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479A - 홍어 추출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홍어 추출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479A
KR20050093479A KR1020040018949A KR20040018949A KR20050093479A KR 20050093479 A KR20050093479 A KR 20050093479A KR 1020040018949 A KR1020040018949 A KR 1020040018949A KR 20040018949 A KR20040018949 A KR 20040018949A KR 20050093479 A KR20050093479 A KR 20050093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skate
hot water
day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7371B1 (ko
Inventor
임현수
최명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여수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여수대학교) filed Critical 대한민국(여수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01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3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어의 가식부, 내장, 뇌 및 연골 부위 열수추출물의 발효 온도 및 과정에 따른 성분, pH 및 암모니움 이온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들의 항균성, 항암성 및 항산화성의 생리기능성을 평가하여 홍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함에 관한 것으로, 항균성, 항암성 및 항산화성 활성을 갖는 10℃에서 0~10일 동안 발효시킨 홍어의 부위별 열수추출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홍어 추출물의 용도{Use of Raja kenojei extract}
본 발명은 홍어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홍어의 가식부, 내장, 뇌 및 연골 부위 열수추출물의 발효온도 및 과정에 따른 성분, pH 및 암모니움 이온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들의 항균성, 항암성 및 항산화성의 생리기능성을 평가하여 홍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함에 관한 것이다.
홍어류(Skate, Raja kenojei Muller et Henle)는 가오리과에 속하는 연골, 저서성 어류로써 대부분의 전세계 해역의 담해에서 수심 약 3,000 m 까지 서식하며, 보존적인 형태적 특징을 가지면서 연골어류 중에서 높은 종다양성을 나타내는 독특한 그룹으로 전세계에 약 280종이 보고되어 연골어류 총 종수(900∼1100종)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는 매우 번성한 그룹이다. 우리나라의 남서해 및 일본의 중부이남해역과 동중국해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목포, 영광, 부산 등지에서 많이 어획되고 있다. 홍어의 주식은 오징어류, 젓새우류, 게류, 갯가재류 등으로 홍어 자체의 영양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목포 등지에서 전통 식품으로 발효시켜 즐겨 애용하였으나, 현재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점차 애용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홍어의 독특한 향은 바다 깊은 곳에서 삼투압조절을 위하여 내부에 요소 및 요소 전구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코를 자극하는 향과 톡 쏘는 맛이 형성되며 생성된 암모니아가 유해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홍어특유의 풍취를 낸다. 홍어 및 그 발효제품에서는 유리 아미노산인 안세린(anserine), 타우린(taurine), 알라닌(alanine), 리신(lysin) 등이 다량 검출되었는데 특히, 안세린은 감칠맛을 줄뿐만 아니라 근육의 완충능, 미오신 ATPase(myrosine ATPase)의 부활작용과 사이토크롬 옥시다아제(cytochrome oxidase)의 활성화를 위한 철이온 수송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우린은 홍어 효 중에 오히려 더 많이 생산되는데, 이것은 콜레스테롤 축적을 예방하는 이외에 여러 가지 생리기능을 갖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가오리의 풍미성분, 고등어, 청어, 연어, 대구, 상어 등의 지방산은 보고된 바 있고 홍어에 관해서는 지방산 함량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홍어발효식품의 생리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홍어가 수산 전통 발효식품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수산물 가공공장에서는 아직까지도 고전적인 방법으로 홍어를 발효시키고 있다. 