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205A - 층간 진동방지판 - Google Patents

층간 진동방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205A
KR20050089205A KR1020040014508A KR20040014508A KR20050089205A KR 20050089205 A KR20050089205 A KR 20050089205A KR 1020040014508 A KR1020040014508 A KR 1020040014508A KR 20040014508 A KR20040014508 A KR 20040014508A KR 20050089205 A KR20050089205 A KR 2005008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vibration
concrete slab
lug
vibra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561B1 (ko
Inventor
김인태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인태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태,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인태
Priority to KR102004001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5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진동방지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소리의 파장대가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하는데 있어서, 연질재의 사용으로 압축되거나 내려 앉음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편한 시공성을 보장하고, 평탄도가 낮은 기초 콘크리트의 굴곡면에 대한 적응이 가능하고, 안정된 보온성을 갖는 진동방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층간 진동방지판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진동방지판{A vibration damping board for construction layer space}
본 발명은 층간 진동방지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 콘크리트 위에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소리의 파장대가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하는데 있어서, 연질재의 사용으로 압축되거나 내려 앉음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층간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편한 시공성을 보장하고, 평탄도가 낮은 기초 콘크리트의 굴곡면에 대한 적응이 가능하고, 안정된 보온성을 갖는 충간 진동방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의 바닥에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된다.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차폐하고 억제하기 위하여 다층 구조물에는 층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 방지 시설재를 시공한다.
상부층과 하부층을 구분하는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떨림이나 소리로 전달된다. 진동은 한 물체가 충격을 받았을 때 생긴 파장대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으로 떨림이나 소리로 나타나는데 모든 건축물에서는 이러한 진동과 소음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도가 낮은 저밀도의 소재 또는 진동이나 소리 전달 파장대가 완만한 시설재를 바닥면에 깔거나 붙여서 진동을 줄이고 있다.
아파트 등의 거주용 건축물에 권장되는 진동 및 소음은 중량충격에서 58db이하, 경량충격에서 50db이하이다.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고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 진동방지재 및 구조재료를 사용한 시설재들이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진동이나 소리의 파장대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시설재는 압축되거나 내려 앉음 현상이 발생하고, 바닥면에 온수 파이프를 설치할 경우 온수 파이프의 열을 직접 전달 받으면 아니 되기 때문에 다시 경량 기포 시멘트로 이중 바닥 슬라브로 시공하게 되고, 그 상부에 온수 파이프와 마감재를 사용하여 시공하게 됨으로서, 다층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그 만큼 공기가 지연되고 시공성은 상대적으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난방 파이프를 기본 사양으로 시공하는 종래의 건축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이다.
상기 시공 단면도에 따르는 종래의 건축 바닥면 시공 구조의 주요 부분은, 구조물의 바닥면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상기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타설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층부에 시공되는 난방 파이프(12) 및 마감 몰탈층(13)그리고 마감 바닥재(15)로 시공 되어 있다.
여기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무게 하중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중이 적은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형성한 것으로,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난방 파이프(12)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직접 전달되어 않도록 하여 열화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난방 파이프(12)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물충격 유동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이 직접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면에 작용하는 난방 파이프(12)의 유체 유동 진동 및 소음과, 또한 상부로부터 마감 몰탈층(13)의 표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그대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거쳐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어 하층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및 도 3은, 난방 파이프(12) 시공을 기본 사양으로 시공하고 또한 진동 및 방음 차폐 및 저감 구조가 적용된 종래의 건축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이다.
상기 시공 단면도에 따르는 종래의 건축 바닥면 시공 구조의 주요부분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구조물의 바닥면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상기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 완화 시키는 연질성 층간 진동저감재(14)와, 상기 연질성 층간 진동저감재(14)의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시설되는 난방 파이프(12)와, 상기 난방 파이프(12)를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면에 배열하고 바닥면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해 난방 파이프(12)의 주위면에 타설되는 마감 몰탈층(13)과, 상기 바닥면의 표면이 되고 마감 몰탈층(13)의 표면을 가리는 마감 바닥재(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무게 하중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작용하지 않도록 무게가 적은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형성한 것으로,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난방 파이프(12)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열화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난방 파이프(12)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물충격 유동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이 직접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하부측에 시설되는 연질성 진동저감재(14)에 난방 파이프(12)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연질성 진동저감재(14)의 열 변형이나 수축에 따른 기능 저하를 방지한다.
