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902A - 토양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양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902A
KR20050086902A KR1020057010285A KR20057010285A KR20050086902A KR 20050086902 A KR20050086902 A KR 20050086902A KR 1020057010285 A KR1020057010285 A KR 1020057010285A KR 20057010285 A KR20057010285 A KR 20057010285A KR 20050086902 A KR20050086902 A KR 2005008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line
pump
drainage
discharg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르크 알버투스 보데곰
Original Assignee
바거마아트샤피즈 보스칼리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거마아트샤피즈 보스칼리스 비.브이. filed Critical 바거마아트샤피즈 보스칼리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8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토양 영역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토양 영역으로부터 액체, 특히 물을 빼내기 위한 시스템은, 간격을 두고 하향으로, 특히 토양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배수 수단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배수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라인은 상기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을 통과한 토양의 유체를 수용하도록 토양에 배치되어 있고, 강화 처리 등과 같은 처리 대상 토양 영역의 경계 영역에 있는 전이 영역에서 펌프 라인으로 변경되고, 이 펌프 라인은 처리 대상 토양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 펌프로 안내되며,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전에 전이 영역에 라인 길이의 오버사이즈(oversize)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토양 배수 시스템{SOIL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토양으로부터 액체, 특히 물을 빼내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수 리본을 서로 수평한 간격으로 토양 내로 수직으로 도입하고, 상기 배수 리본의 상단을 지면의 아래에서 간격을 두고 토양의 도랑에 배치되었던 수평 배수관에 연결함으로써 토양 영역을 강화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배수관의 일단은 펌프 라인에 결합되고, 이 펌프 라인은 강화 대상의 토양 영역에 인접한 토양을 통하여 지면의 높이로 배치된 우물 펌프에 이르기까지 만곡되게 연장된다. 배수관은 펌프에 의하여 진공 상태로 되어, 수직 배수 리본에서 상승하는 물이 배수관 및 펌프로 흡인된다. 이러한 진공 상태는 국제 특허 출원 WO 02/29164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증가하며, 상기 특허 출원의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토양 영역은 그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을 빼냄으로써 강화될 것이다.
강화의 결과로서, 강화되는 토양 영역은 인접 영역에 대하여 낮아질 것이다. 배수관은 초기 위치에서보다 낮게 놓이지만, 이는 펌프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펌프는 그것의 원래 높이로 유지된다. 강화 대상 토양 영역의 경계 또는 에지 영역에서 배수관의 일부 또는 단부와 펌프 사이의 거리는 증가한다. 토양에 수용되는 펌프 라인에서의 토양 압력에 의한 클램핑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펌프 라인의 굽힘 반경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는 상기 거리를 증가시킬 수 없다.
따라서, 펌프 라인은 큰 인장 응력을 받을 수 있고, 이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수는 중지된다. 펌프 라인을 파내서 교체해야 한다.
이전에는 리브에 기인하여 신장될 수 있는 리브 형성 벽(ribbed wall)을 갖는 펌프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그러나, 토양의 층으로부터 물을 빼내기 위하여 가해지는 진공은 그러한 리브 형성 호스의 팽창을 방해한다. 또한, 그러한 리브 형성 호스의 필요한 변형의 관점에서, 이들 호스는 가해진 진공의 영향하에서 벤딩 부분의 내부 곡선에 좌굴이 초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토양이 리브 사이를 관통하여 신장을 상당한 수준으로 저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펌프 라인에 여전히 큰 인장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설치 중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여러 개 구비하는 조립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초기의 상황 및 약간의 시간 동안 사용된 후의 상태로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도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이 구조의 상세부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3의 시스템을 위한 대안적인 전이 구조의 상세부를 도시하고,
도 6은 지면의 아래로 연장되어 설치에 사용되는 장치의 부분적인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따른 장치의 여러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며, 이중에서도 도 7c는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플라우(plough)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8a 내지 도 8h는 도 8의 플라우 부분의 여러 상세부 및 횡단면을 부분적이고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플라우 부분에 있어서 배수 리본이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0a 및 도 10b는 배수 리본을 도 6의 장치의 랜스(lance)에 연결하는 가능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양 영역을 강화하기 위하여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을 빼낼 때에 신뢰성 있게 기능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질을 빼내기 위하여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을 빼낼 때에 신뢰성 있게 기능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물질은 오염물 또는 광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행된 강화 후에도 장기간 동안 동작될 수 있는 전제부에 언급한 타입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양 영역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을 빼내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시스템은 간격을 두고 하향으로, 특히 토양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배수 수단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배수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라인은 상기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을 통과한 토양의 유체를 수용하도록 토양에 배치되어 있고, 강화 처리 등과 같은 처리 대상 토양 영역의 경계 영역에 있는 전이 영역에서 펌프 라인으로 변경되고, 이 펌프 라인은 처리 대상 토양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 펌프로 안내되며,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전에 전이 영역에 라인 길이의 오버사이즈(oversize)가 제공된다.
그 결과로서, 팽창 영역 자체의 라인에 잉여 길이(length surplus)가 제공되며, 그에 따라 어느 한 측에 연결되는 라인 부분은 인장 응력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버사이즈는 적어도 최소한 예상된 강화에 대해 조절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강화 공정과 같은 처리의 종료까지도 인장 응력이 방지된다. 여기서는 안전율을 준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영역은 최외각의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의 근처에 배치되고, 이 위치에서 강화 곡선의 미분이 최대이다.
