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66A -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66A
KR20050090866A KR1020040016144A KR20040016144A KR20050090866A KR 20050090866 A KR20050090866 A KR 20050090866A KR 1020040016144 A KR1020040016144 A KR 1020040016144A KR 20040016144 A KR20040016144 A KR 20040016144A KR 20050090866 A KR20050090866 A KR 2005009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협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866A/ko
Publication of KR2005009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불대와 알콜 센서를 이동통신 단말기내부에 장착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음주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3) 일측면에 외부로 불대(17)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음주측정 모듈(1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불대와 알콜센서를 단말기 본체 내부에 삽입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단말기 휴대자라면 누구나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음주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lcohol maesuring function}
본 발명은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주 측정용으로 사용되는 전자코 센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여 단말기 사용자라면 누구나 때와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쉽게 음주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점차적으로 음주운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단속이 강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단속을 하는 쪽이나 단속을 회피하려는 쪽에서 모두 음주측정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음주측정기는 비교적 고가의 장비로 일반일들이 구매하기에는 많은 부담이 따르고, 따라서 손쉽게 음주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일반 소비자의 요구는 충족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콜 센서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단말기(101)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체(103) 일측에 알콜 센서(105)가 장착되어 있으며, 패드(107) 위의 기능키 중 하나를 음주측정 온오프 키(109)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단말기(101)에 의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 설정에 의해 또는 원하는 즉시 온오프 키(109)를 조작하여 단말기(101)를 음주측정 모드로 전환한 뒤, 알콜 센서(105)를 향해 입김을 불어 넣음으로써 자신의 음주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 때 센서(105)에 의해 측정된 알콜 성분 양은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액정화면(111)에 표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알콜 성분을 측정하는 센서(105) 부분에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 넣을 수 있게 해주는 불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동 중일 때처럼 센서(105)에 정확히 중심을 맞추지 못할 경우 음주량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주측정기"로 국내 특허출원 제10-2002-0042726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 단말기(201)에 의하면,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음주측정용 모듈(210)을 단말기(201)의 통신 커넥터(213)에 연결함으로써 단말기의 배터리(212), 액정화면(211) 및 메모리 등 내부 회로와 모듈(210)의 알콜 센서(215), 불대(217) 및 알콜 측정회로를 조합시켜 사용자의 음주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주량 측정 시 불대(217)를 통해 센서(215)까지 입김을 불어 넣게 되므로 입김이 정확하게 전달되어 음주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 단말기(201)의 경우에는 음주 측정을 위해 단말기(1) 외에 별도의 모듈(210)이 있어야 하므로 음주 측정을 위해 모듈(210)을 상시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음주측정기를 단말기 몸체에 일체로 구비하고, 음주측정기의 불대를 이용해 알콜 센서까지 음주측정자의 입김이 충분히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센서에의 입김 노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편리하고 정확한 음주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일측면에 외부로 불대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음주측정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면부호 1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체 일측에 음주측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음주측정 모듈(10)이 구비되는 바, 이 음주측정 모듈(10)은 다시 음주측정 장치로서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인 불대(17)와 알콜 센서(19) 그리고 이들이 설치되는 보관함(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음주측정 모듈(10)은 불대(17)를 단말기 본체(3)의 바깥쪽으로 뽑아낼 수 있고, 이 불대(17)의 끝쪽에 알콜 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이든 관계 없이 본체에 적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 배면의 배터리(4) 상부에 개폐식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체(3)의 배면 위쪽을 케이스 모양으로 움푹하게 들여보내고, 그 바깥쪽에 힌지식으로 여닫을 수 있는 뚜껑(23)을 붙여 보관함(21)을 제작함으로써 그 안에 불대(17)와 알콜 센서(19)를 개폐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뚜껑(23)은 복수의 힌지(25)에 의해 보관함(21) 에지 부분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힌지(25) 반대쪽 에지 부분에 개폐용 걸림돌기(27)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23)이 끼워지는 보관함(21)의 내주면에는 뚜껑을 스냅식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끼움돌기가 돌출되어 있다. 