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646A -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646A
KR20050090646A KR1020040015824A KR20040015824A KR20050090646A KR 20050090646 A KR20050090646 A KR 20050090646A KR 1020040015824 A KR1020040015824 A KR 1020040015824A KR 20040015824 A KR20040015824 A KR 20040015824A KR 20050090646 A KR20050090646 A KR 2005009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rt
mcu
curren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미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미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미칩스
Priority to KR1020040015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646A/ko
Publication of KR2005009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U(micro control unit)의 2개의 포트(port)에서 배터리 온도, ID(배터리 사이즈), 전압검출을 수행하는 3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회로를 개선하여 MCU의 포트(port)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C전원입력부(19)에서 배터리(24)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20), 정전압피드백(2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에 의해 배터리(24)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고, MCU(25)가 제 1 포트(P1)를 통해 배터리(24)로의 전원공급 차단을 제어하고, 배터리(24)에 충전된 배터리(24)의 전류정보가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를 통해 MCU(13)의 제 2 포트(P2)로 입력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MCU(25)의 제 3 포트(P3)가 써미스터(TH)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에미터가 배터리(24)의 ID 및 B+에 연결되고, 제 4 포트(P4)가 배터리 B+ 및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상기 MCU(25)가 2개의 포트(P3, P4)를 통해 배터리의 전압정보, 배터리 사이즈 정보(ID), 및 배터리 주변온도정보를 입력받음으로서, 8핀용 MCU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장치{Battery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MCU(micro control unit)의 2개의 포트(port)에서 배터리 온도, ID(배터리 사이즈), 전압검출을 수행하는 3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회로를 개선하여 MCU의 포트(port)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MCU의 어느 한 포트에서 2가지 이상의 복합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MCU의 포트(port)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리튬-이온(Li-ion), NI-MH 배터리는 각각의 전압이 다르며 이에따라 각각의 충전장치가 필요한 바, 근래들어 하나의 충전기로 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공용 충전기능을 갖는 충전장치가 개발된바 있다. 그 일 예로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389824호(리튬-이온 배터리 및 니켈-수소저장 합금 배터리 충전장치)가 제시되어 공지의 Li-ion 배터리 충전 IC만을 이용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Li-ion 배터리 및 NI-MH 배터리 공용 충전장치를 구현하였다. 이와 유사한 종래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DC전원입력부(9)에서 배터리(15)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10), 정전압피드백(1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12)에 의해 배터리(15)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고, MCU(13)의 제 1 포트(P1)에서 "하이신호(high signal)를 출력하면, 정전압제어부(10)의 비교기(OP1)의 -단이 기준전압인 +단보다 높은 전압이 걸리게 되고 이에따라 비교기(OP1)의 출력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므로서,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배터리(15)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4는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이다.
상기 MCU(13)는 P1의 단자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15)의 전원인가를 차단하고, P2 및 P3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 전압 및 전류상태를 입력받고, P4를 통해 배터리 사이즈 정보를 입력받으며, P5를 통해 배터리 주변온도를 입력받고, P6 및 P7을 통해 LED 작동을 제어하고, P9를 통해 작동전원을 입력받고, P10은 접지단자로 사용된다(P12 리셋 자체내장될 수 있음).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MCU가 총 9개의 핀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최소 14핀용 MCU를 사용해야했기 때문에 MCU를 포함하는 CPU의 크기가 커야 했고, 더 나아가 제품의 전체 크기가 크게 제작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MCU의 2개의 포트에서 배터리 온도, ID(배터리 사이즈), 전압검출을 수행하는 3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회로를 개선하므로서, MCU의 사용핀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8핀용 MCU를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정보입력, 충전 온/오프 제어를 MCU의 어느 한 포트에서 담당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으로 MCU의 포트를 활용하여 8핀용 MCU를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정보입력, 충전 온/오프 제어, 및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의 정전류 제어를 MCU의 어느 한 포트에서 담당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으로 MCU의 포트를 활용하여 8핀용 MCU를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U의 2개의 포트에서 배터리 온도, ID(배터리 사이즈), 