기 용지장착부(30)에서 공급되는 용지(50)에 상품의 거래내역을 인쇄(혹은 인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프린터기구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사출 성형 등으로 제작되는 단품으로서, 상기 프린터기구부(40)의 각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인 배치관계 속에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프린터기구부(40)의 각 구성요소들을 장착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본체프레임(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에 상기 프린터기구부(4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44) 및 연결보드(47)가 설치되게 되고, 본체프레임(10)의 전방 부위에는 소정의 곡면을 갖는 곡면부(12)가 형성되어 이 곡면부(12)에 상기 용지(50)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후술하는 가이더(43,43')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는 후술하는 상기 프린터기구부(40)를 구성하는 써멀프린터헤드(41)와 이송롤러(42,42')가 양쪽 측벽(11)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의 외주면에는 상기 프린터기구부(40)를 구성하는 감속기어세트(45), 상기 헤드정렬수단(A) 및 헤드오픈수단(B) 등이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는 상기한 프린터기구부(40)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치한 다음 측면커버(15)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구성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며 동시에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 프린터홀더부(20)는, 상기 본체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단품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을 안착시켜 지지 고정하면서 도시되지 않은 금전등록기의 본체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프린터기구부(4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상에 설치되어 용지(50)에 상품의 거래내역을 인자하는 써멀프린터헤드(41)와,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와 밀착된 상태에서 용지(5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42,42')와, 상기 용지장착부(30)로부터 이송롤러(42)로 용지를 안내하는 가이더(43,43')와, 상기 이송롤러(42,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송롤러(42,4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4)와, 상기 구동모터(44)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이송롤러(42,42')에 전달하는 감속기어세트(45)와,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의 양쪽 측면에 위치한 본체본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 배치되는 복수의 편심캠(1) 및 스프링(2)으로 구성된 헤드정렬수단(A)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를 이송롤러(42,42')로부터 소정 이격시키기 위한 헤드오픈수단 (B)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 및 구동모터(4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PCB) 형태의 연결보드(47)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본체프레임(10) 양쪽 측벽(11)에는 이송롤러용 장착공(16)이 형성되어 용지(5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42,42')가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42,42')는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터의 종류에 따라 각각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본체프레임(10) 양쪽 측벽(11) 사이에 걸쳐 일직선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거나(도 2 및 도 3 참조), 하나의 일체형 롤러가 본체프레임(10) 양쪽 측벽(11) 사이에 걸쳐 조립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도 5 참조)
즉, 2종의 용지(50)가 장착되는 써멀프린터를 조립 제작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 양쪽 측벽(11) 사이에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된 이송롤러(42)가 조립 설치되고, 1종의 용지(50)가 장착되는 써멀프린터를 조립 제작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 양쪽 측벽(11) 사이에 하나의 롤러가 일체로 형성된 이송롤러(42')가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곡면부(12)에는 상기 이송롤러(42)가 장착되기 전에 상기 곡면부(12)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는 가이더(43,43')가 이송롤러(42,42')와 연계되어 용지(50)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더(43,43')는, 상기 이송롤러(42,42')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1종의 용지(50)를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가이더(43')와, 2종의 용지(50)를 각각 분리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가이더(43)로 각각 별도의 단품 형태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호 호환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써, 요구되는 써멀프린터의 형태에 따라 1종 또는 2종의 용지(50)를 안내할 수 있게 조립 과정에서 상호 호환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2종의 용지(50)를 각각 분리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가이더(43)의 경우에는 가이더(43)의 가운데 부분에 가이더(43)의 좌 우측을 분할 구획하는 분할판(43a)이 