그리고,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경량 기포 큰크리트층(11) 사이에 시설되는 연질성 진동저감재(14)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통해 하부측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로 전달되는 각종 진동 및 소음들, 즉 난방 파이프(12)의 유체 유동 진동 및 소음과, 마감 몰탈층(13)의 표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 등이 그대로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는 현상을 자체 연질성 재질 특성으로 흡수 완화 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서, 이 같은 연질성 진동저감재(14)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사이에서 층간 차음과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사이에 시공하는 시설재인 진동저감재(14)는, 가라 앉음이나 열변형 및 기타 뒤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 재료들을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예를들면, 타이어에서 추출된 다양한 크기의 탄화고무와 접착재를 혼합한 후 타르를 함침시킨 롤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타이어칩과 이면에 아스팔트 함침지를 부착하고 롤 타입으로 성형하였으며, 특히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바닥이 고르지 않은 시공 현장에서도 자체 유연성으로 바닥구조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되었으며, 기능적으로는, 차음성, 흡음성, 시공성, 방수성, 탄성, 균일성, 밀착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참고로,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 시공하고 난방 파이프(12)를 시공하는 종래의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순서는, 먼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 발포성 고무나 차음매트 등의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바닥에 펼쳐서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시공하며, 그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난방 파이프(12)를 배열하여 시공한 뒤, 몰탈층(13)을 쳐서 난방 파이프(12)를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에 고정하고, 그 최상부에는 마감 바닥재(15)를 깔아 시공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바닥 구조물의 진동 및 소음 차폐를 위해 연질성 진동저감재(14)를 난방 파이프(12)를 기본 사양으로 하여 건축 바닥면을 시공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시공성이 떨어진다. 즉,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에 롤형 또는 평면의 연질성 진동저감재(14)를 바르게 펴서 깔아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진동저감재(14)의 시공 작업이 공정의 주요 부분으로 포함되어 그 만큼 작업성이 추가되며, 이는 시공을 복잡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시공한 상태에서 그 위에 별도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시공해야 하므로 진동저감재(14)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분리 시공에 따른 공기 지연과 열악한 시공성을 갖는다.
둘째,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바닥 고르기에 영향을 받아 부분적으로 가라앉아 안정된 평탄도를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지속적으로 상부에서 작용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변형 가능성이 크다.
즉, 진동이나 소음을 진동저감재(14)의 연질성으로 흡수 완화하기 때문에 재료 자체적으로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또한 가라앉음에 대비하기 위하여 내구성이나 물성 등을 조절한 구조 재료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 사이에 놓여 수평방향으로의 밀림이나 수직 방향으로의 가라앉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 고르기에 적응되는 진동저감재(14)는 연질성이 비교적 양호한 재료일 경우에 한하여 표면 고르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질성을 줄여 변형 가능성을 줄인 진동저감재(14)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 고르기에 대응하지 못하여 적용에 한계가 따른다.
즉,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물성이 하드한 성질의 진동저감재를 사용할 경우 표면 고르기에 영향을 직접 받아 부분적으로 가라 앉음 현상 크게 나타나고, 반대로 연질성이 높은 고 유연성 재료를 진동저감재를 사용하면 열에 의한 변형이나 밀림, 뒤틀림 등의 변형이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키고 차폐시키는데 적합한 층간 진동방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면을 진동 방지 구조로 시공하는데 있어서 시공성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표면 고르기에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변형이 적은 층간 진동방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성을 보강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의 층간 진동방지판은,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에 있어서,
상기 층간 진동방지판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을 보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 예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20)의 구조 및 그 시공의 실시 예는, 도 4 내지 도 8과 같다.