신뢰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사이즈는 서로 끼워지는 두 라인 단부 사이의 오버랩을 갖는 슬라이드 접속부로서 설계된다. 그 결과, 오버사이즈는 소위 숨겨지는 식으로 존재하며, 토양의 활성으로부터 자유롭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인 단부는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와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단부는 슬라이드 접속부의 위치에서, 서로 끼워지게 활주하여 그 위치에 오버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양 라인 사이의 접속부가 오버사이즈를 형성하는 데에 활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는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된다. 배수 라인은 일반적으로 펌프 라인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오버랩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배수 라인의 단부는 처리되는 토양 영역의 강화 이동(settling movement)을 완만하게 따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접속부는 슬리브 부분과, 배출 단부의 둘레를 클램핑함으로써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를 슬리브 부분에 고정하는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부분은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유지한다.
라인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리브 부분과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 사이에 밀봉부(sealing)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으로 인하여 펌프 라인이 배수 라인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접속부에는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와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의 상호 접근 방향으로 유효한 리미터(limiter)가 마련되어 있다.
시스템을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배출 단부는 스냅 접속 등에 의하여 배수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은 길고 서로 간격을 두고 있다.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은 배수 스트립/리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배수 라인은 기밀층으로 덮여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양 영역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을 빼내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하며, 이 조립체는 자체의 펌프 라인을 갖는 중앙 펌프에 각각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복수 개 구비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양 영역으로부터 금과 같은 광물 등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을 빼내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하며, 이 조립체는 자체의 펌프 라인을 갖는 중앙 펌프에 각각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복수 개 구비한다.
도 1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굴 기계(40)를 포함하는 장치(1)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치하는 때의 소정 순간을 도시하고 있다. 발굴 기계(40)는 킹 포스트(2; kings post)를 직립으로 유지하며, 필요한 전력 및 작동 라인을 제공한다. 계획은 도면의 좌측에서 시작된다. 유압 기계(40)는 자체적으로 지면(41)상에서 이동하고, 지면의 아래에는 모래층(42)이 위치되어 있다. 보다 깊은 위치에서, 비교적 약한, 예컨대 진흙 또는 양토 지층(43, 45) 사이에 모래층(44)이 위치되어 있다. 철길 또는 고속도로의 건설과 같은 계획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서 지층(43)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지층(43)에 존재하는 물을 지층으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강화 촉진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기술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도시 목적으로, 도 6은 일종의 구동 리그(driving rig)를 형성하도록 유압 (발굴) 기계(40)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설치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1)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구동 리그는 배수 리본을 지면 내로 (수직으로) 구동하는 데에 통상적인 것이다. 유압 기계(40)는 지면(41)에 지지되어 있고, 70a에서 기계에 힌지된 아암 또는 붐(110)을 구비한다. 아암(110)의 외측 단부는 힌지(71)에서 U-형상 브라켓(12)에 연결되어 있다. 브라켓(12)과 기계(40) 사이의 제2 접속부는 기계(40) 상의 힌지(70c)와 브라켓(12) 상의 힌지(73) 사이에서 연장되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a)로 이루어진다. 힌지(73)가 힌지(71)의 위에 위치되어 있다. 아암(110)과 기계(40) 사이에 추가의 접속부가 마련되어, 힌지(70b),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d) 및 힌지(72)에 의해 아암(11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킹 포스트(2)는, 힌지(75),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c), 힌지(74) 및 브라켓(3a)으로 이루어지고 포스트(2)의 하단 위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는 제1 접속부와, 힌지(79) 및 브라켓(3b)으로 이루어지며 포스트(2)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는 제2 접속부에 의해 U-형상 브라켓(12)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 포스트(2)에 의해 지지되는 랜스(5; lance)는, 자체로 공지되어 있어서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P 방향으로 포스트(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배경 기술에 대한 정보로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5)의 하단은 배수 리본(9)의 다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 배수 리본은 포스트(2)에 배치된 공급롤(도시 생략)로부터 풀린다. 리본(9)의 하단은 플레이트(37)에 고정된 U-브라켓(38)을 J 방향으로 통과하고, 그 후에 플레이트(37)가 K 방향으로 랜스(5)의 하단에 접촉하게 이동한다. 랜스(5)가 (L 방향으로) 지면 내로 압박되면, 랜스(5)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7)는 경사진 고정 립(39)을 형성하도록 화살표 M을 따라 구부러질 것이다. 소정 길이의 배수 리본이 랜스(5)에 의해 강화되는 지면 내로 압박된 때에, 랜스(5)는 다시 상승된다. 고정 립(39)으로 인하여, 리본(9)의 하단은 지면에 유지되고 적소에 머무를 것이다. 배수 리본은 킹 포스트를 따라 상향으로 랜스를 통과시킨 후에 지면 또는 그 위를 통과하고, 그 후에 배수 리본의 새로운 단부가 후속 처리 단계를 위하여 앵커에 의해 다시 랜스에 연결된다.