그러나 발효홍어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여 전남지역에서만 대략 월 200억에 달하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홍어 발효식품의 과학화 및 균일화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어의 가식부, 내장, 뇌 및 연골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발효 온도 및 과정에 따른 성분, pH 및 암모니움 이온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들의 항균성, 항암성 및 항산화성의 생리기능성을 평가함으로써 홍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홍어를 다양한 온도 및 시간동안 발효시켜 성분, pH 및 암모니움 이온의 변화를 조사한 후 최적 발효온도를 정하고 홍어의 각 부위별 열수추출물을 얻고 이들의 항균효과,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홍어의 발효단계; 상기 홍어의 성분, pH 및 암모니움 이온의 변화 조사단계; 홍어의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항균효과, 항산화성 및 항암성 평가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 홍어 열수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홍어(Raja kenojei Muller et Henle)는 전라남도 나주시 (주)영산포 식품에서 냉동 보관한 상태로 실험실로 운반하여 완전해동한 후 표면을 수돗물로 두 번, 증류수로 한 번 세척하였다. 이를 멸균한 거즈로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4, 10, 20℃에서 각각 습도를 60-90%로 설정하여 최장 16일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시간은 낮은 온도일수록 발효의 진행이 느리므로, 4℃는 16일간으로, 10℃는 8일간, 20℃는 6일간 발효하여 부패취가 나기 전까지 발효시켰다. 열수 추출 시료는 발효기간에 따라 부위별(가식부, 내장, 뇌)로 나누어 마쇄하고(HMF-340, Han-Il, 한국), 시료 1g 당 30 mL의 증류수를 넣고(Lee, Y. O. 1996.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substance of Kimchi. p.51. Doctoral thesis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환류냉각기를 부착시킨 후 플라스크에 30분간 100℃로 3회 반복 추출한 액을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과된 액을 다시 동결 건조하여 홍어 각 부위별 열수추출물(hot water extracts)로 하였으며, 연골은 ㈜영산포식품에서 분말을 직접 가져와 열수추출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발효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홍어 열수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홍어를 4, 10, 20℃에서 습도를 60∼90%로 설정하여 각각의 조건에서 발효시키면서 기간별 일정량을 채취하여 동결건조하여 마쇄한 후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A.O.A.C.방법(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Chapter 35, pp.382-383. 16th eds, Assoc. Off. Anal. Chem., Washington D.C.)에 따라 조지방은 Soxhlet법, 조단백질은 micro-Kjeldahl법, 회분은 600℃ 직접회화법으로 분석하였다.
4℃ 발효 시 성분 변화(%)
발효시간(일) 조 단백질 조 지방 조 회분
01246810121416 88.15±0.92*1) 88.09±1.8988.20±2.4988.12±0.2187.87±1.1987.41±2.1886.85±0.3687.07±1.2587.04±0.2587.04±2.45 2.24±0.472.82±0.212.35±0.232.08±0.092.20±1.022.13±0.422.01±0.182.01±0.792.04±0.172.02±0.64 9.63±2.059.89±2.639.59±1.049.75±2.129.99±0.0210.35±3.0410.86±2.8110.97±3.0210.97±1.0210.97±0.02
*: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1): 실험은 3회 반복실시하였다.
10℃ 발효 시 성분 변화(%)
발효시간(일) 조 단백질 조 지방 조 회분
012468 87.71±2.82*1) 85.49±0.0886.88±3.2586.43±3.0486.51±2.0284.97±6.81 2.82±0.012.82±0.022.81±0.092.53±0.021.93±0.051.08±0.04 9.56±0.0810.51±2.6911.03±4.2511.03±4.0211.60±2.0314.04±3.16
*: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1): 실험은 3회 반복실시하였다.
20℃ 발효 시 성분 변화(%)
발효시간(hr) 조 단백질 조 지방 조 회분
01246 88.09±2.68*1) 87.27±4.7986.89±0.5883.32±3.5186.04±6.11 2.29±0.032.65±0.282.28±0.062.57±0.082.72±1.06 9.55±0.249.97±0.0210.87±0.0814.24±0.9011.31±0.80
*: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1): 실험은 3회 반복실시하였다.
표 1,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4℃의 경우(표 1)는 성분의 변화가 거의 없었는데 이는 낮은 온도에서 발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10℃ 발효 홍어는 건조시료 100g을 기준으로 한 경우 발효기간 동안 회분함량의 변화가 9.59%-14.04% 로써 오히려 약간 증가하였다. 이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침출액의 유출로 인해 주요 고형분인 단백질 및 지방함량이 감소되고 상대적으로 회분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되며 발효 전 홍어보다 발효된 제품의 홍어에서 회분함량이 약간 높았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Lee, K. A. 1999.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fermented commercial skate, Raja kenojei. p.9. Master thesis of Yosu National University.).