본 발명의 층간 진동방지판(20)은, 난방 파이프(12)를 고정하는 몰탈층(13)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주요 부분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24)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21)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21)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23)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21)의 가이드 홀(24)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22)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21)와 하드보드(22)에 형성된 가이드 홀(23)(24)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30)와, 상기 러그(30)를 진동방지 패드(21)와 상기 하드보드(23)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 브래킷(25)을 포함한다.
또한, 도 8과 같이, 진동방지 패드(21)와 상기 하드보드(22) 사이에 완충 및 단열을 위한 스치로 폼(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러그(30)는, 연질성 루버로 형성된 러그 본체(32)와, 상기 러그 본체(32)를 지지 브래킷(25)에 지지하기 위해 러그 본체(32)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핑거(29)와, 상기 핑거(29)가 상기 지지 브래킷(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팁(31)을 구비한다. 여기서, 팁(31)은 너트와 같은 체결용 부재가 될 수 있으며, 핑거(29)는 볼트와 같은 체결용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25)은, 상기 러그 본체(32)에 결합된 핑거(29)가 삽입되는 삽입홀(28)을 구비하고, 그 삽입홀(28)을 중심으로 외곽 방향으로는 몰탈이 흘러 경화되면 컬럼으로 형성될 수 있는 컬럼 공간(27)을 구비하며, 그 컬럼 공간(27)의 외곽 방향으로는 상기 진동방지 패드(21)와 상기 하드보드(22)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플랜지윙(26)을 구비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20)은 하나의 유니트로 되어 있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20)에 안착하면 별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같은 구조층의 형성이나 별도의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 까는 작업없이도 진동 저감 및 방지를 위한 모든 구조층의 시공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20)의 구조이다. 먼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다수의 러그(30) 들이 노출형으로 배열된 진동방지 패드(21)의 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면과 마주 보도록 올려 놓으면 먼저 러그(30) 본체의 머리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닿아 접촉하면서 이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브래킷(25)을 중심으로 하중에 의해 핑거(29)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성을 갖는다. 즉, 지지 브래킷(25)은 플랜지윙(26)을 통해 진동방지 패드(21)와 하드보드(22) 사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먼저 러그(30)의 머리 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닿으면 하드보드(22)의 하중에 의해 러그(3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성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 고르기가 일정하지 않고 굴곡이 있어도 러그(30)의 이동성 때문에 특정 부분이 기울어지거나 평행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하드보드(22)를 하나의 셋트로 연질성 진동방지 패드(21)에 구비하더라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평탄도와 관계없이 수평을 맞추는데 장애가 생기지 않는다.
지지 브래킷(25)의 상부 방향으로는 컬럼 공간(27)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몰탈층(13)을 형성하기 위해 몰탈을 타설하면, 상부측 하드보드(22)의 가이드 홀(23)을 통과하여 흐르는 몰탈이 채워져 몰탈 컬럼을 형성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지지 브래킷(25)의 하부 방향으로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면과 일정한 유격으로 공간(50)이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러그 본체(32)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여 위와 같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러그(3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층간 진동방지판(20)이 기울어진다거나 특정 부분이 튀어오르는 현상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20)의 대표적인 시공 예를 나타낸 시공 단면도로서, 시공 순서는, 먼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본 발명의 층간 진동방지판(20)을 올려 놓는다.
이렇게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안착되는 층간 진동방지판(20)은 러그(30)의 이동성을 통해 바닥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특정 부분에서의 기울어짐이 나타나지 않고 러그(30)의 이동성으로 보상하여 평탄도가 유지된다.
바닥 기초 큰크리트 슬라브(10) 위에 층간 진동방지판(20)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난방 파이프(12)를 시공한다. 난방 파이프(12)의 시공이 완료되면 몰탈을 타설하여 몰탈층(13)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마감 바닥재(15)를 깔면 진동방지 구조를 적용한 바닥면의 시공이 완료된다.