전압검출을 수행하는 3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회로를 개선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정보입력, 충전 온/오프 제어 및 정전류 제어를 MCU의 어느 한 포트에서 담당하도록 함으로서, MCU의 포트를 활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DC전원입력부(19)에서 배터리(24)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20), 정전압피드백(2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에 의해 배터리(24)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고, MCU(25)가 제 1 포트(P1)을 통해 배터리(24)로의 전원공급 차단을 제어하고, 배터리(24)에 충전된 배터리(24)의 전류정보가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를 통해 MCU(13)의 제 2 포트(P2)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MCU(13)는 어느 한 포트(P3 ; 이하 "제 3 포트"라고 함)가 써미스터(TH)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에미터가 배터리(24)의 ID 및 B+에 연결되고, 다른 한 포트(P4 ; 이하 "제 4 포트"라고 함)가 배터리 B+ 및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포트(P3)가 "LOW"일 경우,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어 제 4 포트(P4)로 배터리의 전압정보가 입력되고, 제 3 포트(P3)가 "HIGH"일 경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제 4 포트(P4)로 배터리 사이즈 정보(ID)가 입력되고, 제 4 포트(P4)가 "LOW"일 경우 제 3 포트(P3)로 써미스터(TH)의 온도정보(배터리 주변온도정보)가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MCU(13)는 제 1 포트(P1)를 통해 배터리(14)로의 전원공급차단제어를 수행하고, 제 2 포트(P2)를 통해 배터리의 전류정보를 검출하고, 제 3 포트(P3) 및 제 4 포트(P4)를 통해 배터리(24)에 충전된 전압, 배터리 사이즈(ID) 정보 및 써미스터(TH)의 온도정보를 입력받고, 제 5 포트(P5) 및 제 6 포트(P6)를 통해 LED 작동을 제어하고, 제 7 포트(P7)를 통해 작동전원을 입력받고, 제 8 포트(P8)를 통해 접지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회로구성에 의해 MCU(25)가 제 3 포트(P3) 및 제 4 포트(P4)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 배터리의 사이즈 정보 및 써미스터의 온도정보를 입력받음으로서, MCU의 사용핀수를 줄여 8핀의 MCU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DC전원입력부(19)에서 배터리(24)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20), 정전압피드백(2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에 의해 배터리(15)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고, MCU(13)가 제 2 내지 제 8 포트(P2∼P6)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검출, 배터리 사이즈 검출, 써미스터의 온도검출, LED의 작동제어가 이루어지고, MCU(13)의 제 7 포트(P7) 및 제 8 포트(P8)가 작동전원단자 및 접지단자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MCU(25)의 제 1 포트(P1)가 배터리(24)에 접속된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가 정전압제어부(20)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가 Vcc 전원에 접속된다.
이와같은 구성은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을 때 MCU(25)가 배터리의 충전전류검출을 하지 않는다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즉, MCU(25)의 제 1 포트(P1)가 "OPEN"일 때,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에 의해 트랜지스터(Q4)가 온/오프를 빠른 주기로 반복됨으로서, 배터리(24)로 정전류가 인가되는 것과 함께 MCU(25)의 제 1 포트(P1)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MCU(25)의 제 1 포트(P1)에서 "HIGH" 신호를 출력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차단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MCU(25)의 제 1 포트(P1)가 충전 온/오프제어 및 배터리 충전전류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하고, P2는 정전압, P3,P4에서는 배터리 사이즈 감지, 배터리 온도감지를 담당하며, 그 나머지는 각각 LED단, 전원입력단으로 활용함으로서 기존의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8핀의 MCU으로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가 다이오드(D1)인 것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다이오드(D1)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상기 MCU(25)의 제 1 포트(P1)가 충전 온/오프제어 및 배터리 충전전류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CU(25)의 세팅값의 기준에 따라 제 1 포트(P1)가 HIGH/OPEN 신호가 반복되어 배터리로 충전전류 제어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제 1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장치와 제 2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장점을 합한 변형예이다.
DC전원입력부(19)에서 배터리(24)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20), 정전압피드백(2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에 의해 배터리(24)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MCU(25)의 제 1 포트(P1)가 배터리(24)에 접속된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가 정전압제어부(20)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가 Vcc 전원에 접속되어, MCU(25)의 제 1 포트(P1)가 충전 온/오프제어 및 배터리 충전전류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MCU(25)의 제 2 포트(P2)가 써미스터(TH)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에이터가 배터리(24)의 ID 및 B+에 연결되고, 제 3 포트(P3)가 배터리 B+ 및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포트(P3) 및 제 4 포트(P4)를 통해, 배터리의 전압정보, 배터리 사이즈 정보(ID), 써미스터(TH)의 온도정보를 입력받는다.
