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008A - 디지털 청진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008A
KR20050087008A KR1020040012189A KR20040012189A KR20050087008A KR 20050087008 A KR20050087008 A KR 20050087008A KR 1020040012189 A KR1020040012189 A KR 1020040012189A KR 20040012189 A KR20040012189 A KR 20040012189A KR 20050087008 A KR20050087008 A KR 20050087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unit
menu
steth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594B1 (ko
Inventor
엄재학
Original Assignee
엄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학 filed Critical 엄재학
Priority to KR102004001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5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를 진찰할 때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심장, 호흡, 흉막, 동맥 및 정맥 등의 소리)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 및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대역별 필터를 구비하여 특정 대역의 진동음을 청취할 수 있고, 분당 맥박수와 호흡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주며, 저장된 환자별 진료 데이터는 다른 시스템(PC)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주되, 더 나아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진료도 가능하도록 한 초소형 휴대식의 전자식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청진기{AN ELECTRONIC STETHOSCOPE}
본 발명은 전자식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를 진찰할 때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심장, 호흡, 흉막, 동맥 및 정맥 등의 소리)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 및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대역별 필터를 구비하여 특정 대역의 진동음을 청취할 수 있고, 분당 맥박수와 호흡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주며, 저장된 환자별 진료 데이터는 다른 시스템(PC)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주되, 더 나아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진료도 가능하도록 한 초소형 휴대식의 전자식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청진기는 환자를 청진할 때 사용되는 의료기구로, 기존에 사용되던 아날로그형 청진기와 근래에 출현하기 시작한 전자식 청진기 등 2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특히 상기 전자식청진기는 기존의 아날로그형 청진기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청진한 환자별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등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으로 아날로그형 청진기의 단점을 보완하는 추세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식 청진기는 청진한 진동음을 청진자의 요구에 따라 저음에서 고음까지 특정 대역별로 보다 세분하여 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진동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환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지 않는 등, 전자식 청진기를 이용하면서도 전자적인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는 기술이 대부분 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를 진찰할 때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심장, 호흡, 흉막, 동맥 및 정맥 등의 소리)을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여 저장 및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대역별 필터를 구비하여 특정 대역의 진동음을 청취할 수 있고, 분당 맥박수와 호흡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줄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진을 통해 저장된 환자별 진료 데이터는 다른 시스템(PC)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주고, 더 나아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진료도 가능하도록 한 초소형 휴대식의 전자식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저역부터 고역까지 복수개의 대역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진동음 신호를 소정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입력되는 대역별 진동음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부와; 상기 A/D컨버터부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디지털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부; 상기 D/A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된 진동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음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복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각각의 키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스위치부와; cds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여 주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메뉴화면, 맥박수 및 호흡수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찰 환자의 청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각 회로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PC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외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자식 청진기(100)는 사각형상의 본체(110)로 구성되고, 환자의 측정부위에 접촉되는 일측에는 진동을 전자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10)과 청진 상태임을 빛의 감지로 검출하는 cds센서(190a)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청진시 입력되는 진동음을 저장하는 저장키(183)와, 설정치를 가산하는 업(UP)키(183)와, 설정치를 감산하는 다운(DOWN)키(18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타측에는 진단된 환자의 진동 맥박수나 호흡수 또는 메뉴설정시의 특정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창(210a)과, 각종 설정을 위한 메뉴를 불러오는 메뉴키(181)와, 상기 메뉴를 통해 소정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이를 선택하는 선택키(182)와, 스피커(182)가 내장되는 스피커부(170a)가 형성되고, 청진시 청진자가 엄지와 검지사이에 끼워 청진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102)와, 본체(110)의 저면에는 미 도시된 전원 공급용 어댑터잭(231), PC(개인용컴퓨터)와 연결되는 USB포트잭(241), 이어폰과 연결되는 이어폰잭(161)이 더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2)는 일측으로 젖히면 측면 공간에 삽입 안착되도록 하여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뉴키(181)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메뉴의 종류로는, ①음량의 고저조절메뉴, ②음성신호의 필터선택메뉴, ③맥박수 또는 호흡수 표시선택메뉴, ④녹음(저장) 및 재생시 환자별 채널(00~99)설정메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창(210a)에는 녹음시 표시장치가 점멸 동작하고, 배터리 전원의 소진시 이를 표시하여 주는 기능이 구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10)과, 상기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진동음신호를 소정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필터부(120)와,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대역별 진동음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부(130)와, 상기 A/D컨버터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디지털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부(150)와, 상기 D/A컨버터부(150)로부터 출력된 진동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160)와, 상기 증폭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음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170)와, 복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각각의 키신호를 상기 제어부(140)로 입력하는 스위치부(180)와, cds센서(190a)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입력하여 주는 센서부(190)와, 상기 제어부(140)의 출력신호에 따라 메뉴화면, 맥박수 및 호흡수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10)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진찰 환자의 청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20)와, 상기 각 회로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230)와, 상기 제어부(140)에 연결되어 PC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20)는 청진자가 희망하는 진동음 대역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 회로로, 저역부터 고역까지 복수개의 대역필터로 구성되며, 일례로, 제1아날로그필터(121), 제2아날로그필터(122) 및 제3아날로그필터(123) 등 3단계로 구현하였다.
