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036A -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036A
KR20050088036A KR1020040038716A KR20040038716A KR20050088036A KR 20050088036 A KR20050088036 A KR 20050088036A KR 1020040038716 A KR1020040038716 A KR 1020040038716A KR 20040038716 A KR20040038716 A KR 20040038716A KR 20050088036 A KR20050088036 A KR 2005008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press
bonus
key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환
Original Assignee
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환 filed Critical 서영환
Priority to KR102004003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8036A/ko
Publication of KR2005008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휴대폰기기 와 일반전화기)의 키패드의 한글 입력을
보다 쉽게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한글 입력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대 한글 입력 키패드{BAR KOREAN INPUT KEY PAD}
본 발명은 전화기(휴대폰, 일반전화기 포함)의 키패드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에 관한 것으로서
12개의 키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최선의 방법으로 배치하여
기존 방식보다 쉽고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하는 방식이다.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 맞게 입력 방법을 새롭게 창안했다.
종래의 전화기(휴대폰, 일반전화기 포함)가 소형화됨에
숫자키로 한글입력을 대신하는 방법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문자메세지 발수신,전화부이름 등록 등 한글입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도면4의 기존 애니콜천지인방식은 "안녕"을 빨리입력시 "아령"으로
표시되는 등 많은 단점들이 있어서 천천히 입력해야하거나
이동키가 추가되어서 번잡스럽다.
엘지 싸이언의 나랏말2000는 자음입력시 복잡한 키 조작과
모음 입력시 난해성 및 모호성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없애기 위함입니다.
즉 바로 입력, 빠른 입력,간단한 입력을 위함이다.
2개의 모음키와 9개의 자음키와 1개의 기능키로
모든 한글과 소리를 표현 한다.
본 발명은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맞게 발명한 것이다.
자음을 순차적으로 ㄱ,ㄴ,ㄷ,ㄹ,ㅁ,ㅂ,ㅅ,ㅇ,ㅈ 까지를 기본자음으로 하고,
ㅡ, ㅣ를 기본모음으로 한다.
1. 기본자음(평자음)의 입력방법(ㄱㄴㄷㄹㅁㅂㅅㅇㅈ)
도1 에서 같이 <ㄱ>은 1를 누르고,
<ㄴ>은 2를 누르면 된다.
기본자음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평자음
키 입력 1 2 3 4 5 6 7 8 9
2.격자음의 입력방법(ㅋ ㅌ ㅍ ㅊ ㅎ)
격자음은 기본자음을 누르고 <덤>키을 누르면 된다.
격자음은 기본자음에 획이 더해져서 구성된 것이므로
기본자음을 누르고 <덤>키를 누려면 된다.
즉 ㄱ에 덤을 주어 ㅋ를 만드는 원리이다.
ex) ㅋ의 편집은: <ㄱ> + <덤>
격자음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격자음
키 입력 ㄱ + 덤 ㄷ + 덤 ㅂ + 덤 ㅈ + 덤 ㅇ + 덤
3. 경자음의 입력 방법(ㄲ ㄸ ㅃ ㅆ ㅉ)
경자음은 기본자음을 누르고 <덤>키 두번 연속해서 누른다.
경자음은 기본자음 두개 있는 것이므로
기본자음을 누르고 <덤>키를 두번 누르면 된다.
ex) ㄲ의 편집은: <ㄱ> + <덤> + <덤>
즉 ㄱ에 덤을 두번 주어서 ㄲ이 되는 것이다.
격자음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격자음
키 입력 ㄱ + 덤 + 덤 ㄷ + 덤 + 덤 ㅂ + 덤 + 덤 ㅅ + 덤 + 덤 ㅈ + 덤 + 덤
4. 모음의 입력 방법
ㅡ, ㅣ를 기본모음으로 한다.
한글의 모음의 공통점은 모두 가로막대<->와 세로 막대<l>로 이루어졌고
가로막대모음에는 <짧은 -> 와 <긴->가 있고
세로막대모음에는 <짧은 l > 와 <긴l >로 이루어 졌다.
즉 막대 한글의 모음 구성 요소는
짧은ㅡ( - ) , 긴 ㅡ(ㅡ) , 짧은ㅣ(l ) , 긴ㅣ(ㅣ) 4가지이다
<ㅏ>의 표현은 <긴l> + <짧은 ->로 이루어 진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긴 세로막대<ㅣ> 와 짧은 가로 막대 <->로 이루어진 것이 "ㅏ"이다.
키패드의 *키의<->는 짧은 <->이고
#키의 <l > 는 짧은 <l >이다.
키패드의 *키의<->를 길게 누르면 통상적인<ㅡ>가 되고
#키의 <l >를 길게 누르면 통상적인<ㅣ>가 된다.
<ㅡ>의 표현은 2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키의<->를 길게 누르는 거나
둘째, <짧은 ->를 누르고 <덤>키를 누르는 것이다.