U-형상 브라켓(12)은 플라우(6)를 위한 지지부를 또한 형성한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플라우(6)는 힌지(79)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는 브라켓(12)에 77에서 힌지되어 있다. 또한, 플라우(6)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b)에 의해 브라켓(12)에 연결되어 있고, 이 조립체는 76에서 브라켓(12)에 힌지되어 있고, 힌지(77, 71) 사이의 78에서 플라우(6)에 힌지되어 있다. 힌지(76)는 힌지(75, 73)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플라우(6)는 전방 에지(7)와 후방 측면(8)을 구비한다. 전방 에지(7)의 하단에는 노즈가 마련될 수 있지만,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각종의 힌지(70-79)와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a-d)로 인하여, 기계(40), 아암 또는 붐(110), 포스트(2) 및 플라우(6)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a의 직립 위치에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d)는 어느 정도 연장되어 있고, 조립체(4a)는 도 6에 비교하여 브라켓(12)의 방위를 유지하도록 동작되었다. 2개의 다른 위치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데, 즉 포스트(2)에 있어서는 조립체(4c)를 연장시킴으로써 구현되며 포스트(2)를 S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놓이는 방위와, 플라우(6)에 있어서는 조립체(4b)를 연장시킴으로써 구현되며 (T 방향으로) 역으로 절반이 회전된 방위가 있으며, 이들 모두는 브라켓(12)의 방위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진다. 도 7b에 있어서, 포스트(2)는 생략되어 있으며, 플라우(6)는 브라켓(12)의 방위를 유지하면서 수평 방위로 스윙되어 있다.
도 7c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a, 4d)는 포스트(2), 브라켓(12) 및 플라우(6)를 도 6의 방위로부터 수평 운반 방위로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플라우(6)의 전방 에지(7)에는 플랭크(7a, 7b)가 있는 날카로운 전방 에지가 마련된다. 이들 플랭크는 측판(113a, 113b)로 합쳐져서, 토양으로부터 차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플라우(6)에 강도를 부여한다. 플라우(6)의 내부 공간에는 수직 통로(15)가 마련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리본 커터(1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리본 커터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9a 및 도 9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절단 기구(16)는 수직 통로(15)의 하단에서 하부 개구(15a) 근처에서 동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a는 랜스가 이미 당겨진 순간에 통로(15)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배수 리본(9)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배수 리본(9)은 지면에 충분히 깊게 삽입되었다.
리본 절단 기구(16)는 플라우(6)에 고정 배치된 홀더(23)에 부착된 앤빌(22)을 포함하고, 상기 앤빌에 맞닿게 블레이드(21)에 매우 큰 힘을 가하여 배수 리본(9)을 절단한다. 블레이드(21)는 레버(24)에 결합되어 있고, 이 레버는 피벗 핀(30)의 위치에서 플라우(6)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핀(29)에 의하여 실린더(26)의 피스톤 로드(27)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이 실린더 자체는 타단이 플라우(6)에 고정 배치된 부착 블록(28)에 결합되어 있다.
배수 리본(9)이 통과해야 하는 때에, 실린더(26)는 (도시 생략된) 수단에 의해 자극되어, 피스톤 로드(27)는 A 방향으로 하향 압박된다. 그 결과, 핀(29)이 하향 이동하며, 여기서 실린더(26)의 상단이 블록(28)에 힌지 부착되는 결과로 인하여 후방에 대하여 약간 편향될 수 있으므로, 피벗 핀(30)을 중심으로 하는 부드러운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레버(24)는, 도 9b에서 볼 수 있듯이 블레이드(21)가 배수 리본(9)을 지면에 남겨진 부분(9a)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부분(9b)으로 분리할 때까지 반시계 방향(B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직 운동을 어느 정도 수평한 절단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수직 작동 실린더(26) 및 레버(24)를 구비하는 (도시된) 구조가 공간 점유 및 전력 전송과 관련하여 충분하다.
플라우(6)의 상측에는 각각 힌지(77, 78)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부착 아이(77a, 78a)가 마련되어 있다.
플라우(6)의 후측(8)에는 상단에 입구(19)를 갖고 하단에 완만한 만곡부(10a)를 갖는 관(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부(10a)는 그 원주의 상측부와 부분(10b)의 단부에서 절결 개방되어 있고, 그 원주의 하측부도 절결되어 있다(도 8c 및 8d의 횡단면 참조). 단부 부분(10b)은 수평으로 정향되어 있고, 수평 후방으로 정향되는 출구(20)를 형성한다.
관(10)에 평행하게 관의 직접적 후방을 향하여, 기밀용 포일 스트립 또는 시트(99)의 공급부가 그러한 포일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 연장된다. 공급부는 포일 스트립(99)의 공급 롤(98)을 위한 지지부(90)를 구비한다. 스트립(99)은 아이들 롤(97)을 거쳐서 후방으로 안내되고, 여기서 스트립은 원형 횡단면의 관(91)의 둘레에 결합된다. 관(91)의 아래에 작은 거리를 두고, 관(93)이 관(91)의 둘레에 배치되어 함께 포일 스트립(99)용의 환형 채널을 형성한다(도 8b 참조).
도 8a에서 알 수 있듯이, 원형 관(91, 93)의 하단은 플라우(6)에 고정되는 브라켓(121)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120)에 수용되어 있다. 단지 내부관(91)만이 계속되고, 이 관은 만곡된 트랙(95)의 바로 위에서 브라켓(121)의 하단에 구현된 U-형상 프로파일(94)로 점차적으로 합쳐진다. 도 8a 및 도 8f에서 알 수 있듯이, 프로파일(94) 주변의 공간은 플레이트(14a, 14b)에 의해 측방향이, 플레이트(14c)에 의해 후방이, 플레이트(14d)에 의해 전방이 구속되어 있다(도 8a에서도 명백함). U-형상 프로파일(94)은 도 8c의 횡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바닥(80)과 2개의 측벽(84a, 84b)을 구비한다.