상기 증폭부(160)에는 이어폰잭(161)을 더 구비하여 이어폰을 통해서도 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스위치부(180)에는 ①음량의 고저조절메뉴, ②음성신호의 필터선택메뉴, ③맥박수 또는 호흡수 표시선택메뉴, ④녹음(저장) 및 재생시 환자별 채널(00~99)설정메뉴 등을 표시부(210)를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메뉴키(181)와, 상기 메뉴키(181)를 통해 표시된 메뉴를 보고 특정치를 설정한 후 이를 설정 완료하는 선택키(182)와, 청진시 음성(진동)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정하는 저장키(183)와, 상기 메뉴에 표시되는 값 또는 구분을 커서의 업 또는 다운형식으로 선택하는 업키(184) 및 다운키(184)로 구성된다.
상기 업키(184) 및 다운키(185)는 볼륨업 및 볼륨다운 기능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출력되는 음량을 단계별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90)는 cds센서(190a)의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청진시 청진기(100)가 환자에 접촉되면 cds센서(190a)의 빛 감지율이 변화되어 이를 검출하게 되고, 이러한 빛 감지율의 변화는 현재 청진기(100)가 환자의 신체에 접촉된 상태이고 청진을 개시함을 판단하도록 하여주게 된다.
상기 전원부(230)에는 어댑터잭(231)이 더 구성되어 외부의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40)에는 USB포트(241)가 더 구비되어 외부의 시스템, 즉 PC등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확장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자식청진기(100)는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PC(300)에 연결되며, 상기 PC(300)는 인터넷(400)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5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PC(300)는 개인용컴퓨터 또는 서버급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식청진기(100)의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의 기반 하에 웹사이트에서 인터넷 의료서비스를 수행하여 다수의 클라인어트(500)에게 소정의 의료서비스, 즉 청진기를 통한 진료행위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진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cds센서(190a)를 통해 빛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와, 상기 판단단계(S11)에서 cds센서(190a)를 통해 빛이 감지되어 현재 진찰상태가 아님이 판단되면 메뉴키(181)의 키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상기 판단단계(S12)에서 메뉴키의 키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뉴키 입력에 따른 설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3)와, 상기 설정모드단계(S13) 후 선택키(182)의 키입력을 검출하여 설정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3)와, 상기 판단단계(S13)에서 메뉴키의 입력이 설정완료 되면 리턴하는 단계(S14)와, 상기 판단단계(S11)에서 cds센서(190a)를 통해 빛이 감지되지 않아 현재 진찰상태임이 판단되면 마이크로폰(110)의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5)와, 상기 마이크로폰(110)의 입력 진동데이터를 스피커(170)를 통해 음성 출력하는 단계(S16)와, 상기 입력된 진동데이터를 분석하여 맥박수 또는 호흡수를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7)와, 업키(184)의 입력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18)와, 상기 판단단계(S18)에서 업키(184)의 입력이 있으면 스피커 볼륨을 업시키는 단계(S19)와, 상기 판단단계(S18)에서 업키(184)의 입력이 없으면, 다운키(185)의 입력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다운키(185)의 입력이 있으면 스피커 볼륨을 다운시키는 단계(S21)와,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다운키(185)의 입력이 없으면, 저장키(183)의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2)와, 상기 판단단계(S22)에서 저장키(183)의 입력(ON)이 있으면 현재 입력되는 진동(음성)데이터를 저장 개시하는 단계(S23)와, 상기 저장키(183)가 오프(OFF)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4)와, 상기 판단단계(S24)에서 저장키(183)가 오프되었으면 데이터의 저장을 완료하는 단계(S25)와, 상기 판단단계(S22)에서 저장키(183)의 입력이 없다면 청진기(100)가 PC(300)에 접속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6)와, 상기 판단단계(S26)에서 청진기(100)가 PC(300)에 접속되었다면 상기 청진기와 PC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싱모드를 진행하는 단계(S29)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전자식 청진기(100)의 전체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청진기(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의 인가는 청진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어댑터잭(231)을 통해 인가되는 외부의 어댑터를 통해 실현된다.