<l>의 표현은 2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키의<l>를 길게 누르는 거나
둘째, #키< l>를 누르고 <덤>키를 누르는 것이다.
즉 2개의 모음으로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의 조합으로 모든 모음을 표시한다
모음의 입력 방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모음 모음입력 숫자키입력
<ㅣ길게> - <#길게> *
<ㅣ길게> -- <#길게> **
<-길게> ㅣ <*길게> #
-- <ㅣ길게> ** <#길게>
l <ㅡ길게> # <*길게>
l l <ㅡ길게> ## <*길게>
<ㅡ길게> l <*길게> #
<ㅡ길게> l l <*길게> ##
ㅡ길게 *길게
ㅣ길게 #길게
예를 들면 <ㅏ>의 입력 방법은
<l >키를 길게 누르고 나서 <->버튼을 누르면 <ㅏ>가 된다.
5. 사용례
1)홍길동 입력:
홍: ㅇ + 덤 + <l > + ㅡ길게 + ㅇ
길: ㄱ + ㅣ길게 + ㄹ
동: ㄷ + <l > + ㅡ길게 + ㅇ
*길게 누른 대신 덤키를 써도 된다.
2) 안녕 입력
안: ㅇ + ㅣ길게 + ㄴ
녕: ㄴ + - + - +ㅣ길게 + ㅇ
*길게 누른 대신 덤키를 써도 된다.
3) 쌍둥이 입력
쌍: ㅅ + 덤 + 덤 + ㅣ길게 + ㅇ
둥: ㄷ + ㅡ길게 + <l > + ㅇ
이: ㅇ + ㅣ길게
*길게 누른 대신 덤키를 써도 된다.
4)컴퓨터 입력
컴: ㄱ + 덤 + < > + ㅣ길게 + ㅁ
퓨: ㅂ + 덤 + ㅡ길게 + <l > + <l >
터: ㄷ + 덤 + <-> + ㅣ 길게
*길게 누른 대신 덤키를 써도 된다.
자음이 순차적으로 ㄱㄴㄷㄹㅁㅅ ㅇ ㅈ 순서로 되어 있어서 편리하다.
모음은 막대기 "ㅡ" 와 "ㅣ" 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모든 모음을 다 입력이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도면1 의 설명이었다.
도면2는 <->를 0으로 보내고 <ㅈ>을 *표 키로 보낸 것이다.
ㅡ 와 ㅣ 곁침으로 ㅢ형 막대 한글 키패드라 명명한다.
자음과 모음 방법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1과 같고
단지 모음 키패드가 옮겨진 것 뿐이다.
도면3는 2모음을 4모음으로 확장한 것입니다.
ㅡ 와 ㅣ를 길게 누를 필요없이
ㅡ 의 입력시 6번키의 ㅡ를 누르시면 되고
ㅣ 의 입력시 #키의 ㅣ를 누르시면 된다.
자음부분이 순차적으로 되어있어서 찾기가 쉽다.
예)ㄱ,ㄴ,ㄷ,ㄹ,ㅁ,ㅂ,ㅅ,ㅇ,ㅈ
모음은 막대기 "ㅡ" 와 "ㅣ" 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간결하다.
전화기상에서 기존 방식보다 한글을 쉽고 효율적으로 입력하도록 하였다.
도1. 2개의 막대모음 한글 키패드이고
도2. 2개의 ㅢ형 막대모음 한글키패드이고
도3. 4개의 막대모음 한글키패드이고
도4. 기존 애니콜 천지인의 한글키패드이다.

Claims (7)

  1. 본 발명 막대 한글 자음을 순차적으로
    즉 ㄱ,ㄴ,ㄷ,ㄹ,ㅁ,ㅂ,ㅅ,ㅇ,ㅈ와 같이 9개 자음을 기본 자음으로 한다.
  2. 격자음(ㅋ ㅌ ㅍ ㅊ ㅎ)의 입력방법은
    기본자음(ㄱ,ㄷ,ㅂ,ㅈ,ㅇ)을 누르고 <덤>키을 누르면 된다.
    격자음은 기본자음에 획이 더해져서 구성된 것이므로
    기본자음을 누르고 <덤>키를 누려면 된다.
    즉 ㄱ에 덤을 주어 ㅋ를 만드는 원리이다.
    ex) ㅋ의 편집은: <ㄱ> + <덤>
    격자음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격자음 키 입력 ㄱ + 덤 ㄷ + 덤 ㅂ + 덤 ㅈ + 덤 ㅇ + 덤
  3. 경자음(ㄲ ㄸ ㅃ ㅆ ㅉ)의 입력 방법은
    기본자음을 누르고 <덤>키 두번 연속해서 누른다.
