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340A -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340A
KR20050086340A KR1020040025320A KR20040025320A KR20050086340A KR 20050086340 A KR20050086340 A KR 20050086340A KR 1020040025320 A KR1020040025320 A KR 1020040025320A KR 20040025320 A KR20040025320 A KR 20040025320A KR 20050086340 A KR20050086340 A KR 2005008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ed
area
recording
clust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580005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922662B/zh
Priority to CA2557449A priority patent/CA2557449C/en
Priority to AT05721870T priority patent/ATE505788T1/de
Priority to KR1020067019754A priority patent/KR101071838B1/ko
Priority to RU2006133891/28A priority patent/RU2006133891A/ru
Priority to JP2007500678A priority patent/JP4836931B2/ja
Priority to BRPI0507957-8A priority patent/BRPI0507957A/pt
Priority to PCT/KR2005/000480 priority patent/WO2005079175A2/en
Priority to EP05721870A priority patent/EP1719122B1/en
Priority to DE602005027442T priority patent/DE602005027442D1/de
Priority to US11/063,529 priority patent/US7249233B2/en
Publication of KR2005008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3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11B2020/10907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using pseudo-overwriting, i.e. virtually or logically overwriting data on WORM media by remapping recorded blocks to alternat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BD-WO와 같은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내 기록완료된 특정 영역에의 중첩 기록 명령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내의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대체 기록에 따른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따라 기록되는 데이터가 서로 연속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하나의 엔트리로 압축하여 상기 디스크내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Method for managing a overwrite recording, data reproducing in Optical Write Once disc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BD-WO와 같은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디스크, 예를 들어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 : Blu-ray rewritable disc)가 개발 출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상기 BD-RE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Lead-In Are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 영역(Lead-Out Area)이 구분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및 후단에는, 이너 스페어 영역(ISA: Inner Spare Area)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 Outer Spare Area)이 구분 할당된다.
BD-RE는 소정의 기록단위에 대응되는 클러스터(Cluster) 단위로 기록하게 되는 데,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기록하던 도중, 상기 데이터 영역에 디펙트 영역이 존재하는 지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펙트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그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스페어 영역, 예를 들어 이너 스페어 영역(ISA)에 대체 기록하는 일련의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디펙트 영역에 대한 위치정보와,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기록된 위치정보를 관리정보로서 상기 리드인 영역에 디펙트 리스트(Defect List)로 기록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BD-RE의 데이터 영역에 디펙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고, 재생동작 수행시, 관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펙트 영역의 데이터대신 스페어 영역에 대체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으로써, 데이터 기록/재생 오류를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 : Blu-ray disc write once)에 대한 규격화 작업이 관련업체들간에 논의되고 있는 데,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디스크의 전영역에서 오직 1회만 기록가능함에 따라서,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와 달리 물리적으로 중첩적 기록(overwrite)이 불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도 기록된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해당 부분만을 수정하고자 하거나 또는 사용자나 호스트등의 편의를 위해, 중첩기록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수 있으며, 이를 가능케하는 효율적인 방안의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바, 그 기술적 과제는다음과 같다.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내 기 기록 완료된 영역에 대한 연속적인 중첩 기록시 효율적인 DFL 엔트리의 관리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의 제안된 방법으로 중첩 기록된 광디스크의 효율적인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은,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내 기록완료된 특정 영역에의 중첩 기록 명령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내의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대체 기록에 따른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따라 기록되는 데이터가 서로 연속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하나의 엔트리로 압축하여 상기 디스크내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중첩 기록 장치는,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내 기록완료된 특정 영역에의 중첩 기록 명령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내의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대체 기록에 따른 관리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명령에 따라 기록되는 데이터가 서로 연속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하나의 엔트리로 압축하여 상기 디스크내 기록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재생 