또한, 지방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함량도 87.71-84.97%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약간 감소하였는데, 이는 발효동안 홍어 육질의 분해로 인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20℃ 발효 홍어는 건조시료 100 g을 기준으로 발효기간에 따라 단백질의 함량이 평균 88.09-86.04%, 지방 2.29-2.72% 정도로 비교적 비슷하였고, 회분함량은 9.55-11.31% 정도로 10℃ 발효 홍어와 비슷하였다. 따라서 발효 온도 및 기간에 따라 일반성분의 변화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pH 및 암모니움 농도 측정
홍어를 4, 10, 20℃에서 발효시키면서 채취한 유출액의 온도에 따른 pH 및 암모니움 농도의 측정은, 홍어를 발효시키면서 침출되는 액 20 mL을 취하여 증류수 180 mL로 희석하였다. 시료 액의 pH는 pH 미터(Model 735P, 한국 이스텍 인코퍼레이션)로 측정하였고, 암모니움의 농도는 암모니움 일렉트로드(Model 735P, 한국 이스텍 인코퍼레이션)와 Phenali법(Arnold E. G., R. Chairman, T. Rhodes and S. C. Lenore. 198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pp. 382-383. 16th eds, APHA, Washington.)으로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4℃의 경우 발효 4일까지 약간 증가한 듯하나 10, 20℃에 비해 매우 pH의 상승폭이 낮았는데, 이는 낮은 온도에서 발효하는 관계로 암모니움의 생성 또한 적어서 pH의 상승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10℃의 경우는 pH가 초기에 6.3에서 하루 만에 7.65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발효 5일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그 이후에 2차적으로 증가, 발효 8일에 최대로 pH 9.05를 나타내었다. 20℃의 경우는 발효 초기부터 pH가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발효 4일에 8.93을 나타내어 이후 완만하였다. 또한 20℃는 10℃ 보다 발효가 빠른 것으로 보아 높은 온도에서 발효 진행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인 식품에서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미생물의 작용이나 부패세균에 의해 pH가 낮아지는 것과는 반대로 홍어에서는 pH가 증가하였다. 이는 홍어가 삼투압 조절을 위해 체내에 요소 및 요소 전구체를 함유하고 있던 것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체외로 유출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4℃ 발효 온도에서는 시간별 암모니움 이온 농도 함량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10, 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발효시킨 결과로 적숙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15일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어 발효의 최적숙기는 과학적으로 밝혀진 자료는 없으나 본 발명자의 연구실(여수대학교 생명공학과)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한 관능평가결과(미도시됨) 암모니움 농도 10.0 mg/mL 부근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이를 표준으로 삼았다. 10℃에서 발효시킨 경우 5일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8일에 14.2 mg/mL을 나타낸 후 약간 증가하였다. 따라서, 10℃ 경우에서 5일이 발효 진행 초기, 6일이 적숙기 초기이며 9일이 적숙후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20℃ 경우 4.5일에 암모니움 이온 농도가 10.3 mg/mL에 도달하여 10℃에 비해 발효 진행 초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12시간 더 빨랐다. 그러나 홍어 발효 온도에 따른 발효특성은 4℃의 경우 발효기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경제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20℃의 경우 짧은 시간에 발효가 진행되었으나 높은 온도에서 발효시켜 조직이 물러지고 맛과 냄새가 10℃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어 발효는 10℃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홍어 유출액의 pH와 암모니움 이온 농도 측정을 통하여 발효진행 정도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발효 정도를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본 발명 홍어 추출물의 생리기능성 규명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10℃의 발효온도에서 발효기간에 따른 홍어의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항균효과, 항산화성 및 항암 활성을 조사하여 생리 기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1: 항균효과 측정
항균성 측정을 위한 홍어 각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0.5%, 1%, 2%가 되도록 각각 NB(Nutrient Broth, 미국 디프코 랩)배지에 첨가한 후 멸균하였고, 항균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대장균(E.coli (KCTC No.1039))를 최종농도가 3.6×105 CFU/mL로 접종하여 37℃, 120 rpm에서 22시간 동안 진탕항온수조(shaking water bath)에서 배양하면서 미생물의 생육정도를 분광광도계(UVS-30NP, 한국 선일 옵트론)를 사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흡광도(660 nm)를 측정하였다.