그리고 청진자는 자신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손잡이부(185)를 거치 시키고, 청진기 본체(101)의 마이크로폰(110) 부위를 환자의 진찰할 부위에 접촉시킨다.
이때 cds센서(190a) 부위가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면 빛이 차단되고, 반대로 cds센서(190a) 부위가 환자의 신체로부터 떨어지면 빛이 수광되는 현상을 감지하여 현재상태가 진찰을 하는 상태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S11단계).
우선 cds센서(190a)가 빛을 감지함으로써 현재 진찰시기가 아닌 경우, 청진자(사용자)는 스위치부(180)의 메뉴키(181), 선택키(182), 업키(184) 및 다운키(185)를 이용하여 다양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메뉴키(181)를 순차적으로 키입력하면 제어부(140)의 제어를 통해 표시부(210)에는 ①음량의 고저조절메뉴, ②음성신호의 필터선택메뉴, ③맥박수 또는 호흡수 표시선택메뉴, ④녹음(저장) 및 재생시 환자별 채널(00~99)설정메뉴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청진자는 자신이 설정하고 싶은 메뉴가 표시되면 업키(184) 및 다운키(185)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한 설정을 수행한 후 선택키(82)를 키입력함으로써 설정을 완료하게 된다(S12~S14단계).
한편, 이와 같은 설정이 완료 된 후, 실제 청진을 위해서 청진기(100)가 환자의 진찰부위에 접촉되면 cds센서(190a)에는 빛이 차단된다. 따라서 센서부(190)를 통해 이러한 감지신호가 제어부(140)로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입력되는 진동음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검출된 진동음 전기신호는 필터부(120)를 통해 소정의 대역으로 필터링 된다. 이때 청진자가 이미 설정한 것에 따라 제1아날로그필터(121), 제2아날로그필터(122) 및 제3아날로그필터(123) 중 선택된 필터를 통해 저역 또는 고역으로 신호를 필터링 한다.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출력된 진동음 신호는 A/D컨버터부(130)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40)로 입력된다(S15 단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A/D컨버터부(130)를 통해 입력된 진동음 디지털신호를 D/A컨버터부(150)로 출력하고, 상기 A/D컨버터부(130)는 상기 디지털 진동음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때 출력된 진동음성데이터는 증폭부(160)를 통해 증폭된 후 스피커(170)를 통해 출력된다(S16 단계).
따라서 청진자는 상기 스피커(17)의 음성출력을 통해 현재 환자의 상태를 진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A/D컨버터부(130)로부터 입력된 진동데이터를 연산하여 호흡수 및 맥박수를 산출하여 이미 선택된 설정에 따라 상기 호흡수 또는 맥박수를 택일하여 표시부(210)로 출력하고, 이에 표시부(210)는 상기 호흡수 또는 맥박수를 표시창(210a)에 디스플레이한다(S17 단계).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스위치부(180)의 업키(184) 또는 다운키(185)의 입력을 검출하여 업키(184)가 입력되면 스피커(17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출력제어신호를 업 시켜 출력하고, 다운키(185)가 입력되면 스피커(17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출력이 하강하도록 출력제어신호를 다운시켜 출력한다(S18~S21 단계).