방법은,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독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관리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광디스크내 중복 기록 및 대체 기록된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중복 기록된 영역의 재생시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체 기록된 영역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재생 장치는, 상기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 정보가 독출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관리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광디스크내 중복 기록 및 대체 기록된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 기록된 영역의 재생시 상기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체 기록된 영역을 재생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중첩 기록 및 결함 영역 관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라 본 발명에서 출원인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 용어도 임의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부에서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는, 리드인 영역 (Lead In Area)과, 데이터 영역(Data Zone), 그리고 리드아웃(Lead Out Area) 영역이 구분 할당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및 후단에는, 이너 스페어 영역(Inner Spare Area)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uter Spare Area)이 구분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기록 관리 정보는 디스크의 사용중 필요에 따라 여러번 업데이트(update)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광디스크내에는 여러번 업데이트 될 수 있는 광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 :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이하 'TDMA')이 상기 리드인 영역(Lead In area)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TDMA내에는 임시 결함 리스트(TDFL : Temporary Defect List, 이하 'TDFL')를 기록하게 된다. 상기 TDFL 내에는 실제 결함 영역 또는 중첩 기록된 영역의 위치 정보등의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다수의 DFL 엔트리(DeFect List entry)로 구성된 결함 리스트(List of defects)를 포함한다.(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분 할당된 광디스크에서, 상기 데이터 영역내에 이미 기록완료된 영역(Original recorded data)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역은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특성상 물리적으로는 '중첩기록(Overwrite)'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나 호스트등의 기록명령이 도 2와 같이 a-b 영역(기록완료된 영역)에 기록수행을 요청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버가 자체적으로 이를 데이터영역내의 다른 영역에 대체기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나 호스트등은 디스크내 특정영역의 기록완료여부에 상관없이 기록명령을 내릴수 있으며, 이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임에도 사용자등은 마치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물리적인 중첩기록과 구분하여 논리적 중첩기록방식(LOW : Logical Over-Write)이라 명명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a-b 영역에 대한 기록명령을 수행함에 있어, 물리적으로 이미 기록완료된 부분이므로 해당영역에 다시 중첩기록을 할수는 없으나, 이를 데이터 영역(Data Zone)내, 스페어 영역(spare area)인 c-d 영역으로 대체 기록하고 그에 대한 관리정보를 디스크내의 TDMA에 TDFL정보로서 기록해둠으로써 기록명령수행을 완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기록완료된 디스크에 대해, 후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호스트(host)등이 a-b영역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 드라이버(driver)가 기록된 관리정보를 참조하여 a-b영역의 재생대신에 c-d영역을 재생함으로써 재생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디스크내에 연속적인 결함 영역(Consecutive defect area)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결함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spare area)에 대채 기록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되는 바, 이를 첨부한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리드인 영역(Lead In Area)과, 데이터 영역(Data Zone), 그리고 리드아웃(Lead Out Area) 영역이 구분 할당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및 후단에는, 이너 스페어 영역(Inner Spare Area)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uter Spare Area)이 구분 할당된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실제 데이터가 기록될 상기 데이터 영역(Data Zone) 내부 특정 영역에 결함 영역(a-b)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함 영역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그 이상의 클러스터에 발생 가능하며, 도 3의 경우 다수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클러스터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는, 광디스크 드라이버(driver) 상의 세팅으로, 비록 하나의 클러스터에 결함이 발생했다 할지라도, 주변의 클러스터도 손상 또는 오염되었을 가능성에 대비하여 결함 클러스터 주변의 여러 클러스터를 동시에 결함 영역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도 발생 가능하다.
이처럼, 데이터 영역(Data Zone)내 연속하는 다수개의 클러스터가 결함 영역인 경우, 해당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는 스페어 영역(ISA or OSA)에 대체 기록하게 되는데, 도 3의 경우는 특히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의 c-d 영역에 대체 기록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이때, 기록은 스페어 영역의 내측부터 리드아웃 영역(Lead Out Area)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에 대체 기록하게 되면, 그에 대한 관리 정보를 디스크내의 TDMA에 TDFL 정보로서 기록해둠으로써 기록 명령에 대한 수행을 완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기록 완료된 디스크에 대해, 이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호스트(host)등이 a-b 영역의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 드라이버(driver)는 상기 기록된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a-b 영역의 재생 대신에 c-d 영역을 재생함으로써 재생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페어 영역(spare area)에 대체 기록되는 다수개의 연속하는 클러스터(consecutive multiple Cluster)에 발생한 결함을 특별히 CRD(Consecutive Re-allocatable Defect)라 명명하기로 한다.