측벽(84a, 84b)은 만곡된 트랙(95)의 만곡된 하향 연장 플레이트(82a, 82b)에서 하향으로 계속되어 포일 스트립(99)용의 U-형상 채널(83)을 형성한다. 도 8c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채널은 관(10a)에 의해 바닥의 경계가 정해지거나, 또는 동일 속도로 관(10)을 통과하는 배수관에 의해 관(10b)의 경계가 정해진다.
따라서, 하향 주행에 있어서, 포일(99)은 어느 정도 원 형상으로부터 U-형상으로 변형되고, U-형상 포일 스트립(99)의 다리는 바닥(80)과 측벽 또는 다리(84a, 84b)의 주변에서 접히고, 플레이트(14a, 14b)의 하향 연장부(82a, 82b)에 의해 측방향으로 구속된다.
도 8, 8a, 8e 및 8h에서 볼 수 있듯이, 플라우(6)에는 한 쌍의 스크래핑 블레이드(101, 102)가 마련되어 역전된 U-형상의 스크레이퍼(100)를 형성하며, 이 스크레이퍼는 브라켓(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평 상향으로 구속되는 통로(Y; 도 8e 참조)를 구획한다. 스크레이퍼(100)는 2개의 경사진 스크레이퍼 블레이드(101/102a, 101/102b)와 상벽(103/104)을 구비하고, 블레이드(102a, 10b)와 벽(104)은 서로를 향하여 수렴하고, 스크레이퍼(100)를 통하여 후방으로 흐르는 토양을 하향으로 압박한다.
스크레이퍼 블레이드(101a, 101b)는 경사진 전방 에지(105a, 105b)를 구비하고, 이 전방 에지는 플레이트(113a, 113b)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여 플라우에 의해 만들어진 도랑의 벽(45a, 45b; 도 8e 참조)으로부터 토양을 잘라낸다. 그 후, 이와 같이 잘려져 나간 토양은 그 바로 아래를 지나가는 포일 스트립(99) 상에 떨어질 수 있다. 스크레이퍼(100)는 포일 스트립(99)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00)의 아래에서, 플라우(6)에는 경사지게 상향 및 측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86a, 86b)가 마련되고, 이들 블레이드는 상향 및 하향 경사진 전방 에지(106a, 106b)와 상부 에지(87a, 87b)를 구비한다(도 8a, 도 8e, 및 도 8g 참조). 이들 블레이드(86a, 86b)는 플라우에 의해 만들어진 도랑의 벽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들 벽에 새김자국 또는 불연속부를 형성하므로, 새김자국 아래의 벽의 안정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토양 스크레이퍼 및 프레서(11)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이들 스크레이퍼 및 프레서는 새김자국 위의 토양에 작용한다.
도 8 및 도 8a를 참고하면, 이들 도면에는 플라우(6)의 후방에 부착되는 토양 스크레이핑, 프레싱 및 충전 블레이드(11)가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11)는 스크레이퍼(100)와 블레이드(87a, 87b)의 뒤에 위치되어 있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역전된 U-형상 프레싱 프로파일(60)로 간주되고, 이 프로파일은 53의 위치의 전방에서 플라우(6)에, 특히 브라켓(121)에 힌지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프로파일(60)의 상측에는 정지부(51)를 갖는 블록(5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정지부는 한 쌍의 너트(54)에 의해 브라켓(121)에 나사 결합되는 정지 볼트(52)와 맞닿는다. 너트(54)를 조절함으로써, 볼트(5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와 함께 플라우(6)에 대한 프로파일(60)의 방위각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파일(60)은 2개의 다리(61/62a, 61/62b)와 상벽(66)을 구비하고, 상벽(66)은 후방 및 하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다리부(62a, 62b)는 서로에 대하여 수렴하여, 토양용의 협소한 통로 또는 터널을 형성한다. 도 8a 및 도 8e에서 알 수 있듯이, 다리(61/62)의 에지(64, 65)는 하향 및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에지(65a, 65b)의 레벨은 블레이드 다리(101, 102)의 하부 에지의 레벨 바로 아래에 있다. 그러나, 벽(66)과 다리(61/62)는 함께 블레이드 에지(101/ 102)와 블레이드(86a, 86b)를 넘어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에지(65a, 65b)의 레벨은 블레이드(86a, 86b)의 상부 에지(87a, 87b)의 레벨보다 약간 높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시스템의 설치를 참고하면, 토양을 통과할 수 있게 플라우가 이동하는 중에 플라우(6)를 도 7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7a의 방향 T로) 수직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설치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플라우의 노즈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작은 구멍이 국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라우의 높이는 수 미터(예컨대, 2m 이상)일 수 있고, 어떤 경우에든 지층(43) 내로 넉넉히 연장되기에 충분하다.