홍어 가식부 열수추출물의 항균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미도시됨). 이는 동·식물의 조직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탄소수 12∼18개의 중쇄지방산(medium-chain fatty acids)과 단백질의 변성에 의해 항균효과가 매우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숙성에 따른 홍어 내장 열수추출물의 항균성은 0.5% 첨가한 경우(도 3(a)), 발효 0일(대조군)의 경우는 배양 10시간에 36.6%였으며 이후부터 배양 18시간까지 항균효과가 조금씩 낮아졌다. 발효 4일째에는 균 배양 8시간째 11.9%이었고, 이후 균 성장 저해 효과가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효 8일에는 배양 8시간부터 18시간까지 15.5% 정도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발효 10일된 시료는 배양 8시간에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배양 18시간까지 일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1% 농도의 첨가에서(도 3(b)) 발효 0일, 18시간 배양후에 29.2%, 발효 4일에는 32.0%, 발효 8일에는 38.0%, 발효 10일에는 35.0%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2% 첨가한(도 3(c)) 군에서는 발효 0일 시료는, 최대 35.5%의 항균효과를, 발효 4일의 경우는 최고 23.4%로 낮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8일된 시료에서는 최대 43.3%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10일된 시료에서는 최고 38.3%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어 내장의 항균효과는 시료의 농도가 높고, 홍어 내장의 발효가 진행될수록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홍어 뇌 열수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균효과(도 4(a))에서 시료 0.5% 첨가한 군에서 균 배양 4시간째 23.0%였으며 균 배양 12시간째까지는 항균효과가 증가하였으나 이후 약간씩 감소하였다. 시료농도 1% 첨가한 군에서는 배양 4시간째에 최대 36.1%의 항균효과를, 시료 2% 첨가한 군에서는 최대 41.0%로 나타났으며, 배양시간 10시간째까지는 항균효과가 증가하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30% 정도까지 감소하였다. 따라서 홍어 뇌의 항균효과는 홍어 내장과 마찬가지로 시료농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좋았고, 미생물 배양초기에 균 성장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홍어 연골의 항균효과는 시료 0.5% 첨가한 군에서 균 배양 8시간째에 13.3%의 항균효과를 나타냈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시료 1% 첨가한 군에서는 균 배양 8시간째에 19.4%의 항균효과를 나타냈으며, 0.5%와 마찬가지로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항균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료 2% 첨가한 군에서는 배양 8시간째에 26.5%의 항균효과를 나타냈으며, 시료 0.5%, 1% 첨가한 군과는 달리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항균효과가 증가하여 배양 14시간째에 35.8%까지 증가한 후 일정하였다. 따라서 홍어 연골의 항균효과도 홍어 내장, 뇌의 열수추출물과 함께 시료 농도가 높을수록 항균효과는 높게 나타났으며, 항균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항산화성(수소 공여능)측정
α,α′-디페닐-β-피크릴하이드라질(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16 ㎎을 100 mL 에탄올에 녹인 후 여기에 100 mL 증류수를 혼합하여 와트만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2)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 5 mL에 조제된 시료를 1 mL 혼합한 후 528 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기존의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는 BHA(t-buthyl hydroxy anisole, 미국 시그마 케미칼 코퍼레이션)로서 농도는 0.02%로 조제하여 비교하였으며 블랭크는 3차 증류수로 하였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홍어 가식부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시료 1% 첨가한 군에서 발효 0일째 3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일, 8일, 10일째 각각 16.8%, 13.8%, 14.3%로 나타났으며 시료 2% 첨가한 군에서 발효 0일째 61.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일째 21.3%, 8일째 14.8%, 4일째 12.0%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어 가식부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은 발효 0일째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발효 4일째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여 10일째까지 낮은 항산화성을 보였다. 요산(urea)은 생체계의 항산화적 보호효과가 인정되고 있는 물질이다. 특히 홍어와 같은 해산연골어의 판새류에 요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해산 연골어의 배설양식이 요산 및 TMAO(Trimethylamine oxide)이기 때문이며 삼투압 조절물질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효 0일째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어 식품의 조리·가공에 천연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또는 기능성 식품 재료로 이용될 때 그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홍어 내장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은 시료 1%첨가한 경우 발효 8일째에 48.8%로 가장 높았으며, 발효 0일, 4일, 10일째에 각각 35.3%, 34.7%, 14.5%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 2% 첨가한 경우 발효 0일째에 54.4%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발효 8일째에 54.2%, 발효 4일째 45.5%, 발효 10일째 41.7%순이었다. 또한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성은 발효 0일째와 발효 8일째 모두 높게 나타났다. 홍어 뇌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의 많은 지질 성분과 단백질이 열수추출시 가열에 의해 쉽게 변성되고 산화되었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들 성분의 일부는 항산화력이 없거나, 항산화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존하는 다른 물질들의 산패촉진효과가 더 강하여 산패를 촉진하는 쪽으로 작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동물성 단백질 등을 효소 분해하여 얻은 저분자 펩티드로부터 생리활성의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 4(c)에 나타낸 홍어 연골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은 시료 0.5%첨가한 경우 14.4%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시료 1% 첨가한 경우 16.7%, 시료 2% 첨가한 경우 2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3: 항암성 평가