관련하여,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되는 하나의 클러스터에 발생한 결함은 RAD(Re-allocatable Defect)라 한다. 또한, 하나의 클러스터에 발생한 결함에 대해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는 바, 이는 NRD(Non-Reallocatable Defect)라 한다.
상기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리적 중첩 기록 방법은 중첩 기록되는 영역의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면에서, 연속적인 결함 영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결함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CRD 타입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 논리적 중첩 기록 방식에서 실제 DFL 엔트리에 기록되는 형태는 CRD 엔트리 타입을 사용하게 되는바, 이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기록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호스트(host)등의 중첩 기록 (overwrite) 명령에 따라, 기 기록된 영역에 중첩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스페어 영역(spare area)등으로 대체 기록함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경우, 필요한 중첩 기록 관리 정보는 연속적인 결함 클러스터의 대체(CRD) 타입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즉, 연속적인 결함 클러스터의 대체(CRD) 타입(type)에 대해, TDMA에 기록되는 관리 정보는 두 개의 DFL 엔트리를 사용하여 표현 가능한 바, 도 4와 같이, 하나의 엔트리에 대해 "status 1" 필드에는 각각의 DFL 엔트리의 타입(type)에 대한 정보로서 대체 기록 여부에 관한 정보(예를들면 '0000'이면 결함영역이 정상적으로 대체기록완료된 RAD(Re-allocation Defective) 타입 혹은 CRD(Consecutive Re-allocation Defect)의 DFL 엔트리를 의미하고, '0001'이면 결함영역이지만 대체기록을 위한 대체영역이 지정되지 않은 NRD(Non-Reallocatable Defect) 타입의 DFL 엔트리를 의미)를 기록하며,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이 발생한 클러스터의 위치정보를 기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해당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PSN : physical sector number)로 기록한다.
또한 "status 2" 필드에는 상기 "status 1" 필드와 함께 각각의 DFL 엔트리의 타입(type) 및 속성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0000'인 경우 한개의 클러스터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며, '0001'인 경우 연속적인 다수개의 결함 클러스터의 시작(start)을, '0010'인 경우 연속적인 다수개의 결함 클러스터의 마지막(end)을 의미)를 기록하며,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 영역이 스페어 영역내로 대체 기록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 정보는 해당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PSN)로 기록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엔트리를 사용하여 "status 1" 과 "status 2" 필드에는 각각의 DFL 엔트리의 타입(type)에 대한 정보를 표현(특별히 두번째 엔트리의 상기 "status 2" 필드에는 연속적인 다수개의 결함 클러스터 및 대체 클러스터의 마지막(end)임을 알리는 '0010' 비트가 기록될 것이다)해 주며,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이 발생한 클러스터의 위치 정보 중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PSN)를 기록하게 되고,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 영역이 스페어 영역내로 대체 기록된 영역의 위치 정보 중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PSN)를 기록한다.
이때, 상기 하나의 엔트리는 8바이트(64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status" 필드들을 위해 각각 4비트가 할당되고, "Defective Cluster first PSN",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를 위해 각각 28비트가 할당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엔트리 포맷을 이용하여 중첩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 4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첫번째 엔트리(DFL entry 1)의 "status 1" 필드에는 대체 기록이 되었음을 의미하는 '0000'이 기록되고,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인 'a'가 기록될 것이다.
또한, "status 2" 필드에는 연속적인 결함 클러스터의 시작을 의미하는 '0001'이 기록되며,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 영역이 스페어 영역 내로 대체 기록된 위치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인 'c' 가 기록될 것이다.
또한, 두번째 엔트리(DFL entry 2)의 "status 1" 필드에는 대체 기록이 되었음을 의미하는 '0000'이 기록되고,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 클러스터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인 'b'가 기록되며, "status 2" 필드에는 연속적인 결함 클러스터의 마지막을 의미하는 '0010'이 기록되고,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결함 영역이 스페어 영역 내로 대체 기록된 위치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인 'd'가 기록될 것이다.