체결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할판(43a)에 의해 2종의 용지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더(43)가 분할 구획되는 경우, 상기 분할판(43a) 상에 상기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된 이송롤러(42)의 일단들이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된 이송롤러(42)의 타단이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 마련된 이송롤러용 장착공(16)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42,42')의 후방에는 이송롤러(42,42')와 밀착 접촉된 상태에서 공급 이송되는 용지(50)에 인자를 수행하는 써멀프린터헤드(41)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는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헤드정렬수단(A) 및 헤드오픈수단(B)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42)와 밀착 접촉 혹은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음과 아울러 써멀프린터헤드(41)의 후면이 보호커버(48)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 외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감속기어세트(45)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4)의 구동축(44a)에 기어물림 상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롤러(42,42')의 양단과 각각 기어물림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4)의 구동력을 이송롤러(42,42')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저면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부에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구동모터(44)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구동모터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구동모터(44)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1종의 용지(50)만을 장착하는 써멀프린터의 경우에는 하나의 이송롤러(42')만을 구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하나의 구동모터(44)만을 필요로 하고, 2종의 용지(50)가 장착되는 써멀프린터의 경우에는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송롤러(42)를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두 개의 롤러를 각각 구동시킬 수 있는 두 개의 구동모터(44)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1종의 용지(50)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를 조립 제작하느냐? 아니면 2종의 용지(50)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를 조립 제작하느냐?에 따라 상기한 이송롤러(42,42') 및 가이더(43,43')의 형태가 선택 조립되면서 구동모터(44)의 장착 및 구동형태도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4)의 구동에 따른 동력 전달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44)의 회전력은 우선 구동모터(44)의 구동축(44a)에 기어 물림된 감속기어세트(45)에 전달되고, 이렇게 감속기어세트(45)에 전달된 회전력은 다시 이송롤러(42,42')에 제공되어 이송롤러(42,42')에 의해서 용지(50)가 써멀프린터헤드(41)와 이송롤러(42,42')사이에서 이송되면서 인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42,42')의 일단에는 구동풀리(49)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49)는, 후술하는 상기 용지장착부(30)의 피동기어(33)와 일체로 결합된 피동풀리(34)와 한 쌍을 이루게 되며, 상기 구동풀리(49)와 피동풀리(34)사이에는 벨트(35)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44)의 구동력이 용지장착부(30)의 피동기어(33)에 전달됨에 따라 용지(혹은 감사지)를 감아 보관할 수 있는 후술하는 스풀(60,6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정렬수단(A)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의 양쪽 측면에 위치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 각각 배치되어 써멀프린터헤드(41)에 회동축(a)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일측으로 스프링고정부(b)가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는 편심캠(46a)과, 상기 편심캠(46a)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측벽(11)에 형성된 고정돌기(14)에 체결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편심캠(46a)의 스프링고정부(b)에 연결되는 스프링(4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정렬수단(A)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서 각각 상기 감속기어세트(45)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회동 가능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4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편심캠(46a)의 스프링고정부(b) 일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측벽(11) 상에 형성된 고정돌기(14)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의 양측면에서 회동축(a)을 매개로 연결된 편심캠(46a)에 탄성력을 부여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가 탄력적이면서 균일하게 이송롤러(42)에 접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정렬수단(A)의 조립 및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와 이송롤러(42)가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 바깥쪽에서 상기 편심캠(46a)의 회동축(a)을 관통시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한 써멀프린터헤드(41)의 