플라우(6)가 수직 배수 리본을 배치하기 위한 우측 위치로 있게 되면, 장치는 랜스에 의해 지층(43)에서 배수 리본(9a)을 E 방향으로 원하는 깊이로 가압하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랜스(5)는 모래층(42)을 통과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플라우(6) 내의 자유 통로(15)를 용이하게 관통한다. 랜스(5)가 다시 상승되고, 도 1의 라인 X의 레벨 근처에서 절단 기구에 의해 절단된 후에, 기계(40)는 한 단계 후방으로 구동되고, 여기서 플라우(6)는 도랑을 만들면서 D 방향을 따라 당겨진다. 그러한 이동 중에, 구부러질 수 있는 배수관(36)이 킹 포스트(2) 상의 (도시 생략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고, 여기서 관은 통로(10a, 10b)를 통과하고, 수평으로 정향된 개구(20)로부터 H 방향으로 나간다(도 8a 참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접속(11a)에 의하여, 천공된 배수관(10)의 단부는 천공되지 않은 평활한 관 부분(36a)에 연결되고, 이러한 관 부분은 지면 위의 깊은 우물 펌프(31)로 안내되며, 이 펌프는 후에 물( 및 공기)를 F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플라우(6)의 후방측에서 배수관(10)을 공급하는 것은 상대적이며, 이미 도랑에 있는 배수관은 거기에 남아 있고, 플라우는 D 방향으로 이동한다.
배수 리본이 배치되어야 하는 다음 위치에서, 배수 리본(9a)과, 그에 따른 배수 리본(9b, 9c, 9d, 9e 등)을 단계적으로 배치하는 것과 같이 진행한다. D 방향으로의 임시적 이동에도 불구하고, 수평 배수관(10)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상황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연장된다. 이동 중에, 절단 기구(16)와 플라우(6)의 하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배수 리본의 부분은 통로(10)의 외측 굴곡부(10a; outer bend)에 대하여 맞물리는 결과로서 도랑 바닥에서 수평으로 펼쳐지며, 그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된 부분(9a'; 도 1 참조)상에서 수평 배수관(10)이 하강하며, 그에 따라 양 배수 요소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물을 빨리 통과시킬 수 있다. 배수관(10)의 수평 연장부의 원하는 단부에 도달한 때에, 배수관은 소정 깊이로 잘려지고, 단부에서 밀봉되거나, 제2 펌프에 연결되어 있는 천공된 관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배수 길이가 보다 큰 경우에, 물은 2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러한 접속부는 입상 재료의 케이싱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수관 또는 별도의 관을 동시에 이용하여, 관(10)을 매개로 하측 플라우, 굴곡부(10a) 및 수직 리본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입상 재료를 공급한다.
배출 구조를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배수관 위의 영역에서 공기가 잘못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압(underpressure)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배수관이 가능한 한 많이 하측 방향으로 유효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수 리본과의 접촉 영역에 있어서는, 먼저 블레이드(86a, 86b)에 의해 도랑 벽에 새김자국을 형성하고, 그 후에 U-블레이드(60)는 상기 형성된 새김자국에서 수평 부분(66)과 함께 연장되고, 도랑 벽에서 새김자국의 아래에 있는 토양 물질은 다리(61a, 61b)에 의해 수직으로 잘려지고, 그 후에 수렴하는 다리(62a, 62b)에 의해 도랑 벽으로부터 제거되고 벽(66)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된다. 플라우(6)의 방향(D)으로의 이동 단계 중에, 재료는 프레싱 블레이드(60)에 의해 수평 배수관(10)의 원주의 상부 절반 둘레에서 가압 및 압축되어, 소위 기밀층(46)이 배수관(10)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정지부(52)와 블레이드(60)의 역전된 U-형상은 기밀 시일의 구현을 촉진한다.
작업이 완료된 때에, 플라우(6)는 힌지(77)를 중심으로 기울임으로써 도랑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플라우(6), 브라켓(12) 및 포스트(2)의 조립체가 상승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53에서 스크레이퍼/프레서(11/60)의 힌지식 접속으로 인하여, 스크레이퍼/프레서는 상승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보다 수직의 방위를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방위에 의하여, 도랑의 벽이 심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이들 벽이 국부적으로 붕괴되고, 느슨한 토양이 드레인이 낙하하며, 이로 인하여 누설 경로가 초래될 수 있다.
토양의 타입이 응집력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입상인 경우에는, 관(10)에 기밀 한 시일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일(99)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스크레이퍼(100)와 포일 스트립(99)의 공급을 위한 부품이 사용되고, 스트립(99)은 각각 I 및 H 방향으로 배수관(10)과 동일한 속도로 공급된다(도 8 및 도 8a 참조). 스크레이퍼(100)는 도랑 벽으로부터 토양을 자르고, 토양을 분쇄하고, 그 토양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토양은 이미 어느 정도 수평 상태로 있는 포일 스트립(99) 상에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프레싱 및 충전 블레이드(60)가 해당 영역에서 동작하기 전에, 스트립이 배수관의 상측에서 적절한 위치를 갖는 것이 보장된다. 사용된 포일(99)은 강도를 위하여 폴리에틸렌의 상층 및 하층과, 이들 층 사이에 기밀 포일이 개재되는 샌드위치 포일과 같은 복합 포일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설치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00)의 상세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도면에는 강화될 필요가 없는 중앙 토양 영역(201)과, 이 토양 영역의 양측에 있는 실제로 강화될 필요가 있는 토양 영역(43a, 43b)이 도시되어 있다. 펌프(31)는 강화될 필요가 없는 토양 영역(201)의 지면(141)상에 배치되어 있다. 펌프(31)는 물을 토양 영역(43a, 43b)으로부터 (도시 생략된) 소정의 배출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31a)를 갖는다.
펌프(31)에는 여러 개의 입구(37a, 37b)가 마려되어 있고, 이 입구에 펌프 또는 흡인 라인(36a, 36b)이 연결되어 있다.