따라서, 이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호스트(host)등이 a-b 영역의 재생을 요구하는 경우, TDMA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정보를 참조하여 c-d 영역의 재생을 수행하면 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DFL 엔트리 두 개(DFL entry 1, DFL entry 2)를 사용하여 중첩 기록에 관한 관리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두 개의 엔트리를 총칭하여 CRD 엔트리라 명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기록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로서, 사용자 내지 호스트의 중첩 기록 명령에 따른 구체적인 중첩 기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5a와 같이, 사용자 내지 호스트(Host)의 요청에 따라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기 기록된 영역(Previously recorded area)에 중첩 기록 명령이 드라이브(drive)로 전달되면, 상기 드라이브는 상기 기 기록된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spare area)에 대체 기록함은 전술한 바 있다.
이때, 상기 중첩 기록 명령은 광디스크상의 기록할 위치(start position, 섹터 단위) (ex, x1, x2, x3, …) 및 데이터의 크기(length, 클러스터(cluster) 단위)(ex, m1, m2, m3,…)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되며, 도 5a와 같이, 기록 명령이 연속해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연속해서 전달되는 기록 명령 중, W1 명령(command)의 경우, 디스크상의 X1 위치에 m1 클러스터만큼을 기록하도록 명령하고 있으나, 상기 x1 위치는 이미 기록된 영역이므로, 광디스크 드라이브(drive)는 이를 스페어 영역(spare area)인 Y1 위치부터 m1 클러스터만큼 대체 기록하게 된다.
상기 W1 명령에 대해, 앞서 도 4에서 전술한바와 같이, 드라이브는 상기 중첩 기록 명령에 대한 대체 기록의 관리 정보로서 CRD 엔트리 1을 TDMA 영역에 포함된 TDFL의 결함 리스트(List of Defects)에 기록하게 된다.
이때, 상기 CRD 엔트리 1은 DFL 엔트리 두 개를 사용하여 표현되며, 첫 번째 DFL 엔트리 1의 "status 1" 필드에는 '0000'을, "Defec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X1'을, "status 2" 필드에는 'Y1'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두 번째 DFL 엔트리 2의 "status 1" 필드에는 '0000'을, "Defec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X2-32'를 기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X2-32'를 기록하는 이유는 상기 위치 정보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지막 결함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를 기록하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클러스터는 32개의 섹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웃하는 클러스터의 선두 PSN은 32 섹터의 주소(address)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하나의 클러스터가 16 섹터로 구성되어 있다면 16 섹터 만큼의 주소 차이가 발생할 것이다.
또한, 두 번째 DFL 엔트리 2의 "status 2" 필드에는 '0010'을,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Y2-32'을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W2 및 W3의 기록 명령에 대해서도, CRD 엔트리 2와 CRD 엔트리 3를 생성하여 TDMA 영역의 TDFL의 결함 리스트(List of Defects)에 기록(업데이트(update))함으로써, 대체 기록된 영역에 관한 관리 정보를 광디스크가 갖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도 5a의 경우와 같이, 중첩 기록 명령에 따라 기록되는 데이터가 연속하는 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즉,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TDMA 영역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중첩 기록 명령에 따라 기록되는 데이터가 연속하는 경우, 하나의 CRD 엔트리로 압축하여 광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첨부한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b와 같은 테이블은, 도 5a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CRD 엔트리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와 같이, 기록 명령 W1, W2, W3에 따라 생성된 CRD 엔트리는 서로 연속하는 클러스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CRD 엔트리 1이 나타내는 클러스터의 위치와 CRD 엔트리 2가 나타내는 클러스터간, CRD 엔트리 2가 나타내는 클러스터 위치와 CRD 엔트리 3가 나타내는 클러스터 위치는 서로 인접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중첩 기록 명령에 따라 대체 기록되는 데이터가 연속하는 경우 처음과 마지막 클러스터의 위치 정보를 하나의 CRD 엔트리를 사용하여 표현하게 된다.