또한, 저장키(183)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된 진동음 데이터를 저장부(메모리)(220)에 저장(녹음)시키고, 저장키(183)가 오프되면 저장을 중지한다(S22~S25 단계).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부(240) 및 USB포트잭(241)을 통해 청진기(100)가 PC(300)에 연결되고, 상기 PC(3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저장부(220)에 저장된 진동데이터의 제공하게 되며, 상기 PC(300)와 청진기(1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S26, S27 단계).
또한, 상기 PC(300)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상기 전자식 청진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받아 체계적인 환자별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웹상에 소정의 의료서비스 사이트를 개설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500)로부터 원격으로 의료진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를 진찰할 때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심장, 호흡, 흉막, 동맥 및 정맥 등의 소리)을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여 저장 및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대역별 필터를 구비하여 특정 대역의 진동음을 청취할 수 있고, 분당 맥박수와 호흡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진을 통해 저장된 환자별 진료 데이터는 다른 시스템(PC)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주고, 더 나아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진료도 가능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회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확장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회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청진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식 청진기 110: 마이크로폰
120: 필터부 121: 제1아날로그필터
122: 제2아날로그필터 123: 제3아날로그필터
130: A/D컨버터부 140: 제어부
150: D/A컨버터부 160: 증폭부
170: 스피커 180: 스위치부
181: 메뉴키 182: 선택키
183: 저장키 184: 업(UP)키
185: 다운(DOWN)키 190: 센서부
190a: CDs센서 210a: 표시창
210: 표시부 220: 저장부
230: 전원부 240: 인터페이스부
300: PC 400: 인터넷
500: 클라이언트

Claims (7)

  1. 환자의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10);
    저역부터 고역까지 복수개의 대역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로폰(110)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진동음 신호를 소정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필터부(120);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대역별 진동음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부(130);
    상기 A/D컨버터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디지털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140);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부(150);
    상기 D/A컨버터부(150)로부터 출력된 진동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160);
    상기 증폭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음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170);
    복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각각의 키신호를 상기 제어부(140)로 입력하는 스위치부(180);
    cds센서(190a)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입력하여 주는 센서부(190);
    상기 제어부(140)의 출력신호에 따라 메뉴화면, 맥박수 및 호흡수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10);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진찰 환자의 청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상기 각 회로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230); 및
    상기 제어부(140)에 연결되어 PC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청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160)에는 이어폰잭(16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청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80)는 ①음량의 고저조절메뉴, ②음성신호의 필터선택메뉴, ③맥박수 또는 호흡수 표시선택메뉴, ④녹음(저장) 및 재생시 환자별 채널(00~99)설정메뉴 등을 표시부(210)를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메뉴키(181);
    상기 메뉴키(181)를 통해 표시된 메뉴를 보고 특정치를 설정한 후 이를 설정 완료하는 선택키(182);
    청진시 음성(진동)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정하는 저장키(183);
    상기 메뉴에 표시되는 값 또는 구분을 커서의 업 또는 다운형식으로 선택하는 업키(184) 및 다운키(1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청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230)에는 어댑터잭(231)이 더 구성되어 외부의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청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240)에는 USB포트(241)가 더 구비되어 외부의 시스템(PC)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청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청진기(100)는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PC(300)에 연결되며, 상기 PC(300)는 인터넷(400)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5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청진기.