뚜껑(23)에는 또한 내측면에 불대(17)의 최대직경부인 고정관(29)과 이 고정관(29)의 취출구 측에 부착되어 있는 알콜 센서(19)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뚜껑(23)을 일정한 위치에 지지하도록 본체(3) 배면의 상단 에지 좌우측단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31)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관함(21) 내부에 장착되는 불대(17)와 알콜 센서(19)는 보관함(21)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컴팩트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알콜 센서(19)로서 소형의 전자코센서가 도입됨으로써 더욱 실현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당연히 불대(17)와 이 불대(17)의 취출구 인접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알콜 센서(19)와 불대(17)가 만나는 부분의 중앙에 취출되는 입김의 통기를 위한 통공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불대(17)는 도시된 것처럼 사용 시 연장되어 충분한 취출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보관에 필요한 용적은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라디오 안테나와 같이 절첩식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도 또한, 음주측정을 위한 별도의 모듈(51)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바, 이 모듈(51)은 기본적으로 길게 연장된 불대(67)와 이 불대(67)를 보관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3)를 관통하여 형성된 보관통로(71) 그리고 불대(67) 및 보관통로(71)로 이루어진 취출통로의 취출구 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알콜 센서(6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불대(6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통으로 되어 있는 기다란 스트로우 형태로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원통을 절첩식으로 연결한 라디오 안테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불대(67)는 사용 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통로(71) 위쪽으로 뽑아 올려져 본체(3)의 바깥쪽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 때 보관통로(71)에서 완전히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단에 원추형의 걸림돌기(78)가 돌출되어 있으며, 걸림돌기(78)가 맞물림 상태로 걸려 정지되도록 보관통로(71)의 취입구 내주면에 환형 돌기(78)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상 시에는 불대(67)를 보관하다가 사용 시 위로 뽑아져 올라간 불대(67)와 함께 취출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보관통로(71)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먼지 등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취입구와 취출구에 탄성 재질의 마개(73,75)가 끼워져 있으며, 특히 취입구 마개(73)는 보관통로(71)를 밀폐시킬 뿐 아니라, 불대(67)의 상단에도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관통로(71)는 도시된 것처럼 하단이 직각으로 굽거나 일직선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취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도 7에 은선으로 도시된 알콜 센서(69)와 연결되는 통공(72)이 관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관통로(71)는 단말기(1)의 안테나(6)와 같이 본체(3)를 관통하여 형성된 보관통로에 보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체(3) 내부의 공간 축소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배터리(4)와 이 배터리(41)가 결합되는 본체(3) 배면의 배터리 시트부(5)의 대응면에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통로홈(79,81)을 형성하여 보관통로(71)로 대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보관통로(71)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3) 위쪽을 관통하여 축선 방향으로 설치된 통로관(77)과,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4)와 배터리 시트부(5)의 합체 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공된 통로홈(79,81)으로 구성되는 바, 통로홈(79,81)은 배터리(4)와 배터리 시트부(5) 합체 시 하나의 원통관을 형성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로관(77)과 하나의 관처럼 연이어져 보관통로(71)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홈(81)의 취출구 측 끝부분은 배터리 시트부(5)를 둘러싸는 둘레벽(83)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보관통로(71)의 취출구 쪽 끝부분에 관통된 통공(72)을 통해 취출통로와 연결되어 있는 알콜 센서(69)는 불대(67)로부터 보관통로(71)를 지나 취출구로 빠져나가는 입김에서 알콜 성분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음주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 때 알콜 센서(69)로 취입되는 입김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취출구의 개방면적을 통공(72)의 개방면적보다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평상시 보관함(21)의 뚜껑(23)을 닫아 이동통신 단말기(1)로서 휴대함에 전혀 지장이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기(1)를 음주측정기로 사용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돌기(27)로 뚜껑(23)을 열어 음주측정 모듈(10)을 개방한다. 이 때 뚜껑(23)은 지지돌기(31)에 걸려 본체(3)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고정되며, 열린 뚜껑(23)을 따라 보관함(21)에 보관되어 있던 불대(17)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노출된 불대(17)를 고정관(29)에서 길게 빼내어 불대(17)에 입김을 불어넣게 되며, 불대(17)를 통과해 취출구(30)로 빠져나가는 입김은 취출구 쪽에 인접해서 관통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알콜 센서(19)로 취입되고, 이에 따라 입김 중에 잔류하는 알콜 성분이 센서(19)에 의해 감지되어 음주량을 측정하게 된다. 측정된 결과는 단말기(1)의 액정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이렇게 음주측정이 종료되면 뚜껑(23)을 닫아 음주측정 모듈(10)을 원위치시켜 단말기(1)를 손쉽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50)는 불대(67)가 안테나(6) 처럼 본체(3)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음주측정을 해야할 때 마개(73)를 뽑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대(67)를 위로 올려 불대(67)와 보관통로(71)가 함께 하나의 취출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사용자는 불대(67) 끝에 입을 대고 입김을 불어 넣으면 된다. 