이를 위해, 광디스크 드라이브(drive)는 연속하는 기록 명령에 대해 이를 내부의 메모리(memory)에 버퍼링(buffering)하여 되도록 한번에 관리 정보 기록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매 중첩 기록 명령에 따라 대체 기록을 수행한 후, 생성되는 CRD 엔트리를 광디스크가 아닌 드라이브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시켜놓고, 상기 CRD 엔트리를 조사하여 연속하는 클러스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들을 하나의 엔트리로 줄여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함으로써 TDMA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 5b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면, 중첩 기록 명령(W1, W2, W3)으로 인해 대체 기록이 수행되고, 생성된 관리 정보인 CRD 엔트리 1, CRD 엔트리 2, CRD 엔트리 3는 서로 연속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광디스크의 TDMA 영역에 기록되는 CRD 엔트리는 두개의 DFL 엔트리를 사용하여 중첩 기록 영역의 연속하는 첫번째 클러스터와 마지막 클러스터, 대체 기록되는 영역의 연속하는 첫번째 클러스터와 마지막 클러스터의 위치 정보를 표현해준다.
따라서, CRD 엔트리 중 첫번째 DFL 엔트리의 "status 1" 필드에는 '0000' 을,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X1'을, "status 2" 필드에는 '0001'을,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Y1'을 기록하며, 두번째 DFL 엔트리의 "status 1" 필드에는 '0000' 을,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X4-32'을, "status 2" 필드에는 '0010'을,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Y4-32'가 기록될 것이다.
한편, 중첩 기록 명령에 따라 생성된 관리 정보 뿐 아니라 실제 데이터까지 버퍼링하여 연속하는 경우 한번에 기록하는 등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비추어 볼때 자명할 것인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구현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중첩 기록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가 나타내는 광디스크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기 기록된 영역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의 (a)와 같이, 상기 광디스크의 기 기록된 영역은 결함 영역을 갖을 수 있다.
상기 결함 영역에 관한 관리 정보는 상기 광디스크내 TDMA 영역(미도시)에 기록되어 있으며, 특별히 RAD 타입인 경우 상기 결함 영역에 기록될 데이터는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되어 있을 것이다.
이처럼, 결함 영역을 포함하는 기 기록된 영역에 사용자나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중첩 기록하는 경우, 상기 결함 영역의 관리 정보 및 대체 기록 여부에 상관없이 광디스크상의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다. 이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특성상 기 기록된 영역에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으므로 결함 영역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디스크의 TDMA 영역에 기록된 최초 7개의 결함 영역에 관한 정보를 표현하는 7개의 DFL 엔트리는, 중첩 기록 영역인 a-b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6개의 DFL 엔트리로 기록될 것이다.(하나의 CRD 엔트리는 두개의 DFL 엔트리로 표시되므로)
도 6의 (b)가 나타내는 광디스크는, 상기 도 6의 (a)와 같은 방법으로 중첩 기록이 된 영역을 포함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상의 기 기록된 영역에 중첩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b)와 같이, 사용자나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중첩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다시 중첩 기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앞서 도 6의 (a) 경우와 마찬가지로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특성상 중첩 기록 여부에 상관없이 c-d 영역에 기록될 정보가 광디스크 상의 스페어 영역에 기록될 것이다.
상기 도 6의 (b)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 완료된 디스크의 형상을 도 6의 (c)에 나타내었다.
도 6의 (c)와 같이, 기 기록된 영역의 중첩 기록된 영역을 포함하여 중첩 기록하는 경우, 기 포함하고 있는 결함 영역에 관한 DFL 엔트리를 포함하여 총 8개의 DFL 엔트리로 기록될 것이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첩 기록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포맷을 나타낸 도면으로, 하나의 TDMA 영역내에 포함되는 TDFL 포맷 및 상기 TDFL 내의 결함 리스트(List of Defects) 포맷을 나타내었다.