  7. 전자식 청진기에 있어서,
    청진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cds센서(190a)를 통해 빛이 감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
    상기 판단단계(S11)에서 cds센서(190a)를 통해 빛이 감지되어 현재 진찰상태가 아님이 판단되면 메뉴키(181)의 키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2);
    상기 판단단계(S12)에서 메뉴키의 키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뉴키 입력에 따른 설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3);
    상기 설정모드단계(S13) 후 선택키(182)의 키입력을 검출하여 설정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3);
    상기 판단단계(S13)에서 메뉴키의 입력이 설정완료 되면 리턴하는 단계(S14);
    상기 판단단계(S11)에서 cds센서(190a)를 통해 빛이 감지되지 않아 현재 진찰상태임이 판단되면 마이크로폰(110)의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5);
    상기 마이크로폰(110)의 입력 진동데이터를 스피커(170)를 통해 음성 출력하는 단계(S16);
    상기 입력된 진동데이터를 분석하여 맥박수 또는 호흡수를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7);
    업키(184)의 입력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18);
    상기 판단단계(S18)에서 업키(184)의 입력이 있으면 스피커 볼륨을 업시키는 단계(S19);
    상기 판단단계(S18)에서 업키(184)의 입력이 없으면, 다운키(185)의 입력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20);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다운키(185)의 입력이 있으면 스피커 볼륨을 다운시키는 단계(S21);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다운키(185)의 입력이 없으면, 저장키(183)의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2);
    상기 판단단계(S22)에서 저장키(183)의 입력(ON)이 있으면 현재 입력되는 진동(음성)데이터를 저장 개시하는 단계(S23);
    상기 저장키(183)가 오프(OFF)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4);
    상기 판단단계(S24)에서 저장키(183)가 오프되었으면 데이터의 저장을 완료하는 단계(S25);
    상기 판단단계(S22)에서 저장키(183)의 입력이 없다면 청진기(100)가 PC(300)에 접속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6); 및
    상기 판단단계(S26)에서 청진기(100)가 PC(300)에 접속되었다면 상기 청진기와 PC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싱모드를 진행하는 단계(S29)를 포함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식 청진기.
KR1020040012189A 2004-02-24 2004-02-24 디지털 청진기 KR10058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189A KR100583594B1 (ko) 2004-02-24 2004-02-24 디지털 청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189A KR100583594B1 (ko) 2004-02-24 2004-02-24 디지털 청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861U Division KR200349837Y1 (ko) 2004-02-24 2004-02-24 디지털 청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008A true KR20050087008A (ko) 2005-08-31
KR100583594B1 KR100583594B1 (ko) 2006-05-25

Family

ID=3727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189A KR100583594B1 (ko) 2004-02-24 2004-02-24 디지털 청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5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2693A1 (en) * 2007-03-15 2008-09-18 Mary Richardson Medical device
GB2486962A (en) * 2010-12-29 2012-07-04 Leona Waiwaiku Electronic stethosco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05B1 (ko) 2007-02-05 2008-01-03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다기능 디지털 청진기를 이용한 무선 청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2693A1 (en) * 2007-03-15 2008-09-18 Mary Richardson Medical device
GB2486962A (en) * 2010-12-29 2012-07-04 Leona Waiwaiku Electronic stethoscope
GB2486962B (en) * 2010-12-29 2013-10-09 Leona Waiwaiku Electronic steth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594B1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8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sis and display of heart sounds
US9877661B2 (en) Aural hear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9301032B1 (en) Stethoscope chestpiece usabl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0110096936A1 (en) Electronic stethoscope
AU2006215644B2 (en) Sound monitor
KR100669532B1 (ko) 유에스비디지털청진기
KR20030065228A (ko) 청진음향신호를 표시하는 출력시스템
WO2008097008A1 (en) Wireless auscultation system using multi-function digital stethoscope
CN204562207U (zh) 一种高度集成的多功能电子听诊器
MXPA03009139A (es) Monitor de fibrilacion auricular de larga duracion.
JP5541634B2 (ja) 電子聴診器で患者を聴診中に聴診信号における環境雑音を低減するため、及びコメントを記録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KR100583594B1 (ko) 디지털 청진기
RU2644546C1 (ru) Электро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стетоскоп
KR200349837Y1 (ko) 디지털 청진기
JP2001333899A (ja) 聴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媒体
CN201039997Y (zh) 一种多功能电子听诊器
FI98981C (fi) Kädessä pidettävä tallentava audiovisuaalinen stetoskooppi
CN108013898A (zh) 智能听诊器
KR200204716Y1 (ko) 휴대용 전자 청진기
WO2007094427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16013316A (ja) 音声調整装置、及び音声再生方法
JP3189730U (ja) 測定装置
KR200259030Y1 (ko) 전자청진기
KR20050108222A (ko) 사운드카드용 심음 측정 방법 및 장치
JPH09113491A (ja) Ae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