양측면에 각각 끼워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의 양측면에 각각에 배치된 상기 편심캠(46a)의 스프링고정부(b)에 상기 스프링(46b)의 일단을 끼워서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46b)의 타단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측벽(11)에 형성된 고정돌기(14)에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스프링(46b)의 탄성력이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의 양측면에 연결된 편심캠(46a)을 통해 써멀프린터헤드(41)에 작용함에 따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의 전면이 균일하게 이송롤러(42)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의 전면이 이송롤러(42)의 전면과 들뜸없이 일정압력으로 균일하게 접촉됨으로써,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와 이송롤러(42)사이로 이송 공급되는 용지(50)에 인자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오픈수단(B)은 상기 회동축(a)을 통해 써멀프린터헤드(41)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편심캠(46a) 중 하나의 편심캠(46a)에 상기 스프링고정부(b)의 반대편 쪽으로 연장 형성된 헤드오픈레버부(c)와, 상기 헤드오픈레버부(c)와 면 접촉을 통해 편심캠(46a)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측벽(11)에 수평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면서 이 자유단을 잡고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오픈레버락(4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오픈레버락(46c)은 일단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측벽(11)에 형성된 고정보스(13)에 끼움 설치되고, 그 자유단이 사용자가 잡고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바(bar)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46a)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오픈레버락(46c)의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쪽 측벽(11) 중 한쪽 측벽(11)에만 설치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에 회동축(a)으로 각각 연결되는 상기 편심캠(46a)의 구조가 서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오픈레버락(46c)이 연결되는 상기 편심캠(46a)의 경우(도 7참조)에는 상기 스프링(46b)과의 연결을 위한 스프링고정부(b)가 연장 형성된 구조에서 오픈레버락(46c)과의 면 접촉을 위해 스프링고정부(b)의 반대편 쪽으로 헤드오픈레버부(c)가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오픈레버락(46c)이 설치되는 않는 쪽의 상기 편심캠(46a)의 경우(도 8참조)에는 상기 헤드오픈레버부(c)의 구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46b)과의 연결을 위한 스프링고정부(b)만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오픈레버락(46c)에 있어서, 상기 고정보스(13)에 끼움 설치된 오픈레버락(46c)의 일단 후면 쪽에는 커버돌기(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커버돌기(d)는 상기 편심캠(46a)의 헤드오픈레버부(c)가 상기 오픈레버락(46c) 후면에 면 접촉 상태로 연결될 때 상기 헤드오픈레버부(c)의 측면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헤드오픈레버부(c)의 측면 유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오픈수단(B)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헤드정렬수단 (A)을 통해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가 이송롤러(42)에 접촉된 상태에서 잼을 제거하고 용지(50)를 교환하거나 내부수리를 하기 위하여 써멀프린터헤드(41)를 이송롤러(42)로부터 이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오픈수단(B)을 이용하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오픈레버락(46c)의 자유단을 잡고 소정방향(시계방향)으로 돌리면(본체프레임(10)의 측벽(11) 상단면 쪽으로 수직하게 세우면), 상기 오픈레버락(46c)의 후면에 면 접촉하고 있는 편심캠(46a)의 헤드오픈레버부(c)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에 연결된 회동축(a)을 기준으로 편심캠(46a)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편심캠(46a)의 스프링고정부(b) 일단에 연결된 스프링(46b)이 신장된다.
특히, 이때 상기 오픈레버락(46c)이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면, 후방 쪽으로 밀린 상기 편심캠(46a)의 헤드오픈레버부(c) 쪽에서 상기 스프링(46b)의 탄성 복원력의 영향으로 원 상태로 복원되려는 반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상기 반력이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상기 고정보스(13)에 끼움 고정된 오픈레버락(46c)의 후면에서 수평한 직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계로 오픈레버락(46c)이 초기 상태로 회동하지 않고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캠(46a)의 회동축(a)을 매개로 연결된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되면서 이송롤러(42)로부터 후방 쪽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수리 혹은 용지(50) 교환을 완료한 후 사용자가 오픈레버락(46c)의 자유단을 밀어 다시 원상태(수평상태)로 복귀시키면, 상기 신장된 스프링(46b)이 복원되면서 편심캠(46a)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이송롤러(42)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용지장착부(30)는 용지(5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용지장착부(3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방에서 상기 프린터홀더부(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된 단품 형태로 제작된 것이다.