도 7과 같이, 하나의 TDMA 영역 내에 포함되는 TDFL은, 결함 리스트 및 상기 결함 리스트의 구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결함리스트 헤더 부분(Defect List Header)과, 디스크의 사용중에 결함으로 결정된 클러스터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결함 리스트(List of Defects)와, 결함 리스트를 종결하는 결함 리스트 종결자(Defects List Termin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함 리스트 헤더 부분은 다시 결함 리스트임을 알려주는 ID정보(identifier)를 나타내는 "DFL identifier" 필드와,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DFL entries(N_DFL)" 필드와, RAD 및 CRD 타입의 엔트리들의 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RAD/CRD entries" 필드와, NRD 및 CND타입의 엔트리들의 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NRD/CND entries"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DFL 엔트리들의 전체 개수는 상기 "Number of DFL entries(N_DFL)" 필드에 기록되며, RAD 타입과 CRD 타입의 엔트리 개수를 더한 개수는 "Number of RAD/CRD entries"에, NRD 타입과 CND 타입의 엔트리 개수를 더한 개수는 "Number of NRD/CND entries"에 기록된다.(중첩 기록(Overwrite)은 CRD 타입으로 처리됨은 전술한 바 있다.)
또한, 결함 리스트(List of Defects)는 실제 결함 클러스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다수개의 DFL 엔트리들로 구성되는 바, 전체 TDFL의 크기는 상기 결함 리스트(List of Defects)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가변적이며 확장 가능하나, 싱글 레이어(Single Layer) 디스크의 경우에는 4클러스터, 더블 레이어(Double Layer) 디스크의 경우에는 8클러스터를 넘지 않아야 한다.
첨부한 도 8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구현되는 광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과 같이, 광기록 재생 장치는 광디스크에 기록 재생을 수행하는 기록 재생부(recording / reproducing device)(1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Host or controller)(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는 기록 재생부(10)로 특정 영역에의 기록 또는 재생 명령을 내리고, 상기 기록 재생부(10)는 제어부(20)의 명령에 따라 특정 영역에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록 재생부(10)는 구체적으로, 제어부(20)와 데이터 및 명령을 주고받는 등의 통신(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2)와,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픽업부(11)와, 상기 픽업부(11)로부터 독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프로세서(13)와, 광디스크로부터 정확히 신호를 독출해내거나, 광디스크에 신호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상기 픽업부(11)를 제어하는 서보부(14)와, 관리 정보를 포함한 여러 정보 및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는 메모리(15)와, 상기 기록 재생부(10)내의 구성 요소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 재생 장치에서,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가 광기록 재생 장치로 삽입되면, 상기 광디스크내의 모든 관리 정보는 독출되어 상기 기록 재생부(10)내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 관리 정보는 광디스크의 기록 재생시 활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광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기록을 원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이를 기록 명령으로 하여 기록을 원하는 위치 정보를 기록할 데이터와 함께 기록 재생부(1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기록 재생부(10)내의 마이컴(16)은 상기 기록 명령을 수신한 후, 메모리(15)에 저장된 관리 정보들로부터 제어부(20)가 기록을 원하는 광디스크내의 영역이, 결함 영역인지 여부 및 기록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결함 영역 혹은 기록 완료된 영역이 아닌 영역에 상기 제어부(20)의 기록 명령대로 기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록을 수행하는 도중,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중첩적 기록(Overwrite)을 해야하는 경우,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기록할 데이터는 데이터 영역내의 다른 영역(스페어 영역)으로 대체 기록을 수행하고, 생성된 CRD 엔트리를 포함한 관련 정보를 상기 기록 재생부(10) 내의 메모리(15)에 일시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저장된 CRD 엔트리를 조사하여 연속하는 클러스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들을 하나의 CRD엔트리로 줄여 광디스크의 TDMA 영역내 TDFL의 DFL 엔트리에 기록하게 된다.