펌프 라인(36a, 36b)이 지면(141)으로부터 보다 굴곡된 방식으로 토양 영역(201)의 토양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깊이에서 슬라이드 접속부(11a, 11b)를 매개로 수평 배수 라인(10a, 10b)에 연결되어 있다.
수평 배수 라인(10a, 10b)은, 배수를 위하여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토양 영역(43a, 43b) 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수 리본(9a, 9b)의 회전된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배수 리본(9a, 9b)과 함께 배수 라인(10a, 10b)은 토양 영역(43a, 43b)에 배수 스크린을 형성하여, 상기 토양 영역에 존재하는 토양을 배수시킴으로써 토양 영역을 강화시킨다. 가상의 경계 영역(U)의 위치에서, 토양 영역(43a, 43b)은 중앙 토양 영역(201)으로 변경된다.
도 1에 도시되고 도 2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라인(36a)의 하단과 수평 배출 라인(10a)의 사이에 슬라이드 접속부(11a)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 접속부는 가상의 분리 영역(U)의 레벨로 위치되어 있고,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장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배수 리본(9a)의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라인(36a)의 단부(212a)는 도면에서 보았을 때 배수 라인(10a)의 좌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오버랩(S)이 형성된다.
탈수(N, O, P, F) 후에 약간의 시간이 지난 후에, 지면(141)은 Q 방향으로 낮아지고, 배수 라인(10a)도 또한 점선으로 지시된 위치로 낮아진다. 상기 낮아지는 중에, 펌프 라인(36a)의 단부의 오버랩(S)의 일부는 흡인 라인(36a)의 나머지 부분 또는 배수 라인(10a)의 나머지 부분이 그 오버랩에 의해 방해 받지 않는 상태로 배수 라인(10a)의 좌단으로부터 미끄러져 나갈 수 있다. 흡인 라인(36a)의 유효 부분은 단부(212a)의 일부에 의해 길어진다.
여기서, 흡인 라인(36a)은 토양 영역(43a)에서 적소에 유지되고, 특별한 인장 응력을 받지 않는다.
흡인 라인(36a)은 평활한 외면을 갖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고, 유연성이 있지만 토양의 압력하에서 그것의 횡단면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하다. 공지의 방식으로, 배수 라인(10a)은 리브 형성 배수관일 수 있고, 이 배수관은 소위 토양 영역(43a, 43b)의 토양 내로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접속부(11b)와 유사할 수 있는〕 슬라이드 접속부(11a)의 제1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리브 형성 배수관(10a)의 단부에서, 단부편(213a)은 리브 사이의 골에 맞물리는 스냅 립(229)을 구비한 스냅 소켓(214a)과 결합되어 있다. 단부편(213a) 내에 어댑터 관 부재(215a)가 클램핑되고, 이 관 부재는 폐쇄 격벽(216a)을 형성하는 확장된 관 부분과, 이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는 협소한 관 부분(27a)을 구비한다. 스냅 소켓(214a)에 의하여, 단부편(213a)은 배수관(10a)의 단부에 간단하게 스냅 체결될 수 있다.
그 후, 관 부분(217a)은 단부편(213a)으로부터 배수관(10a)으로 연장된다. 관 부분(217a)의 단부에 클램핑 커플링(218a)이 결합되고, 그에 따라 관 부분이 토양으로부터 차폐되고, 그에 따라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클램핑 커플링(218a)은 링 쇼울더(226a)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제1 부분(220a) 및 제2 부분(221a)을 갖는 슬리브(219a)를 구비한다. 제1 슬리브 부분(220a)은 관 부분(217a)에 끼워지고, 원주 방향으로 차단되어 원추형 나사 형성 립(223a)을 형성한다. 클램핑 링(222a)이 립(233a) 위에서 연장되고, 상응하는 원추형의 내면을 구비하며, 이 내면에는 립(223a) 상의 나사부와 협력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리브(219a)는 관 부분(217a)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 부분(221a)의 내주에는 밀봉부(224a)가 마련되어 있고, 이 밀봉부는 강한 밀봉을 제공하지만 슬라이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연한 흡인 라인(36a)의 평활한 외면과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클램핑 링(222a)의 내주에는 밀봉 링(227a)이 마련되어 있다.
흡인 라인(36a)의 외주에 정지부(225a)가 또한 마련되어 있어서, 배출 단부(213a)에서 흡인 라인(36a)의 내측 운동을 제한한다. 수용 단부(212a)가 있는 흡인 라인(36a)이 배수관(10a)의 〔단부편(213a)에 의해 길어진〕 배출 단부 내에서 연장되어 오버랩(S)을 형성하는 것을 도 1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오버랩은 약간의 제한을 갖는 계산된 강화와 동일하게 된다.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중에 토양 영역(43a)이 낮아지면, 슬라이드 접속부(11a)는 관 단부(212a)의 일부를 가능한 슬라이드 커플링으로부터 신장시킬 것이다. 흡인 라인(36a)의 평활면과 밀봉 링(224a, 227a)의 존재로 인하여 유연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며, 토양 및 공기에 대하여 밀봉성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대안의 슬라이드 접속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단부편(313a)은 리브 사이의 골에 맞물리는 스냅 립(329)을 갖춘 스냅 소켓(314a)에 의해 리브 형성 배수관(10a)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단부편(313a) 내에는, 단부편(313a)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교차-격벽(316a)이 위치되어 있다. 단부편(315a)은 교차-격벽(316a)에 부착되거나, 교차-격벽과 일체로 형성된다. 스냅 소켓(314a)과 립(329)에 의하여, 단부편(313a)은 배수관(10a)의 단부에 간단하게 스냅 체결될 수 있다.