이때, 상기 용지장착부(30)에는 용지(50)의 외주 형상에 관계하여 오목하게 곡면 형성된 용지자리부(31)가 마련되고, 상기 용지자리부(31)는 수용되는 용지(50)의 폭이나 지름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즉, 상기 용지자리부(31)의 폭보다 큰 용지(50)는 장착할 수 없고, 다만 각각의 프린터에 알맞은 1종 혹은 2종의 용지(50)만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지자리부(31)에 복수개의 구획라인(36a)을 형성한 다음, 별도의 구획판(36)을 통해 필요에 따라 용지자리부(31)의 구조를 1종만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도 4 및 도 5참조)와, 2종을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구조(도 1 내지 도 3참조)로 구획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제조자는 요구되는 써멀프린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용지자리부(31)에 마련된 구획라인(36a)에 별도의 구획판(36)을 끼워서 구획한 다음, 구획된 자리에 필요한 용지(50)를 올려놓는 것만으로 용지(5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지장착부(30)에는 감사용 용지(50) 즉, 감사지를 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스풀(60,60')이 장착되는 장착대(32)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대(32)는 용지장착부(30)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제1수직면(32a)과 제2수직면(32b)으로 마련되고, 제1 및 제2수직면(32a,32b)에는 상부를 향해 소정 크기의 홈(32c)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홈(32c)을 통해 스풀(60,6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장착대(32)의 제2수직면(32b)에는 피동풀리(34)와 결합된 피동기어(33)가 설치되고, 상기 피동기어(33)는 인쇄명령 하달 시 후술하는 구동모터(44)에 의한 이송롤러(42,42')의 회동과 동시에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게 되며, 상기 피동기어(33)는 스풀(60,60')의 일측에 마련된 체결기어(64,64')와 기어 결합되기 때문에 피동기어(33) 회전 시 상기 스풀(60,60')도 함께 회전하면서 용지(50)를 감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풀(60,60')은 용지(50)를 감아서 보관할 목적으로 단품 제작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1,61')과, 이 회전축(61,61)에 각각 설치되어 용지(50)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판(62,62') 및 착탈판(63,63')과, 체결기어(64,64')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판(62,62')의 외측에는 원형의 체결기어(64,64')가 일체로 체결 조립되고, 상기 체결기어(64,64')는 상기 장착대(32)에 설치된 피동기어(33)와 기어물림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판(62,62')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원판으로서, 상기 회전축(61,61')의 일단에 일체로 마련되어 용지(50)가 회전축(61,61')의 길이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62,62')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착탈판(63,63')은 회전축(61,61')의 타단 혹은 가운데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지(50)의 타측면을 지지하며, 필요시 착탈판(63,63')을 분리하여 회전축(61,61')에 감겨 보관된 용지(50)를 빼낼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61,61')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되지 않은 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에 상기 용지(50)의 일단이 삽입되어 헛돌지 않으면서 회전축(61,61')에 바르게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홈의 길이방향 측 양단 중 착탈판(63,63') 측의 단부는 개방되어 용지(50)가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풀(60,60')의 구조는 써멀프린터의 형태 즉, 1종의 용지를 장착하느냐? 2종의 용지를 장착하느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종의 용지(50)가 장착되는 써멀프린터에 사용되는 스풀(60)은 상기 회전축(61)의 일단에 고정판(62)이 마련되고, 상기 착탈판(63)이 회전축(61)의 중앙부위에 장착되어 회전축(61)의 좌 우측을 분할 구획하게 되며, 상기 고정판(62)과 착탈판(63) 사이에 감사용 용지(50)가 감겨 보관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종의 용지(50)가 장착되는 써멀프린터에 사용되는 스풀(60')은 상기 고정판(62')과 착탈판(63')이 회전축(61')의 양단 부위에 각각 마련되어 고정판(62')과 착탈판(63') 사이의 회전축(61') 전체에 용지(50)가 감겨 보관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풀(60,60')은 상기 용지장착부(30)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장착대(32)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홈(32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용지장착부(30)의 장착대(32)에 체결 조립된 상기 피동기어(33)에 상기 체결기어(64,64')가 기어물림 됨과 아울러 상기 용지(50)의 