홍어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항암성을 평가하기 위해 MTT((3-[4,5-dimethyl 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ode) assay를 실시하였다. 암세포로는 HepG2(Hepatocellular carcinoma, human, ATCC No.HB-8065) 세포를 96-웰에 웰 당 1 x 104 세포수가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홍어 각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시료를 최종 농도가 125 mg/mL, 250 mg/mL, 500 mg/mL, 1,000 mg/mL 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MTT 용액 20 mL 를 첨가하고 동 배양조건에서 4시간 더 배양하였다. 4시간 후에 이소프로판올 150 mL를 넣어 불용성 포마잔을 녹이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독일 벤취마크 바이오래드 코퍼레이션),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암세포의 사멸성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항암활성=(대조구의 흡광도-시료 처리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x 100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홍어 가식부 열수추출물의 항암성은 시료 500 mg/mL 일 때 발효 0일, 4일, 8일, 10일째에 각각 41.5%, 32.9%, 51.1%, 49.6%로 나타나 발효가 진행될수록 약간 증가하였으며 시료 1,000 mg/mL 일 때 발효 8일째에 5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 6(b)에 나타낸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의 항암성은 시료 1,000 mg/mL일 때 발효 10일째에 58.3%, 4일째에 57.9%, 발효 8일째에 56.8%, 발효 0일째에 46.7%로 나타났다. 이는 곰취 열수추출물의 동일농도에서 HepG2에 대한 항암성 60%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홍어 내장 열수 추출물 시료의 항암성은 모두 높았는데 발효가 진행될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홍어 뇌 열수추출물의 항암성은 시료 250 mg/mL 에서 12.2%로 나타났으며, 500 mg/mL 에서 37.9%, 시료 1,000 mg/mL 일 때 4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홍어 연골 열수추출물의 항암성은 시료 125, 250, 500 mg/mL 에서 각각 26.8%, 28.1%, 33.6%로 나타났고, 1,000 mg/mL 일 때 38.3%로 가장 높았다. 홍어의 연골 및 피부 등에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가 함유되어 있는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는 생물체내의 결합조직에 널리 분포하는 점질성 다당류로서 단백질과 결합하여 콘드로이틴 당단백질(chondroitin mucoprotein)으로 존재한다. 또한, 콘드로이틴 나트륨은 척추동물의 연골과 결합조직, 골등의 지지조직, 대동맥, 심장판막, 힘줄, 피부, 각막등에 존재하며 피부노화방지, 뼈형성, 항종양 및 항동맥경화등의 생리활성 작용이 우수하고 특히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좋아서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및 의약품으로 이용되어진다. 또한, D-글루쿠론산, N-아세틸갈락토스아민(N-acethylgalactosamine)과 황산기로 구성되어 황산기의 위치에 따라 A, B, C, D, E, K의 6종류가 보고되고 있다. 해양동물인 해삼의 당단백질과 황산콘드로이틴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추출 황산콘드로이틴과 당단백질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강한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같은 1000 mg/mL 에서 홍어 연골보다는 내장과 가식부의 항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어의 부위별 열수추출물 중에서 홍어 연골 뿐 아니라 가식부와 내장 부분에서도 기능성 단백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리라 사료되지만 항암성 물질의 규명을 위해서는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행해져야 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홍어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항균성, 항암성 및 항산화성 활성을 갖는 10℃에서 0~10일 동안 발효시킨 홍어의 부위별 열수추출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홍어추출물은 기능성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발효 온도에 따른 홍어 유출액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발효 온도에 따른 홍어 유출액의 암모니움 이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다양한 농도(a: 0.5%; b: 1%; c: 2%)의 홍어 내장 열수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다양한 농도의 홍어 뇌(a)와 연골(b)의 열수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홍어의 가식부(a), 내장(b) 및 연골(c)의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홍어의 가식부(a), 내장(b), 뇌와 연골(c)의 열수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3)

10℃에서 0~10일 동안 발효시킨 홍어 내장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용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어 내장추출물은 0.5~2 중량%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용 조성물.