관 부재 또는 스터드(315a)에는 원추형 외면을 갖는 클램핑 링(322a)이 마련되어 있고, 이 링(322a)은 원주 방향으로 차단되어 있다. 암나사부(330a)와 축방향으로 후속하는 원추형 내면(331a)이 형성된 너트(323a)가 링(322a)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원추형 표면(331a, 331a)는 서로 맞물린다.
또한, 링 쇼울더(326a)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확장부(320a)와 협소부(321a)를 갖는 슬리브(319a)가 관 부재(315a) 상에 배치되어 있다. 확장된 슬리브 부분(320a)은 관 부분(317a)에 끼워지고, 관 부분(317a)의 외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밀봉 링(327a)을 구비하여 물이 관 부분(317a)과 확장된 슬리브 부분(320a) 사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클램핑 링(322a)은 슬리브 부분(320a)과 축방향으로 맞닿는다. 마찬가지로, 협소한 슬리브 부분(321a)은, 관 부분(315a)과 배수관(10a)에 대한 관 또는 라인(36a)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면서 평활한 펌프관(36a)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밀봉 링(324a)을 구비한다.
너트(322a)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는 클램핑 링(322a)을 수축시키면서 확장부(320a)에 나사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319a)와 단부편(313a) 사이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램핑 접속을 형성한다.
슬라이딩 접속부(311a)는 단부편(313a)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차폐되어 적절한 기능을 보장한다.
흡인 라인(36a)의 외면에는 정지부(325a)가 또한 마련되어 있어서, 배출 단부(313a)에서 흡인 라인(36a)의 내측 운동을 제한한다. 수용 단부(312a)가 있는 흡인 라인(36a)이 배수관(9a)의 〔단부편(313a)에 의해 길어진〕 배출 단부 내에서 연장되어, 오버랩(S)을 형성하는 것을 도 4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오버랩은 약간의 제한을 갖는 계산된 강화와 동일하게 된다.
도랑을 만들 때에, 플라우는 고밀도 형태의 토양이나, 천연 또는 인공의 장애물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그러한 저지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플라우에는 토양 및/또는 장애물의 점착을 파괴하거나 이들을 변위시키는 자체로 공지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우의 전방 에지(7)에는 절단면의 전체 높이에 걸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다. 필요할 때에, 이들 블레이드는 상향 및 하향 이동을 한다.
도랑을 만들기 위한 대안으로서, 도랑-형성 장치에는 랜스/리본의 수직 통로 앞의 부분에 그룹 커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커터는 체인 톱과 매우 유사하며, 톱니 및/또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할 수도 있고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는 무단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체인은 장치의 상측에 있는 구동 휠을 중심으로 장치의 하측에 있는 전향 휠로 장치의 중앙에서 주행한다. 체인 휠의 샤프트는 장치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반면에, 체인은 장치의 이동 방향의 평면에서 주행한다. 여기서, 장치는 가능하게는 U-형상 토양 차단 블레이드와 관을 공급하는 초기에 언급한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체인은 연속 회전 운동을 할 수도 있고, 상하 요동 운동을 할 수도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능하게는 운동 방향이 반대인 여러 개의 체인이 나란하게 주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플라우가 추진 운동에 있어서의 맥동 운동과 이를 가로지르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우에는 하나 이상의 진동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시스템 및 방법은 수중 토양 상에서 평저보트(pontoon)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시스템 및 방법은 금과 같은 광물의 개발, 특히 광산 작용으로부터 발생되는 광물-함유 슬러리가 매립지로서의 구획에 퇴적되어 있는 환경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장치 및 방법은 매립지로부터 물을 빼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후에 물에 존재하는 광물을 매립지로부터 빼낸 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라인과 펌프 라인 사이의 슬라이드 접속부로 인하여, 라인들은 물이 빠진 토양 영역의 강화 운동을 원활하게 따를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토양 영역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토양 영역으로부터 액체, 특히 물을 빼내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간격을 두고 토양에서 하향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배수 수단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배수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라인은 상기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을 통과한 토양의 유체를 수용하도록 토양에 배치되어 있고, 강화 처리 등과 같은 처리 대상 토양 영역의 경계 영역에 있는 전이 영역에서 펌프 라인으로 변경되고, 이 펌프 라인은 처리 대상 토양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 펌프로 안내되며,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전에 전이 영역에 라인 길이의 오버사이즈(oversize)가 제공되는 것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사이즈는 적어도 최소한 예상된 강화에 대해 조절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최외각의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사이즈는 서로 끼워지는 두 라인 단부 사이의 오버랩을 갖는 슬라이드 접속부로서 설계되는 것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단부는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와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단부는 슬라이드 접속부의 위치에서, 서로 끼워지게 활주하여 그 위치에 오버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는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인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속부는 슬리브 부분과, 배출 단부의 둘레를 클램핑함으로써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를 슬리브 부분에 고정하는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부분은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를 활주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과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 사이에는 실링(sealing)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시스템.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속부에는 배수 라인의 배출 단부와 펌프 라인의 수용 단부의 상호 접근 방향으로 유효한 리미터(limiter)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시스템.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단부는 스냅 접속 등에 의하여 배수 라인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속부는 배출 단부의 일부인 슬리브 내에 수용되는 것인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은 길고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수단은 배수 스트립/리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으로 연장되는 배수 라인은 기밀층으로 덮여 있는 것인 시스템.