나머지, 제 5 포트(P5) 및 제 6 포트(P6)를 통해 LED 작동을 제어하고, 제 7 포트(P7)를 통해 작동전원을 입력받고, 제 8 포트(P8)를 통해 접지되므로서, 제 4 포트(P4)를 여유단자로 남겨 놓을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총 7핀만 사용할 수 있어 8핀의 MCU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가 다이오드(D1)인 것을 제외하고, 제 4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장치와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MCU(25)가 제 1 포트(P1)를 통해 충전 온/오프제어, 충전전원의 정전류 제어 및 배터리 충전전류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하고, 나머지 MCU(25)의 제 2 내지 제 8 포트(P2∼P8)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5가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에서 설명한 제 5 실시예와 같은 조합 이외에 여러가지 다른 조합도 이 분야에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는 MCU의 어느 한 포트가 복합기능을 수행하거나, 2개의 포트가 3개 이상의 복합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전체적인 사용단자수를 줄일 수 있어, 8핀용 MCU를 이용한 회로설계를 할 수 있다. 이와같이, 8핀용 MCU를 이용할 경우, MCU 크기를 축소할 수 있어, CPU의 크기 축소 더 나아가 충전기 케이스 축소가 가능하여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제품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16핀, 20핀, 24핀의 MCU도 본 발명 회로를 적용할 경우 각각 한 단계씩 축소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
도 2는 종래 배터리 충전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Claims (5)

  1. DC전원입력부(19)에서 배터리(24)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20), 정전압피드백(2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에 의해 배터리(24)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고, MCU(25)가 제 1 포트(P1)를 통해 배터리(24)로의 전원공급 차단을 제어하고, 배터리(24)에 충전된 배터리(24)의 전류정보가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를 통해 MCU(13)의 제 2 포트(P2)로 입력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MCU(25)는 제 3 포트(P3)가 써미스터(TH)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에미터가 배터리(24)의 ID 및 B+에 연결되고, 제 4 포트(P4)가 배터리 B+ 및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상기 MCU(25)가 2개의 포트(P3, P4)를 통해 배터리의 전압정보, 배터리 사이즈 정보(ID), 및 배터리 주변온도정보를 입력받음으로서, 8핀용 MCU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2. DC전원입력부(19)에서 배터리(24)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20), 정전압피드백(2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에 의해 배터리(15)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고, MCU(13)가 제 2 내지 제 8 포트(P2∼P6)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검출, 배터리 사이즈 검출, 써미스터의 온도검출, LED의 작동제어가 이루어지고, MCU(13)의 제 7 포트(P7) 및 제 8 포트(P8)가 작동전원단자 및 접지단자로 사용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MCU(25)의 제 1 포트(P1)가 배터리(24)에 접속된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가 정전압제어부(20)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가 Vcc 전원에 접속되므로서,
    MCU(25)의 제 1 포트(P1)가 "OPEN"일 때,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에 의해 트랜지스터(Q4)가 온/오프를 빠른 주기로 반복됨으로서, 배터리(24)로 정전류가 인가되는 것과 함께 MCU(25)의 제 1 포트(P1)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MCU(25)의 제 1 포트(P1)에서 "HIGH" 신호를 출력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가 다이오드(D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4. DC전원입력부(19)에서 배터리(24)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정전압제어부(20), 정전압피드백(21) 및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에 의해 배터리(24)로 정전압 정전류의 전원이 공급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MCU(25)의 제 1 포트(P1)가 배터리(24)에 접속된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전류감지 및 전류증폭회로부(23)의 출력단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가 정전압제어부(20)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가 Vcc 전원에 접속되어, MCU(25)의 제 1 포트(P1)가 충전 온/오프제어 및 배터리 충전전류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MCU(25)의 제 2 포트(P2)가 써미스터(TH)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에이터가 배터리(24)의 ID 및 B+에 연결되고, 제 3 포트(P3)가 배터리 B+ 및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제 3 포트(P3) 및 제 4 포트(P4)를 통해, 배터리의 전압정보, 배터리 사이즈 정보(ID), 써미스터(TH)의 온도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류 제어스위치(22)가 다이오드(D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KR1020040015824A 2004-03-09 2004-03-09 배터리 충전장치 KR20050090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824A KR20050090646A (ko) 2004-03-09 2004-03-09 배터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824A KR20050090646A (ko) 2004-03-09 2004-03-09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646A true KR20050090646A (ko) 2005-09-14

Family

ID=3727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824A KR20050090646A (ko) 2004-03-09 2004-03-09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6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46920A (zh) * 2008-03-24 2009-09-30 三美电机株式会社 充电控制电路以及充电控制用半导体集成电路
KR20150064840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호 회로, 전원 공급 장치 및 전기 자동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46920A (zh) * 2008-03-24 2009-09-30 三美电机株式会社 充电控制电路以及充电控制用半导体集成电路
CN101546920B (zh) * 2008-03-24 2013-05-08 三美电机株式会社 充电控制电路以及充电控制用半导体集成电路
KR20150064840A (ko) * 2013-12-04 2015-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호 회로, 전원 공급 장치 및 전기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2303B (zh) 电源切换装置
US9110651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consumption of power
JPH08130446A (ja) しきい値を超える入力信号レベルのための電流節約検出
WO1998009361A1 (fr) Source d'alimentation electrique
EP4027160A1 (en) Universal plug status detection circuit
US6285165B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KR20050090646A (ko) 배터리 충전장치
JP2006101696A (ja) 充放電保護回路
CN208781221U (zh) 刀片服务器控制装置
CN108768164B (zh) 一驱多充放电电路
CN114966168A (zh) 一种低功耗高精度电流检测电路
CN211183521U (zh) 双电池选择电路以及电子设备
CN113525143A (zh) Cc信号处理系统
CN211565691U (zh) 锂电螺丝批控制系统
CN112015114A (zh) 一种多路电源时序自动控制电路
US6922088B2 (en) Self-determining electronic control circuit
CN112711320A (zh) 电源切换系统及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处理器
CN221010349U (zh) 一种带显示的led灯电路
US7205683B2 (en) Circuit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power off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20200366303A1 (en) Circuit having analog-to-digital convers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CN213780904U (zh) 电源切换系统
KR102382580B1 (ko) USB를 이용한 n-Cell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217981874U (zh) 一种电子设备及其压感检测电路
US20040119443A1 (en) Charge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adjusting voltage for detecting full charge of secondary battery in same
CN212846768U (zh) 一种基于ch340的纯硬件冷启动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