이에 따라 불대(67)를 따라 보관통로(71) 안으로 유입된 입김은 마개(75)가 열려진 취출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동시에 통공을 통해 알콜 센서(69)로 전달되며, 이 센서(69)에 의해 입김 중을 알콜 성분이 측정되어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음주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위와 마찬가지로 측정된 알콜농도는 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표시되며, 음주측정이 끝난 뒤에는 불대(67)를 보관통로(71) 안으로 밀어 넣고, 마개(73,75)를 닫음으로써 단말기(50)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음주측정기를 단말기 몸체에 설치함에 있어 불대와 알콜 센서를 단말기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단말기의 외형이나 휴대 간편성을 전혀 해치지 않으면서도, 음주측정 시 불대를 통해 사용자의 입김을 알콜 센서까지 충분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음주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형태의 음주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관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실시예에 따른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의 배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말기의 음주측정모듈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말기의 배터리 시트와 배터리의 통로홈을 상세 도시한 부분 상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단말기의 불대가 사용을 위해 위로 뽑아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말기의 부분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50 : 단말기 3 : 본체
4 : 배터리 5 : 배터리 시트부
6 : 안테나 10,51 : 음주측정 모듈
17,67 : 불대 19,69 : 알콜 센서
21 : 보관함 23 : 뚜껑
71 : 보관통로 72 : 통공
73,75 : 마개 79,81 : 통로홈

Claims (4)

  1. 본체(3) 일측면에 외부로 불대(17)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음주측정 모듈(1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10)은 단축이나 연장이 가능하도록 절첩식으로 되어 있는 불대(17), 상기 불대(17)의 취출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는 알콜 센서(19), 및 상기 불대(17)와 알콜 센서(19)를 상기 본체(3) 안쪽에 보관할 수 있도록 본체(3)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보관함(2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51)은 사용 시 상기 본체(3) 외부로 길게 연장되는 불대(67), 상기 불대(67)를 보관할 수 있도록 취입구와 취출구가 각각 마개(73,75)로 개방 가능하게 밀폐된 상태로 상기 본체(3)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보관통로(71), 및 상기 보관통로(71)의 취출구 측에 인접하여 관통된 통공(72)을 통해 상기 보관통로(71)와 이어진 채로 상기 본체(3)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알콜 센서(6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통로(71)는 상기 본체(3)의 내부를 관통하는 통로관(77)과, 배터리(4)와 상기 배터리 시트부(5) 합체 시 하나의 관로를 형성하여 상기 통로관(77) 부분과 이어지도록 상기 배터리(4)와 상기 배터리 시트부(5)의 대응면에 가공된 통로홈(79,8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16144A 2004-03-10 2004-03-10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90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44A KR20050090866A (ko) 2004-03-10 2004-03-10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44A KR20050090866A (ko) 2004-03-10 2004-03-10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66A true KR20050090866A (ko) 2005-09-14

Family

ID=3727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44A KR20050090866A (ko) 2004-03-10 2004-03-10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8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638B1 (ko) * 2005-10-1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가스 센서 모듈
CN103002086A (zh) * 2012-12-27 2013-03-27 苏州久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手机外壳
US10241105B2 (en) 2016-01-25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having exhalation sensing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638B1 (ko) * 2005-10-1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가스 센서 모듈
CN103002086A (zh) * 2012-12-27 2013-03-27 苏州久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手机外壳
US10241105B2 (en) 2016-01-25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having exhalation sens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1594A (en) Electronic book
US6614649B1 (en) Keyboard structur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US7185533B2 (en) Multi-function detecting pen
CA2440636A1 (en) Protective-sleeve cartridge and stethoscope incorporating same
US7047827B1 (en) Folding digital scale
US20080316688A1 (en) Electronic apparatus
US6888724B2 (en) Network card devic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US7412261B2 (en) Portable telephone
US20080316472A1 (en) Optical sens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90866A (ko) 음주측정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US5999770A (en) Developer container with sliding cover means
BR0106978A (pt) Filtro para combustìvel a diesel com um cartucho intercambiável
JP2005072765A (ja) 携帯電話機
US6795719B2 (en) Microphone assembly for a portable telephone with a foldable flap element
US20030000099A1 (en) Tape measure having illumination device
US20020067590A1 (en) Cover connecting mechanism
WO2018192294A1 (zh) 一种便于收纳的折叠式耳机
USD433838S (en) Flip-top display for wall and floor covering samples
US20030085804A1 (en) Hall-effect magnetic buzzer
US20050104576A1 (en) Meter with concealed probe receiving deck
US7147330B2 (en) Portable eyes protector for preventing the user's eyes from becoming myopic
KR100606058B1 (ko) 슬라이딩 액정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100562133B1 (ko) 음원개방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12421Y1 (ko) 다기능 필기구
KR20070009320A (ko) 포트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