10℃에서 0~10일 동안 발효시킨 홍어 내장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용 조성물.
KR1020040018949A 2004-03-19 2004-03-19 홍어 추출물의 용도 KR10060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49A KR100607371B1 (ko) 2004-03-19 2004-03-19 홍어 추출물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49A KR100607371B1 (ko) 2004-03-19 2004-03-19 홍어 추출물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479A true KR20050093479A (ko) 2005-09-23
KR100607371B1 KR100607371B1 (ko) 2006-08-02

Family

ID=3727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949A KR100607371B1 (ko) 2004-03-19 2004-03-19 홍어 추출물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50B1 (ko) * 2010-09-29 2013-02-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홍어 껍질 유래의 알츠하이머 질병의 억제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50B1 (ko) * 2010-09-29 2013-02-0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홍어 껍질 유래의 알츠하이머 질병의 억제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371B1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9303B2 (ja) 新種の微生物およびその利用法
KR101207410B1 (ko) 저염의 어패류 발효 젓갈의 제조방법
IL174166A (en) Method for fermentation of plant material and fermented plant material extract and uses thereof
CN103549484A (zh) 一种用于腌制肉制品的腌制剂及腌制腊肉的方法
CN106797999A (zh) 一种植物源复合保鲜剂及其制法和在对虾保鲜中的用途
Gildberg et al. The effect of reduced salt content and addition of halophilic lactic acid bacteria on quality and composition of fish sauce made from sprat
CN104164090A (zh) 一种egcg纳米脂质体可食用膜及其制备方法
KR100481971B1 (ko) 미생물 고상발효에 의한 사료용 효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680B1 (ko) 식품의 선도유지용 항산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제 조성물
KR20190050379A (ko)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KR101483563B1 (ko) 천연물의 염장 발효 방법 및 그 발효 추출물
Bo et al. Growth performance, gut and haemo-microbial study of finishing broilers fed African sweet basil (Ocimum gratissimum) leaf extract
KR101972838B1 (ko)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80004515A (ko) 유산균 배양에 의해 얻어지는 혈압 저하제
CN110547384B (zh) 一种小黄鱼骨胶原抗菌肽及其应用
CN103667093A (zh) 一种具有食品防腐保鲜作用的植物乳杆菌929-2菌株及其应用
KR100607371B1 (ko) 홍어 추출물의 용도
Fahlivi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quid fertilizer from fish viscera
KR20200067075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Abdolmaleki et al.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l Seed Gum-based Film Enriched with Echinophora platyloba Extract and Its Preserv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Silver Carp.
CN108041402A (zh) 一种复合型生物防腐剂的制备方法
KR20150037151A (ko) 허브즙 및 유산균을 함유하는 육류 가공용 염지제 조성물
EP0290716A2 (de) Verfahren zur Konservierung von Geflügel- und Frischfleischprodukten mit Hilfe eines bakterienlysierenden Enzymprodukts aus Streptomyceten
KR102017215B1 (ko) 개복치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awalata et al. The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to improve the quality and number of carnocine during fermentation process of Bakasang as a functional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