이때, 마이컴(16)은 상기 대체기록되는 영역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를 서보(14)와 데이터-프로세서(13)로 전달하여, 픽업부(11)를 통해 디스크내의 원하는 위치에서 기록 또는 대체기록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된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초, 데이터가 기록된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가 기록 재생 장치로 삽입되면, 상기 디스크내의 모든 관리 정보는 독출되어 기록 재생부(10)내의 메모리(15)에 저장되고, 이들 관리 정보는 광디스크의 기록 재생시 활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광디스크의 특정 영역에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이를 재생 명령으로 하여, 재생을 원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기록 재생부(10)로 전달한다. 상기 기록 재생부(10) 내의 마이컴(16)은 상기 재생 명령을 수신한 후, 메모리(15)에 저장된 관리 정보들로부터 제어부(20)가 재생을 원하는 광디스크내의 영역이 데이터 영역 내의 다른 영역으로 대체 기록되었는지 여부 및 대체 기록되지 않은 경우 결함 영역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TDMA 영역내 TDFL의 DFL 엔트리 등으로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16)은 제어부(20)가 재생을 원하는 영역이 대체 기록되지 않았으면, 해당 영역을 재생하여 재생된 정보를 제어부(20)로 전송하게 되고, 만약, 다른 영역으로 대체 기록(ex. RAD/CRD 타입)되었다면 해당 대체 기록된 영역을 재생하여 재생된 정보를 제어부(20)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는, 상기 광디스크내 기 기록 완료된 영역에 대한 연속적인 중첩 기록시 효율적인 DFL 엔트리의 관리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구조 및 결함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기록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기록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중첩 기록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첩 기록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록 재생부 11 : 픽업
12 : 인터페이스 13 : 데이터-프로세서
14 : 서보 15 : 메모리
16 : 마이컴 20 : 호스트 or 제어부

Claims (16)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내 기록완료된 특정 영역에의 중첩 기록 명령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내의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명령에 따라 기록되는 데이터가 서로 연속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하나의 엔트리로 압축하여 상기 디스크내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대체 기록에 따른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엔트리는 CRD 엔트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RD 엔트리는 상기 디스크내 임시 결함 관리 영역(TDMA)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RD 엔트리는 상기 연속하는 데이터의 중첩 기록 영역에의 시작 클러스터와 마지막 클러스터의 위치 정보 및 대체 기록되는 영역의 시작 클러스터와 마지막 클러스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클러스터들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RD 엔트리는 두개의 DFL 엔트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엔트리 중 첫 번째 엔트리의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중첩 기록 영역의 시작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엔트리 중 두 번째 엔트리의 "Defective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중첩 기록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엔트리 중 첫 번째 엔트리의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대체 기록 영역의 시작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엔트리 중 두 번째 엔트리의 "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필드에는 대체 기록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번째 물리적 섹터 넘버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DFL 엔트리의 타입 및 속성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status" 필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중첩 기록 영역 및 대체 기록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내 기록완료된 특정 영역에의 중첩 기록 명령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내의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대체 기록에 따른 관리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명령에 따라 기록되는 데이터가 서로 연속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관리 정보를 하나의 엔트리로 압축하여 상기 디스크내 기록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장치.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독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관리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광디스크내 중복 기록 및 대체 기록된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중복 기록된 영역의 재생시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체 기록된 영역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재생 방법.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 정보가 독출되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관리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광디스크내 중복 기록 및 대체 기록된 영역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 기록된 영역의 재생시 상기 판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체 기록된 영역을 재생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재생 장치.