일단을 상기 회전축(61,61')의 끼움홈에 끼운 상태로 감아 놓음으로써, 써멀프린터 작동 시 상기 구동모터(44)의 작동과 함께 전술한 동력전달 과정을 통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써멀프린터헤드(41)와 이송롤러(42,42')사이를 거치면서 상품의 거래내역이 인자된 용지(50) 중 감사지에 해당하는 용지(50)가 스풀(60,60')에 감겨서 보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써멀프린터를 조립 제조할 때, 2종의 용지를 갖는 금전등록기에 적용되는 써멀프린터와, 1종의 용지와 칩 형태의 회계메모리를 갖는 회계타입 금전등록기에 적용되는 써멀프린터 중 어느 하나로 상호 병행 조립이 가능한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를 제공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금전등록기의 종류에 맞춰 하나의 제조라인에서 써멀프린터의 구성부품 중 상호 호환이 가능한 몇 개의 부품만을 교체하여 호환 조립 가능하게 됨에 따라 하나의 제조라인에서 각 국가별 세법 규정에 따른 두 가지 종류의 써멀프린터 생산 형태를 자유로이 변경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써멀프린터를 생산 제조하여 판매하는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제조라인을 통해 두가지 종류의 써멀프린터의 조립 생산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금전등록기의 제조 라인 구성에 따른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생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써멀프린터의 경우, 용지의 가변 즉, 용지의 크기(폭)에 따라 관련된 부품들을 별도로 제작해야하기 때문에 제조 및 개발비용이 상승하여 원가가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간의 상호 호환 조립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제조 및 개발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써멀프린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써멀프린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써멀프린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써멀프린터의 요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좌, 우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써멀프린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프레임 20 : 프린터홀더부
30 : 용지장착부 31 : 용지자리부
32 : 장착대 33 : 피동기어
34 : 피동풀리 35 : 벨트
36 : 구획판 40 : 프린터기구부
41 : 써멀프린터헤드 42, 42' : 이송롤러
43,43' : 가이더 43a : 분할판
44 : 구동모터 45 : 감속기어세트
48 : 보호커버 49 : 구동풀리
50 : 용지 60,60' : 스풀
61,61' : 회전축 62,62' : 고정판
63,63' : 착탈판 64,64' : 체결기어
A : 헤드오픈수단 B : 헤드정렬수단

Claims (5)

  1. 용지에 상품의 거래내역을 인자하는 써멀프린터헤드, 상기 써멀프린터헤드와 밀착된 상태에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로 용지를 안내하는 가이더, 상기 이송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등의 구성부품이 유기적으로 결합 배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용지를 안착 수용하여 써멀프린터헤드와 이송롤러 사이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용지를 안착 수용하는 용지자리부 및, 용지를 감아서 보관하는 스풀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대가 구비된 용지장착부를 포함하는 써멀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자리부의 바닥면에는 1종 또는 2종의 용지를 선택적으로 안착 가능하도록 용지의 폭에 대응되는 자리를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라인이 형성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구획라인에 구획판이 끼움 조립되어 용지의 폭에 맞게 용지자리부가 구획되고,
    상기 가이더는 본체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곡면부의 곡면을 따라 안착 조립될 수 있는 단품으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용지자리부에 안착되는 용지의 갯수 및 폭에 맞춰 1종 또는 2종의 용지를 안내할 수 있게 가이더의 폭이 일체 혹은 분할 가능한 구조로 각각 제작되며,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용지자리부에 안착되는 용지의 갯수 및 폭에 맞춰 각각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일직선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거나, 하나의 일체형 롤러가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1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로 조립 제작되는 경우,
    상기 용지자리부의 좌우 가장자리 쪽에 형성된 구획라인에는 복수개의 구획판이 각각 끼움 삽입되어 1종 용지의 규격에 맞게 용지자리부가 구획되고,
    상기 가이더는 1종의 용지 폭에 맞는 일체형 가이더가 조립되며,
    상기 이송롤러는 1종의 용지 폭에 맞춰 하나의 일체형 롤러가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에 마련된 이송롤러용 장착공에 삽입 고정되어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2종의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써멀프린터로 조립 제작되는 경우,