    경자음은 기본자음 두개 있는 것이므로
    기본자음을 누르고 <덤>키를 두번 누르면 된다.
    ex) ㄲ의 편집은: <ㄱ> + <덤> + <덤>
    즉 ㄱ에 덤을 두번 주어서 ㄲ이 되는 것이다.
    격자음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격자음 키 입력 ㄱ + 덤 + 덤 ㄷ + 덤 + 덤 ㅂ + 덤 + 덤 ㅅ + 덤 + 덤 ㅈ + 덤 + 덤
  4. 도면1과 도면2을 기준으로하여 이 청구항의 2개의 모음을 설명한다.
    막대한글의 모음입력 방법은 <ㅡ>와 <ㅣ>의 2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글의 모음의 공통점은 모두 가로막대<->와 세로 막대<l>로 이루어졌고
    가로막대모음에는 <짧은 -> 와 <긴->가 있고
    세로막대모음에는 <짧은 l > 와 <긴l >로 이루어 졌다.
    즉 막대 한글의 모음 구성 요소는
    짧은ㅡ( - ) , 긴 ㅡ(ㅡ) , 짧은ㅣ(l ) , 긴ㅣ(ㅣ) 4가지이다
    <ㅏ>의 표현은 <긴l> + <짧은 ->로 이루어 진 것이다.
    키패드의 *키의<->는 짧은 <->이고
    #키의 <l > 는 짧은 <l >이다.
    키패드의 *키의<->를 길게 누르면 통상적인<ㅡ>가 되고
    #키의 <l >를 길게 누르면 통상적인<ㅣ>가 된다.
    즉 2개의 모음으로 짧게 누름과 길게 누름의 조합으로 모든 모음을 표시한다
    모음의 입력 방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아 래-
    모음 모음입력 숫자키입력 <ㅣ길게> - <#길게> * <ㅣ길게> -- <#길게> ** <-길게> ㅣ <*길게> # -- <ㅣ길게> ** <#길게> l <ㅡ길게> # <*길게> l l <ㅡ길게> ## <*길게> <ㅡ길게> l <*길게> # <ㅡ길게> l l <*길게> ## ㅡ길게 *길게 ㅣ길게 #길게
  5. 모음 또 다른 입력은
    <ㅡ>의 표현은 <짧은 ->를 누르고 <덤>키를 누르는 것이다.
    < l >의 표현은 <짧은 l>를 누르고 <덤>키를 누르는 것이다.
  6. 도면3는 4개의 모음 즉 < - , ㅡ , ㅣ , ㅣ> 를 모든 자판에 배열하여
    모든 모음을 입력하고 표기할 수있으며
    <긴ㅡ>는 길게 누르지 않아도 일반<ㅡ>로 표기되고
    <긴ㅣ>도 마찬가지로 길게 누르지 않아도 일반<ㅣ>로 표기된다.
    -,ㅡ,ㅣ,ㅣ 4개 모음의 조합으로 모든 모음을 표시한다.
  7. <덤>키는 3가지 작용을 한다.
    첫째, 기본자음입력후 1회의 덤키는 격자음으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ㄱ>에 <덤>키를 누르면 <ㅋ>으로 변환 된다.
    둘째, 기본자음입력후 2회의 <덤>키는 경자음으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ㄱ>에 <덤>키를 2회 누르면 <ㄲ>으로 변환된다
    셋째, 짧은 모음(ㅡ, ㅣ)입력후 <덤>키를 누르면 <ㅡ> 또는 <ㅣ>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짧은 모음<ㅡ>입력후 <덤>키를 누르면 <ㅡ>로 입력된다.
    물론 짧은<ㅡ>를 길게 누르면 역시 길어져 <ㅡ>가 된다.
KR1020040038716A 2004-05-29 2004-05-29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50088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16A KR20050088036A (ko) 2004-05-29 2004-05-29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16A KR20050088036A (ko) 2004-05-29 2004-05-29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036A true KR20050088036A (ko) 2005-09-01

Family

ID=3727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716A KR20050088036A (ko) 2004-05-29 2004-05-29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8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05B1 (ko) * 2005-03-17 2007-01-02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한글 자음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05B1 (ko) * 2005-03-17 2007-01-02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한글 자음 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00007129A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KR20050088036A (ko)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70083444A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651400B1 (ko) 가로세로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 방법
CN100354804C (zh) 手机智能蒙古文输入法
KR100340789B1 (ko)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89193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70000648U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CN201332421Y (zh) 手机qwerty键盘改进结构
KR100914884B1 (k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070085187A (ko) 휴대폰 영문자 입력방식
KR20010073483A (ko) 간편한 한글자판
KR20070031076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000054571A (ko) 휴대전화기 숫자판에서의 한글입력법
KR200276554Y1 (ko) 3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KR100504602B1 (ko) 시프트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편이성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입력방법
KR20030054449A (ko) 3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배열 방법
KR20020062611A (ko) 이동식 단말기 한글입력방법
KR101448370B1 (ko) 전화기 키패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