여기서, 층간 진동방지판(20)의 시공 상태를 보면, 단순히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위에 층간 진동방지판(20)을 올려 놓는 것으로 모든 진동방지 구조가 완성된다. 층간 진동방지판(20)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하드보드(22)는 석고 보드와 같은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서, 그 하부구조를 이루는 연질성 진동방지 패드(21)에 난방 파이프(12)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별도의 기포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열전달 차폐 목적의 구조층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20)의 시공 예로서, 이 구조의 층간 진동방지판(20)은 하부구조를 이루는 진동방지 패드(21)와 상부 구조를 이루는 하드보드(22) 사이에 스치로 폼(40)을 내장한 층간 진동방지판(20)을 적용하여 시공한 예로서, 그 시공성이나 특성은 도 7의 층간 진동방지판(20)의 시공과 동일하고 다만, 진동방지 패드(21)와 하드보드(22) 사이에 단열성과 보온성이 우수한 스치로 폼(40)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난방 파이프(12)로 부터 전달되는 열전달 차폐성이나 난방 파이프(12)를 따라 흐르는 온수의 보온성을 더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에 쉽게 시공할 수 있어 양호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보조 콘크리트 타설 시공을 줄여 공기의 단축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진동저감재를 깔거나 주변 정리 작업 등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 불편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저감재의 연질성에 관계없이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 고르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 할 수 있으면서도 변형을 줄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층간 진동방지판을 통해 바닥의 보온성과 단열성을 구조 재료의 선택으로 쉽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을 보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층간 진동방지판 21 : 진동방지 패드
22 : 하드보드 23,24 : 가이드 홀
25 : 지지 브래킷 26 : 플랜지윙
27 : 컬럼 공간 28 : 삽입홀
29 : 핑거 30 : 러그
31 : 팁 32 : 러그본체
40 : 스치로 폼 50 : 공간

Claims (4)

  1.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는 건축물 바닥 진동방지판에 있어서,
    상기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완충 및 단열을 위한 스치로 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간 진동방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연질성 루버로 형성된 러그 본체와,
    상기 러그 본체를 지지용 브래킷에 지지하기 위해 러그 본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핑거와,
    상기 핑거가 상기 지지 브래킷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러그 본체에 결합된 핑거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그 삽입홀을 중심으로 외곽 방향으로는 몰탈이 흘러 경화 되면 컬럼으로 형성될 수 있는 컬럼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컬럼 공간의 외곽 방향으로는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싱기 하드보드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플랜지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
KR1020040014508A 2004-03-04 2004-03-04 층간 진동방지판 KR10056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08A KR100567561B1 (ko) 2004-03-04 2004-03-04 층간 진동방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08A KR100567561B1 (ko) 2004-03-04 2004-03-04 층간 진동방지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278U Division KR200351374Y1 (ko) 2004-03-09 2004-03-09 층간 진동방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205A true KR20050089205A (ko) 2005-09-08
KR100567561B1 KR100567561B1 (ko) 2006-04-07

Family

ID=3727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508A KR100567561B1 (ko) 2004-03-04 2004-03-04 층간 진동방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11B1 (ko) * 2006-10-04 2007-07-02 정옥수 발포 바닥시공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68B1 (ko) 2005-09-09 2008-01-03 김인태 층간 진동방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11B1 (ko) * 2006-10-04 2007-07-02 정옥수 발포 바닥시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561B1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393477Y1 (ko) 복합성형 방진패드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1128873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200386633Y1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KR20070014427A (ko) 이중바닥 방음장치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790468B1 (ko) 층간 진동방지판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67561B1 (ko) 층간 진동방지판
KR200351374Y1 (ko) 층간 진동방지판
KR101526541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390291Y1 (ko) 방진고무 마운트가 부착된 방진패드를 이용한 중량충격음저감 바닥구조
KR101351755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176496B1 (ko)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KR200403174Y1 (ko) 층간 진동방지판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10138071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구조물
KR100778659B1 (ko)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KR200364624Y1 (ko) 히트 패널 구조
KR100692315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471424Y1 (ko) 층간 바닥 차음 방열판
KR20160099823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070110630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