    상기 용지자리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획라인에는 하나의 구획판이 끼움 삽입되어 구획판을 기준으로 좌우 측에 2종의 용지가 각각 장착 가능하게 용지자리부가 구획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용지자리부에 안착된 2종의 용지 폭에 각각 맞도록 가이더의 중앙부위에 분할판이 체결 조립되며,
    상기 이송롤러는 2종의 용지 폭에 각각 맞춰 분리된 두 개의 롤러가 한 쌍을 이루어 구조를 갖으며, 분리된 이송롤러의 일단이 상기 가이더의 분할판에 지지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본체프레임의 양쪽 측벽에 마련된 이송롤러용 장착공에 삽입 고정되어 본체프레임 양쪽 측벽 사이에 걸쳐 일직선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는 하나의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이송롤러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에는 두 개의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분리된 두 개의 롤러 각각에 연결되어 이송롤러를 각각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KR1020040018897A 2004-03-19 2004-03-19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KR100581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97A KR100581353B1 (ko) 2004-03-19 2004-03-19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97A KR100581353B1 (ko) 2004-03-19 2004-03-19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927A true KR20050093927A (ko) 2005-09-23
KR100581353B1 KR100581353B1 (ko) 2006-05-17

Family

ID=3727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97A KR100581353B1 (ko) 2004-03-19 2004-03-19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3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86B1 (ko) * 2006-04-18 2007-07-10 (주)코아정보시스템 영수증 및 라벨 겸용 서멀 프린터
KR101246082B1 (ko) * 2011-04-29 2013-03-21 주식회사 신흥정밀 써멀프린터의 커버프레임 개폐장치
CN110525066A (zh) * 2019-10-09 2019-12-03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转印打印机
CN110549755A (zh) * 2019-10-09 2019-12-10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转印打印头及包含其的打印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86B1 (ko) * 2006-04-18 2007-07-10 (주)코아정보시스템 영수증 및 라벨 겸용 서멀 프린터
KR101246082B1 (ko) * 2011-04-29 2013-03-21 주식회사 신흥정밀 써멀프린터의 커버프레임 개폐장치
CN110525066A (zh) * 2019-10-09 2019-12-03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转印打印机
CN110549755A (zh) * 2019-10-09 2019-12-10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转印打印头及包含其的打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353B1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972B2 (en) Plastic card reorienting mechanism and interchangeable input hopper
CN101758676B (zh) 带式打印机
EP0798122A2 (en)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plural printer units
CN102126627B (zh) 装载装置、传送装置及记录装置
EP0219624A2 (en) Foldable printer
US7362346B2 (en) Printer apparatus
US11724905B2 (en) Printer with improved paper dispensing mechanism
KR100581353B1 (ko) 용지 가변에 따른 조립의 호환성을 갖는 써멀프린터
US5645360A (en) Tape cassette used in tape printing apparatus
US20070009305A1 (en) Printer
JP6430127B2 (ja) プリンタ装置
EP2540514B1 (en) Printer
US7268793B2 (en) Device for arraying a thermal printer head for use in a thermal printer
US7753308B2 (en) Mechanism for preventing a winding slack of a roll paper
KR20140131063A (ko) 복권 발매용 단말기
JP5754222B2 (ja) 印刷装置
EP2511100B1 (en) Double-sided printer for printing receipts on thermal paper
JP2000044099A (ja) プリンタ
EP1602607A1 (en) Medium issue apparatus
EP1403073B1 (en) Thermal printer and portable-type terminal equipment
KR100746240B1 (ko) 소형 프린터의 용지 폭 조절장치
KR890002870Y1 (ko) 수표 발행장치
JP3551955B2 (ja) 記録装置
EP0694416A1 (en) Ribbon cartridge
US5201593A (en) Printing apparatus with multiple ribbon casset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