KR1020040025320A 2004-02-25 2004-04-13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KR20050086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5800058317A CN1922662B (zh) 2004-02-25 2005-02-22 在一次性写入式记录介质中重写数据的方法和设备
CA2557449A CA2557449C (en) 2004-02-25 2005-02-22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writing data in write-once recording medium
AT05721870T ATE505788T1 (de) 2004-02-25 2005-02-2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schreiben von daten in einem einmalbeschreibbaren aufzeichnungsmedium
KR1020067019754A KR101071838B1 (ko) 2004-02-25 2005-02-22 1회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중첩기록 방법 및장치
RU2006133891/28A RU2006133891A (ru) 2004-02-25 2005-02-22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записи данных в носителе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JP2007500678A JP4836931B2 (ja) 2004-02-25 2005-02-22 1回記録可能な記録媒体におけるデータ重ね書き方法及び装置
BRPI0507957-8A BRPI0507957A (pt) 2004-02-25 2005-02-22 método e aparelho para sobregravar dados em meio fìsico de gravação do tipo gravação única, meio fìsico de gravação
PCT/KR2005/000480 WO2005079175A2 (en) 2004-02-25 2005-02-22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writing data in write-once recording medium
EP05721870A EP1719122B1 (en) 2004-02-25 2005-02-22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writing data in write-once recording medium
DE602005027442T DE602005027442D1 (de) 2004-02-25 2005-02-2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schreiben von daten in einem einmalbeschreibbaren aufzeichnungsmedium
US11/063,529 US7249233B2 (en) 2004-02-25 2005-02-24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writing data in write-onc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718604P 2004-02-25 2004-02-25
US60/547,186 2004-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340A true KR20050086340A (ko) 2005-08-30

Family

ID=37270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320A KR20050086340A (ko) 2004-02-25 2004-04-13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중첩 기록 방법과 중첩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KR1020067019754A KR101071838B1 (ko) 2004-02-25 2005-02-22 1회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중첩기록 방법 및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754A KR101071838B1 (ko) 2004-02-25 2005-02-22 1회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중첩기록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249233B2 (ko)
EP (1) EP1719122B1 (ko)
JP (1) JP4836931B2 (ko)
KR (2) KR20050086340A (ko)
CN (1) CN1922662B (ko)
AT (1) ATE505788T1 (ko)
BR (1) BRPI0507957A (ko)
CA (1) CA2557449C (ko)
DE (1) DE602005027442D1 (ko)
RU (1) RU2006133891A (ko)
WO (1) WO20050791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343B1 (ko) * 2004-02-24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방법, 호스트 장치, 기록/재생 장치, 광 기록 정보저장 매체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7965616B2 (en) * 2004-03-23 2011-06-2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on/from recording medium
KR100667758B1 (ko) 2004-07-3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716987B1 (ko) 2004-11-12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1453296B1 (ko) * 2008-01-10 2014-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1B2 (ja) * 1989-08-30 1996-01-2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追加方式の追記型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
KR100292093B1 (ko) * 1998-03-02 2001-06-01 구자홍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자료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그리고 이에 의한 광기록매체
EP1923812A3 (en) * 1999-12-28 2008-10-29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Data erase methods for use i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US20020099950A1 (en) * 2001-01-22 2002-07-25 Smith Kenneth K. Method of maintaining integrity of an instruction or data set
US7027059B2 (en) * 2002-05-30 2006-04-11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 constructed rasterizers
KR20040015425A (ko) * 2002-08-12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함 관리를 적용한 1회 기록용 고밀도 기록 매체, 결함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4606693B2 (ja) * 2002-11-22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JP4026518B2 (ja) * 2003-03-12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7442D1 (de) 2011-05-26
EP1719122A2 (en) 2006-11-08
JP2007524184A (ja) 2007-08-23
CN1922662A (zh) 2007-02-28
CA2557449A1 (en) 2005-09-01
KR20070006795A (ko) 2007-01-11
WO2005079175A2 (en) 2005-09-01
BRPI0507957A (pt) 2007-07-17
KR101071838B1 (ko) 2011-10-11
ATE505788T1 (de) 2011-04-15
US20050188152A1 (en) 2005-08-25
RU2006133891A (ru) 2008-03-27
JP4836931B2 (ja) 2011-12-14
CA2557449C (en) 2012-02-21
US7249233B2 (en) 2007-07-24
WO2005079175A3 (en) 2005-10-13
EP1719122B1 (en) 2011-04-13
CN1922662B (zh)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641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중첩기록 관리방법 및장치
JP4194559B2 (ja) 光ディスク、追記型光ディスク上で欠陥領域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8263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on or from optical medium using SBM information
JP4533892B2 (ja) 追記型光ディスクの上書き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50074651A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중첩기록 관리방법 및관리정보 기록방법
KR101215370B1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7529849A (ja) 追記型記録媒体にデータを記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5941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and the recording medium
KR101071838B1 (ko) 1회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 중첩기록 방법 및장치
KR101012378B1 (ko) 광 저장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7179740A (ja) 記録媒体上のデータ上書き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8517412A (ja) 記録媒体、ならびに同時にデータを上書き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86339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과 재생방법 및 장치
KR20060022522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중첩 기록 방법 및 장치
MXPA060096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writing data in write-once recording medium
KR20050105764A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