  15. 토양 영역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토양 영역으로부터 액체, 특히 물을 빼내기 위한 조립체로서,
    자체의 펌프 라인을 갖는 중앙 펌프에 각각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시스템을 복수 개 구비하는 조립체.
  16.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토양 영역으로부터 액체, 특히 물을 빼내기 위한 조립체로서,
    자체의 펌프 라인을 갖는 중앙 펌프에 각각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시스템을 복수 개 구비하는 조립체.
  17. 첨부된 설명에 개시되고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수단을 구비하여 토양 영역으로부터 물을 빼내기 위한 시스템.
KR1020057010285A 2002-12-05 2003-12-05 토양 배수 시스템 KR20050086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22086 2002-12-05
NL1022086A NL1022086C2 (nl) 2002-12-05 2002-12-05 Gronddrainagesyste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902A true KR20050086902A (ko) 2005-08-30

Family

ID=3246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285A KR20050086902A (ko) 2002-12-05 2003-12-05 토양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10224A1 (ko)
EP (1) EP1567725A1 (ko)
JP (1) JP2006509129A (ko)
KR (1) KR20050086902A (ko)
AU (1) AU2003285834A1 (ko)
NL (1) NL1022086C2 (ko)
WO (1) WO2004051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9794B2 (ja) * 2005-01-20 2011-01-12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透水性上部地盤下の軟弱地盤改良方法
US20140076530A1 (en) * 2012-09-18 2014-03-20 Alejandro Augusto Alvarez De Toledo Facility with wells having multiple horizontal galleries for lowering water tables
JP6270261B2 (ja) * 2013-10-24 2018-01-31 五洋建設株式会社 吸水振動締め固め工法
JP6319839B2 (ja) * 2014-07-09 2018-05-09 株式会社不動テトラ ボードの水平建込み装置及び水平建込み方法
US10233607B2 (en) * 2017-02-12 2019-03-19 Bahman Niroumand Comprehensive excavation process
CN112028437A (zh) * 2020-07-28 2020-12-04 王育晓 淤泥处理系统和采用上述淤泥处理系统实施的淤泥排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2184A (en) * 1938-01-14 1939-06-13 John E Snyder Pipe coupling
US3518831A (en) * 1967-11-02 1970-07-07 Dawson Inc Alexander Method and apparatus for subterranean irrigation
NL6904048A (ko) * 1969-03-15 1970-09-17
NL7505796A (nl) * 1974-09-19 1976-03-23 Josef Meertz Buisaansluitconstructie voor de besproeiings- installatie. 160575 buisaansluitconstructie voor de be- sproeiingsinstallatie.
JPS5816078B2 (ja) * 1976-06-08 1983-03-29 日立造船株式会社 泥水式シ−ルド掘進機における送排泥管伸縮装置
US6254308B1 (en) * 1999-02-25 2001-07-03 Menard Soltraitement Equipment and a method for partially drying a zone of ground containing a liquid
NL1016329C2 (nl) 2000-10-04 2002-04-10 Bos & Kalis Baggermaatsch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consolideren van grondl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1005A1 (en) 2004-06-17
NL1022086C2 (nl) 2004-06-22
AU2003285834A1 (en) 2004-06-23
EP1567725A1 (en) 2005-08-31
US20060110224A1 (en) 2006-05-25
JP2006509129A (ja)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7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ntainment barriers under contaminated lands
US7318627B2 (en) Recovery head with track seal
US5765965A (en) Apparatus for in situ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ntainment barriers under contaminated lands
US59576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 Situ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ntainment barriers under contaminated lands
US5551807A (en) In-ground barrier system
EP0056814A1 (en) Slurry trenc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walls
KR20050086902A (ko) 토양 배수 시스템
JP2001279709A (ja) 堅い地表の掘削装置
US8608410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curved multisectional wall and stratum
US20040208710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curved multisectional stratum and wall
US6655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olidating earth strata
CN102076929B (zh) 液体杆式泵
CN110985120A (zh) 裂隙性粘土层的隧道联络通道降水施工方法及系统
US4943189A (en) Method of contructing a vertical barrier wall in the ground, as well as apparatus for applying this method
DE29522060U1 (de) Schlitzfräse
US4568126A (en) Method and machine for removing blockage and silt from abandoned auger holes
JPH07173991A (ja) 横坑掘削装置の圧力調整装置及び横坑掘削装置の圧力調整方法
RU2107776C1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подводных земляных рабо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ноуглубительного земснаряда и гидромони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аботки траншей под водой, гидромониторный трубозаглубитель-траншеекопатель (варианты), трубозаглубитель-траншеекопатель (варианты)
CN220599716U (zh) 一种尺寸可变分步式带加腋水平悬臂的矩形抗滑桩钻机
CN220599717U (zh) 一种尺寸可变异步式带加腋水平悬臂的矩形抗滑桩钻机
CA1063012A (en) Method of recovery of tar sands material
RU2232844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ластмассового дренажа в водонасыщенных грунтах
CN116988529A (zh) 一种自锁地连墙单边旋转钻挖横切循环成槽方法
CN114837162A (zh) 一种采煤塌陷地生态恢复装置
SU1437483A1 (ru) Способ продавливани скважин в грунт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